[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35651A - 직물 유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직물 유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5651A
KR20020035651A KR1020027004398A KR20027004398A KR20020035651A KR 20020035651 A KR20020035651 A KR 20020035651A KR 1020027004398 A KR1020027004398 A KR 1020027004398A KR 20027004398 A KR20027004398 A KR 20027004398A KR 20020035651 A KR20020035651 A KR 20020035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sition
polyorganosiloxane
alkyl
stra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트르 크비타
피터 옷토
마리오 두비니
하랄트 크로바첵
미하엘 고이프트너
랄프 고레츠키
바르바라 베버
엠마누엘 마르뗑
Original Assignee
에프. 아. 프라저, 에른스트 알테르 (에. 알테르), 한스 페터 비틀린 (하. 페. 비틀린), 피. 랍 보프, 브이. 스펜글러, 페. 아에글러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부르크 베른하르트, 자이베르트 프란츠
시바 슈페치알리테텐헤미 페르제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아. 프라저, 에른스트 알테르 (에. 알테르), 한스 페터 비틀린 (하. 페. 비틀린), 피. 랍 보프, 브이. 스펜글러, 페. 아에글러,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부르크 베른하르트, 자이베르트 프란츠, 시바 슈페치알리테텐헤미 페르제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프. 아. 프라저, 에른스트 알테르 (에. 알테르), 한스 페터 비틀린 (하. 페. 비틀린), 피. 랍 보프, 브이. 스펜글러, 페. 아에글러
Publication of KR2002003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565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es
    • C11D3/3738Alkoxylated silic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1Compositions releasably affixed on a substrate or incorporated into a dispensing means
    • C11D17/04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ry cleaning or laundry dryer related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45Mixtures of compounds all of which are cat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11D17/0017Multi-phase liquid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1Softe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2Amides; Substitute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26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11D3/374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1D3/3749Polyolefins; Halogenated polyolefins; Natural or synthetic rubber; Polyarylolefins or halogenated polyaryl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52Carboxylic amides, alkylolamides or imides or their condensation products with alkylene oxides
    • C11D1/523Carboxylic alkylolamides, or dialkylolamides, or hydroxycarboxylic amides (R1-CO-NR2R3), where R1, R2 or R3 contain one hydroxy group per alky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52Carboxylic amides, alkylolamides or imides or their condensation products with alkylene oxides
    • C11D1/528Carboxylic amides (R1-CO-NR2R3), where at least one of the chains R1, R2 or R3 is interrupted by a functional group, e.g. a -NH-, -NR-, -CO-, or -CON-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 유연제(A), 폴리에틸렌 또는 이의 혼합물(a),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또는 이의 혼합물(b), 폴리실릭산 또는 이의 혼합물(c) 및 폴리우레탄 또는 이의 혼합물(d)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B) 및 선택된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C)을 포함하는 유연제 조성물을, 가정에서 적용시 텍스타일 섬유 재료의 내마모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물 유연제 조성물{Fabric softener compositions}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가정용으로 적용하여 텍스타일 재료의 내마모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선택된 첨가제와 함께, 선택된 폴리오가노실록산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직물 유연제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텍스타일에 우수한 내마모성을 부여하기 위해 텍스타일 세탁 작업에서 사용하기 위한 텍스타일 유연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착용하는 동안의 움직임에 의해, 그리고 세탁 공정에서 발생되는 직물의 마모 또는 마찰 유도된 마모는 의복의 노화에 있어서 중요한 특성이다. 이는 예를 들면, 시험 스트립의 인장 강도에 의해 측정된 직물의 기계적 강도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것이 증거가 된다. 심한 경우에는, 이러한 마모로 인하여 결국 옷감에 사실상 잔털(teasing)이 발생하게 된다. 시각적으로, 커프스 또는 칼라 등의 상대적으로 심하게 마모되는 의복 부분에는 마모된 표시가 나타나서 의류의 외관을 매우 눈에 띄게 손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4급 암모늄 잔기를 사용한 직물 유연제를 정기적으로 사용하면 마찰로 유도된 마모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제WO 97/36976호). 이론으로 제약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섬유의 윤활 및 옷감의 마모로 인한 닳음 및 찢어짐에 대한 내성을 결과적으로 증가시킴에 의해서 달성된다고 여겨진다. 더 고농도의 유연제를 사용하여 이러한 보호 작용을 확대시키려는 노력은 비용 및 기계적 전망, 예를 들면, 직물의 방수성, 탈색, 불쾌한 촉감 등에서 비실용적이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단점 없이도 마찰로 인한 마모에 내성인 이의 힘을 상승시키는 당해 기술분야의 유연제 배합물에 첨가제 또는 보조제를 가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하나의 성분은 폴리오가노실록산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일반적인 외관을 개선시키기 위해 직물을 영구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가공함으로써, 직물을 가공하는 공업적인 규모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업적인 직물 가공 공정에는, 1시간 이상 동안 종종 150℃를 초과하는 온도를 일반적으로 수반하는 이른바 경화 단계가 중요하다. 여기서의 목적은 직물의 후속적인 세정/세탁 동안의 파괴에 견디는 화학적 가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공 공정은 가정용으로 적용되지 않으며, 따라서 가정용 유연제에 보조제로서 포함된 폴리오가노실록산과 유사한 특성 또는 강도 이점은 기대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이 공업적인 텍스타일 가공과 관련된 성능을 달성하는 경우, 세탁이 반복되면서 누적되는 빌드와 관련된 문제점, 예를 들면, 직물 변색 및 심지어는 착용자에게 느껴지는 불쾌함 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할만하다.
놀랍게도, 직물 유연제 조성물에 선택된 첨가제와 함께, 선택된 폴리오가노실록산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하면, 텍스타일 세탁 작업 동안 직물에 적용하는 경우, 우수한 내마모성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시트상 함침물과 같은 텀블 건조기 첨가제로 혼입시키는 경우에도 유사한 이점이 나타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가정에서 적용시 섬유 재료의 내마모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유연제 조성물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며, 당해 유연제 조성물은,
직물 유연제(A),
폴리에틸렌 또는 이의 혼합물(a),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또는 이의 혼합물(b), 폴리실릭산 또는 이의 혼합물(c) 및 폴리우레탄 또는 이의 혼합물(d)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B) 및
화학식 1의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학식 5의 단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학식 8의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학식 9의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C)을 포함한다.
위의 화학식 1, 5, 8 및 9에서,
R1은 OH, OR2(여기서, R2는 CH3또는 CH2CH3이다) 또는 CH3이고,
R3은 C1-C20알콕시, CH3, CH2CHR4CH2NHR5, CH2CHR4CH2N(COCH3)R5(여기서, R4는 H 또는 CH3이고, R5는 H, CH2CH2NHR6, C(=O)-R7또는 (CH2)z-CH3이고, z는 0 내지 7이고, R6은 H 또는 C(=O)-R7이고, R7은 CH3, CH2CH3또는 CH2CH2CH2OH이다), 화학식 2,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화합물이고,
X와 Y의 합은 40 내지 4000이고,
R9는 CH3, CH3CH2또는 페닐이고,
R10은 -O-Si 또는 -O-R9이고,
v와 w의 합은 3이고, v는 3이 아니고,
A는 -CH2CH(R11)(CH2)k(여기서, R11은 H 또는 CH3이고, k는 0 내지 6이다)이고,
B는 -NR12((CH2)l-NH)mR12(여기서, l은 2 내지 8이고, m은 0 내지 3이고, R12는 H, C(=O)-R16, CH2(CH2)pCH3또는 화학식 7의 화합물이고, p는 0 내지 6이고, R16은 CH3, CH2CH3또는 (CH2)qOH이고, q는 1 내지 6이다) 또는 화학식 6의 화합물이고,
R17은 OH, OR18(여기서, R18은 CH3또는 CH2CH3이다) 또는 CH3이고,
R19는 R20-(EO)m-(PO)n-R21[여기서, m은 3 내지 25이고, n은 0 내지 10이고, R20은 직접 결합 또는 CH2CH(R22)(CH2)pR23이고, p는 1 내지 4이고, R21은 H, R24, CH2CH(R22)NH2또는 CH(R22)CH2NH2이고, R22는 H 또는 CH3이고, R23은 O 또는 NH이고, R24는 직쇄 또는 측쇄 C1-C8알킬 또는 Si(R25)3이고, R25는 R24, OCH3또는 OCH2CH3이고, EO는 -CH2CH2O-이고, PO는 -CH(CH3)CH2O- 또는 -CH2CH(CH3)O-이다]이고,
X1, Y1및 S의 합은 20 내지 1500이고,
R26은 직쇄 또는 측쇄 C1-C20알콕시 또는 CH2CH(R4)R29(여기서, R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29는 직쇄 또는 측쇄 C1-C20알킬이다)이고,
R27은 아릴, 직쇄 또는 측쇄 C1-C10알킬에 의해 치환된 아릴, 아릴에 의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 C1-C20알킬, 또는 직쇄 또는 측쇄 C1-C10알킬에 의해 치환된 아릴이고,
R28은 화학식 10의 화합물이고,
X2, X3, X4및 Y2의 합은 20 내지 1500이고, X3, X4및 Y2는 서로 독립적으로 0일 수 있다.
위의 화학식 2 내지 4, 6, 7 및 10에서,
R8은 H 또는 CH3이고,
n은 0 또는 1이고,
U1은, n이 0인 경우, N이고, n이 1인 경우, CH이고,
R13은 NH, O, OCH2CH(OH)CH2N(부틸) 또는 OOCN(부틸)이고,
R14는 H, 직쇄 또는 측쇄 C1-C4알킬, 페닐, 또는 CH2CH(OH)CH3이고,
R15는 H, 또는 직쇄 또는 측쇄 C1-C4알킬이고,
U2는 N 또는 CH이다.
당해 조성물은 액상 린스 컨디셔너 조성물 중의 한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텍스타일 섬유 재료를 내마모성에 대해 처리한다.
텀블 건조기 용도에서, 당해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부직포 시트상의 함침물로 혼입시킨다. 그러나, 기타 적용 형태들은 당해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직물 유연제 조성물은 텍스타일 섬유 재료를 세탁 세제로 세탁한 후에 사용되며, 당해 세탁 세제는 광범위한 세제 유형 중의 하나일 수 있다. 텀블 건조기 시트는 세탁 공정 후에 사용된다. 텍스타일 섬유 재료는 습윤화시키거나 건조시킬 수 있다.
직물 유연제 조성물은 처리한 직물을 다림질하거나 건조시키기 전 또는 그 동안 직물에 직접 분무시킬 수도 있다.
폴리오가노실록산은 음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이다.
폴리오가노실록산 또는 이의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유화제를 사용하여 분산 형태로 사용된다. 직물 유연제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일반적으로 수분 함량이 25 내지 90중량%이다. 에멀젼 입자는 통상적으로 직경이 5 내지 1000nm이다.
폴리오가노실록산이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경우, 폴리오가노실록산으로 인한 수성 에멀젼의 질소 함량은 일반적으로 규소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0.25%이다. 일반적으로, 0 내지 0.25중량%의 질소 함량이 바람직하다.
직물 유연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120℃의 온도에서 고형분이 5 내지 70중량%이다.
직물 유연제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pH 값이 2 내지 9.0, 특히 2 내지 7이다.
직물 유연제 조성물은 화학식 11의 부가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위의 화학식 11에서,
g는 화학식 12의 화합물이고,
G는 C1-C20알킬이다.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양이온이고, 25℃에서의 점도가 250 내지 450mm2s-1이며, 비중이 1.00 내지 1.02g/cm3이고, 표면 장력이 28.5 내지 33.5mNm-1이다.
직물 유연제 조성물은 마그나소프트(Magnasoft) HSSD로서 공지되어 있는 부가의 폴리오가노실록산 또는 화학식 13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위의 화학식 13에서,
R'는 (CH2)x"-(EO)m-(PO)n-R""(여기서, m은 3 내지 25이고, n은 0 내지 10이고, EO는 -CH2CH20-이고, PO는 -CH(CH3)CH2O- 또는 -CH2CH(CH3)O-이고, R""는 H, 또는 직쇄 또는 측쇄 C1-C4알킬이다)이고,
R"은 CH2CH2CH2N(R"')2(여기서, R"'는 직쇄 또는 측쇄 C1-C4알킬이다)이고,
X'은 0 내지 4이고,
X', Y'및 S'의 합은 40 내지 300이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화학식 1의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학식 5의 단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학식 8의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 또는 화학식 9의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화학식 5
화학식 8
화학식 9
위의 화학식 1, 5, 8 및 9에서,
R1은 OH, OR2(여기서, R2는 CH3또는 CH2CH3이다) 또는 CH3이고,
R3은 C1-C20알콕시, CH3, CH2CHR4CH2NHR5(여기서, R4는 H 또는 CH3이고, R5는 H, CH2CH2NHR6, 또는 C(=O)-R7이고, R6은 H 또는 C(=O)-R7이고, R7은 CH3, CH2CH3또는 CH2CH2CH2OH이다),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화합물이고,
X와 Y의 합은 40 내지 1500이고,
R9는 CH3또는 CH3CH2이고,
R10은 -O-Si 또는 -O-R9이고,
v와 w의 합은 3이고, v는 3이 아니고,
A는 -CH2CH(R11)(CH2)k(여기서, R11은 H 또는 CH3이고, k는 0 내지 6이다)이고,
B는 화학식 6의 화합물이고,
R17은 OH, OR18(여기서, R18은 CH3또는 CH2CH3이다) 또는 CH3이고,
R19는 R20-(EO)m-(PO)n-R21[여기서, m은 3 내지 25이고, n은 0 내지 10이고, R20은 직접 결합 또는 CH2CH(R22)(CH2)pR23이고, p는 1 내지 4이고, R21은 H, R24,CH2CH(R22)NH2또는 CH(R22)CH2NH2이고, R22는 H 또는 CH3이고, R23은 O 또는 NH이고, R24는 직쇄 또는 측쇄 C1-C8알킬 또는 Si(R25)3이고, R25는 R24, OCH3또는 OCH2CH3이고, EO는 -CH2CH2O-이고, PO는 -CH(CH3)CH2O- 또는 -CH2CH(CH3)O-이다]이고,
X1, Y1및 S의 합은 40 내지 1500이고,
R26은 직쇄 C1-C20알콕시이고,
R27은 CH2CH(R4)페닐(여기서, R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이고,
R28은 화학식 10의 화합물이고,
R29는 직쇄 C1-C20알킬이고,
X2, X3, X4및 Y2의 합은 40 내지 1500이고, X3, X4및 Y2는 서로 독립적으로 0일 수 있다.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6
화학식 10
위의 화학식 2, 3, 6 및 10에서,
R8은 H 또는 CH3이고,
n은 1이고,
U1은 CH이고,
R13은 OOCN(부틸)이고,
R14는 H, 직쇄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R15는 H 또는 직쇄 C1-C4알킬이고,
U2는 N이다.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에 대해, R1은 바람직하게는 OH 또는 CH3이고, R3은 바람직하게는 CH3, C10-C20알콕시 또는 CH2CHR4CH2NHR5이고, R4는 바람직하게는 H이고, R5는 바람직하게는 H 또는 CH2CH2NHR6이고, R6은 바람직하게는 H 또는 C(=O)-R7이고, R7은 바람직하게는 CH3또는 CH2CH3, 특히 CH2CH2CH2OH이고, X와 Y의 합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0이다.
R1이 OH 또는 CH3이고, R3이 CH3, C10-C20알콕시 또는 CH2CHR4CH2NHR5이고, R4가 H이고, R5는 H 또는 CH2CH2NHR6이고, R6이 H 또는 C(=O)-R7이고, R7이 CH3또는 CH2CH3이거나, 특히 CH2CH2CH2OH인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8의 폴리오가노실록산에 대해, R3은 바람직하게는 CH3, C10-C20알콕시 또는 CH2CHR4CH2NHR5이고, R4는 바람직하게는 H이고, R5는 바람직하게는 H 또는 CH2CH2NHR6이고, R6은 바람직하게는 H 또는 C(=O)-R7이고, R7은 바람직하게는 CH2CH3또는 CH2CH2CH2OH, 특히 CH3이고, R17은 바람직하게는 CH3또는 OH이고, R20은 바람직하게는 직접 결합이고, R21은 바람직하게는 H이다.
R3이 CH3, C10-C20알콕시 또는 CH2CHR4CH2NHR5이고, R4가 H이고, R5가 H 또는 CH2CH2NHR6이고, R6이 H 또는 C(=O)-R7이고, R7이 CH2CH3또는 CH2CH2CH2OH, 특히 CH3이고, R17이 CH3또는 OH인 화학식 8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9의 폴리오가노실록산에 대해, R26은 바람직하게는 CH2CH(R4)R29이고, R4는 바람직하게는 H이고, R27은 바람직하게는 2-페닐 프로필이고, X2, X3, X4및 Y2의 합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0이다.
R26이 CH2CH(R4)R29이고, R4는 H이고, R27은 2-페닐 프로필인 화학식 9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화학식 8 및 화학식 9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이 바람직하고, 화학식 1 및 화학식 8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매우 중요한 폴리오가노실록산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이다.
폴리오가노실록산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유화제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i) 에톡실레이트, 예를 들면, 알킬 에톡실레이트, 아민 에톡실레이트 또는에톡시화 알킬암모늄 할라이드. 알킬 에톡실레이트에는 알콜 에톡실레이트 또는 이소트리데실 에톡실레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알콜 에톡실레이트에는 2 내지 15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는 직쇄 또는 측쇄 비이온성 알킬 에톡실레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이소트리데실 에톡실레이트에는 5 내지 25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이소트리데실 에톡실레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아민 에톡실레이트에는 4 내지 10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C10-C20알킬 아미노 에톡실레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에톡시화 알킬암모늄 할라이드에는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에톡시화 C6-C20알킬 비스(하이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가 포함된다.
ii) 알킬암모늄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4급 에스테르 알킬암모늄 할라이드.
iii) 실리콘,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폴리디메틸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 공중합체.
iv) 사카라이드,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이들 유화제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분산된 지방산 알칸올 아미드, 폴리실릭산 및 폴리우레탄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들 성분을 아래에 기재한다.
유화성 폴리에틸렌(폴리에틸렌 왁스)은 공지되어 있으며, 선행 기술분야[참조: 독일 특허 제2,359,966호, 독일 특허공보 제2,824,716호, 독일 특허공보 제1,925,993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유화성 폴리에틸렌은 일반적으로 관능기, 특히 일부가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COOH 그룹을 갖는 폴리에틸렌이다. 이들 관능기는 폴리에틸렌을 산화시켜 도입한다. 그러나, 에틸렌과, 예를 들면, 아크릴산을 공중합시켜 관능성을 수득할 수도 있다. 유화성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20℃에서 0.91g/㎤ 이상이고, 산가는 5 이상이며, 비누화도는 10 이상이다. 20℃에서의 밀도가 0.95 내지 1.05g/cm3이고, 산가가 10 내지 60이며, 비누화도가 15 내지 80인 유화성 폴리에틸렌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점(drop point)이 100 내지 150℃인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이 물질은 일반적으로 박편, 마름모꼴 등의 형태로 시중에서 구할 수 있다. 이들 유화성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 왁스는 분산액 형태로 사용된다. 다양한 유화제가 이들을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분산액의 제조방법은 선행 기술분야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폴리에틸렌 성분을 분산시키는데 적합한 유화제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i) 에톡실레이트, 예를 들면, 알킬 에톡실레이트 또는 아민 에톡실레이트. 알킬 에톡실레이트에는 알콜 에톡실레이트 또는 이소트리데실 에톡실레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알콜 에톡실레이트에는 2 내지 55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이소트리데실 에톡실레이트에는 6 내지 9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이소트리데실 에톡실레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아민 에톡실레이트에는 7 내지 9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C10-C20알킬 아미노 에톡실레이트가 포함된다.
ii) 알킬암모늄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4급 에스테르 알킬암모늄 할라이드.
iii) 암모늄 염,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지방족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설페이트.
상기 유화제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도 있다.
적합한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는 예를 들면, 화학식 14의 화합물이다.
위의 화학식 14에서,
R33은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탄소수 10 내지 24의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34는 수소, 또는 화학식 -CH2OH, -(CH2CH2O)cH 또는의 라디칼(여기서, c는 1 내지 10이고, R36은 R33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다)이고,
R35는 화학식 -CH2OH, -(CH2CH2O)cH,또는의 라디칼[여기서, c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37은 수소 또는 화학식의 라디칼(여기서, R36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이고; R38, R38' 및 R38"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R34에 대해 정의한 바와 같고, R39, R39' 및 R39"는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화학식의 라디칼(여기서, R36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이다]이다.
R33및 R36은 바람직하게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탄소수 14 내지 24의 탄화수소 라디칼이다. 포화된 탄화수소 라디칼이 바람직하다.
R34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CH2OH 또는 화학식의 라디칼이다.
R35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또는의 라디칼이다.
R38, R38' 및 R38"에 대해서는, R34에 대해 위에서 제공한 것이 바람직하다.
c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이다.
화학식 15a의 지방산 알칸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위의 화학식 15a에서,
R33, R34, R38, R38', R38", R39, R39' 및 R39"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R34, R38, R38' 및 R38"이 수소 또는 -CH2OH인 화학식 15a의 지방산 알칸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15b의 지방산 알칸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위의 화학식 15b에서,
R33, R34, R37및 c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R34및 R37이 수소 또는 화학식의 라디칼인 화학식 15b의 지방산 알칸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R34는 바람직하게는 수소이다.
위의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는 상응하는 암모늄 염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들 지방산 알칸올아미드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지방산 알칸올 아미드 성분을 분산시키기에 적합한 유화제에는
i) 에톡실레이트, 예를 들면, 알킬 에톡실레이트, 아민 에톡실레이트 또는 아미드 에톡실레이트. 알킬 에톡실레이트에는 알콜 에톡실레이트 또는 이소트리데실 에톡실레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알콜 에톡실레이트에는 2 내지 55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지방 알콜 에톡실레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이소트리데실 에톡실레이트에는 5 내지 45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이소트리데실 에톡실레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아민 에톡실레이트에는 4 내지 25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는 비이온성 C10-C20알킬 아미노 에톡실레이트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아미드 에톡실레이트에는 2 내지 25개의 에틸렌 옥사이드 단위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지방산 아미드 에톡실레이트가 포함된다.
ii) 알킬암모늄 할라이드,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4급 에스테르 알킬암모늄 할라이드 또는 양이온성 지방족 산 알킬아미도트리알킬암모늄 메토설페이트.
iii) 암모늄 염,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지방족 4급 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설페이트.
이들 유화제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도 있다.
폴리우레탄의 예에는 디올 및 에톡실레이트와 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이 있다.
폴리에틸렌,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폴리실릭산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는 통상적으로 직물 유연제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25중량%, 특히 0.01 내지 15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0.05 내지 15중량%, 특히 0.1 내지 15중량%의 양이 바람직하다. 상한선이 10%, 특히 5%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첨가제로서는 폴리에틸렌,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및 폴리우레탄, 특히 폴리에틸렌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가 첨가제로서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매우 바람직한 직물 유연제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오가노실록산 또는 이의 혼합물(a) 0.01 내지 70중량%,
유화제 또는 이의 혼합물(b) 0.2 내지 25중량%.
폴리에틸렌,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폴리실릭산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c) 0.01 내지 25중량%,
100%로 만드는 양의 물(d).
직물 유연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우선, 폴리오가노실록산의 에멀젼을 제조한다. 폴리오가노실록산과 폴리에틸렌, 지방산 알칸올 아미드, 폴리실릭산 또는 폴리우레탄을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및 전단력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콜로이드 밀(colloid mill)을 사용하여 유화시킨다.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위에서 기재하였다. 성분들을 함께 혼합하기 전에 개별적으로 유화시키거나, 성분들을 혼합한 후에 함께 유화시킬 수 있다. 계면활성제(들)는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으로 사용하며, 폴리오가노실록산에 첨가하거나 유화시키기 전에 물에 첨가할 수 있다. 적합한 경우, 유화 공정은 승온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직물 유연제 조성물은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지만, 통상적으로, 우선 활성 물질, 즉 탄화수소계 직물 유연화 성분을 용융 상태에서 물로 교반한 다음, 필요한 경우, 추가의 필요한 첨가제를 가하고, 최종적으로, 냉각시킨 후에 폴리오가노실록산 에멀젼을 가하여 제조한다.
직물 유연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예비배합된 직물 유연제를 폴리오가노실록산과 첨가제를 포함한 에멀젼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직물 유연화 성분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탄화수소계 직물 유연화 성분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탄화수소 직물 유연제는 다음 화합물 종류로부터 선택된다.
(i) 양이온성 4급 암모늄 염. 이러한 양이온성 4급 암모늄 염의 대이온은 할로겐화물, 예를 들면, 클로라이드 또는 브로마이드, 메틸 설페이트 또는 문헌에 익히 공지되어 있는 기타 이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이온은 메틸 설페이트 또는 어떠한 알킬 설페이트 또는 할로겐화물이라도 되지만, 메틸 설페이트가 본 발명의 건조기 첨가 제품에 가장 바람직하다.
양이온성 4급 암모늄 염의 예는 이로써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을 포함한다:
(1) 두 개 이상의 C8내지 C30, 바람직하게는 C12내지 C22알킬 또는 알케닐 쇄를 갖는 비환식 4급 암모늄 염, 예를 들면, 디탈로우디메틸 암모늄 메틸설페이트, 디(수소화탈로우)디메틸 암모늄 메틸설페이트, 디스테아릴디메틸 암모늄 메틸설페이트, 디코코디메틸 암모늄 메틸설페이트 등. 직물 유연화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에스테르 결합을 통하여 분자에 연결된 두 개의 C12내지 C18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 불용성 4급 암모늄 물질인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4급 암모늄 물질에 두 개의 에스테르 결합이 존재하는 경우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에스테르 결합된 4급 암모늄 물질은 화학식 16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위의 화학식 16에서,
R31그룹은 각각 독립적으로 C1내지 C4알킬, 하이드록시알킬 또는 C2내지 C4알케닐 그룹이고,
T는 화학식 17 또는 화학식 18이고,
R32그룹은 각각 독립적으로 C8내지 C28알킬 또는 알케닐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e는 0 내지 5의 정수이다.
4급 암모늄 물질의 바람직한 제2 유형은 화학식 19로 나타낼 수 있다.
위의 화학식 19에서,
R31, e 및 R32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2) 이미다졸리늄형의 환형 4급 암모늄 염, 예를 들면, 디(수소화 탈로우)디메틸 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 1-에틸렌-비스(2-탈로우-1-메틸) 이미다졸리늄메틸설페이트 등,
(3) 디아미도 4급 암모늄 염, 예를 들면, 메틸-비스(수소화 탈로우 아미도에틸)-2-하이드록스에틸 암모늄 메틸 설페이트, 메틸 비(탈로우아미도에틸)-2-하이드록시프로필 암모늄 메틸설페이트 등,
(4) 생분해성 4급 암모늄 염, 예를 들면, N,N-디(탈로우오일-옥시-에틸)-N,N-디메틸 암모늄 메틸 설페이트 및 N,N-디(탈로우오일-옥시-프로필)-N,N-디메틸 암모늄 메틸 설페이트. 생분해성 4급 암모늄 염은 예를 들면,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4,137,180호, 제4,767,547호 및 제4,789,491호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생분해성 4급 암모늄 염은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4,137,180호에 기재된 생분해성 양이온성 디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한다.
(ii)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C8내지 C30, 바람직하게는 C12내지 C22알킬 쇄를 갖는 3급 지방 아민. 그 예로써는 탈로우-디-메틸아민 및 환형 아민, 예를 들면, 1-(수소화 탈로우)아미도에틸-2-(수소화 탈로우) 이미다졸린이 포함된다. 본원에서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환형 아민은 본원에서 참조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4,806,255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다.
(iii) 탄소수 8 내지 30의 카복실산 및 분자당 하나의 카복실 그룹. 알킬 부분은 탄소수가 8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2이다. 알킬 부분은 직쇄 또는 측쇄, 포화 또는 불포화일 수 있으며, 직쇄 포화 알킬이 바람직하다. 스테아르산이 본원에서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지방산이다. 이러한 카복실산의 예는 상업용 등급의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및 소량의 기타 산을 함유할 수도 있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iv) 다가 알콜의 에스테르, 예를 들면, 소르비탄 에스테르 또는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에스테르는 지방산(예: 스테아르산)과의 소르비톨 또는 이소-소르비톨의 축합 생성물이다. 바람직한 소르비탄 에스테르는 모노알킬이다. 소르비탄 에스테르의 일반적인 예는 소르비탄과 이소소르비드 스테아레이트의 혼합물인 SPAN 60(ICI)이다.
(v) 지방 알콜, 에톡시화 지방 알콜, 알킬페놀, 에톡시화 알킬페놀, 에톡시화 지방 아민, 에톡시화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에톡시화 디글리세라이드.
(vi) 광유 및 폴리올,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글리콜.
이들 유연제는 본원에서 이의 공개 내용을 참조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4,134,838호에 더욱 확실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직물 유연제는 비환식 4급 암모늄 염이다. 디(수소화)탈로우디메틸 암모늄 메틸설페이트가 본 발명의 건조기 제품에서 가장 널리 사용된다. 위에서 언급한 직물 유연제의 혼합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직물 유연화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직물 유연화 성분을 약 0.1 내지 약 95% 함유한다. 본원에서는 최소 비용으로 최적 유연화성을 수득하기 위하여 직물 유연화 성분을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7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30% 사용한다. 직물 유연화 성분이 4급 암모늄 염을 포함하는 경우, 당해 염은 약 2 내지 약 7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30%의 양으로 사용된다.
직물 유연제 조성물은 표준의 상업용 액상 린스 컨디셔너용으로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면, 알콜, 예를 들면, 에탄올, n-프로판올, i-프로판올, 다가 알콜(예: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 양쪽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 들면, 이미다졸의 카복실 유도체, 옥시에틸화 지방 알콜, 수소화 및 에톡시화 피마자유, 알킬 폴리글리코사이드(예: 데실 폴리글루코스 및 도데실폴리글루코스), 지방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에톡시화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또는 지방산 부분 글리세라이드; 또한 무기 또는 유기염, 예를 들면, 수용성 칼륨, 나트륨 또는 마그네슘 염, 비수성 용매, pH 완충액, 향료, 염료, 하이드로트로프제(hydrotropic agent), 소포제, 재부착 방지제, 중합체성 또는 기타의 증점제, 효소, 광학 증백제, 수축 방지제, 얼룩 제거제, 살균제, 항진균제, 산화 방지제 및 부식 억제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직물 유연제 조성물은 예를 들면, 물 중에 활성 물질을 20중량% 이하 함유하는 분산제로서 통상적으로 제조된다. 이는 외관이 탁하다. 그러나, 용매와 함께 활성물을 5 내지 40% 정도로 통상적으로 함유하는 다른 배합물은 외관이 투명한 마이크로에멀젼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용매 및 배합물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543,067호 및 제WO98/17757호를 참조). 본 발명의 첨가제 및 폴리오가노실록산을 이러한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지만, 마이크로에멀젼인 직물 유연제 조성물의 투명한 외관을 보전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에멀젼 형태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텀블 건조기 시트 제품이다. 본 발명의 컨디셔닝조성물은 직물을 컨디셔닝하는 양의 조성물을 포함하여 건조기 작업 온도에서 조성물을 방출할 수 있는 가요성 기재 위로 피복시킬 수 있다. 차례로 컨디셔닝 조성물은 약 25 내지 약 150℃의 바람직한 융점(또는 연화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직물 컨디셔닝 조성물은 텀블 건조기에서 직물 컨디셔닝 조성물을 유효하게 방출하는 분배 수단 위로 피복한다. 이러한 분배 수단은 1회용으로 또는 여러번 사용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이러한 여러번 사용하기 위한 한가지 제품은 수 회의 건조 사이클 동안 유효하게 직물 유연성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컨디셔닝 조성물을 방출 가능하게 둘러싼 스폰지 물질을 포함한다. 이러한 여러번 사용하기 위한 제품은 다공성 스폰지에 조성물을 충전시켜 제조할 수 있다. 사용시, 조성물은 용융되고 스폰지의 기공을 통하여 유출되어 직물을 유연화시키고 컨디셔닝한다. 이러한 충전된 스폰지는 통상적인 건조기 속에서 직물을 수 회 처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 후 건조기 속에 잔류할 수 있고 잘못 위치하거나 손실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 다른 제품은 조성물을 방출 가능하게 둘러싸서 혼합물의 경화된 플러그로 밀봉한 클로스 또는 종이 백을 포함한다. 건조기의 작용 및 열로 백을 개봉시키고 조성물을 방출하여 이의 유연화 작용을 수행한다.
매우 바람직한 제품은 가요성 기재, 예를 들면, 한 장의 종이, 직물(woven cloth) 또는 부직포(non-woven cloth) 기재에 방출 가능하게 고정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품을 자동 세탁물 건조기에 위치시키는 경우, 건조기의 열, 습기, 분배력 및 텀블링 작용으로 기재로부터 조성물을 이동시켜 직물에 부착시킨다.
시트 형태에는 몇가지 단점이 있다. 예를 들면, 통상적인 건조기에서 사용하기에 유효한 양의 조성물은 간단한 딥핑 또는 패딩 공정으로 시트 기재 위나 기재 속으로 용이하게 흡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종 사용자는 직물 유연성 및 기타의 이점을 수득하는 데 필요한 조성물의 양을 측정할 필요가 없다. 추가로, 시트의 평평한 형태는 넓은 표면적을 제공하여 물질이 건조기의 텀블링 작용에 의해 직물로 효율적으로 방출 및 분배되도록 한다.
제품에 사용된 기재의 구조는 조밀하거나, 더욱 바람직하게는, 개방되거나 다공성일 수 있다. 본원에서 기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물질의 예는 종이, 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용어 "클로스(cloth)"는 자동 건조기에서 건조되는 옷감 직물을 포함하는 용어 "직물(fabric)"과 구별하여, 제조하는 직물에 대한 직물 또는 부직포 기재를 의미한다.
대부분의 물질은 어느 정도로 액체 물질을 흡수할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지만,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흡수성"은 물에 대한 흡수 용량(즉, 액체를 흡수하고 보유하는 기재 능력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 이의 중량의 4 내지 12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배인 기재를 의미한다.
기재가 발포된 플라스틱 물질인 경우, 흡수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2의 범위이지만, 특수한 발포체는 흡수 용량 범위가 4 내지 12일 수 있다.
흡수 용량 값은 다음과 같이 변경시킨 미 연방 명세서(UU-T-595b)에 기재되어 있는 용량 시험 공정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1. 증류수 대신 수도물을 사용하고,
2. 표본을 3분 대신 30초 동안 침지시키고,
3. 배수 시간은 1분 대신 15초이며,
4. 표본을 가장자리가 위로 향한 팬을 갖는 비틀림 저울 위에서 즉시 중량 측정한다.
이어서, 흡수 용량 값을 상기 명세서에 주어진 화학식에 따라 측정한다. 이 시험을 기준으로 하여, 한 겹의 조밀한 표백된 종이(예: 평량이 3000ft2당 약 32lb인 크래프트 또는 본드)는 흡수 용량이 3.5 내지 4이고, 시판중인 가정용 한 겹 타월지의 값은 5 내지 6이며, 시판중인 두 겹 가정용 타월링지의 값은 7 내지 약 9.5이다.
본 발명에서 기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물질은, 다른 것들 중에서도, 스폰지, 종이 및 직물 또는 부직포를 포함하며, 이들 모두 위에서 정의한 필수 흡수 요건을 갖는다.
바람직한 부직포 기재는 웹 또는 카드사 구조(여기서, 섬유 강도는 카딩하기에 적합함)를 갖거나 섬유 또는 필라멘트가 일정하지 않게 또는 무작위 배열(즉, 섬유 배열이 섬유의 부분적인 방향이 종종 존재할 뿐만 아니라 완전히 일정하지 않은 분포 방향도 갖는 카딩된 웹임)로 분포한 섬유상 매트 또는 실질적으로 정렬된 섬유상 매트를 포함하는 밀착된 섬유상 또는 필라멘트상 제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섬유 또는 필라멘트는 천연(예: 울, 실크, 황마, 대마, 면, 리넨,사이살 삼 또는 모시) 또는 합성(예: 레이온, 셀룰로스 에스테르, 폴리비닐 유도체,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일 수 있다.
바람직한 흡수 특성은 부직포를 사용하여 수득하기에 특히 용이하고, 단순히 천의 두께를 증강시켜, 즉 복수의 카딩 웹 또는 매트를 중첩시켜 필요한 흡수 특성을 수득하기에 적합한 두께가 되도록 하거나, 섬유의 충분한 두께를 스크린 위에 부착시켜 제공된다. 천의 두께를 천의 흡수 용량에 직접 비례하도록 하고, 추가로 부직포를 교차 또는 모세관 작용에 의해 조성물로 함침시키기에 특히 적합하도록 하는 것이 각각의 섬유 사이의 자유 공간인 한, 어떠한 직경 또는 데니어(일반적으로 약 10데니어 이하)의 섬유라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목적하는 흡수 용량을 수득하는 데 필요한 어떠한 두께라도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에 대한 기재가 스크린 위에 일정하지 않게 또는 무작위 배열로 부착된 섬유로 제조된 부직포인 경우, 제품은 모든 방향으로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고, 자동 의류 건조기에 사용되는 경우, 찢어지거나 분리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는 워터-레잉(water-laying) 또는 에어-레잉(air-laying)되고 셀룰로스 섬유, 특히 재생 셀룰로스 또는 레이온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부직포는 어떠한 표준 텍스타일 윤활제로도 윤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는 길이가 5 내지 50mm이고, 1.5 내지 5데니어이다. 바람직하게는, 섬유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정하지 않게 배향되어 있고, 소수성 또는 실질적으로 소수성 결합제-수지와 함께 밀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은 섬유 약 70중량%와 결합제 수지 중합체 30중량%를 포함하고, 평량이 약 18 내지 45g/㎡이다.
직물 컨디셔닝 조성물을 흡수 기재에 적용하면, 흡수 기재로 함침된 및/또는 흡수 기재에 피복된 양은 중량비 범위가 미처리 기재(섬유 + 결합제)를 건조시키는 총 컨디셔닝 조성물의 비율을 기준으로 하여, 10:1 내지 0.5:1인 것이 편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컨디셔닝 조성물의 양은 건조 미처리 기재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5:1 내지 약 1:1,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3:1 내지 1:1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라, 건조기 시트 기재는 로토그래비어 도포기 롤로 통과시켜 피복한다. 시트는 롤로 통과시킬 때, 직각의 팬에 약 15g/yd2으로 함유된 용융 직물 유연화 조성물의 얇은 균일한 층으로 피복한다. 이어서, 기재 통로를 냉각시켜 용융 유연화 조성물을 고체로 고화시킨다. 이러한 유형의 도포기는 시트를 가로질러 균일한 균질 피막을 수득하는 데 사용된다.
액화 조성물을 도포한 후, 조성물이 실질적으로 고화될 때까지 제품을 실온에서 유지한다. 위에서 기술한 조성물 기재 비율로 수득한 건조 제품은 가요성으로 잔존하고, 시트 제품은 롤에서 패키징하기에 적합하다. 시트 제품은 임의로 슬릿팅 또는 펀칭하여 필요한 경우 제조 공정 중의 편리한 시점에서 블록킹되지 않은 측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직물 컨디셔닝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특정한 직물 유연제를 포함한다.
액상 린스 컨디셔너 조성물로 처리할 수 있는 적합한 텍스타일 섬유 재료의예는 실크, 모, 폴리아미드, 아크릴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된 재료이고, 특히 모든 유형의 셀룰로스 섬유 재료이다. 이러한 섬유 재료는 예를 들면, 천연 셀룰로스 섬유, 예를 들면, 면, 리넨, 황마 및 대마 및 재생 셀룰로스이다. 면으로 된 텍스타일 섬유 재료가 바람직하다. 직물 유연제 조성물은 혼방 직물, 예를 들면, 면과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의 혼방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실 함유 섬유에 또한 적합하다.
예를 들기 위하여 제공된, 다음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 및 이의 다수의 이점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제공된 비율(%)은 중량%이다.
실시예 1(린스 컨디셔너의 제조)
액체 린스 컨디셔너를 아래에 기재된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유형의 직물 린스 컨디셔너는 "세 배 강도" 또는 "세 배" 규격이라는 명칭으로 통상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물 총량의 75중량%를 40℃로 가열한다. 용융된 직물 유연제 디-(팜카복시에틸-)하이드록시에틸-메틸암모늄-메토설페이트[또는 Rewoquat WE 38 DPG(제조원: Witco)]를 교반하에 가열된 물에 가하고 혼합물을 4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다. 그 후, 수성 유연제 용액을 교반하면서 30℃ 미만으로 냉각시킨다. 용액이 충분히 냉각되면, 염화마그네슘을 가하고, pH를 0.1N 염산으로 3.2로 조절한다. 이어서, 배합물에 물을 100%까지 충전시킨다.
위에서 기재한 린스 컨디셔너 배합물을 기본 배합물로서 사용한다. 최종 단계에서 직물 유연제를 개별적으로 제조된 폴리오가노실록산/첨가제 에멀젼과 혼합한다. 다음 실시예에서 사용된 직물 유연제 배합물을 다음 표 1에 기재한다.
세탁물 1kg에 대한 적용 시험에 사용되는 린스 컨디셔너 배합물
린스 컨디셔너배합물 폴리오가노-실록산 에멀젼(에멀젼의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함) 직물 유연제베이스 배합물 pH
0(참조용) ---- 13.3g 3.2
A I형 0.2g 13.3g 3.2
B II형 0.2g 13.3g 3.2
C III형 0.2g 13.3g 3.2
D IV형 0.2g 13.3g 3.2
E V형 0.2g 13.3g 3.2
F VI형 0.2g 13.3g 3.2
G VII형 0.2g 13.3g 3.2
H VIII형 0.2g 13.3g 3.2
I IX형 0.2g 13.3g 3.2
J X형 0.2g 13.3g 3.2
K XI형 0.2g 13.3g 3.2
L XII형 0.2g 13.3g 3.2
M XIII형 0.2g 13.3g 3.2
N XIV형 0.2g 13.3g 3.2
O XV형 0.2g 13.3g 3.2
P XVI형 0.2g 13.3g 3.2
Q XIX형 0.2g 13.3g 3.2
R XX형 0.2g 13.3g 3.2
사용된 오가노실록산 에멀젼 유형
I형
- R1이 -OH이고, R3이 -CH3이고, X+Y가 300 내지 150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인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3.7%,
- 밀도가 20℃에서 0.95 내지 1.05g/㎤이고, 적점이 100 내지 150℃이고, 산 가가 10 내지 60이고 비누화 가가 15 내지 80인 유화성 산화 폴리에틸렌 12.5%,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 27.0 내지 29.0%
- 수분 함량 = 71.3%
II형
- R1이 -OH이고, R3이 -CH3이고, X+Y가 300 내지 150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인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4.1%
- R34, R38, R38' 및 R38"이 수소 또는 -CH2OH인 화학식 15a의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7.8%,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 23.5 내지 25.5%,
- 수분 함량 = 75%.
III형
- R1이 -OH이고, R3이 -CH2CH2CH2NH2이고, X+Y가 300 내지 1500이고, (규소에 대한) 질소 비율(%)이 0.025인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4.5%,
- 밀도가 20℃에서 0.95 내지 1.05g/㎤이고, 적점이 100 내지 150℃이고, 산 가가 10 내지 60이고, 비누화 가가 15 내지 80인 유화성 산화 폴리에틸렌 1%,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 37.0 내지 39.0%,
- 수분 함량 = 60.7%.
IV형
- R1이 -CH3이고, R3이 -CH2CH2CH2NH2이고, X+Y가 150 내지 30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07인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11%,
- 밀도가 20℃에서 0.95 내지 1.05g/㎤이고, 적점이 100 내지 150℃이고, 산 가가 10 내지 60이고, 비누화 가가 15 내지 80인 유화성 산화 폴리에틸렌 0.65%,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 27.0 내지 30.0%,
- 수분 함량 = 60.7%.
V형
- R1이 -CH3이고, R3이 -CH2CH2CH2NH2이고, X+Y가 150 내지 30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02인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2.9%,
- R34, R38, R38' 및 R38"이 수소 또는 -CH2OH인 화학식 15a의 지방산 디알칸올아미드 0.23%,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 7.0 내지 8.0%,
- 수분 함량 = 89.4%.
VI형
- R1이 -OH이고, R3이 -CH2CH2CH2N(H)(CH2CH2NH2)이고, X+Y가 300 내지 150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03인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3.6%,
- 밀도가 20℃에서 0.95 내지 1.05g/㎤이고, 적점이 100 내지 150℃이고, 산 가가 10 내지 60이고, 비누화 가가 15 내지 80인 유화성 산화 폴리에틸렌 14%,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 23.0 내지 25.0%,
- 수분 함량 = 73.7%.
VII형
R1이 -OH이고, R3이 -CH2CH2CH2N(H)(CH2CH2NH2)이고, X+Y가 300 내지 150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11인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4.3%,
- R34가 수소이고, R37이 수소 또는 화학식 -C(O)R36인 화학식 15b의 지방산 모노알칸올아미드 0.3%,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 37.0 내지 39.0%,
- 수분 함량 = 60.7%.
VIII형
- R1이 -OH이고, R3이 -CH2CH2CH2N(H)(CH2CH2NH2)이고, X+Y가 300 내지 150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11인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4.4%,
- 밀도가 20℃에서 0.95 내지 1.05g/㎤이고, 적점이 100 내지 150℃이고, 산 가가 10 내지 60이고, 비누화 가가 15 내지 80인 유화성 산화 폴리에틸렌 0.2%,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 37.0 내지 39.0%,
- 수분 함량 = 60.7%.
IX형
- R1이 -CH3이고, R3이 -CH2CH2CH2N(H)(CH2CH2NH2)이고, X+Y가 150 내지 300이고, (규소에 대한) 질소 비율(%)이 0.12인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11%,
- R34, R38, R38' 및 R38"이 수소 또는 -CH2OH인 화학식 15a의 지방산 디알칸올아미드 0.3%,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 24.0 내지 26.0%,
- 수분 함량 = 72.1%.
X형
- R1이 -CH3이고, R3이 -CH2CH2CH2N(H)(CH2CH2N(H)((CO)(CH2CH2CH2OH)))이고, X+Y가 300 내지 150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1인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9.8%,
- 밀도가 20℃에서 0.95 내지 1.05g/㎤이고, 적점이 100 내지 150℃이고, 산 가가 10 내지 60이고, 비누화 가가 15 내지 80인 유화성 산화 폴리에틸렌 0.1%,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 20.5 내지 22.5%,
- 수분 함량 = 76.9%.
XI형
- R17이 -CH3이고, R3이 -CH3이고, R19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라디칼이고, X1+Y1+S가 40 내지 15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인 화학식 8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2%,
- 밀도가 20℃에서 0.95 내지 1.05g/㎤이고, 적점이 100 내지 150℃이고, 산 가가 10 내지 60이고, 비누화 가가 15 내지 80인 유화성 산화 폴리에틸렌 0.15%,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23.0 내지 25.0%,
- 수분 함량 = 74.9%.
XII형
- R17이 -CH3이고, R3이 -CH2CH2CH2NH2이고, R19가 폴리에틸렌/프로필렌옥사이드 라디칼이고, X1+Y1+S가 150 내지 30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044인 화학식 8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2.5%,
- 밀도가 20℃에서 0.95 내지 1.05g/㎤이고, 적점이 100 내지 150℃이고, 산 가가 10 내지 60이고, 비누화 가가 15 내지 80인 유화성 산화 폴리에틸렌 2.94%,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15.5 내지 17.5%,
- 수분 함량 = 80.4%.
XIII형
- R17이 -CH3이고, R3이 -CH2CH2CH2NH2이고, R19가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라디칼이고, X1+Y1+S가 150 내지 30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07인 화학식 8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3.5%,
- R34, R38, R38' 및 R38"이 수소 또는 -CH2OH인 지방산 디알칸올아미드 1.5%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19.5 내지 21.5%,
- 수분 함량 = 73%.
XIV형
- R17이 -CH3이고, R3이 -CH2CH2CH2N(H)((CH2CH2N(H)(COCH3))이고, R19가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라디칼이고, X1+Y1+S가 150 내지 30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015인 화학식 8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7%,
- 밀도가 20℃에서 0.95 내지 1.05g/㎤이고, 적점이 100 내지 150℃이고, 산 가가 10 내지 60이고, 비누화 가가 15 내지 80인 유화성 산화 폴리에틸렌 9.2%,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18 내지 20%,
- 수분 함량 = 77%.
XV형
- R26이 C12알킬이고, R27이 2-페닐프로필이고, R28이 화학식 10의 에폭시 라디칼이고, X2+X3+X4+Y2가 40 내지 15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인 화학식 9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2.9%,
- 밀도가 20℃에서 0.95 내지 1.05g/㎤이고, 적점이 100 내지 150℃이고, 산 가가 10 내지 60이고, 비누화 가가 15 내지 80인 유화성 산화 폴리에틸렌 0.85%,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37.0 내지 39.0%,
- 수분 함량 = 62%.
XVI형
- R1이 -CH3이고, R3이 C18알콕시이고, X+Y가 40 내지 15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인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3.2%,
- 밀도가 20℃에서 0.95 내지 1.05g/㎤이고, 적점이 100 내지 150℃이고, 산 가가 10 내지 60이고, 비누화 가가 15 내지 80인 유화성 산화 폴리에틸렌 1.5%,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34.0 내지 35.5%,
- 수분 함량 = 61.4%
XVII형
- R17이 -CH3이고, R3이 -CH3이고, R19가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라디칼이고, X1+Y1+S가 150 내지 30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인 화학식 8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3%,
- 밀도가 20℃에서 0.95 내지 1.05g/㎤이고, 적점이 100 내지 150℃이고, 산 가가 10 내지 60이고, 비누화 가가 15 내지 80인 유화성 산화 폴리에틸렌 0.15%,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30 내지 32%,
- 수분 함량 = 63.9%.
XVIII형
- j가 300이고, (규소에 대한)질소 비율(%)이 0.04 내지 0.06인 화학식 11의 폴리오가노실록산,
- 유화제 9%.
- 120℃에서 증발시켜 측정된 에멀젼의 고형분 21 내지 23%,
- 수분 함량 = 73%.
XIX형
에멀젼 XVII형 1부와 에멀젼 XVIII형 2부와의 혼합물.
XX형
에멀젼 XVII형 1부와 에멀젼 XVIII형 1부와의 혼합물.
실시예 2(내마모성(면))
배합한 린스 컨디셔너(표 1 참조)를 다음 공정에 따라 적용한다:
크기가 50㎝×40㎝인 면직물 천 조각을 밸러스트 물질(면 및 면/폴리에스테르)과 함께 세탁 온도를 40℃로 유지시킨 AEG 오에코 라바매트(Oeko Lavamat) 73729 세탁기 속에서 세탁한다. 직물 총 하중 1kg을 ECE 변색 방지 시험 세제 77(ISO 105-C06에 따르는 배합물(1977.1)) 33g을 사용하여 15분 동안 세탁한다. 표 1에 기재된 린스 컨디셔너 배합물을 20℃에서 마지막 린스 사이클에서 적용한다. 배합물로 린싱한 후, 텍스타일 천 조각을 주위 온도에서 빨래줄에 건조시킨다.
내마모성 평가
내마모성 시험 및 평가를 마틴데일법(Martindale method)의 포인트 3(SN 198529, 1990)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행한다. 섬유가 허용할 수 있는 회전수가 클수록, 섬유의 내마모성은 커진다.
다음 결과(섬유가 끊어질 때까지 측정됨)가 관측되었다:
린스 컨디셔너 배합물 회전수
참조 8075
A 9700
B 9500
C 9850
D 8650
E 9825
F 12300
G 11175
H 10500
I 9175
J 8550
K 9125
L 8670
M 11075
N 9675
O 9833
P 9750
Q 9925
R 10075
이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텍스타일 직물 재료를 처리하면 텍스타일의 내마모성을 현저히 개선시킴을 나타낸다.
실시예 3(내마모성(폴리에스테르/면))
배합된 린스 컨디셔너(표 1 참조)를 다음 공정에 따라 적용한다:
크기가 50㎝×40㎝인 면/폴리에스테르 직물 천 조각을 실시예 2에 기재된 공정에 따라 세탁하고 린싱한다.
내마모성의 평가
내마모성의 시험 및 평가를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한다.
다음 결과(섬유가 끊어질 때까지 평가됨)가 관측되었다:
린스 컨디셔너 배합물 회전수
참조 6675
A 8000
B 7750
C 8500
D 8750
E 7400
F 8000
G 7750
H 7500
I 8175
J 7800
K 7325
L 8670
M 8150
N 7650
O 7000
P 8300
Q 7400
R 7575
당해 결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텍스타일 직물 재료를 처리하면 텍스타일의 내마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위의 실시예에서는 다음 직물이 사용되었다:
면직물: 120g/㎡, 표백됨, 수지가공:
면/폴리에스테르 66/34 직물: 85g/㎡, 표백됨.
두 텍스타일 모두를 오에코텍스 스탠더드(Oekotex Standard) 100에 따르는 수지로 가공한다:
개질된 디메틸올디하이드록시에틸렌 우레아 30g/ℓ(활성 물질 70%)
염화마그네슘(6H2O 포함) 9g/ℓ
약 80%의 픽-업으로 패딩함
약 110 내지 120℃의 오븐 속에서 건조시킨 후, 145℃에서 4분 동안 경화시킴

Claims (20)

  1. 직물 유연제(A),
    폴리에틸렌 또는 이의 혼합물(a),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또는 이의 혼합물(b), 폴리실릭산 또는 이의 혼합물(c) 및 폴리우레탄 또는 이의 혼합물(d)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B) 및
    화학식 1의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학식 5의 단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학식 8의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학식 9의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C)을 포함하는 유연제 조성물을 가정에서 적용시 텍스타일 섬유 재료의 내마모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화학식 1
    화학식 5
    화학식 8
    화학식 9
    위의 화학식 1, 5, 8 및 9에서,
    R1은 OH, OR2(여기서, R2는 CH3또는 CH2CH3이다) 또는 CH3이고,
    R3은 C1-C20알콕시, CH3, CH2CHR4CH2NHR5, CH2CHR4CH2N(COCH3)R5(여기서, R4는 H 또는 CH3이고, R5는 H, CH2CH2NHR6, C(=O)-R7또는 (CH2)z-CH3이고, z는 0 내지 7이고, R6은 H 또는 C(=O)-R7이고, R7은 CH3, CH2CH3또는 CH2CH2CH2OH이다), 화학식 2, 화학식 3 또는 화학식 4의 화합물이고,
    X와 Y의 합은 40 내지 4000이고,
    R9는 CH3, CH3CH2또는 페닐이고,
    R10은 -O-Si 또는 -O-R9이고,
    v와 w의 합은 3이고, v는 3이 아니고,
    A는 -CH2CH(R11)(CH2)k(여기서, R11은 H 또는 CH3이고 k는 0 내지 6이다)이고,
    B는 -NR12((CH2)l-NH)mR12(여기서, l은 2 내지 8이고, m은 0 내지 3이고, R12는 H, C(=O)-R16, CH2(CH2)pCH3또는 화학식 7의 화합물이고, p는 0 내지 6이고, R16은 CH3, CH2CH3또는 (CH2)qOH이고, q는 1 내지 6이다) 또는 화학식 6의 화합물이고,
    R17은 OH, OR18(여기서, R18은 CH3또는 CH2CH3이다) 또는 CH3이고,
    R19는 R20-(EO)m-(PO)n-R21[여기서, m은 3 내지 25이고, n은 0 내지 10이고, R20은 직접 결합 또는 CH2CH(R22)(CH2)pR23이고, p는 1 내지 4이고, R21은 H, R24, CH2CH(R22)NH2또는 CH(R22)CH2NH2이고, R22는 H 또는 CH3이고, R23은 O 또는 NH이고, R24는 직쇄 또는 측쇄 C1-C8알킬 또는 Si(R25)3이고, R25는 R24, OCH3또는 OCH2CH3이고, EO는 -CH2CH2O-이고, PO는 -CH(CH3)CH2O- 또는 -CH2CH(CH3)O-이다]이고,
    X1, Y1및 S의 합은 20 내지 1500이고,
    R26은 직쇄 또는 측쇄 C1-C20알콕시 또는 CH2CH(R4)R29(여기서, R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R29는 직쇄 또는 측쇄 C1-C20알킬이다)이고,
    R27은 아릴, 직쇄 또는 측쇄 C1-C10알킬에 의해 치환된 아릴, 아릴에 의해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 C1-C20알킬, 또는 직쇄 또는 측쇄 C1-C10알킬에 의해 치환된 아릴이고,
    R28은 화학식 10의 화합물이고,
    X2, X3, X4및 Y2의 합은 20 내지 1500이고, X3, X4및 Y2는 서로 독립적으로 0일 수 있다.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
    화학식 6
    화학식 7
    화학식 10
    위의 화학식 2 내지 4, 6, 7 및 10에서,
    R8은 H 또는 CH3이고,
    n은 0 또는 1이고,
    U1은, n이 0인 경우, N이고, n이 1인 경우, CH이고,
    R13은 NH, O, OCH2CH(OH)CH2N(부틸) 또는 OOCN(부틸)이고,
    R14는 H, 직쇄 또는 측쇄 C1-C4알킬, 페닐, 또는 CH2CH(OH)CH3이고,
    R15는 H, 또는 직쇄 또는 측쇄 C1-C4알킬이고,
    U2는 N 또는 CH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오가노실록산이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학식 5의 단위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학식 8의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 또는 화학식 9의 분산된 폴리오가노실록산인 방법.
    화학식 1
    화학식 5
    화학식 8
    화학식 9
    위의 화학식 1, 5, 8 및 9에서,
    R1은 OH, OR2(여기서, R2는 CH3또는 CH2CH3이다) 또는 CH3이고,
    R3은 C1-C20알콕시, CH3, CH2CHR4CH2NHR5(여기서, R4는 H 또는 CH3이고, R5는 H, CH2CH2NHR6, 또는 C(=O)-R7이고, R6은 H 또는 C(=O)-R7이고, R7은 CH3, CH2CH3또는 CH2CH2CH2OH이다),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의 화합물이고,
    X와 Y의 합은 40 내지 1500이고,
    R9는 CH3또는 CH3CH2이고,
    R10은 -O-Si 또는 -O-R9이고,
    v와 w의 합은 3이고, v는 3이 아니고,
    A는 -CH2CH(R11)(CH2)k(여기서, R11은 H 또는 CH3이고, k는 0 내지 6이다)이고,
    B는 화학식 6의 화합물이고,
    R17은 OH, OR18(여기서, R18은 CH3또는 CH2CH3이다) 또는 CH3이고,
    R19는 R20-(EO)m-(PO)n-R21[여기서, m은 3 내지 25이고, n은 0 내지 10이고, R20은 직접 결합 또는 CH2CH(R22)(CH2)pR23이고, p는 1 내지 4이고, R21은 H, R24, CH2CH(R22)NH2또는 CH(R22)CH2NH2이고, R22는 H 또는 CH3이고, R23은 O 또는 NH이고, R24는 직쇄 또는 측쇄 C1-C8알킬 또는 Si(R25)3이고, R25는 R24, OCH3또는 OCH2CH3이고, EO는 -CH2CH2O-이고, PO는 -CH(CH3)CH2O- 또는 -CH2CH(CH3)O-이다]이고,
    X1, Y1및 S의 합은 40 내지 1500이고,
    R26은 직쇄 C1-C20알콕시이고,
    R27은 CH2CH(R4)페닐(여기서, R4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이고,
    R28은 화학식 10의 화합물이고,
    R29는 직쇄 C1-C20알킬이고,
    X2, X3, X4및 Y2의 합은 40 내지 1500이고, X3, X4및 Y2는 서로 독립적으로 0일 수 있다.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6
    화학식 10
    위의 화학식 2, 3, 6 및 10에서,
    R8은 H 또는 CH3이고,
    n은 1이고,
    U1은 CH이고,
    R13은 OOCN(부틸)이고,
    R14는 H, 직쇄 C1-C4알킬 또는 페닐이고,
    R15는 H 또는 직쇄 C1-C4알킬이고,
    U2는 N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이 OH 또는 CH3이고, R3이 CH3, C10-C20알콕시 또는 CH2CHR4CH2NHR5이고, R4가 H이고, R5가 H 또는 CH2CH2NHR6이고, R6이 H 또는 C(=O)-R7이며, R7이 CH3, CH2CH3또는 특히 CH2CH2CH2OH인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이 사용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3이 CH3, C10-C20알콕시 또는 CH2CHR4CH2NHR5이고, R4가 H이고, R5가 H 또는 CH2CH2NHR6이고, R6이 H 또는 C(=O)-R7이고, R7이 CH2CH3, CH2CH2CH2OH 또는 특히 CH3이며, R17이 CH3또는 OH인 화학식 8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이 사용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26이 CH2CH(R4)R29이고, R4가 H이며, R27이 2-페닐 프로필인 화학식 9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이 사용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액상 수성 조성물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텀블 건조기 시트 조성물에 사용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오가노실록산이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고형분이 120℃의 온도에서 5 내지 70%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수분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5 내지 90중량%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pH가 2 내지 7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오가노실록산에 기인한 수성 에멀젼의 질소 함량이 규소 함량에 대하여 0 내지 0.25%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폴리에틸렌,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또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폴리에틸렌 또는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지방산 알칸올아미드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예비배합된 직물 유연제를 폴리오가노실록산과 첨가제를 포함하는 에멀젼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되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외관이 투명한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폴리오가노실록산 또는 이의 혼합물(a) 0.01 내지 70중량%,
    유화제 또는 이의 혼합물(b) 0.2 내지 25중량%,
    폴리에틸렌,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폴리실릭산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c) 0.01 내지 15중량% 및
    100%로 만드는 양의 물(d)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1항에서 정의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텀블 건조기 시트.
KR1020027004398A 1999-10-05 2000-09-26 직물 유연제 조성물 Ceased KR200200356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810902.9 1999-10-05
EP99810902 1999-10-05
PCT/EP2000/009393 WO2001025380A1 (en) 1999-10-05 2000-09-26 Fabric softener composi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5651A true KR20020035651A (ko) 2002-05-13

Family

ID=824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398A Ceased KR20020035651A (ko) 1999-10-05 2000-09-26 직물 유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6800602B1 (ko)
EP (1) EP1218479B1 (ko)
JP (1) JP2003511572A (ko)
KR (1) KR20020035651A (ko)
CN (1) CN1377401A (ko)
AT (1) ATE307185T1 (ko)
AU (1) AU7783000A (ko)
BR (1) BR0014502A (ko)
CA (1) CA2385831A1 (ko)
DE (1) DE60023328T2 (ko)
ES (1) ES2250194T3 (ko)
IL (1) IL148760A0 (ko)
MX (1) MXPA02003207A (ko)
WO (1) WO2001025380A1 (ko)
ZA (1) ZA2002026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1612A1 (en) * 2001-04-03 2002-10-17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Fabric softene compositions
DE10141356A1 (de) 2001-08-23 2003-03-06 Goldschmidt Ag Th UV-Licht absorbierende quartäre Polysiloxane
FR2831548B1 (fr) * 2001-10-31 2004-01-30 Rhodia Chimie Sa Composition silicone adhesive reticulable comprenant comme agent thixotropant un compose a fonction amine cyclique portee par une chaine siloxanique
GB0208696D0 (en) * 2002-04-16 2002-05-29 Unilever Plc Fabric treatment composition
GB0209135D0 (en) * 2002-04-22 2002-05-29 Procter & Gamble Fiber treatment composition
GB0209136D0 (en) * 2002-04-22 2002-05-29 Procter & Gamble Durable hair treatment composition
GB0209485D0 (en) 2002-04-25 2002-06-05 Procter & Gamble Durable fiber treatment composition
AU2003292564A1 (en) 2002-12-27 2004-07-29 Lion Corporation Liquid softener composition
EP1591102A1 (en) * 2004-04-30 2005-1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and kit-of-parts for improved hair conditioning after coloring, bleaching or perming
DE102005004706A1 (de) 2005-02-02 2006-08-10 Goldschmidt Gmbh UV-Licht absorbierende quaternäre Polysiloxane
MX2008000190A (es) * 2005-06-24 2008-03-26 Ciba Sc Holding Ag Composiciones que contienen un poliorganisiloxano, que tiene una o mas funciones de piperidinilo, como un medio protector de superficies.
US7820563B2 (en) 2006-10-23 2010-10-26 Hawaii Nanosciences,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mparting oil repellency and/or water repellency
US8361953B2 (en) * 2008-02-08 2013-01-29 Evonik Goldschmidt Corporation Rinse aid compositions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PL2291452T3 (pl) 2008-05-30 2018-07-31 Whitford Corporation Mieszane kompozycje fluoropolimerowe
CN102216384B (zh) 2008-09-26 2014-07-16 华福涂料公司 共混含氟聚合物组合物及用于柔性基材的涂料
TW201016800A (en) 2008-09-26 2010-05-01 Whitford Corp Blended fluoropolymer coatings for rigid substrates
WO2011075351A1 (en) 2009-12-18 2011-06-23 Whitford Corporation Blended fluoropolymer compositions having multiple melt processible fluoropolymers
PH12012501575A1 (en) 2010-04-01 2012-10-22 Evonik Operations Gmbh Fabric softener active composition
RU2524954C2 (ru) 2010-04-01 2014-08-10 Эвоник Дегусса Гмбх Активная композиция мягчителя ткани
BR112012026419B1 (pt) 2010-04-15 2020-05-26 Whitford Corporation Composições de revestimento de fluorpolímero e método de revestimento de um substrato
EP2563889B1 (de) 2010-04-28 2017-03-15 Evonik Degussa GmbH Textilweichmachende zusammensetzung
US8507425B2 (en) 2010-06-29 2013-08-13 Evonik Degussa Gmbh Particulate fabric softener comprising ethylenediamine fatty acid amides and method of making
WO2013113453A1 (en) 2012-01-30 2013-08-08 Evonik Industries Ag Fabric softener active composition
DK2847307T3 (en) 2012-05-07 2016-07-25 Evonik Degussa Gmbh ACTIVE SOFT COMPOSITION FOR TEXTILES AND PROCEDURES FOR MANUFACTURING THEREOF
BR102014025172B1 (pt) 2013-11-05 2020-03-03 Evonik Degussa Gmbh Método para fabricação de um éster de ácido graxo de metisulfato de tris-(2-hidroxietil)-metilamônio, e composição ativa de amaciante de roupa
UA119182C2 (uk) 2014-10-08 2019-05-10 Евонік Дегусса Гмбх Активна композиція для пом'якшувача тканини
CN109056337A (zh) * 2018-06-06 2018-12-21 苏州印丝特纺织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亚麻织物的柔软剂及其制备方法
US11028345B2 (en) 2018-11-27 2021-06-08 Ava Stern Organic hemp dryer sheet
EP4190968B1 (en) * 2021-12-06 2025-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a dryer sheet to reduce airborne fibres release from a drye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7501A (en) 1978-04-13 1979-09-11 Dow Corning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a textile-treating composition and resin-silicone compositions therefor
DE2922376C2 (de) 1979-06-01 1983-12-08 Chemische Fabrik Pfersee Gmbh, 8900 Augsburg Verfahren und Mittel zum Weichmachen von Textilmaterial
GR77641B (ko) * 1981-09-25 1984-09-25 Procter & Gamble
DE3329191A1 (de) * 1983-08-12 1985-02-21 Henkel Kgaa Textilwaschmittel-additiv
US4793943A (en) * 1983-12-22 1988-12-27 Albright & Wilson Limited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GB8401875D0 (en) 1984-01-25 1984-02-29 Procter & Gamble Liquid detergent compositions
CA1261276A (en) * 1984-11-09 1989-09-26 Mark B. Grote Shampoo compositions
US4767646A (en) 1985-10-24 1988-08-30 Allied Corporation Wet abrasion resistant yarn and cordage
GB8904749D0 (en) 1989-03-02 1989-04-12 Unilever Plc Fabric softening composition
US5062973A (en) * 1989-04-04 1991-11-05 Creative Products Resource Associates, Ltd. Stearate-based dryer-added fabric modifier sheet
CA2015736A1 (en) 1989-05-11 1990-11-11 Diane G. Schmidt Perfume particles for use in cleaning and conditioning compositions
AU641014B2 (en) 1990-06-01 1993-09-09 Unilever Plc Liquid fabric conditioner and dryer sheet fabric conditioner containing compatible silicones
GB2281316A (en) 1993-08-24 1995-03-01 Sasol Chemical Ind Fabric treatment composition
US5830843A (en) 1996-01-31 1998-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abric care compositions including dispersible polyolefin and method for using same
GB9615613D0 (en) * 1996-07-25 1996-09-04 Unilever Plc Fabric treatment composition
EP0896998A1 (en) * 1997-08-14 1999-02-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a saccharide gum degrading enzyme
EP0919608A1 (en) 1997-11-25 1999-06-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a polyhydroxyfatty acid amide compound as a softening comp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014502A (pt) 2002-06-11
AU7783000A (en) 2001-05-10
CA2385831A1 (en) 2001-04-12
ZA200202677B (en) 2003-07-30
MXPA02003207A (es) 2002-09-30
CN1377401A (zh) 2002-10-30
DE60023328T2 (de) 2006-05-11
EP1218479B1 (en) 2005-10-19
US20050032671A1 (en) 2005-02-10
DE60023328D1 (de) 2006-03-02
ES2250194T3 (es) 2006-04-16
US6956020B2 (en) 2005-10-18
ATE307185T1 (de) 2005-11-15
IL148760A0 (en) 2002-09-12
WO2001025380A1 (en) 2001-04-12
EP1218479A1 (en) 2002-07-03
JP2003511572A (ja) 2003-03-25
US6800602B1 (en) 2004-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5651A (ko) 직물 유연제 조성물
US6825163B1 (en) Fabric softener compositions
KR950007824B1 (ko) 상용성 실리콘을 함유하는 복합 입자, 직물 콘디셔닝 조성물, 직물 콘디셔닝 제품 및 그의 사용 방법
JP2818633B2 (ja) 繊維製品柔軟剤、アミノシリコーン、ブレンステッド酸混和剤を含有する液体繊維製品コンディショナーおよび乾燥機用シート状繊維製品コンディショナー
US6815412B1 (en) Fabric softener compositions
US6831055B1 (en) Fabric softener compositions
US6949503B2 (en) Fabric softener compositions
WO2001025384A1 (en) Fabric softener compositions
WO2001025382A1 (en) Fabric softener compositions
WO2002081612A1 (en) Fabric softene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4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9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5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609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