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34854A - 절수형 세면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세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854A
KR20020034854A KR1020010050759A KR20010050759A KR20020034854A KR 20020034854 A KR20020034854 A KR 20020034854A KR 1020010050759 A KR1020010050759 A KR 1020010050759A KR 20010050759 A KR20010050759 A KR 20010050759A KR 20020034854 A KR20020034854 A KR 20020034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washing
storing
washbow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완
Original Assignee
신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완 filed Critical 신재완
Priority to KR1020010050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4854A/ko
Publication of KR2002003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85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세면기에서 사용한 사용수 중에서 비교적 깨끗한 물을 간간한 방법에 의해 세정작업을 거쳐 깨끗한 물로 만든 후 저장탱크에 저장하였다가 변기의 세척수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서 물을 절수 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수를 이용하더라도 변기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세면기에 있어서,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세면기 본체; 상기 세면기 본체에서 사용된 사용수의 오염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하수구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밸브와, 그 밸브의 조작에 의해 오염도가 낮은 사용수를 세정하도록 하기 위한 세정통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수세정부; 및 상기 세정부에서 세정된 사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상기 세정통과 저장탱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정통의 사용수가 저장탱크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도관과, 상기 제1 도관을 통해 사용수가 이동되도록 하는 펌프로 이루어지는 사용수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세면기이다.

Description

절수형 세면기{A economize water style washbowl}
본 발명은 절수형 세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기에서 사용한 사용수 중에서 비교적 깨끗하게 사용된 사용수를 변기의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물을 절수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면기에서 손을 씻거나 세수 등을 하여 사용한 사용수는 대체로 그 오염도가 낮아 재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화분에 물을 주거나, 걸레를 빨거나, 양변기의 오물을 제거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세면기는 일단 한번 사용한 물은 모두 하수구로 배수되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가 재사용 하고자 하여도 재사용이 곤란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환경오염과 함께 수질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멀지 않은 미래에는 심각한 식수부족 사태가 일어날 것이라는 등의 수자원에 관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세면기에서 사용한 물은 재사용 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어 경제적인 손실과 함께 수자원 낭비의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편, 근래에는 세면기의 물을 변기로 유입시켜서 세면기에서 사용한 사용수를 이용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세면기에서 사용된 물이 전부 변기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수의 오염도에 따라 세척수로 사용이 불가능한 것도 그대로 사용됨으로 해서 변기의 막힘 현상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세면기에서 사용한 사용수 중에서 비교적 깨끗한 물을 간간한 방법에 의해 세정작업을 거쳐 깨끗한 물로 만든 후 저장탱크에 저장하였다가 변기의 세척수로 이용하도록 함으로서 물을 절수 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수를 이용하더라도 변기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절수형 세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면기에 있어서,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세면기 본체; 상기 세면기 본체에서 사용된 사용수의 오염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하수구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밸브와, 그 밸브의 조작에 의해 오염도가 낮은 사용수를 세정하도록 하기 위한 세정통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수세정부; 및 상기 세정부에서 세정된 사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상기 세정통과 저장탱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정통의 사용수가 저장탱크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도관과, 상기 제1 도관을 통해 사용수가 이동되도록 하는 펌프로 이루어지는 사용수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세면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세면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세면기12 - 세정통
14 - 밸브16 - 펌프
18 - 제1 도관20 - 저장탱크
22 - 투시창24 - 제2 도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세면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면기 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세면기 본체(10)는 간단하게 손이나 얼굴 등을 씻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세면기 본체(10)의 하부로는 상기 사용된 물이 배수되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수세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사용수세정부는 상기 세면기 본체(10)에서 사용되어 배수되는 사용수를 그 오염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세정통(12)이 상기 세면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 세정통(12)에는 사용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저장하여 세정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사용수를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밸브(14)가 상기 세정통(1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14)를 통해 세정통(12)의 물이 하수구로 배수되거나, 또는 세정통(12)에 임시적으로 저장된다.
이와 같이 사용수를 세정통(12)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상기 밸브(14)를 닫게되면 사용수는 그대로 세정통(12)에 임시적으로 저장되며, 상기 밸브(14)를 개방하면 사용수는 하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것으로, 상기 밸브(14)의 조작은 세면기 본체(10)에서 사용된 사용수의 오염도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오염도가 낮은 사용수를 세정통(12)에 저장한 다음에는 상기 세정통(12)에 소포제를 넣어 사용수를 완전히 깨끗한 물로 세정한다. 이 소포제에 의해 사용수가 세정되는 과정, 즉 소포제의 성분 및 작용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어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수저장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사용수저장부에는 저장탱크(20)가 구비된다. 이 저장탱크(20)는 사용수세정부에서 세정된 사용수가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저장탱크(20)와 상기 세정통(12)은 제1 도관(18)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도관(18)은 세정통(12)에서 세정된 사용수가 저장탱크(20)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세정통(12)이 설치된 측에는 펌프(16)가 설치된다. 이 펌프(16)는 상기 세정통(12)에서 상기 저장탱크(20)로 사용수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저장탱크(20)는 필요에 따라 그 갯수를 두 개 이상으로 하여 설치 사용하여도 되는 것으로, 이는 저장탱크(20)에 저장되는 물의 용량을 늘리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20)에는 투시창(22)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투시창(22)은 상기 저장탱크(20)에 저장된 물의 양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저장탱크(20)로 물이 너무 많이 유입되어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저장된 물은 변기(26)의 세척수로 이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저장탱크(20)에는 물을 변기(26)로 유입하기 위한 제2 도관(2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도관(24)을 통해 저장탱크(20)에 저장된 물을 변기(26)로 유입되도록 하여 세척수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세척수는 변기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세면기에 의하면, 세면기에서 사용한 사용수 중에서 비교적 깨끗한 물을 선택적으로 저장하여 세정한 후, 저장탱크에 저장하였다가 변기의 세척수로 이용함으로서 물을 절수 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수를 이용하더라도 변기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세면기에 있어서,
    손이나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세면기 본체;
    상기 세면기 본체에서 사용된 사용수의 오염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하수구를 통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밸브와, 그 밸브의 조작에 의해 오염도가 낮은 사용수를 세정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저장하도록 하는 세정통으로 이루어지는 사용수세정부; 및
    상기 세정부에서 세정된 사용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와, 상기 세정통과 저장탱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세정통의 사용수가 저장탱크로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도관과, 상기 제1 도관을 통해 사용수가 이동되도록 하는 펌프로 이루어지는 사용수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세면기.
KR1020010050759A 2001-08-22 2001-08-22 절수형 세면기 Ceased KR20020034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759A KR20020034854A (ko) 2001-08-22 2001-08-22 절수형 세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759A KR20020034854A (ko) 2001-08-22 2001-08-22 절수형 세면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659U Division KR200229543Y1 (ko) 2000-11-02 2000-11-02 절수형 세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854A true KR20020034854A (ko) 2002-05-09

Family

ID=1971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759A Ceased KR20020034854A (ko) 2001-08-22 2001-08-22 절수형 세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48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71B1 (ko) * 2007-12-22 2008-04-08 (주)깨끗한세상 간이 화장실용 오물배출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7766A (en) * 1992-01-14 1994-06-07 John R. McDonald Gray water recycle system
KR980003160U (ko) * 1996-06-22 1998-03-30 이용국 절수 장치
KR20000008949U (ko) * 1998-10-29 2000-05-25 이강범 오수 재활용 장치
KR20000037450A (ko) * 2000-04-25 2000-07-05 김정근 폐수를 이용한 변기 세척수 공급장치
KR200188217Y1 (ko) * 2000-01-29 2000-07-15 주식회사성림정공 오·폐수 재활용 장치
KR200191217Y1 (ko) * 2000-02-25 2000-08-16 백승석 수돗물 사용수를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절수장치
KR200196227Y1 (ko) * 2000-04-08 2000-09-15 김영근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10018368A (ko) * 1999-08-19 2001-03-05 고진석 재활용을 위한 오수분리 수거장치
KR20010087077A (ko) * 2000-03-06 2001-09-15 심창섭 세면대의 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7766A (en) * 1992-01-14 1994-06-07 John R. McDonald Gray water recycle system
KR980003160U (ko) * 1996-06-22 1998-03-30 이용국 절수 장치
KR20000008949U (ko) * 1998-10-29 2000-05-25 이강범 오수 재활용 장치
KR20010018368A (ko) * 1999-08-19 2001-03-05 고진석 재활용을 위한 오수분리 수거장치
KR200188217Y1 (ko) * 2000-01-29 2000-07-15 주식회사성림정공 오·폐수 재활용 장치
KR200191217Y1 (ko) * 2000-02-25 2000-08-16 백승석 수돗물 사용수를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절수장치
KR20010087077A (ko) * 2000-03-06 2001-09-15 심창섭 세면대의 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196227Y1 (ko) * 2000-04-08 2000-09-15 김영근 양변기의 절수장치
KR20000037450A (ko) * 2000-04-25 2000-07-05 김정근 폐수를 이용한 변기 세척수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71B1 (ko) * 2007-12-22 2008-04-08 (주)깨끗한세상 간이 화장실용 오물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9543Y1 (ko) 절수형 세면기
CN212053018U (zh) 一种公共场所用节能洗手台
KR20020034854A (ko) 절수형 세면기
KR20090055389A (ko) 좌변기
KR100673818B1 (ko) 세면수 정화식 절수형 양변기
CN208202030U (zh) 一种卫浴用洗脸池
KR200172008Y1 (ko) 생활용수의 재활용장치
KR20020063077A (ko) 세척물의 재사용이 가능한 절수용 씽크대
KR20130064895A (ko) 폐수 재활용 시스템
KR20000067775A (ko) 생활용수의 재활용장치
KR200266218Y1 (ko) 수세식 변기의 절수장치
KR101128979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276647Y1 (ko) 싱크대용 절수통
KR200345019Y1 (ko) 악취차단 기능을 갖는 세면기용 배수전
KR200247255Y1 (ko) 세면기의 허드렛물을 세척수로 사용하는 양변기
CN208578112U (zh) 一种节水减排水柜
JPH09296493A (ja) 真空排水システム
KR200165276Y1 (ko) 절수용 세면기
KR100218648B1 (ko) 수세식 변기
CN205530485U (zh) 一种家用废水冲洗坐便节能型补水水箱
KR200321051Y1 (ko) 보조세척장치가 구비된 수도꼭지
JPH09296494A (ja) 中水システム
KR200265917Y1 (ko) 오수 재활용 싱크대
KR200405453Y1 (ko) 세면수 정화식 절수형 양변기
KR200328239Y1 (ko) 걸레 세탁용 급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8 Dual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10822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4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1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