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308Y1 - Digital control lighting using touch wall switch - Google Patents

Digital control lighting using touch wall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08Y1
KR200200308Y1 KR2020000009294U KR20000009294U KR200200308Y1 KR 200200308 Y1 KR200200308 Y1 KR 200200308Y1 KR 2020000009294 U KR2020000009294 U KR 2020000009294U KR 20000009294 U KR20000009294 U KR 20000009294U KR 200200308 Y1 KR200200308 Y1 KR 200200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c
lamp
terminal
control
circuit b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29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진국
Original Assignee
하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9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0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0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8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05B37/02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회로블럭 [2O1]과 신호검출 회로블럭 [202], 램프제어 및 구동회로블럭 [203]으로 구성되는 터치식 벽스위치를 사용하는 디지탈제어조명등 [200]에 관한 것으로서, 램프제어 및 구동회로블럭 [203]의 제어용 마이콤 [U2]에 상용 교류전원의 위상인식용 입력단자 [I1]와 램프구동용 트라이액 [Triac]의 T1단자 전압파형 인식용 입력단자 [I2], 터치식 벽스위치 [100]의 스위치 제어상태 인식용 입력단자 [I3], 원격제어 신호입력단자 [I4]와 제 1 출력단자 [O1]및 제 2 출력단자 [O2]를 두어 구성하고 상기 램프제어 및 구동회로블럭 [203]의 램프구동용 프라이액 [Triac]의 T1단자와 게이트단자 사이에는 제너다이오드 [ZD]와 다이오드 [D8]를 직렬로 연결하고 상기 램프구동용 트라이액 [Triac]의 게이트 [G]에 분기를 두어 한 분기는 저항 [R7]과 트란지스터 [TR]및 또 다른 저항 [R6]을 통하여 상기 제어용 마이콤 [U2]의 제 1 출력단자 [O1]에 연결하여 구성하고 다른 한 분기는 다이오드 [D7]와 저항 [R5]을 통하여 상기 제어용 마이콤 [U2]의 제 2 출력단자 [O2]에 연결하여 구성해서 상기램프 구동용 트라이액 [Triac]의 T1단자 전압이 접지전압 [VEE]보다 낮을 때에는 상기 제 2 출력단자 [O2]에 펄스를 출력하여 상기 트라이액 [Triac]의 게이트[G]에 상기 T1단자 대비 양의 펄스 [Positive Pulse]가 가해지도록 해서 트라이액 [Triac]을 온[ON]시키고, 상기 T1단자 전압이 접지전압 [VEE]보다 높을 때에는 상기 마이콤 [U2]의 제 1 출력단자 [O1]에 펄스를 출력해서 상기 트라이액 의 게이트 [G]에 상기 T1단자 대비 음의 펄스 [Negative Pulse]가 가해지도록 해서 트라이액을 온[ON]시킴으로써 상기 마이콤 [U2]이 상기 램프구동용 트라이액 [Triac]의 온 [ON] 타임 [Time]을 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스위치기 [100]의 스위치 [SW]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제어용 마이콤 [U2]이 상기 디지탈제어조명등의 온[ON]. 오프[OFF]와 밝기를 임의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조명등을 온[ON]시킬 때에는 일정시간을 두고 점점 밝아 지면서 온[ON] 되도록하고, 조명등을 오프 [OFF]시킬 때에는 일정시간을 두고 점점 어두어 지면서 오프 [OFF]되도록 해서 조명등의 램프 수명을 연장하고 소등후 잠자리로 이동시 갑자기 어두워지는 불편함을 제거하여 조명등의 가치상승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control lighting lamp [200] using a touch type wall switch composed of a power circuit block [2O1], a signal detection circuit block [202], a lamp control and a drive circuit block [203]. driving circuit block [203] of the control microcomputer [U 2] commercial AC phase recognition input terminal of the power source to a [I 1] and the lamp driving triac [Triac; of T 1 terminal voltage waveform recognition input terminal for [I 2] The input terminal [I 3 ], the remote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 [I 4 ], the first output terminal [O 1 ]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 2 ] for the switch control state recognition of the touch-type wall switch [100]. And a zener diode [ZD] and a diode [D 8 ]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T 1 terminal and the gate terminal of the lamp driving fryer [Triac] of the lamp control and driving circuit block [203]. Branched at gate [G] of Triac [Triac] so that one branch is resistor [R 7 ] and transistor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 1 ] of the control microcomputer [U 2 ] via the terminal [TR] and another resistor [R 6 ], and the other branch is composed of the diode [D 7 ] and the resistor [R 5 ].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 2 ] of the control microcomputer [U 2 ] through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T 1 terminal voltage of the lamp driving triac [Triac] is lower than the ground voltage [V EE ]. output [O 2] and outputs a pulse to the triac [Triac] gate [G] is the pulse [positive pulse] both the T 1 terminal compared to so applied to the triac [Triac] the turns on [oN] of And when the T 1 terminal voltage is higher than the ground voltage [V EE ], outputs a pulse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 1 ] of the microcomputer [U 2 ], and compares the T 1 terminal to the gate [G] of the triac. The microcomputer [U 2 ] switches the lamp by turning on the triac by applying a negative pulse [Negative Pulse]. The on-time [Time] of the driving triac [Triac] can be arbitrarily adjusted so that the control microcomputer [U 2 ] controls the digital as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SW] of the switch [100]. ON of lighting.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FF and brightness arbitrarily, and to turn on and turn on the lamp with a certain time, and to turn on and turn on the lamp while turning off the lamp. It will be turned off while being extended to extend the lamp life of the lamp and remove the inconvenience of suddenly dark when moving to bed after the lights out to provide a value increase effect of the lamp.

Description

터치식 벽스위치를 사용하는 디지탈제어조명등{.}Digital control lighting using touch wall switch {.}

본 고안은 터치식 벽스위치를 사용한 디지탈제어조명등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벽에 부착된 터치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실내 또는 실외 조명등의 밝기를 다단계 (예; 256단계)로 디지탈제어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적당한 밝기로 밝기를 낮추어 사용해서 에너지를 절감하도록 하고, 조명등을 온 [ON]시킬 때에는 약 40%의 밝기에서 100%의 밝기로 밝아지면서 켜지도록 해서 램프의 초기돌입 전류를 대폭 낮추어 램프의 수명을 연장하고 조명등을 오프 [OFF]시킬 때에는 약 40%의 밝기에서 0%의 밝기로 서서히 어두어지면서 꺼지도록 하여 소등후 잠자리로 이동시 주위가 갑자기 어두어져 안보이는 불편함을 제거한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control light using a touch type wall switch, and the user can digitally control the brightness of indoor or outdoor lighting in multiple levels (for example, 256 steps) only by operating a touch switch attached to a wall. Lower the brightness to save energy, and when you turn on the lamp [ON] to turn on the light from about 40% to 100% of the brightness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initial inrush current of the lamp to extend the life of the lamp and lighting When you turn off [OFF] is about 40% of the brightness to 0% of the brightness to turn off gradually to go out to sleep after going out of the darkness suddenly dim around to remove the invisible discomfort.

종래의 조명등을 살펴보면, 실내의 조명등을 온 [ON]. 오프 [OFF]하기 위하여는 벽에 부착된 온 [ON] . 오프 [OFF] 스위치를 올리거나 내려서 온 [ON]. 오프 [OFF]시킨다. 이때 조명등에 전구가 여러 개 (3 ∼ 7 또는 그 이상 다수) 있을 때에는 복수개의 전구가 전부 켜지거나 전부 꺼지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을 위해 밝기 를 낮추고자 할 때에는 일부 전구를 돌려서 꺼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 조명등을 온 [ON]시는 전구의 돌입전류가 매우 크기 (통상 정상동작시의 10 배) 때문에 전구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조명등을 오프 [OFF]시킬 때에는 완전히 꺼져 버리기 때문에 소등후 잠자리로 이동시에는 주위가 갑자기 어두어져 안보이는 불편한 점도 있다.Looking at the conventional lighting, the indoor lighting is turned [ON]. ON to be attached to the wall to turn OFF. OFF [ON] by raising or lowering the [OFF] switch. Turn off [OFF]. At this time, when there are several light bulbs (3 to 7 or more) in the lamp, all the light bulbs are turned on or off. When you want to lower some of the bulbs to turn off the inconvenience is to turn off. In addition, when the lamp is turned on [ON], the inrush current of the bulb is very large (normally 10 times normal operation) has a disadvantage of shortening the life of the bulb. On the other hand, when the lamp is turned off [OFF] completely off, when moving to bed after the lights out, the surroundings suddenly become dark and invisibl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터치식 벽스위치의 조작만으로 조명등을 온 [ON]. 오프 [OFF]제어함은 물론 조명의 밝기도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 제고 및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도록 하고 조명등을 온 [ON] 시에는 일정시간에 걸쳐 점점 밝아지면서 켜지도록 하여 전구의 수명을 연장하고 오프 [OFF]시에는 일정시간에 걸쳐 점점 어두워지면서 꺼지도록 하여 소등후 잠자리로 이동시 주위가 갑자기 어두어져 안 보이는 불편함을 제거한 터치식 벽스위치를 사용하는 디지털제어조명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ON] to turn on the lamp only by the operation of the touch-type wall switch. In addition to controlling the OFF [OFF], the brightness of the light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ages, contributing to user convenience and energy saving. To extend the life and to turn off when it goes off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off [OFF] to provide digital control lighting using a touch-type wall switch that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suddenly dark when moving to bed have.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터치식 벽스위치를 사용하는 디지탈제어조명등의 회로 구성도1 is a circuit diagram of a digital control light using a touch-type wal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상용교류 입력전압 파형과 교류입력의 위상검출 파형의 중첩도.Fig. 2 is a superposition of the common AC input voltage waveform and the phase detection waveform of the AC input.

도 3 은 본 고안에 있어서의 램프구동용 트라이액의 T1에 나타나는 전압 파형도3 is a voltage waveform diagram showing T 1 of the triac for lamp driv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터치식 스위치조작에 따른 스위치상태 인식용 신호의 파형도4 is a waveform diagram of a signal for recognizing a switch state according to a touch switch operation;

도 5-(1)은 본 고안에 있어서의 램프구동용 트라이액의 게이트에 T1에 대한 양의 펄스 [Positive Pulse]를 가한 파형도Fig. 5- (1) is a waveform diagram in which a positive pulse of T 1 is applied to a gate of a lamp driving tria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2)는 본 고안에 있어서의 램프구동용 트라이액의 게이트에 T1에 대한 음의 펄스 [Negative Pulse]를 가하기 위한 파형도5- (2) is a waveform diagram for applying a negative pulse [Negative Pulse] for T 1 to the gate of the lamp driving triac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밝기를 50%로 디지탈 제어했을 때의 구동전압 파형도Fig. 6 is a waveform diagram of driving voltage when the brightness is digitally controlled at 50%.

도 7 의 (1)은 온.오프 스위치 입력을 나타내는 타이밍도7 is a timing diagram showing an on / off switch input.

(2)는 (1)의 스위치입력에 따라 온.오프시의 밝기제어를 나타내는 타이밍도(2)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brightness control at the time of on and off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 input of (1)

도 8 의 (1)은 조명등 제어를 위한 스위치입력을 나타내는 타이밍도8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a switch input for controlling a lamp.

(2)는 (1)의 제어스위치 입력에 따라 온.오프 및 밝기 제어를 나타내는 타이밍도(2) is a timing diagram showing on, off and brightness control according to the control switch input of (1)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code about main part of drawing>

AC IN ; 교류상용 전원입력AC IN; AC commercial power input

100; 터치식 스위치기의 회로블럭100; Circuit Block of Touch Switch

200; 디지탈제어조명등의 회로블럭200; Circuit block such as digital control lighting

201; 전원 회로블럭201; Power circuit block

202; 신호검출 회로블럭202; Signal Detection Circuit Block

203; 램프제어 및 구동 회로블럭203; Lamp control and drive circuit block

L; 코일L; coil

SW; 터치 스위치SW; Touch switch

F; 휴즈F; Hughes

BD; 브릿지 정류기BD; Bridge rectifier

R1∼ R7; 제 1 ∼ 제 7 저항R 1 to R 7 ; 1st-7th resistance

C1∼ C6; 제 1∼ 제 6 콘덴서C 1 to C 6 ; 1st to 6th condenser

D1∼ D8; 제 1 ∼ 제 8 다이오드D 1 to D 8 ; First to eighth diodes

TR; 트란지스터TR; Transistor

ZD; 제너다이오드ZD; Zener diode

Triac; 트라이액Triac; Triac

RM; 리모콘 수신기RM; Remote control receiver

U1; 레큘레이터U 1 ; Recurator

U2; 마이콤U 2 ; Micom

Lamp; 램프Lamp; lamp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터치식 벽스위치를 사용하는 디지탈제어조명등의 제 1 특징은 제어용 마이콤 [U2]에 제 1 출력단자 [O2]와 제 2 출력단자 [O2]를 두어 램프 구동용 트라이액 [Triac]의 T1전압이 접지전압 [VEE]보다 낮을 때에는 제어용 마이콤 [U2]의 제 2 출력단자 [O2]에서 트라이액 [Triac]의 게이트 [G]에 저항 [R5]과 다이오드 [D7]를 통하여 T1에 대한 양의 펄스 [Positive Pulse]를 가하여 램프 구동용 트라이액을 온 [ON]시키고, T1의 전압이 접지전압 [VEE]보다 높을 때에는 제어용 마이콤 [U2]의 제 1 출력단자 [O1]에서 펄스를 생성해서 트라이액 [Triac]의 게이트 [G]에 T1에 대한 음의 펄스 [Negative Pulse]가 가해지도록 하여 램프 구동용 트라이액을 온 [ON]시키는 것이다.A first aspect of the digital control lights using the touch wal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he first output terminal to the controlling microcomputer [U 2] [O 2]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 2] When the T 1 voltage of the lamp driving triac [Triac] is lower than the ground voltage [V EE ], the gate [G] of the triac [Triac] at the second output terminal [O 2 ] of the control microcomputer [U 2 ]. A positive pulse [Tsitive Pulse] is applied to T 1 through a resistor [R 5 ] and diode [D 7 ] to turn on the lamp driving triac [ON], and the voltage of T 1 is the ground voltage [V EE ]. If higher, a pulse is generated at the first output terminal [O 1 ] of the control microcomputer [U 2 ] so that the negative pulse [Negative Pulse] for T 1 is applied to the gate [G] of the triac [Triac]. The triac for driving is turned ON.

또한, 본 고안의 제 2 특징은 조명등을 온 [ON]시킬 때에는 일정시간을 가지고 밝아지면서 켜지도록 하고 조명등을 오프 [OFF]시킬 때에는 일정시간을 가지고 점점 어두어 지면서 꺼지도록 조명등을 제어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con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lamp to turn on and off with a certain time when the lamp is turned [ON] to turn on and off with a certain time when turning off the lamp.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터치식 스위치기 [100]는 디지탈제어조명등 회로블럭 [200]에 교류 상용전원을 공급하면서 제어용 스위치 신호를 송달하기 위하여 코일 [L]과 터치식 스위치 [SW]를 별렬 결선하여 구성한 것이다. 디지탈제어조명등 회로블럭 [200]은 전원 회로블럭 [201]과 신호검출 회로블럭[202], 램프제어 및 구동 회로블럭 [203]으로 구성된다. 휴즈 [F]와 제 1 콘덴서 [C1], 제 4 및 제 5, 제 6 콘덴서 [C4∼C6], 브릿지 정류기 [BD], 제 3 저항 [R3] 그리고 레큘레이터 [U1]로 구성된 전원 회로블럭 [201]은 디지탈제어조명등 회로블럭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 전원을 얻기 위한 것이다. 신호검출 회로블럭 [201]의 제 1 저항 [R1]과, 제 1 및 제 2 다이오드 [D1,D2]의 구성은 입력교류 전원의 위상검출용 기준신호의 발생을 위한 구성이고, 제 2 콘덴서 [C2]및 제 4 저항 [R4], 제 3 콘덴서 [C3], 제 4,제 5,제 6 다이오드[D4,D5,D6]의 구성은 터치식 스위치기 [100]로 부터의 스위치 [SW] 입력 신호 인식용 펄스신호의 축출을 위한 구성이며 제 2 저항 [R2]과 제 3 다이오드 [D3]의 구성은 램프 구동용 트라이액 [Triac]의 T1전압파형의 위상 인식용 신호발생을 위한 구성이며 리모콘 수신기 [RM]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용 마이콤 [U2]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touch switch [100] is configured by separately connecting the coil [L] and the touch switch [SW] in order to transmit a control switch signal while supplying AC commercial power to the circuit block 200 such as a digital control lamp. The digital control lighting lamp circuit block 200 includes a power supply circuit block 201, a signal detection circuit block 202, and a lamp control and drive circuit block 203. Fuse [F] and the first condenser [C 1 ], the fourth and fifth condenser [C 4 to C 6 ], the bridge rectifier [BD], the third resistor [R 3 ] and the recirculator [U 1 ] The power supply circuit block 201 is configured to obtain a DC power supply for driving the circuit block such as a digital control ligh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resistor [R 1 ] and the first and second diodes [D 1, D 2 ] of the signal detection circuit block [201] is for generating the phase detection reference signal of the input AC power supply. The configuration of the two capacitors [C 2 ] and the fourth resistor [R 4 ], the third capacitor [C 3 ], the fourth, fifth and sixth diodes [D 4 , D 5 , D 6 ] includes a touch switch [ The switch [SW] from 100] is configured to extract the pulse signal for recognizing the input signal,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resistor [R 2 ] and the third diode [D 3 ] is T 1 of the lamp driving triac [Triac]. It is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a signal for phase recognition of voltage waveforms, and the remote control receiver [RM] is configured to receive a remote control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microcomputer [U 2 ].

램프제어 및 구동 회로블럭 [203]의 구성은 마이콤 [U2]의 입력단자 [I1,I2,I3,I4]로 입력된 제어의 기준이 되는 신호를 인식해서, 마이콤 [U2]의 출력단자 [O1, O2]를 제어하여 트라이액 [Triac]을 온 [ON], 또는 오프 [OFF] 시킴으로써 트라이액과 직렬로 연결된 램프 [LAMP]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도 2 ∼ 도 7 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마이콤 [U2]의 제 1 입력단자 [I1]에는 도 2 의 정현파와 같은 교류상용 전원입력에 대응하는 도 2 의 구형파가 입력된다. 이것은 램프 [LAMP]를 온 [ON]시키는 시점을 제어[위상제어]함으로써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마이콤 [U2]의 제 2 입력단자 [I2]에는 도 3 의 파형과 같은 트라이액 [Triac]의 T1단자에 나타나는 구형파와 같은 파형으로 피크치 [Peak Voltage]가 5 볼트 [V]로 클램프된 파형이 입력된다. 이것은 트라이액의 T1단자 전압이 접지 [VEE] 전압보다 높을 때에는 게이트 [G]에 T1단자에 대한 음의 [Negative] 펄스를 가하여 트라이액을 온 [ON]시키고 T1단자 전압이 접지 [VEE]단자 전압보다 낮을 때에는 트라이액의 게이트 [G]에 T1단자에 대한 양의 [Positive] 펄스를 가하여 트라이액을 온 [ON]시키기 위한 것이다. 마이콤 [U2]의 제 3 입력단자에는 도 4 의 파형과 같은 펄스신호가 입력된다. 도 4 의 펄스신호에 있어 펄스가 존재하는 것은 스위치기 [100]의 스위치 [SW]가 오픈 [Open]된 상태이고 펄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스위치기 [100]의 스위치 [SW]가 닫혀진 [Short 된] 상태이다. 마이콤 [U2]의 제 3 입력단자의 펄스의 유.무를 인식해서 스위치기 [100]의 스위치 [SW]의 입력상태를 인식하는 것이다. 마이콤 [U2]의 제 4 입력단자 [I4]에는 원격 제어신호 [Remote control Signal]가 입력되어 원격제어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5 의 (1)에 나타난 펄스파형은 트라이액 [Triac]의 T1에 대한 양의 펄스를 게이트 [G]에 가하기 위하여 마이콤 [U2]의 제 2 출력단자 [O2]로 출력하는 파형이며 도 5 의 (2)에 나타난 펄스파형은 상기 트라이액의 게이트에 T1에 대한 음의 펄스를 가하기 위하여 마이콤 [U2]의 제 1 출력단자 [O1]로 출력하는 파형이다. 제 1 출력단자 [O1]로 부터 양의 펄스 [Positive Pulse]가 제 6 저항 [R6]을 통하여 트란지스터 [TR]의 베이스에 가해지면 트란지스터가 온 [ON] 되므로 트라이액 [Triac]의 게이트 [G]에는 트라이액 [Triac]의 T1대비 음의 펄스 [Negative Pulse]가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 트라이액의 T1와 게이트 [G] 사이에 연결한 제너다이오드 [ZD]와 제 8 다이오드 [D8]는 T1와 게이트간에 가해지는 전압을 일정수준으로 클램프 [Clamp]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5 의 (1) 및 (2)와 같은 파형으로 트라이액 [Triac]을 구동했을 때의 램프 [Lamp]의 구동파형이 도 6 에 나타나 있다. 이것은 램프를 50%의 밝기로 제어했을 경우이다. 도 7 의 (1)과 같이 온 [ON]. 오프 [OFF] 스위치가 입력되면 도 7 의 (2)에 나타난 타이밍에 따라 램프를 온 [ON]시킬 때에는 약 40%에서 100%까지 밝아지면서 켜지도록 마이콤 [U2]의 동작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램프를 오프 [OFF]시킬 때에는 약 40%에서 0%까지 어두어 지면서 서서히 오프 [OFF]되도록 프로그램을 한 것이다. 이것은 온 [ON]시킬 때의 시간지연 [Time Delay]은 온 [ON]시의 램프의 초기돌입전류 [Surge Current]를 줄여 램프 [Lamp]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한 것이고, 오프 [OFF]시의 시간지연 [Time Delay]은 소등후 잠자리로 이동시 갑자기 어두어지는 불편함을 제거함과 동시에 꺼질 때 서서히 꺼지도록 하여 무드 [mood]를 살리기 위한 것이다. 도 8 의 (1)과 같이 스위치 [SW]가 입력되면 도 8 의 (2)와 같은 타이밍으로 램프의 밝기와 온 [ON]. 오프 [OFF]가 제어된다. 이것은 스위치기 [100]의 스위치 [SW] 1 개로 밝기와 온 [ON]. 오프 [OFF]를 동시에 제어하는 방법으로 스위치 [SW]를 짧게 [약 250ms 이하로] 누르면 한번은 온 [ON] 한번은 오프 [OFF]의 방식으로 온.오프 제어하고 스위치 [SW]를 길게 [약 250ms 이상]누르면 한번은 어두어지고 한번은 밝아지는 방식으로 밝기를 제어하는 것이다.To the configuration of the block [203] lamp control and drive circuit recognizes the signal as a reference of the control input to the microprocessor [U 2] input terminal [I 1, I 2, I 3, I 4] , the microcomputer [U 2 ] By controlling the output terminals [O 1 , O 2 ] to turn the triac [Triac] ON or OFF [OFF] to control the lamp [LAMP]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triac. 2 to 7, the square wave of FIG. 2 corresponding to an AC commercial power input such as the sinusoidal wave of FIG. 2 is input to the first input terminal [I 1 ] of the microcomputer [U 2 ]. This is to control the brightness by controlling [phase control] the timing at which the lamp [LAMP] is turned on [ON]. Microcomputer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U 2] [I 2] is also the peak value with a waveform such as rectangular wave may appear in the T 1 terminal of the triac [Triac], such as the three-wave [Peak Voltage] is clamped to 5 volts [V] Input waveform is input. This is when the triac's T 1 terminal voltage is higher than the ground [V EE ] voltage, applying a negative [Negative] pulse to the gate [G] for the T 1 terminal, turning the triac on [ON] and the T 1 terminal voltage being grounded. When the voltage is lower than the [V EE ] terminal voltage, a positive [Positive] pulse to the T 1 terminal is applied to the gate [G] of the triac to turn the triac on. The pulse signal as shown in the waveform of FIG. 4 is input to the third input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U 2 ]. In the pulse signal of FIG. 4, the presence of a pulse means that the switch [SW] of the switch device [100] is opened [Open] and the absence of the pulse means that the switch [SW] of the switch device [100] is closed [Short It is a state. The input state of the switch [SW] of the switch device [100] is recognized by recogni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ulse of the third input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U 2 ]. The fourth input terminal [I 4 ] of the microcomputer [U 2 ] receives a remote control signal [Remote control Signal] to enable remote control. The pulse waveform shown in (1) of FIG. 5 is a waveform that is output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 2 ] of the microcomputer [U 2 ] in order to apply a positive pulse for T 1 of the triac [Triac] to the gate [G]. The pulse waveform shown in (2) of FIG. 5 is a waveform output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 1 ] of the microcomputer [U 2 ] in order to apply a negative pulse for T 1 to the gate of the triac. When the positive pulse [Positive Pulse] from the first output terminal [O 1 ] is a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TR] through the sixth resistor [R 6 ], the transistor is turned [ON], so the triac [Triac] A negative pulse [Negative Pulse] is applied to the gate [G] of the triac [Triac] compared to T 1 . The Zener diode [ZD] and the eighth diode [D 8 ] connected between the triac T 1 and the gate [G] are configured to clamp the voltage applied between the T 1 and the gate to a predetermined level. The driving waveform of the ramp [Lamp] when the triac [Triac] is driven with the waveforms as shown in Figs. This is when the lamp is controlled at 50% brightness. [ON] as shown in Fig. 7 (1). When the OFF [OFF] switch is input, when the lamp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timing shown in (2) of FIG. 7, the operation program of the microcomputer [U 2 ] is configured to turn on by about 40% to 100%. When you turn off the lamp, it is programmed to turn off gradually while darkening from about 40% to 0%. This is to extend the life of the lamp [Lamp] by reducing the initial surge current [Surge Current] of the lamp when ON [ON]. [Time Delay] is to remove the inconvenience of suddenly dark when moving to bed after extinguishing, and at the same time to turn off slowly to save the mood (mood). When the switch [SW] is input as shown in FIG. OFF [OFF] is controlled. This is one switch [SW] of switch [100] and the brightness and ON [ON]. OFF In order to control [OFF] at the same time, press the switch [SW] shortly [about 250ms or less] and then turn it on [ON] and turn it off [OFF] once. More] Press to control brightness by darkening it once and lightening it onc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터치식 벽스위치를 사용하는 디지탈제어조명등은 터치식 벽스위치 [SW] 한 개만으로 조명등의 온 [ON]. 오프 [OFF]제어는 물론 조명등의 밝기까지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조명등의 밝기를 적당히 낮 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고, 또 조명등을 온 [ON]시킬 때에는 일정시간을 가지고 밝아 지면서 온 [ON]되도록 하고, 조명등을 오프 [OFF]시킬 때에는 일정시간을 가지고 어두어 지면서 오프 [OFF]되도록 하여 조명용 램프의 초기 돌입전류에 의한 수명단축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소등후 잠자리로 이동시 갑자기 어두어지는 불편함을 제거하여 조명등의 가치 상승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Digital control lighting using the touch-type wall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nly one touch-type wall switch [SW] [ON]. B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lamp as well as the OFF [OFF] control, the user can easily lower the brightness of the lamp. It can be used to save energy and has an energy saving effect. Also, when the lamp is turned [ON], the lamp is turned on while being brightened with a certain time, and when the lamp is turned off [OFF], the lamp is turned off after a certain time. OFF] solves the problem of shortening the lifespan caused by the initial inrush current of the lighting lamp and at the same time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suddenly dark when moving to bed after the lights off to provid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value of the lamp.

Claims (2)

전원 회로블럭 [201]과 신호검출 회로블럭 [202], 램프제어 및 구동 회로블럭 [203]으로 구성되는 터치식 벽스위치 [SW]를 사용하는 디지탈제어조명등 [200]에 있어, 램프제어 및 구동 회로블럭 [203]의 제어용 마이콤 [U2]에 제1출력단자 [O1]와 제2출력단자 [O2]를 두어 램프 구동용 트라이액 [Triac]의 T1 단자 전압이 접지전압 [VEE]보다 낮을 때에는 상기 마이콤의 제2출력단자 [O2]로 부터의 출력펄스를 저항 [R5]과 다이오드 [D7]을 통하여 상기 트라이액의 게이트 [G] 단자에 가해서 상기 램프 구동용 트라이액을 온 [ON]시키고, 상기 트라이액의 T1 단자 전압이 접지 전압 [VEE]보다 높을 때에는 상기 마이콤의 제1출력단자 [O1]로 부터의 출력펄스를 저항 [R6]과 트란지스터 [TR]를 거쳐 또 다른 저항 [R7]을 통하여 상기 램프 구동용 트라이액 [Triac]의 게이트 [G]에 가해서 램프 구동용 트라이액을 온 [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제어 조명등.In the digital control lighting lamp [200] using a touch type wall switch [SW] composed of a power supply circuit block [201], a signal detection circuit block [202], a lamp control and drive circuit block [203], lamp control and driving When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are placed in the control microcomputer [U2] of the circuit block [203], and the voltage of the T1 terminal of the lamp driving triac [Triac] is lower than the ground voltage [VEE]. The output pulse from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of the microcomputer is applied to the gate [G] terminal of the triac via a resistor [R5] and a diode [D7] to turn on the lamp driving triac [ON]. When the T1 terminal voltage of the triac is higher than the ground voltage [VEE], the output pulse from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of the microcom is passed through the resistor [R6] and the transistor [TR] to another resistance [R7]. ] To the gate [G] of the triac [Triac] for driving the lamp Digital Control luminaire, comprising a step-on [ON] dongyong the triac. 1 항에 있어 제어용 마이콤 [U2]의 동작을 조명등을 온 [ON]시킬 때에는 짧 은 시간동안 일정시간을 두고 밝아 지면서 온 [ON]되도록 하고 조명등을 오프 [OFF]시킬 때에는 보다 긴 일정시간을 두고 어두어 지면서 오프 [OFF]되도록 프로그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U 2 ] according to claim 1 is to be turned on [ON] for a short period of time when turning the lamp on [ON], and a longer period of time when turning the lamp off [OFF]. Characterized by being programmed to turn [OFF] off in the dark.
KR2020000009294U 2000-03-31 2000-03-31 Digital control lighting using touch wall switch Expired - Fee Related KR20020030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294U KR200200308Y1 (en) 2000-03-31 2000-03-31 Digital control lighting using touch wall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294U KR200200308Y1 (en) 2000-03-31 2000-03-31 Digital control lighting using touch wall swi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8Y1 true KR200200308Y1 (en) 2000-10-16

Family

ID=1964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294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0308Y1 (en) 2000-03-31 2000-03-31 Digital control lighting using touch wall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08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361B1 (en) * 2002-04-12 2005-03-24 하가전자 주식회사 Driving Method of Triac for the Electronic Switch of Wall mounting use
WO2011043599A3 (en) * 2009-10-09 2011-09-09 Choi Byeonggwan Combined wireless and touch light switch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361B1 (en) * 2002-04-12 2005-03-24 하가전자 주식회사 Driving Method of Triac for the Electronic Switch of Wall mounting use
WO2011043599A3 (en) * 2009-10-09 2011-09-09 Choi Byeonggwan Combined wireless and touch light switch device
KR101117664B1 (en) 2009-10-09 2012-03-07 최병관 RF and touch type lamp switch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9271B1 (en) Low distortion line dimmer and dimming ballast
US7382100B2 (en) Lighting control device having improved long fade off
AU683188B2 (en) Fluorescent tube control
US8450944B2 (en) Intelligent light for controlling lighting level
KR101477158B1 (en) LED converter with two steps dimming function
JP2005011739A (en) Dimming malfunction prevention circuit and lighting device
CN102474945A (en) Illumination device
JP4305308B2 (en) Light control device
KR200200308Y1 (en) Digital control lighting using touch wall switch
US20100013408A1 (en) Dimming circuit for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KR200206209Y1 (en) Wall mounted electronic switch means for lighting lamps
US111601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type of load
US9674906B2 (en)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current through a load using a phase-cut thyristor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030057879A1 (en) Lighting electronic controller
CN210168264U (en) Power driver and power driving system
KR200198568Y1 (en) Freebolt digital wall switch
US5519287A (en) Two terminal pulsed low voltage incandescent lamp dimmer with increased illuminating efficiency
KR101664729B1 (en) Led lighting device with multi illuminance
JP3026621B2 (en) Lighting device
KR100380416B1 (en) Flickering apparatus for advertising fluorescent lamp
KR200211107Y1 (en) Digital sensors
KR19980026658U (en) Automatic lighting circuit of lamp using light sensor
KR200200366Y1 (en) Automatic switching device of lamp
JPS61220296A (en) Photoelectric type flash control circuit
JPS62222598A (en) dimm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33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3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1013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8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7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