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24329A - 비컨을 통한 로컬 데이터 전송 - Google Patents

비컨을 통한 로컬 데이터 전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329A
KR20020024329A KR1020027002284A KR20027002284A KR20020024329A KR 20020024329 A KR20020024329 A KR 20020024329A KR 1020027002284 A KR1020027002284 A KR 1020027002284A KR 20027002284 A KR20027002284 A KR 20027002284A KR 20020024329 A KR20020024329 A KR 20020024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portable device
identifier
message
beac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버트 엘. 브라크
다비에스로버트예이.
풀톤파울엠.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1/006949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01815A2/en
Publication of KR20020024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32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은 와이어리스 메시지 송신을 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비컨 디바이스(12, 14)와 그러한 메시지 송신을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10)를 포함한다.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블루투스와 같은 첫 번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일련의 조회 메시지(INQ)를 방송하도록 배열된다. 휴대용 디바이스(10)는 이러한 조회 메시지를 검출하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로 응답한다. 제 1 비컨 디바이스(12)는 이때 수신된 식별자를 제 2 비컨 디바이스(14)로 전송하며, 제 2 비컨 디바이스(14)와 휴대용 디바이스(10)는 제 2 비컨 디바이스가 휴대용 디바이스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트리거 될 때 서비스 대화(service interaction)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비컨을 통한 로컬 데이터 전송{LOCAL DATA DELIVERY THROUGH BEACONS}
최근 몇 년 동안 모바일 전화 네트워크의 가입자가 세계적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며, 기술의 진보와 기능의 추가로 인해, 셀룰러 전화는 개인적으로 신뢰받는 디바이스가 되고 있다. 이 결과로, 개인화 및 로컬화된 서비스가 점차적으로 더 중요해지는 모바일 정보 사회가 전개되고 있다. 그러한 "상황-인식(CA: Context-Aware)" 모바일 전화는 쇼핑 몰과 같은 장소에서 위치 지정 정보(location-specific information)를 제공하기 위해 저 전력, 단거리 기지국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이 정보는 지역 지도, 인접한 상점 및 레스토랑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저장된 유저 선호도(user preference)에 따라 수신된 정보를 필터링 하도록 유저의 CA 단말이 장착될 수 있으며, 그 유저는 특정 관심 사항의 데이터 항목이 수신된 경우에는 경보만 받는다.
CA 단말의 일례는 미국 특허 5,835,861에 주어져 있는데, 이 미국 특허는 광고 게시판의 상황에서 와이어리스 전화의 사용을 개시한다. 와이어리스 전화의 유저는 자신의 와이어리스 전화를 작동시킴으로써 프람프트 신호(prompt signal)를 활성 광고 소스(active advertisement source)에 송신하며 광고 소스로부터 광고 벤더(advertising vendor)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벤더의 전화 번호를 얻는다. 그 후 이 전화 번호는 공중 회선 전화 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그 벤더를 자동적으로 호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전화 번호는 그 후에 사용하기 위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이 배열은 그 전화 번호를 기억하거나 그 전화 번호를 기록해야 할 필요 없이 벤더를 호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게시판과 호출자 사이의 신호는 변조된 적외선(IR) 신호로서 송신될 수 있다.
CA 디바이스를 위한 중요한 요건은, 휴대용 디바이스와 비컨 사이의 접속이 수립되어 있는 동안 유저가 비컨에 인접하게 있는 것과 같은 조처를 취할 필요도 없게 하며 (미국 특허 5,835,861에서 전술된 시스템의 경우에서와 같이)구체적으로 대화(interaction)를 개시해야 할 필요도 없도록 이 디바이스들이 비컨으로부터 데이터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모으는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무선 비컨을 구현하기 위한 현존하는 방법은 디바이스의 발견으로 시작하여 그후 동일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정보의 실제 송신을 하는 두 단계의 연결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한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이용가능한 기술/프로토콜 중 하나인 블루투스는, 송신이 일어나기 전에 발견 단계가 완료되어 있을 것을 요구한다. 동적인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될 때, 이 프로세스가 소요하는 시간은 디바이스가 범위 내에 있는 실제 시간 보다 종종 더 길 수 있어,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도달하지 못하게 한다.
이것으로부터, 비컨을 통해 모바일 클라이언트에게로 정보를 중계할 때 두 가지 문제가 중요한데, 그 중 첫 번째 문제는 처리(transaction)가 완료되는데 드는 시간이다. 클라이언트의 이동과 일반적으로 비컨의 작은 범위로 인해, 처리가 수행되는데 드는 시간은 중요하다. 이 처리가 완전히(즉 조회 단계에서부터 실제 서비스 처리까지) 수행되기 위한 시간이 너무 길게 되면, 클라이언트는 그 비컨의 범위 밖에 있을 수 있고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수도 있다.
두 번째 문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전력 소비이다.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소형과 경량이 요구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기능을 디바이스에 추가할 때 전력 소비가 문제 된다. 자신의 조회를 각각 수행하는 많은 개개의 비컨은 디바이스에게 자주 송신해 줄 것을 요구한다. 각 송신은 수신에 비해 더 상당히 많은 전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것은 이용 가능한 전력을 빠르게 소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별히 휴대용 전화 및 적절히 장착된 PDA(개인용 디지털 보조 단말)과 같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의 유저로 한정되지 않은, 전자 장비의 유저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러한 서비스의 전송을 위한 수단 및 그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휴대용 디바이스에 더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비컨과 휴대용 디바이스의 간략 블록도.
도 2는 다수의 비컨의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와 메시지 수립을 나타내는 간략 블록도.
도 3은 상점과 같은 위치에서 상호 연결된 시스템에 대한 비컨 분포의 개략도.
도 4는 링크된 비컨 기반구조에서 일련의 디바이스의 개략도.
도 5는 주어진 주파수에 중심을 둔 조회 억세스 코드의 트레인의 송신을 예시하는 챠트.
도 6은 조회 방송의 지속기간 동안 조회 메시지의 트레인 사이의 교대(alternation)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현존 송신 슬롯 내로 방송 데이터의 패킷의 삽입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조회 메시지 트레인의 순서로 비컨 클록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첫 번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비컨 클록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도 8의 것과 다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컨과 휴대용 디바이스 사이의 링크의 수립이 휴대용 디바이스 상의 과도한 전력 소모 없이 비교적 신속하게 일어날 수 있는 비컨을 통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와이어리스 메시지 송신을 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비컨 디바이스와 그러한 메시지 송신을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첫 번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일련의 조회 메시지를 방송하도록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디바이스는 상기 조회 메시지를 검출하며 그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identifier)로 응답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수신된 식별자를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는 제 2 비컨 디바이스가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하여 트리거 될 때 서비스 대화(service interaction)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것은 휴대용 디바이스에게 조회 프로세스 및 페이징 프로세스 모두를 통해 진행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 조회 패킷을 연속적으로 발송하기 위한 제 1 비컨의 능력은 그 프로세스를 더 신속하게 해준다. 게다가, 제 2 비컨이 모든 대화를 처리하게 함으로써,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페이지 메시지(page message)를 발송하기 위해 동작을 일시 정지할 필요가 없으며 대화 트래픽(interactive traffic)을 가능하게 하도록 정지할 필요도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휴대용 디바이스는 제 1 비컨 디바이스가 조회 모드로 들어가는 것을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이것은 상당한 시간 절감을 나타낸다.
이 시스템은 단지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비컨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제 2 비컨 디바이스는 제 1 비컨 디바이스로부터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배열되며, 여기에는 수신된 식별자의 송신을 위하여 제 1 비컨을 제 2 비컨 디바이스 또는 각 제 2 비컨 디바이스로 링크하는 안전 데이터 채널이 적절히 존재한다.
제 2 비컨 디바이스는 서비스 대화가 수행되고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식별자의 목록을 유지하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중복 기재(redundant entry)를 제거하기 위하여, 시스템은 타이머를 특징적으로 구비할 수 있으며, 제 2 비컨 디바이스는 만약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대화가 일어나지 않으면 그 목록으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하여, 제 2 비컨 디바이스는 만약 그 식별자의 복사본(duplicate copy)이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목록으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제거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제 2 비컨 디바이스는 만약 그 대화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제거를 요청하는 미리 결정된 메시지의 수신을 포함하면, 다시 말해 만약 유저가 구체적으로 그 대화를 종료하면 그 목록으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제거할 수 있다.
그 시스템을 확장하여, 각 조회 메시지는 첫 번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데이터 필드의 형태일 수 있으며,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송신 전에 각 조회 메시지에 추가적인 데이터 필드를 추가하도록 더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디바이스는 송신된 조회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추가적인 데이터 필드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배열된다. 조회 메시지 상의 방송 메시지의 피기백 송신(piggy-back transmission)을 제공하는 이 추가적인 데이터 필드는 각 조회 메시지의 마지막에 적절히 위치되어, 적절히 (그러나 필수적이지는 않은) 블루투스 메시징을 포함하는 첫 번째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비방송 단말(non-broadcast terminal)에 의해 무시될 수 있다.
조회 메시지 상의 그러한 방송을 통해,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미리 결정된클록 연속 주파수 상에 일련의 조회 메시지를 방송하도록 적절히 구성되며,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에 대한 클록 정보는 상기 추가적인 데이터 필드에 의해 운송되는 데이터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된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되는데, 이 디바이스는 단거리 와이어리스 조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와, 상기 메시지 내에 포함된 데이터를 처리하며 그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작성(compose)하도록 작동 가능한 처리 수단과, 상기 작성된 응답 메시지를 조회 메시지의 소스로 와이어리스 방식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에서 언급된 시스템에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통신 기반구조(communications infrastructure)가 제공되는데, 이 기반구조는 제 1 및 제 2 비컨 디바이스와 이들 디바이스 사이에 있는 상호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컨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디바이스로 와이어리스 메시지 송신을 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1 비컨은 첫 번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일련의 조회 메시지를 방송하도록 작동 가능하여,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임의의 응답 메시지를 검출하며 수신된 식별자를 상기 제 2 비컨으로 송신할 수 있으며, 또 여기서 상기 제 2 비컨은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하여 트리거될 때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서비스 대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기반구조에서, 제 1 및 제 2 비컨 디바이스 사이의 상호 연결부는 모바일 디바이스 식별자에 보안을 제공하기 위해 안전 데이터 채널을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기반구조는 적절히 네트워크로 배열된 복수의 제 1 및/또는 제 2 비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기반구조에는, 메시지 관리 수단이 적절히 제공되어, 상기 복수의 제 2 비컨 중 하나의 비컨으로부터 다른 비컨으로 진행 메시지 송신 세션(ongoing message transmission session)의 핸드오버를 개시하며 실행하도록 작동가능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유저로 하여금 와이어리스 메시지를 할 수 있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비컨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환경에 있는 비컨 디바이스와 서비스 대화를 수행하도록 해주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여기에서 제 1 비컨은 첫 번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일련의 조회 메시지를 방송하며 유저 휴대용 디바이스는 상기 조회 메시지를 검출하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로 응답하며,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수신된 식별자를 상기 제 2 비컨으로 송신하며, 제 2 비컨과 휴대용 디바이스는 제 2 비컨이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하여 트리거될 때 상기 서비스 대화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기술되어 있는데, 그 개시는 인용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로 이제 독자를 인도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단지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제 기술된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는, 비컨으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전화, PDA, 또는 다른 것이든)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특히 CA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한다.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조회 절차의 일부로서 방송 채널을 포함하는 보조 특징(subsidiary feature)과 함께 비컨과 링크된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은 블루투스 디바이스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통신 배열, 특히 주파수호핑 시스템에도 적용가능하다. 보조 특징은, "비컨을 통한 데이터 전송(Data Delivery Through Beacons)"이라고 명명된, 공동 양도되고 동시 계류 중인 영국 특허 출원 번호 0020099.8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도 1은 한 쌍의 상호 연결된 저 전력 단거리 기지국 또는 비컨(12, 14)과 사용하는 CA 모바일 전화(10)의 간략 블록도이다. 앞서 언급하였고 아래에서 보다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배열은 쇼핑 몰과 같은 장소에서 로컬 지도, 인접한 상점과 레스토랑에 대한 정보 등과 같은 위치 지정 정보(location-specific information)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비컨은 정보 키를 모바일 디바이스로 다운로딩 한다. 정보 키는 전 정보의 소스에 기준(reference)을 제공하는 작은 데이터 객체(small data object)이며, 이 정보 키는 다수의 미리 결정된 필드의 형태로 되어 있으며, 이들 필드 중 하나의 필드는 유저에게 주어지는 기술적 텍스트 단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하나의 필드는 몇몇 형태의 포인터 즉 주소, 예를 들어 URL 또는 전화 번호일 수 있다. 다른 보충적 필드는, 데이터가 어떻게 유저에게 주어지는지 및 주소가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제어할 수 있다. 비컨은, 인식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절한 키를 기다리는 것이 종종 시간을 소비하는 작업일 수 있을지라도, 일반적으로 다수의 이들 키를 주기적으로(cyclically) 방송하며 각 키는 전형적으로 서로다른 서비스 또는 데이터 항목에 관련된다.
비컨의 구축과 구성에 관한 문제는 출력 전력(일반적인 범위는 1㎽ 내지 100㎽), 지역 간섭 수준, 및 수신기 감도에 따라 좌우되는 비컨 범위를 포함한다.
유저의 CA 단말(10)은 메시지의 수신과 송신을 위한 트랜시버 단(18)에 연결된 안테나(16)를 포함한다. 발신 메시지는 전화에 대한 유저 입력, 즉 마이크로폰(20)과 A/D 변환기(22)를 통한 오디오 입력 또는 키패드 또는 다른 입력 수단(24)을 통한 다른 데이터 입력으로부터 유래한다. 이들 입력은 신호 및 데이터 처리 단(26)에 의해 메시지 데이터 포맷으로 처리되며 트랜시버 단(18)으로 공급되기 전에 인코더(28)에 의해 송신 포맷으로 변환된다.
안테나(16)와 트랜시버(18)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는 디코딩 단(30)을 통해 필터링 및 신호 처리 단(32)으로 전송된다. 만약 메시지로 운반되는 데이터가 전화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4) 상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면, 이 데이터는 선택적으로 버퍼링(38)한 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36)로 전송되며, 이 드라이버는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포맷한다.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34)는 비교적 단순한 낮은 해상도의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수신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은, 전용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단을 요구하지 않고도 처리 단(32)의 기능의 서브셋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 메시지가 비컨들 중 하나의 비컨(14)으로부터 나오는 데이터를 운송하고 있는 경우에, 이 전화는 미리 저장된 40개의 유저 선호도(preference)에 따라 수신된 정보를 필터링 할 능력이 있으며, 이 유저는 만약 저장된 선호도 데이터 및 메시지 내의 내용 표시자(subject matter indicator)를 비교한 것이 특정 관심 사항의 데이터 항목이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경보만 받는다{즉, 이 정보는 단지 버퍼(38)에 보유되며 및/또는 스크린(34)에 주어질 수 있다}.
종래의 오디오 메시지에 대해서, 오디오 데이터는 필터 및 처리 단(32)에 의해 D/A 변환기(42) 및 증폭기(44)를 통해 이어폰 또는 스피커(46)로 출력된다. 전화 네트워크(48)로부터 나오는 그러한 메시지의 수신은 화살표(50)에 의해 표시되며: 전화 네트워크(48)는 또한 전화(10)로부터 광역 네트워크(WAN: Wide-Area Network) 서버(52)로의 링크 및, (인터넷 일 수 있는) WAN(54)를 통해 전화(10)를 위한 데이터 소스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 보다 많은 원격 서비스 제공자(56)로의 링크를 제공한다.
CA 단말{전화(10)}과 CA 기지 국{비컨(12 및 14)} 사이의 통신은 두 가지 형태를 가지는데, '푸시(push)'과 '풀(pull)'이다. '푸시' 모드에서, 조회 정보는 비컨(12)에 의해 60으로 표시된 짧은 '키'의 형태로 모든 휴대용 단말(10)로 방송된다. 아래에 자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전화(10)는 자신에 대한 식별자를 제 1 비컨(12)으로 전송하여 조회 키에 응답하며, 이때 제 1 비컨(12)은 조회 키를 계속 방송하면서 대화를 제 2 비컨(14)으로 전송한다.
다른 형태의 키는 단말(10)에 의해 '무의식적으로' 즉, 유저에 의한 직접적인 개입 없이 수신되며, 비교기 기능이 처리 단(processing stage)(32)에 적용됨으로써 유저의 미리 설정된 선호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필터링 된다. 적절하게는, 처리 단은 수신될 수 있는 비교적 대다수의 키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을 만큼 동시 또는 오버랩 다중 사본(copy)에서 비교기 기능을 적용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몇몇은 버려지며, 몇몇은 추가 연구를 위해 유지되며, 다른 것은 유저로 하여금 바로 경보 받게 한다. 예로서, 상점은, 관심이 있으며 그리하여 적절하게 필터(32)를 설정한 유저가 자신의 단말에 의해 경보 받는다는 지식으로 통행 단말로 특별 주문의상세 사항을 전달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때때로, 유저는 키에 포함된 것보다 더 많은 정보를 얻고자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풀' 모드는 유저로 하여금 (반드시 CA의 사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것일 필요가 없는) 서버(56)와의 연결을 구성하게 하며, 능동적으로 정보가 단말(10)로 내려가게 요청한다. 그리하여 이 모드는 전형적으로 대화식(interactive)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현재의 경우에, 하나의 비컨(12)은 '조회자(inquirer)' 비컨으로 명명되며, 계속하여 블루투스 조회 메시지를 발송한다. 다른 비컨(또는 각 비컨)은 '대화자(interactor)' 비컨으로 명명되며 요청시에 일대일에 기초하여 단말(10)과 통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회 절차는 조회자 비컨(12)에 의해 수행되며, 페이징 절차는 대화자 비컨(14)에 의해 수행된다. 이 방식으로 기능을 위임함으로써, 상당한 양의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피코넷에 연결하고자 시도하여 시간을 소비하였을 것이다.
도 2는 메시지 송신 순서(괄호 안의 번호)에 따라 도시하는 듀얼 비컨 시스템의 간략 블록도이다. 이 기본 시스템에는 하나의 조회자 비컨(12)과 하나의 대화자(14)가 있지만, 이하의 내용으로부터 그 시스템이 어떻게 복수의 비컨과 대화자의 네트워크로 된 기반 구조로 확장될 수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조회자 비컨(12)은 계속하여 조회 패킷(1)을 송신하는데, 이 조회 패킷은 비컨의 범위 내에서 임의의 클라이언트-휴대용 디바이스-의 신분(identity)을 풀는데 사용된다. 일단 클라이언트(15)가 범위 내에 오게 되면, 클라이언트는 조회(2)에 응답하여 자신의 신분에 관한 조회자 정보를 준다.
발견된 클라이언트에 관한 정보는 이후 안전 채널을 통해 (일반적으로 고정된 기반구조를 통해) 대화자 비컨(14)(3)-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데 단독으로 관련된 비컨으로 송신된다. 이것은 이후 클라이언트(15)가 응답하는 클라이언트의 신분을 포함하는 페이지 메시지를 발송함으로써 서비스 대화(4)를 시작한다.
비록 클라이언트가 조회 및 페이징 프로세스를 통해 가야하지만, 조회자가 조회 패킷을 연속적으로 발송한다는 사실은 그 프로세스를 훨씬 더 신속하게 하게 한다. 모든 대화를 위한 개별 비컨(14)의 사용은, 조회자가 페이지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해 일시 정지할 필요도 없으며 대화 트래픽(interactive traffic)을 가능하게 하도록 정지할 필요도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클라이언트는 조회자가 조회 모드에 들어가는 것을 기다릴 필요가 없다. 이것은 그 자체로서 상당한 양의 시간을 절감한다. 추가 보너스로, 대화자 비컨은 페이지 메시지를 발송하기 전에 조회 주기가 완료되기를 기다릴 필요도 없으며 여기에서도 수 초가 절감될 수 있다.
도 3은, 위의 아이디어가 몇몇 대화자(A, B, C)와 종종 하나보다 더 많은 수의 조회자(I)를 포함하는 더 큰 네트워크로 확장될 수 있는 다수의 비컨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다.
다수의 대화자는 위치 지정 내용이 클라이언트에게 송신될 수 있게 하나의 조회자와 연관될 수 있다. 듀얼 비컨 시스템의 경우에서와 같이, 조회자는 클라이언트의 신분을 네트워크 내 모든 대화자에게 전송한다. 이것은, 클라이언트가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유지되는 동안 언제나 조회 프로세스를 한번 거쳐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단 대화자가 클라이언트의 신분을 알면, 이들 대화자는 이후 서비스 대화를 수행할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그 대화자들은 모든 클라이언트를 연속적으로 모두 풀을 수 있다.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대화자의 범위 내에서 걸어갈 때, 클라이언트는 그 대화자와 링크를 설정함으로써 그 페이지에 응답한다. 다른 대화자는 일반적으로 그 링크가 해제되기까지 그 클라이언트를 풀은 것을 중지하게 된다. 보다 진보된 페이징 구조는 인접한 셀 내에서만 풀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유저가 더 멀리 위치한 셀에 도달하기 전에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셀을 통해 걸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이전 방식으로 대규모 시스템은 경제적 방식으로 풀을 수 있다. 다른 페이징 전략도 가능하다.
대안적 접근법은, 단말로 하여금 주차 모드(parked mode)에 놓여 있도록 요청하게 하는 것이다. 주차 모드에서, 단말은 대화자에 의해 특별 신분(블루투스 마스터와 같은)으로 주어진다. 이후 대화자가 많은 시간을 조용히 있으며, 주기적으로 마스터와 자체적으로 재동기화하며 페이지 메시지를 포함하는 가능한 명령에 대한 특별 비컨 메시지에 귀를 기울이도록 깨어있는다. 만약 유저가 어느 대화를 수행하고자 결정하면, 단말은 깨게 되며 마스터와의 링크를 요청한다. 이후 대화 동작은 이전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광역 네트워크 구성에서, 단말의 특별 주차 모드 신분은 그 시스템 내의 모든 대화자 비컨에 알려진다. 이것은, 단말이 한 사이트에서는 주차 모드로 들어가며 조회 프로세스를 거칠 필요 없이 다른 사이트에는 깨어 있는 능력을 준다.
언급된 바와 같이, 하나 보다 많은 조회자 비컨은 시스템의 부분일 수 있다. 쇼핑 몰은 예를 들어 빌딩의 각 입구에 하나를 놓을 수 있다. 자연적으로, 상기 분배된 시스템에 따라, 어느 조회자 비컨에서 클라이언트 단말이 조회 프로세스를 완료하는지는 문제되지 않는다.
조회 및 대화의 기능을 분산시킴으로써, 상당한 시간 절감이 달성되는데, 그 이유는 각 비컨에서 피코넷으로 관여(sign up)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는 여전히 대화자 비컨의 정보, 심지어 방송 정보를 요청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클라이언트에게 이용 가능한 정보가 어느 정도 흥미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설정하기 전에 자신의 신분을 송신해 줄 것과 그렇게 할 때 자신의 신분을 드러내게 할 것을 요청한다. 방송 정보를 조회 패킷을 통해 송신하는 메커니즘은 앞서 언급된 공동 계류 중인 출원에 기술되어 있으며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아래에 요약되어 있으며, 이 구조는, 상당한 이점을 갖는 것으로 방금 논의된, 분배된 고정 부 구조 접근법(distributed fixed part architecture approach)과 결합될 수 있다.
다수의 비컨 네트워크를 가지고, -여러 위치에서 방송 정보를 제공하도록 사용된-보다 많은 조회 비컨은 앞서 전개된 분배 구조를 보충할 수 있다. 조회자에 의해 발송된 특정 정보에 관해 더 많은 것을 알고자 하는 클라이언트는 임의의 대화자에게로 문의하여 대화 링크를 구성할 수 있다. 가능한 보너스로서, 단말은 쇼핑 몰(또는 비컨이 위치된 다른 영역)에 들어갈 때 조회 프로세스를 따라야 할 필요가 없지만 단말이 흥미있는 방송 메시지를 발견하는 시간만큼까지는 연기(holdoff)할 수 있다.
몇몇 다른 기능이 분배된 고정 부 네트워크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물론,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호(call) 핸드오버 또는 핸드오프이다. 이 기능에 의해 링크 활성을 갖는 단말은 하나의 고정 셀로부터 다른 셀로, (음성 모드에 대해서는)이상적으로 솔기없는 방식(seamless fashion)으로 링크를 전달할 수 있다. 고정 측에 있는 단말의 신분과 링크 기능의 관리를 분배시킴으로써, 대다수 영역의 다수의 셀 고정 네트워크 내의 핸드오버는 블루투스 및 유사한 프로토콜에서 가능하게 된다.
비컨은 자신의 방송 메시지에 대한 적어도 몇몇 조정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는 네트워크로 연결(networked)될 수 있다. 도 4는, 예를 들어 백화점, 쇼핑 몰, 테마 유원지 등에 사용하기 위한 기반구조의 구현을 제공하며 본 발명을 구현하는 링크된 비컨으로 이루어진 그러한 시스템(100)의 도면이다. 이 시스템(100)은 일련의 장소(locales)에 걸쳐 분포된 복수의 비컨(102, 104, 106, 108)을 포함한다. 각 비컨(102 내지 108)은 이후 더 자세하게 기술되는 타임슬롯 포맷으로 하나 또는 그 보다 많은 단거리 조회 신호를 방송한다. 비컨(102 내지 108)은 비컨 기반구조 서버(BIS: Beacon Infrastructure server)(110)에 의해 제어되며, 하나 또는 그보다 많은 단말(112, 114, 116, 118)은 이 서버(110)에 연결되어 있다. 단말(112 내지 118)은 서비스 제공자, 즉 비컨(102 내지 108)의 유저로 하여금 비컨(102 내지 108)에 의해 송신되는 조회 촉진 신호에 대해 피기백 방식(piggy back)으로 추가된 데이터의 형태인 할당된 서비스 슬롯을 저술 또는 편집하게 한다. 서비스 제공자는 기반구조 제공자로부터 하나의 비컨 또는 그 비컨의 서비스 슬롯 중 하나의 서비스 슬롯을 임대(lease)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서버(110)는 유저에 의해 단말(112 내지 118) 중 하나의 단말을 통해 채우기 위한 단순한 HTML 형판(template)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가 비컨 방송을 통해 실행될 수 있도록 서비스와 다른 정보의 상세한 기술을 형판에 채운 후에는, 이 형판은 예를 들어 보안 HTTP(S-HTTP) 또는 보안 소캣 층(SSL: Secure Sockets Layer)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보안 링크를 통해 서버(110)로 되돌아간다. SSL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보안 링크를 형성하는데, 이 보안 링크를 통해 임의의 데이터 양이 안전하게 전송될 수 있다. S-HTTP는 개개 메시지를 안전하게 송신하도록 설계된다. 그후 서버(110)는, 형판으로 제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비컨(102 내지 108) 중 관련된 하나의 비컨의 조회 신호에 덧붙이기 위한 적절한 추가 데이터 패킷을 형성한다. 시스템(100)은 숙련된 독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여러 기능을 실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술한 CA 시스템의 적어도 '푸시'모드에 필요한 와이어리스 링크를 위한 강력한 후보 기술은 블루투스인데, 그 이유는 대다수의 모바일 전화(10)의 구성성분의 일부가 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푸시' 모드 사용 또는 CA 방송을 위한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분석할 때, 문제를 볼 수 있다. 이상적인 경우에는, 단말(10)은 고정 비컨(12)을 검출하며 단말(10)이 송신하게 할 필요 없이 그 비컨으로부터 기본 정보를 추출한다. 하지만 이 타입의 방송 동작은 현재의 블루투스 스펙으로는 지원되지 않는다.
부분적으로, 비호환성은 블루투스 비컨 시스템의 주파수 호핑 특성을 따르는데, 이것은 방송 메시지(또는 실제로 임의의 메시지)가 통과 단말에 의해 수신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은 시간과 주파수 모두에서 이 비컨과 동기화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휴대용 디바이스(10)는 자신의 클록을 비컨 클록에 동기화하여야 하며, 비컨 일치성(beacons identity)으로부터 몇몇 호핑 순서 중 어느 것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추론하여야 한다.
이 추론을 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휴대용 디바이스는 피코넷 마스터(piconet master)로서의 비컨에 의해 관리되는 피코넷을 -슬레이브(slave)로서- 연결하도록 요구되었다. 조회 절차 및 페이지 절차의 분석에 의하면, 하나의 피코넷과 연결한 후 마스터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위치에 있도록 취해진 시간이 수 십 초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것은 CA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너무 매우 길며, 여기에서 유저는 연결 선정이 완료되기 전에 비컨의 범위 밖으로 움직일 수 있다.
비컨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어려움은 블루투스 및 유사한 시스템의 주파수 호핑 특성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야기된다. 블루투스 조회 절차는 마스터와 슬레이브를 불러모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제안되어왔는데, 본 출원인은 마스터에 의해 발송된 조회 메시지에 방송 채널을 피기백(piggy-back) 방식으로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단지 CA 단말만은 방송 채널 메시지를 읽을 필요가 있으며 단지 CA 기지국 또는 비컨만이 그 메시지를 송신한다. 결과적으로, 무선 인터페이스(air interface)에서, 메커니즘이 종래(비-CA)의 블루투스 시스템과 전적으로 호환가능하다.
이것이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예시하기 위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조회 절차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먼저 고려해본다. 블루투스 유닛은 다른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발견하고자 할 때는, 블루투스 유닛은 소위 조회 하부단계(substate)로 들어간다. 이 모드에서, 블루투스 유닛은 포괄적인 조회 억세스 코드(GIAC: General Inquiry Access Code) 또는 다수의 선택 전용 조회 억세스 코드(DIAC: Dedicated Inquiry Access Code)를 포함하는 조회 메시지를 발송한다. 이 메시지 송신은 몇 개의 수준으로 반복되는데, 먼저 이 메시지는 조회 호핑 순서를 구성하는 총 32개로부터 16개의 주파수로 송신된다. 이 메시지는 짝수 타임슬롯에서 두 개의 주파수로 두 번 송신되며, 이후 홀수 타임슬롯이 두 개의 대응 조회 응답 호핑 주파수로 답신을 듣는데 사용된다. 16개의 주파수와 그 응답 대응 주파수(response counterpart)는 그리하여 16개의 타임슬롯, 즉 10㎳ 내에 커버될 수 있다. 도 5의 챠트는 f{k} 주위에 중심을 둔 16개의 주파수에 송신 순서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f{k}는 조회 호핑 순서를 나타낸다.
그 다음 단계는 적어도 N조회횟수민큼 송신 순서를 반복하는 것이다. 적어도, 이것은 조회 송신 트레인 A 라고 칭하는 송신 트레인을 구성하는 전체 순서의 N조회= 256번의 반복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조회 송신 트레인 A는 나머지 16개의 주파수로 송신 순서를 구성하는 조회 송신 트레인 B와 교체(swap)된다. 다시, 트레인 B는 송신 순서의 256개의 반복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적인 조회 송신은 트레인 A와 트레인 B의 송신들 사이에 순환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펙은, 모든 응답의 집합을 에러 없는 환경(error-free environment)에 있게 보장하기 위하여 트레인들 사이에 있는 이 스위치가 적어도 세 번 일어나야만 한다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조회 방송이 적어도 10.24초 걸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을 감소시키는 한 방식은 조회 송신 트레인들 사이의 스위치가 보다 신속하게, 즉 10㎳의 256개 반복이 16개의 타임슬롯을 커버하는 2.56초가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만약 조회 메시지가 존재하는 트레인의 나머지에 검출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이 조회 메시지가 예를 들면 50㎳ 후에 검출되지 않으면 스위칭 할 시스템을 설정함으로써 적절하게 달성될 수 있다.
비컨에 의해 발견되고자 하는 휴대용 디바이스는 조회 주사 하부단계(inquiry scan substate)로 들어간다. 여기에서, 이 디바이스는 관련된 GIAC 또는 DIAC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듣는다. 이 디바이스는 또한 주기적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디바이스는 조회 주사 기간 동안 단일 호프 주파수로 들으며, 이 조회 주사 기간은 조회에 사용되는 16개의 조회 주파수를 커버하기에 충분하게 길어야 한다. 연속 주사의 시작점 사이의 간격은 1.28 초보다 더 크지 않아야 한다. 선택된 주파수는 조회 호핑 순서를 구성하는 32개의 목록으로부터 나온다.
적절한 IAC를 포함하는 조회를 들을 때에, 휴대용 디바이스는 소위 조회 응답 하부단계로 들어가며 다수의 조회 응답 메시지를 비컨으로 발송한다. 그후 비컨은 휴대용 디바이스를 풀아가며 이 디바이스가 피코넷에 연결하게 초청한다.
도 6에 도시되고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기지국에 의해 발송된 조회메시지가 유저 정의 페이로드(user-defined payload)(CA DATA)를 운송할 수 있는 조회 메시지에 추가되는 여분의 필드를 가지는 것을 제안한다. CA 시나리오에서, 이 페이로드는 방송 정보, 또는 키를 조회 절차 동안 CA 단말로 운송하는데 사용된다. 조회 메시지의 마지막에 이 필드를 추가함으로써 비-CA 수신기가 변경되지 않고도 이 메시지를 무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CA 지정 DIAC를 사용함으로써, CA 수신기는 여분의 정보 필드의 존재에 대해 경보받을 수 있다.
여분의 데이터 필드의 존재는, 종래에는 블루투스 조회 패킷의 마지막에 허용된 안내 공간이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공간-새로운 호프 주파수로 변화하도록 주파수 신시사이저 시간을 주기 위해 제공된 것-은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데, 이것은 현 주파수 신시사이저가 여분의 안내 공간으로 확장될 필요가 없는 속도로 스위칭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준 조회 패킷은 68개 비트의 길이인 ID 패킷이다. 이 패킷이 해프 슬롯(half-slot) 내에 송신되므로, 할당된 안내 공간은 (625/2-68)=244.5㎲(625㎲ 슬롯 기간, 1M비트/초 신호발생 율)이다. 현대의 신시사이저는 100㎲ 또는 더 낮은 수치를 갖는 훨씬 더 작은 시간 내에 그 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고려된 루틴을 스위칭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출원인은 이 새로운 필드에 대해 적당한 사이즈로서 100비트의 할당을 제안하지만, 물론 다른 필드 사이즈도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A 핸드셋은 긴 절차를 통해 피코넷과 연결하도록 실행하게 요구하지 않으며 신속하게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더욱이, 핸드셋이 어떠한 정보라 할지라도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많은 CA 기지국이 존재할 수 있는 밀집한 환경에서는 특히 중요한 결과적인 전력 절감이 있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핸드셋이 대화식 모드이며 보다 많은 정보를 얻기 위하여 피코넷에 연결하고자 할 때는 핸드셋은 통상과 같이 디폴트 조회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데이터 필드를 지원하는 것을 통해 기능의 손실이 없다.
전형적인 실시예에서는, 100개의 비트 중 넷은 ID 필드에 대한 트레일러 비트(trailer bit)로서 손실될 수 있으며, 이것은 상관기(correlator)에 의해 판독되는 ID 필드의 중요성이다. 나머지 96개의 비트 중에서, 출원인이 선호하는 할당은 64개가 데이터로서 사용되며 32개는 2/3 FEC(forward error correction) 체크섬(checksum)으로 사용되게 하는 것이지만, 여기서, 체크섬, 포함된 임의의 헤더, 및 다른 오버헤드는 데이터에 이용가능한 비트의 수를, 어떤 상황에서는 약 10비트 또는 그 보다 작은 비트로 크게 감소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각 조회 버스트(inquiry burst)는 8 바이트의 방송 데이터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공통 시나리오에서, A 트레인 및 B 트레인의 두 번째 그룹에 의해 휴대용 디바이스는 기지국을 발견하였고 이 기지국이 CA 비컨이라고 이해하였으며, 방송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다. 이 디바이스가 구체적으로 듣고 있기 때문에, 휴대용 디바이스는 256개의 버스트 데이터를 적어도 두 번(A 및 B) 판독할 수 있으며, 2K 바이트의 두 개의 구획(lot), 즉 전체 4 K 바이트를 제공한다.
이 단계에서, 휴대용 디바이스는 이 정보가 송신되지 않기 때문에 비컨 클록의 상태(phase)를 알지 못한다. 휴대용 디바이스를 보조하기 위해, 클록 정보는 A및 B 사이의 그 다음 스위칭이 발생할 때를 나타내는 몇몇 보조 정보와 함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 A 및 B 그룹 내의 적어도 몇 개의 트레인으로 송신된다. 이 클록 정보는 CA 방송 데이터의 대신에 송신되며, 그래서 두 개의 데이터 채널 사이를 식별하도록 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별도의 DIAC를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가능한 방법이다.
휴대용 디바이스가 비컨의 타이밍을 아는 경우에는, 휴대용 디바이스는 또한 비컨의 타이밍이 어떻게 호핑하는지를 알며, 이것은 모든 트레인 송신을 추적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하나의 프레임 내에 16개의 송신이 있기 때문에, 최종 CA 채널은 16배만큼 많은 용량을 가지며 64K 바이트의 정보를 전할 수 있다.
단말이 매 1.28초 또는 그보다 작은 시간마다 깨어있기 때문에, 단말은 일반적으로 처음 A 기간 또는 B 기간에서 해프 방식의 마크(half way mark)에 의해 단말이 요구하는 클록킹 정보를 얻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해프방식 마크에서 클록으로부터 데이터로의 스위칭은 다수의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첫째, 몇몇 데이터는 조회 절차의 시작점에서 5초 미만에 수신될 수 있다. 둘째, 단말은 비록 키가 그 주기에서 비교적 늦게 나타날 지라도, (만약 그것이 단말이 취할 적절한 조치라면) 조회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자동적으로 발송함으로써 중요한 키에는 여전히 응답할 수 있다. 용량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전술한 것에서, 휴대용 디바이스는 32개의 조회 채널 중 하나의 조회 채널에 모든 추가적인 데이터 필드 패킷을 수신하여 이에 의해 이용가능한 대역폭의 1/32만을 사용한다.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만약 휴대용 단말(비컨 슬레이브)이 첫 번째 조회 패킷을 수신할 때에 관한 불확정성이 극복될 수 있다면, 호핑 순서의 미리 결정된 특성은 수용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전체 대역폭이 사용될 수 있다. 슬레이브가 첫 번째 패킷을 수신한 점에서부터 마스터 조회 호핑 순서와 동기화하기 위하여, 슬레이브는 마스터 호핑 순서의 첫 번째 수신 패킷의 위치와 마스터 클록 오프셋을 모두 알 필요가 있다. 이하의 예에서는, 마스터가 (도 6에서와 같이) 3개의 트레인 스위치를 갖는 16개의 채널 조회 호핑 순서의 256개의 반복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최소 조회 절차를 따른다고 가정된다. 16개의 채널에 걸친 각 순환(sweep)에는 10㎳가 걸린다.
슬레이브 호핑을 동기화하는 대안적인 방법은 매 방송 필드에 클록킹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다. 추가적인 데이터 필드(BCD, 도 1)는 이하의 정보를 포함하는 4 바이트를 운송한다:
·마스터 클록 오프셋(2 바이트),
·전 트레인 반복의 수(1 바이트)-전 트레인이 10㎳ 트레인의 256개의 반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이 파라미터의 범위는 0 내지 255이다(조회가 그 다음 전 트레인으로 스위칭하기 전에). 이것은 마스터가 전 트레인을 그 다음 스위칭할 때를 슬레이브에게 나타낸다.
·현재 조회 주기 내에 얼마나 많은 전 트레인 스위치가 완료되었는지(1 바이트)-이 데이터는 마스터가 현재 전 트레인의 마지막에 무엇을 할 것인지를 슬레이브에게 나타낸다, 즉 마스터가 다른 전 트레인으로 스위칭하는지 아니면 조회 절차가 종료하는지를 나타낸다.
어떤 채널도 10㎳ 트레인으로 반복되지 않는 한, 슬레이브가 순서의 인식으로부터 현재 채널의 위치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호핑 순서에서 현재 채널의 위치를 나타내는데에 어떠한 필드도 필요치 않다.
전술한 것으로부터, 각 추가적인 필드 패킷에 4 바이트를 추가함으로써 슬레이브는 방송 데이터를 운송하는데 (데이터를 위한 100개의 비트로부터 64개의 바람직한 할당량으로부터) 이용가능한 4 바이트를 여전히 가지고 있으면서 조회의 마지막에 모든 추가적 필드 패킷을 픽업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완성된 비컨 신호를 고려하면, 완성된 비컨 신호는 다수의 4 바이트 패킷으로 분할될 필요가 있으며 하나의 4 바이트 패킷은 각 조회 패킷으로 전송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시를 위하여 비컨 신호의 길이를 고정된 것이라 가정하면, 16kB에서 전 신호는 단일 조회 트레인에 수용될 수 있다(하나의 트레인은 16 채널 호핑 순서의 256개의 반복이며, 256*16*4 바이트 = 16kB를 준다).
이것을 확장하여, 비컨 신호의 첫 번째 패킷이 조회 트레인의 첫 번째 패킷으로 가는 것이라고 고정시킴으로써, 메시지 헤더의 현재 16 채널 호핑 순서를 위한 반복 횟수 동안 메시지 표시자 필드로부터, 슬레이브는 완성된 비컨 신호 내에 수신한 비컨 패킷의 위치를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를 읽은 후에는, 해당 분야에 숙련된 사람에게는 다른 변경도 가능할 것이다. 그러한 변경은 고정용 및 휴대용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 내에 포함된 시스템 및 구성성분의 설계, 제조 및 사용으로 이미 알려져 있는 다른 특징과 본명세서에서 이미 기술된 특징에 추가하여 또는 이 특징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특징을 수반할 수 있다. 일례로서, 매 방송 패킷 내에는 4개의 클록과 4개의 데이터 바이트를 가지는 전술한 구조 대신에, 다른 배열이 사용될 수 있는데, 즉 (매 16번째 패킷마다에 4개의 클록과 4개의 데이터 바이트를 갖는)매 16개의 패킷 중에서 15개의 패킷에서 2개의 클록과 6개의 데이터 바이트의 배열은 반드시 동기화 성능을 떨어뜨리지는 않으면서 데이터 전송 용량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특별히 휴대용 전화 및 적절히 장착된 PDA(개인용 디지털 보조 단말)과 같은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의 유저로 한정되지 않은, 전자 장비의 유저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이용된다.

Claims (22)

  1. 와이어리스 메시지 송신을 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비컨 디바이스와 상기 메시지 송신을 수신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첫 번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일련의 조회 메시지를 방송하도록 배열되며,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디바이스는 상기 조회 메시지를 검출하도록 하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로 응답하도록 배열되며, 여기서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수신된 식별자를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배열되며, 여기서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하여 트리거될 때 서비스 대화(service interaction)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로부터 오는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각각 배열된 복수의 제 2 비컨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컨 디바이스를 링크시키며 수신된 식별자를 송신하기 위한 안전 데이터 채널을 더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는 서비스 대화가 수행되고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 목록을 유지하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통신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타이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는 만약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대화가 일어나지 않으면 상기 목록으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는, 만약 상기 식별자의 복사본(duplicate copy)이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목록으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는, 만약 상기 대화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제거를 요청하는 미리 결정된 메시지의 수신을 포함하면, 상기 목록으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각 조회 메시지는 상기 첫 번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배열된 복수의 데이터 필드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송신 전에 각 조회 메시지에 추가적인 데이터 필드를 추가하도록 더 배열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디바이스는 송신된 조회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적인 데이터 필드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배열되는, 통신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상기 미리 결정된 데이터 필드 중 하나의 데이터 필드에 상기 추가적인 데이터 필드의 존재를 나타내는 표시(indication)를 포함하도록 배열되는, 통신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통신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메시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미리 결정된 클록 연속 주파수 상에 일련의 조회 메시지를 방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에 대한 클록 정보는 상기 추가적인 데이터 필드로 운송되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통신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로서, 단거리 와이어리스 조회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와, 상기 메시지 내에 포함된 데이터를 처리하며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작성(compose)하도록 작동가능한 처리 수단과, 상기 작성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조회 메시지의 소스로 와이어리스 방식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12. 제 1 항의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비컨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사이에 있는 상호 연결부를 포함하는 통신 기반구조로서, 상기 비컨 디바이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 디바이스로 와이어리스 메시지 송신을 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첫 번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일련의 조회 메시지를 방송하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임의의 응답 메시지를 검출하며, 수신된 식별자를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작동 가능하며, 여기서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는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하여 트리거될 때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와 서비스 대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기반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비컨 디바이스 사이의 상기 연결부는 안전 데이터 채널을 포함하는, 통신 기반구조.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비컨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통신 기반구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비컨 중 하나의 비컨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비컨 디바이스로 진행 메시지 송신 세션(ongoing message transmission session)의 핸드오버를 개시 및 실행하도록 작동가능한 메시지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통신 기반구조.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통신 기반구조.
  17.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의 유저로 하여금 와이어리스 메시지를 할 수 있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비컨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환경에서 비컨 디바이스와 서비스 대화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첫 번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일련의 조회 메시지를 방송하며, 상기 유저 휴대용 디바이스는 상기 조회 메시지를 검출하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로 응답하며,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수신된 식별자를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로 송신하며,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와 휴대용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수신하여 트리거될 때 상기 서비스 대화를 수행하는, 서비스 대화 수행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는 서비스 대화가 수행되고 있는 휴대용 디바이스에 대한 식별자의 목록을 유지하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는, 서비스 대화 수행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는 만약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대화가 일어나지 않으면 상기 목록으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제거하는, 서비스 대화 수행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는 만약 상기 식별자의 복사본(duplicate copy)이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목록으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제거하는, 서비스 대화 수행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비컨 디바이스는 만약 상기 대화가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로부터 제거를 요청하는 미리 결정된 메시지의 수신을 포함하면, 상기 목록으로부터 휴대용 디바이스 식별자를 제거하는, 서비스 대화 수행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 메시지는 상기 첫 번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배열된 미리 결정된 복수의 데이터 필드의 형태로 각각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비컨 디바이스는 송신 전에 각 조회 메시지에 방송 메시지 데이터를 운송하는 추가적인 데이터 필드를 추가하며, 상기 휴대용 디바이스는 송신된 조회 메시지를 수신하며 상기 추가적인 데이터 필드로부터 오는 방송 데이터를 판독하는, 서비스 대화 수행 방법.
KR1020027002284A 2000-06-26 2001-06-18 비컨을 통한 로컬 데이터 전송 KR200200243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015452.6A GB0015452D0 (en) 2000-06-26 2000-06-26 Local data delivery through beacons
GB0015452.6 2000-06-26
GBGB0020101.2A GB0020101D0 (en) 2000-06-26 2000-08-15 Local data delivery through beacons
GB0020101.2 2000-08-15
PCT/EP2001/006949 WO2002001815A2 (en) 2000-06-26 2001-06-18 Local data delivery through beac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329A true KR20020024329A (ko) 2002-03-29

Family

ID=989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2284A KR20020024329A (ko) 2000-06-26 2001-06-18 비컨을 통한 로컬 데이터 전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024329A (ko)
GB (2) GB0015452D0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020101D0 (en) 2000-10-04
GB0015452D0 (en)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8263B2 (en) Local data delivery through beacons
EP1249104B1 (en) Data delivery through beacons
EP1323263B1 (en) Portable device interaction with beacons
EP1232608B1 (en) Message handover for networked beacons
EP1249105B1 (en) Data delivery through beacons
US6763224B2 (en) Low level mobility mangaement procedures
US20020094797A1 (en) Connectionless broadcast signalling
KR20050071610A (ko) 주파수 홉핑 무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서비스제공 방법, 액세스 포인트 그룹, 소프트웨어
JP2004530336A (ja) ビーコン・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
KR100769606B1 (ko) 비컨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 통신 디바이스, 및 통신 방법
KR20020024329A (ko) 비컨을 통한 로컬 데이터 전송
CN113691961B (zh) 通信终端的模式切换方法、终端、系统及存储介质
JP2905136B2 (ja) 信号伝送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KR20020088081A (ko) 결선없는 방송 시그널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6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7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