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694A - A supplementary apparatus to face mask - Google Patents
A supplementary apparatus to face mas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18694A KR20020018694A KR1020000051917A KR20000051917A KR20020018694A KR 20020018694 A KR20020018694 A KR 20020018694A KR 1020000051917 A KR1020000051917 A KR 1020000051917A KR 20000051917 A KR20000051917 A KR 20000051917A KR 20020018694 A KR20020018694 A KR 200200186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ce mask
- mask
- face
- handle
- fixing pa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ventilators;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61M16/0683—Holding devic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4—Tools for specific apparat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06—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호흡을 위한 안면 마스크가 환자의 안면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압(positive pressure) 호흡을 위한 안면 마스크에 사용되는 보조기구는, 상기 안면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손을 끼울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 손을 끼워 상기 고정부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안면 마스크가 환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d for allowing a face mask for breathing of a patient to be closely adhered to the face of the patient. The assisting device used in the face mask for positive pressure brea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art fixed to the face mask and a handle part which is structured to be fitted with a hand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The face mask is adjus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patient by applying a force to the fixing part by inserting a hand into the handle part.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자의 호흡이 소실 또는 감소하여 양압(positive pressure) 환기를 시행할 때 사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자와 호흡장치 사이에 밀봉된 접촉이 가능하게 하는 호흡 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use in performing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due to loss or reduction of breathing of a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 breathing device that enables a sealed contact between a patient and a breathing device. .
전신 마취나 어떤 이유로 인하여 환자가 자발적인 호흡이 소실되어 양압으로 환자를 호흡시키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환자와 그 호흡 장치 사이에 밀봉된 접촉을 필요로 한다. 이때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이 기관내 삽관의 방법과 안면 마스크의 방법이다. 기관내 삽관의 경우 기도내로 관을 거치하고 부착된 풍선을 팽창시켜 기관과 밀착시킨다. 안면 마스크는 적절한 압력으로 얼굴에 밀착시켜서 사용한다.If the patient loses spontaneous breathing due to general anesthesia or for some reason and breathes the patient with positive pressure, a sealed contact is usually required between the patient and the breathing apparatu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are endotracheal intubation and facial mask. In the case of endotracheal intubation, the tube is placed into the airway and the attached balloon is inflat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rachea. Facial masks are u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at the appropriate pressure.
안면 마스크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현재 도 1에 도시된 투명 1회용 마스크(transparent disposable mask)가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이 안면 마스크는 호흡기(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는 부위,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몸체, 안면부와 밀착하도록 되어있고 공기를 주입하여 부풀려쓰는 쿠션 부위로 되어있다. 도 2에 도시된 오하이오 아나토믹 마스크(ohio anatomic mask)도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다.There are many types of face masks, but the transparent disposable mask shown in FIG. 1 is the most widely used. The face mask is a part that connects to a respirator (not shown), a body made of transparent plastic, and a cushion pa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art and inflate with air. The ohio anatomic mask shown in FIG. 2 is also used for the same purpose.
안면 마스크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도 2 및 도 3에서 종래의 안면 마스크를 사용하는 보편적인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엄지와 검지 손가락은 마스크를 안면부에 밀착시키며, 나머지 손가락은 하악골을 당겨 기도를 유지하며 턱을 마스크 쪽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도 3의 화살표(31)는 한 손으로 안면 마스크의 양쪽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안면으로의 압력에 의해 마스크는 안면부에 밀착되어 양압 환기를 시키게 된다.Although there are various methods of using a face mask, a general method of using a conventional face mask i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Referring to FIG. 3, the thumb and the index finger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sk on the face, and the remaining fingers pull the mandible to maintain the airway and pull the jaw toward the mask. The arrow 31 of FIG. 3 illustrates the application of pressure to both sides of the face mask with one hand, and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face so that the mas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art to provid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이때에 환자의 얼굴이 마스크를 사용하는 시술자의 손에 비해 클 경우에는 시술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이 마스크 전체를 감싸지 못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을 향한 압력이 마스크의 한쪽에만 인가되고(화살표 43) 마스크의 반대쪽을 안면부와 밀착시키지 못하여 이 곳으로 호흡시키는 가스가 새어나가(화살표 41) 양압 환기를 시킬 수가 없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patient's face is larger than the operator's hand using the mask, the operator's thumb and index finger cannot cover the entire mask. 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pressure toward the face is applied to only one side of the mask (arrow 43), and the gas that breathes into this place is leaked (arrow 41) by not allowing the opposite side of the mask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ce part (arrow 41). There will be no.
이와 같은 경우 마스크에 압력을 가하기 위해 두 손을 모두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는 시술자의 두 손이 모두 마스크 압력에 사용되므로, 호흡낭(reservoirbag)이나 앰부 백(ambu bag)으로 양압 호흡을 시키기 위하여는 한 사람이 더 필요하다.In this case, both hands are used to pressurize the mask. In this case, both hands of the operator are used for the mask pressure. Therefore, in order to make positive pressure breathing with a reservoir bag or an ambu bag, I need one more pers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호흡을 위한 안면 마스크가 환자의 안면에 정확히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allowing a face mask for breathing of a patient to be closely adhered to the face of the patient.
도 1은 종래의 안면 마스크로서 투명 1회용 마스크(transparent disposable mask)를 도시한 도면.1 illustrates a transparent disposable mask as a conventional face mask.
도 2는 종래의 안면 마스크인 오하이오 아나토믹 마스크(ohio anatomic mask)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도시한 도면.FIG. 2 shows a general method of using a conventional facial mask, an ohio anatomic mask. FIG.
도 3은 종래의 안면 마스크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3 is an enlarged view of a general method of using a conventional face mask.
도 4는 종래의 안면 마스크를 손이 작은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 호흡 가스가 새어나가는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a problem that the breathing gas leaks when the conventional face mask is used by a person with a small han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기구를 부착한 안면 마스크를 사용하는 모양을 턱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Figure 5 is a view from the direction of the jaw using the face mask with the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6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n assist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기구의 제2실시예로서, 손의 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해 변형된 모델을 도시한 도면.Figure 7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assisti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model modified to improve the fixation of the han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기구의 제3실시예로서, 나사를 풀어 크기를 맞춘 후에 나사를 죄어 고정시킨 후 사용하는 모델을 도시한 도면.Figure 8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auxiliary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model for use after fixing and tightening the screw after loosening the screw siz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기구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9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assistiv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0은 오하이오 아나토믹 마스크에 사용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조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ssistiv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use in an Ohio anatomical mask.
도 11은 투명 1회용 마스크에 자체에 보조기구가 고정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1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auxiliary mechanism is fixed to itself in a transparent disposable mask.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65 : 고정부65: fixed part
66 : 연결부66: connection
67 : 손잡이부67: handle por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양압(positive pressure) 호흡을 위한 안면 마스크에 사용되는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안면 마스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손을 끼울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 손을 끼워 상기 고정부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안면 마스크가 환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조정하는 안면 마스크용 보조기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ssistive device used in the face mask for positive pressure breathing, the fixing portion fixed to the face mask, the structure can be fitted And a handle portion connected to the fixed portion, wherein the face mask assists to adjust the face mask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patient by applying a force to the fixed portion by inserting a hand into the handle portion. do.
상기 마스크용 보조기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를 더 포함한다.The mask aid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the fixing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상기 고정부는 견고한 재질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중공형일 수 있다.The fixing part may be made of a solid material, and may be hollow.
상기 마스크용 보조기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혹은 상기 고정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ask aid may further comprise means for adjusting the angle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handle part, or may further include means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handle part.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양압(positive pressure) 호흡을 위한 안면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 몸체와, 상기 몸체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부와, 손을 끼울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에 손을 끼워 상기 고정부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안면 마스크가 환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조정이 가능한 안면 마스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ace mask for positive pressure breathing, the mask body, the fixing portion attached to the body, the structure that can be fitted into the hand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And a face mask, wherein the face mask is adjustable so that the face mask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patient by putting a hand on the handle part and applying a force to the fixing part.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기본적인 형태의 안면 마스크용 보조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보조기구는 마스크에 고정하는 부위인 고정부(65)와 손을 집어넣는 부분인 손잡이부(67)와 고정부 및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66)를 포함한다. 도 6a는 보조기구와 함께 안면 마스크를 사용하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보조기구를 위쪽에서 바라본(도 6a의 화살표 1 방향) 평면도이고, 도 6c는 보조기구를 정면에서 바라본(도 6a의 화살표 2방향) 정면도이고, 도 6d는 보조기구를 측면에서 바라본(도 6a의 화살표 3방향) 측면도이다. 보조기구의 재질은 여러 가지가 될 수 있으나,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견고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힘이 잘 전달되어 마스크 전체가 안면쪽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Fig. 6 shows an auxiliary mechanism for a face mask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mechanism of FIG. 6 includes a fixing part 65 which is a part to be fixed to the mask, a handle part 67 which is a part to insert a hand, and a connection part 66 connecting the fixing part and the handle part. FIG. 6A is a view showing the use of a face mask with an assistive device, FIG. 6B is a plan view of the assistive device viewed from above (arrow 1 direction in FIG. 6A), and FIG. 6C is a front view of the assistive device (FIG. The arrow 2 direction of 6a) is a front view, and FIG. 6d is a side view of the auxiliary mechanism viewed from the side (arrow 3 direction of FIG. 6a). The assistive device may be of various materials,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rigid material such as plastic or metal, so that the force is well transmitted so that the entire mask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것을 턱 쪽에서 바라본 모양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술자의 한 손(도면에서 왼손)만으로는 마스크의 한쪽만 환자의 얼굴에 밀착시킬 수 있지만(화살표 52), 이 손에 고정된 보조기구를 통하여 반대쪽으로도 압력을 가하여(화살표 51) 밀착시켜 가스가 새지 않도록 하여 호흡을 시킬 수 있다.FIG. 5 is a view showing the use of the assistiv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side of the jaw, wherein only one hand of the operator (left hand in the drawing) is able to adhere only one side of the mask to the patient's face (arrow 52). Pressure can also be applied to the other side (arrow 51) through an assistive device secured to the hand to keep it tight and breathe.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기구의 제2 실시예로서, 손의 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변형시킨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FIG. 7 shows a model modified 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assis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hand fixation.
도 8은 본 발명의 보조기구의 다른 실시예로서, 나사를 풀어 크기를 맞춘 후에 나사를 죄어 고정시킨 후 사용하는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에서 연결부는 수나사(85)가 돌출되어 있고 고정부에 부착되어 있는 부분(81)과, 긴 홈(83)을 가지며 손잡이에 부착된 부분(82)으로 나뉘어져 있다. 긴 홈(83)에서 수나사(85)가 돌출되는 위치를 조정하여 암나사(84)를 죔으로써 손잡이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FIG. 8 shows a model for use after the screw is tightened and fixed after loosening and siz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auxiliary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the connecting portion is divided into a portion 81 where the male screw 85 protrudes and is attached to the fixing portion, and a portion 82 having an elongated groove 83 and attached to the handl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andle up and down by tightening the female screw 84 by adjusting the position where the male screw 85 protrudes from the long groove 83.
도 9는 손잡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기구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보조기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부와 손잡이부는 다른 실시예와 같으나, 연결부는 톱니를 가진 두 공동부(91, 92)과 스프링(93)에 의하여 공동부(92)와 연결되는 공동부(94)를 포함한다. 톱니는 도 9b 및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삼각형 모양이다. 세 공동부(91, 92, 94)는 모두 가운데 구멍이 뚤려 있다. 도 9a에 도시된 부품들을 연결막대(95)를 이용하여 조립하면 두 개의 톱니가 달린 공동부(91, 92)가 서로 연결되고, 용수철은 두 공동부(92,. 94) 사이 배치되어 공동부(92)를 공동부(91) 쪽으로 미는 방향의 압력을 가한다.9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tructure of the auxiliary mechanism that can adjust the angle of the handle. 9A is a view showing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uxiliary mechanism. The fixing part and the handle part are the same as in other embodiments, but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two cavity parts 91 and 92 having teeth, and a cavity part 94 connected to the cavity part 92 by a spring 93. The saw tooth has a right triangle shape as shown in FIGS. 9B and 9C. The three cavities 91, 92 and 94 all have a central hole. When the parts shown in Fig. 9a are assembled using the connecting rod 95, two toothed cavities 91 and 9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pring is disposed between the two cavities 92 and 94 so that the cavity The pressure in the direction of pushing the 92 toward the cavity 91 is applied.
도 9b를 참조하면, 조립되고 톱니가 맞물린 후에 손잡이부를 위로 올리려 하면(B방향), C 방향으로 밀리고, 톱니가 물려 있으므로 손잡이부가 올려지는 방향으로는(B방향)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손잡이부를 내리는 방향으로 힘을 주면 톱니가 풀리면서 D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손잡이부가 아래로 이동한다. 혹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부(92)를 D방향으로 당겨 용수철을 압축시키면서 물려 있는 톱니를 빼고 나서 손잡이부를 이동하면 위아래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이 가능하고, 이동 후 놓아주면 용수철의 작용으로 다시 톱니가 물려서 고정된다.Referring to FIG. 9B, when the handle part is assembled and the gear is engaged and tries to lift up the handle part (B direction), it is pushed in the C direction, and since the teeth are bitten, it does not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part is raised (B direction). However, if you apply force in the direction of pulling down the handle, the tooth is released and move in the D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handle moves down.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9C, when the cavity 92 is pulled in the D direction to remove the cogs while compressing the spring, the handle part can be moved up and down in any direction. The teeth are bitten again and fixed.
실제 사용시에는 손잡이부가 충분히 올려진 상태에서 시술자의 손을 손잡이부에 넣고 마스크를 환자 안면부에 밀착한 후 환자 얼굴쪽으로(아래 쪽, A방향) 손잡이부를 적절히 회전시킨다. 일단 손잡이가 적절한 위치가 된 후에는, 마스크의 손잡이부 반대쪽을 압박하기 위하여 손잡이부로 B 방향으로 힘을 가해도 톱니가 물려서 손잡이부가 움직이지 않는다.In actual use, with the handle fully raised, place the operator's hand on the handle and place the mask in close contact with the patient's face, then rotate the handle properly toward the patient's face (down, A direction). Once the handle is in the proper position, even if a force in the direction B is applied to the handle portion to press the opposite side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mask, the handle bites and the handle portion does not move.
도 10은 오하이오 아나토믹 마스크에 사용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조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마스크의 모양에 따라서 고정부의 모양이 변형되어 있다.FIG.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ssistiv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use in an Ohio anatomical mask. FIG. The shape of the fixing part is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ask.
도 11은 투명 1회용 마스크 자체에 보조기구가 고정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안면 마스크에 부가되는 보조기구의 형태로 실시할 수도 있지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1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auxiliary mechanism is fixed to the transparent disposable mask itsel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uxiliary device added to a conventional face mask, but may als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sk as shown in FIG.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보조기구가 세 개의 부분으로 구성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연결부를 따로 포함하지 않고 손잡이부 및/또는 고정부의 일부가 연결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는 마스크를 둘러싸는 중공의 원 또는 원에 가까운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손잡이부를 통해 마크스에 적절한 힘을 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형태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 For example,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 consisting of three parts, the handle portion and / or a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connection may perform the connection func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fixing portion is shown in the form of a hollow circle or close to the circle surrounding the mask, it is also possible to make a variety of other forms within the range that can apply a proper force to the mark through the handle por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얼굴이 큰 경우 등의 이유로 마스크 환기가 힘든 경우에도 시술자 혼자서 호흡개스가 새지 않도록 효율적인 양압 호흡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경우에도 더욱 편하게 양압환기를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mask ventilation is difficult due to a large face of the patient, the operator can effectively perform positive pressure breathing so as not to leak the breathing gas by himself, and it is possible to make th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more comfortable even in the general cas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1917A KR20020018694A (en) | 2000-09-04 | 2000-09-04 | A supplementary apparatus to face mas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51917A KR20020018694A (en) | 2000-09-04 | 2000-09-04 | A supplementary apparatus to face mas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18694A true KR20020018694A (en) | 2002-03-09 |
Family
ID=1968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51917A KR20020018694A (en) | 2000-09-04 | 2000-09-04 | A supplementary apparatus to face mas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18694A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58350U (en) * | 1987-04-07 | 1988-10-17 | ||
JP3013783U (en) * | 1995-01-20 | 1995-07-18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Reverse rotation prevention device for fishing reels |
JPH0857055A (en) * | 1994-08-19 | 1996-03-05 | Sumitomo Bakelite Co Ltd | Fixing strap for face mask |
WO1998034665A1 (en) * | 1997-02-10 | 1998-08-13 | Resmed Limited | A mask and a vent assembly therefor |
JP2000279520A (en) * | 1999-02-09 | 2000-10-10 | Resmed Ltd | Gas supply connecting device |
-
2000
- 2000-09-04 KR KR1020000051917A patent/KR20020018694A/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58350U (en) * | 1987-04-07 | 1988-10-17 | ||
JPH0857055A (en) * | 1994-08-19 | 1996-03-05 | Sumitomo Bakelite Co Ltd | Fixing strap for face mask |
JP3013783U (en) * | 1995-01-20 | 1995-07-18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Reverse rotation prevention device for fishing reels |
WO1998034665A1 (en) * | 1997-02-10 | 1998-08-13 | Resmed Limited | A mask and a vent assembly therefor |
JP2000279520A (en) * | 1999-02-09 | 2000-10-10 | Resmed Ltd | Gas supply connec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5310984B2 (en) | Sealing mechanism for anaesthetic airway devices | |
US5443063A (en) | Cuffed oro-pharyngeal airway | |
US8640692B2 (en) | Oropharyngeal device for assisting oral ventilation of a patient | |
US6763831B2 (en) | Adjustable ventilation mask for a patient | |
EP1555039A3 (en) | Respiratory mask with forehead support | |
US20030150450A1 (en) | Anatomical mouthpiece with retaining wings system and method | |
US4881540A (en) | Device and method for assisting in artificial respiration | |
US3006337A (en) | Airway for artificial respiration | |
US20080006270A1 (en) | Resuscitation device | |
US9415181B2 (en) | Ambidextrous ergonomic face mask | |
EP0421007A1 (en) | Resuscitation device | |
US8651102B2 (en) | Emergency ventil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 |
KR20020018694A (en) | A supplementary apparatus to face mask | |
CN215916073U (en) | Orotracheal intubation fixation device for edentulous patients | |
CN212346484U (en) | Laryngoscope for preventing patient airway droplet contamination | |
AU2018293549B2 (en) | Tapered compressible bite block | |
JP2512124Y2 (en) | Lalingel mask insertion training aids | |
GB2399024B (en) | Improvements relating to respiratory aids | |
CN219127859U (en) | a portable respirator | |
CN222399869U (en) | An anti-leakage anesthesia mask | |
CN213407339U (en) | An artificial respiration device for clinical medicine | |
EP0563037B1 (en) | Resuscitation aid | |
CN208574110U (en) | Auxiliary device for pharyngoscope tracheal intubation | |
CN118320252A (en) | Reusable and adjustable nasal tracheal cannula fixing band | |
CN206355412U (en) | Trachea cannula without bite-bl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7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