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18474A -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474A
KR20020018474A KR1020000051796A KR20000051796A KR20020018474A KR 20020018474 A KR20020018474 A KR 20020018474A KR 1020000051796 A KR1020000051796 A KR 1020000051796A KR 20000051796 A KR20000051796 A KR 20000051796A KR 20020018474 A KR20020018474 A KR 20020018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air conditioner
barrier
partition member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51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8474A/ko
Publication of KR20020018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47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콘트롤박스(60)를 베리어(50)에 장착하기 위한 작업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콘트롤박스(60)의 하단 양측에는 삽입편(62,62')을 하부를 향해 형성하고, 상기 베리어(50)에는 상기 삽입편(62,62')이 삽입되도록 걸고리편(52,52')과 베리어(50)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60)의 상부에는 걸이홀(64)을 형성하고 상기 걸이홀(64)에 대응되게 상기 베리어(50) 상단의 수평부(53)에는 상부걸이편(54)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콘트롤박스(60)를 베리어(50)에 장착하기 위해 별도의 부품이 사용되지 않게 되어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The control box mounting structure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콘트롤박스를 장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고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살펴보면, 공기조화기의 바닥을 베이스팬(1)이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팬(1)의 실내측 전면에는 프론트그릴(3)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그릴(3)은 공기조화기의 정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캐비넷(30)의 전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프론트그릴(3)의 일측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부(3i)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3e)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흡입부(3i)에는 흡입그릴(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3e)의 하부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콘트롤패널부(3c)가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그릴(3)의 내측에는 실내열교환기(7)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는 상기 프론트그릴(3)의 흡입부(3i)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공기조화사이클의 작동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위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에어가이드(9)에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가 설치되는 에어가이드(9)의 구성을 설명하면, 에어가이드(9)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7)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통공(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론트그릴(3)의 토출부(3e)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토출가이드(9e)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에어가이드(9)의 바닥면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7)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조(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9)와 결합되어서는 스크롤(11)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롤(11)의 내면에는 유동가이드면(12)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시로코팬(19)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그릴(3)의 콘트롤패널부(3c)에 대응되는 베이스팬(1) 상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콘트롤박스(14)가 설치된다. 상기 콘트롤박스(14)는 그 전단에서 2개의 나사로 상기 베이스팬(1)에 체결되고, 그 후단에서 상기 에어가이드(9)에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롤(11)의 후면에 밀착되어서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베리어(15)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15)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여 실내측 환경과 실외측 환경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15)의 상단 일측에는 전선통과구(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선통과구(16)의 내측 둘레에는 전선(w)이 상기 전선통과구(16)의 가장자리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링부(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리어(15)의 후단, 즉 실외측에는 모터마운트(18)가 베이스팬(1)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이에는 모터(17)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7)는 그 축이 각각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 축은 상기 베리어(15)를 관통하여 실내측의 스크롤(11) 내부로 돌출 된다. 상기 실내측으로 돌출된 축에는 시로코팬(19)이 설치된다. 상기 시로코팬(19)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7)를 통과시키고 다시 상기 토출가이드(9e)로 안내하여 실내로 다시 토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모터(17)의 실외측 축에는 송풍팬(21)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21)은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조화기 실외측의 실외열교환기(27)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외측에는 상기 송풍팬(22)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는 쉬라우드(23)가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23)는 실외열교환기(27)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쉬라우드(23)에는 상기 송풍팬(21)이 설치되는 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24는 쉬라우드(23)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25는 상기 에어가이드(9)와 쉬라우드(23)의 상단을 연결하여 그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브레이스이다.
다음으로, 실외열교환기(27)는 상기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외측 가장 외곽에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27)는 실외에서 흡입된 공기와 작동유체 사이에서 열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은 차폐하도록 캐비넷(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30)은 상기 베이스팬(1)과 체결되어 설치되고, 공기조화기의 양측면과 상단을 차폐한다.
여기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실외측에는 공기조화사이클의구성요소인 압축기와 팽창밸브 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을, 상기 실외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실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된다.
한편, 공기조화기가 냉방을 위해 동작되는 것을 살펴본다. 즉,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면, 공기조화사이클이 동작되고 상기 모터(17)가 상기 시로코팬(19) 및 송풍팬(21)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실내측에서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프론트그릴(3)의 흡입부(3i)를 통해 흡입되어 실내열교환기(7)로 전달된다. 상기 공기는 실내열교환기(7)를 통과하면서 작동유체와 열교환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된다.
그리고 상기 시로코팬(19)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9)의 통공(10)을 통해 시로코팬(19)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시로코팬(19)에서 토출되어 스크롤(11)의 내부를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토출가이드(9e)로 전달된다. 상기 토출가이드(9e)로 전달된 공기는 프론트그릴(3)의 토출부(3e)를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실외측에서는 상기 실내열교환기(7)에서 작동유체가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이 진행된다. 즉 상기 송풍팬(21)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으로 흡입되고, 상기 쉬라우드(23)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실외열교환기(27)를 통과하면서 작동유체와 열교환하여 외부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콘트롤박스(14)는 상기 베이스팬(1)과 2군데, 에어가이드(9)와 1군데에서 나사로 체결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조립이나 분해시에 많은 나사의 체결을 하여야 하므로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떨어지고 번거롭게 될 뿐만 아니라 부품의 개수가 많아지므로 제품의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나사를 사용하여 콘트롤박스(14)를 체결하면, 콘트롤박스(14) 내부에 있는 전장부품의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나사를 모두 풀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조립과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부품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하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단고정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단고정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베리어 52,52': 걸고리편
53: 수평부 54: 상부걸이편
60: 콘트롤박스 62,62': 삽입편
64: 걸이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에 설치되고 각종 전장부품이 내부에 설치되는 콘트롤박스와, 상기 콘트롤박스의 하단부를 상기 구획부재에 삽입시켜 고정하는 하단고정부와, 상기 콘트롤박스의 상단부를 상기 구획부재에 고정시키는 상단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단고정부는 상기 콘트롤박스의 하단 양측에 하부를 향해 형성된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과 대응되는 구획부재 상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편이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하부걸이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단고정부는 상기 콘트롤박스의 상단에 형성된 걸이홀과, 상기 구획부재의 상단 수평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홀에 걸려지는 상부걸이편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걸이편은 상기 상단 수평부에서 상기 구획부재의 표면을 향해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단고정부는 상기 콘트롤박스의 상단과 구획부재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콘트롤박스의 상단을 상기 구획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박스 장착구조에 의하면 콘트롤박스를 베리어에 용이하게 장착하고 분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베리어(50)의 일측은 2번 수직으로 절곡되어 에어가이드(9)가 위치되는 부분과 콘트롤박스(60)가 위치되는 부분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9)가 위치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실외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된다.
상기 베리어(50)에서 콘트롤박스(60)가 위치되는 부분에는 걸고리편(52,52')이 형성된다. 상기 걸고리편(52,52')는 상기 베리어(50)의 하단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리어(50)를 횡방향으로 소정 길이 절제하여 실내측으로 절곡시켜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걸고리편(52,52')과 베리어(50)의 표면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50)의 상단부에는 실내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수평부(5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부(53)에는 상부걸이편(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걸이편(54)은 도 3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53)의 하부를 향해 소정 경사지게 절곡되어 있다.
상기 베리어(50)에 장착되는 콘트롤박스(60)에는 그 내부에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60)의 하단 양측부에는 상기 베리어(50)의 걸고리편(52,52')에 삽입되는 삽입편(62,62')이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박스(60)의 상단에는 상기 베리어(50)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걸이편(54)이 삽입되는 걸이홀(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홀(64)은 상기 상부걸이편(54)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콘트롤박스(60)를 베리어(50)에 장착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콘트롤박스(6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편(62,62')을 상기 베리어(50)의 걸고리편(52,52')과 베리어(50)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삽입한다. 이와 같이 되면 콘트롤박스(60)의 하부가 상기 베리어(5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콘트롤박스(60)의 상단을 상기 베리어(50)에 고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콘트롤박스(60)의 상단을 상기 베리어(50)를 향해 눌러주는데, 이때, 상기 콘트롤박스(60)의 상단은 상기 수평부(53)의 하부로 들어가게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콘트롤박스(60)가 삽입되면, 상기 걸이홀(64)이 형성되어 있는 콘트롤박스(60)의 선단부가 상기 상부걸이편(54)을 눌러주면서 베리어(50)의 표면을 향해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콘트롤박스(60)가 이동되다가 상기 걸이홀(64)이 상기 상부걸이편(54)을 만나게 되면, 상기 상부걸이편(54)이 원상복귀되면서 상기 걸이홀(64)에 삽입되면서 체결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체결이 되면 상기 걸이홀(64)이 상기 상부걸이편(54)의 기저부에 걸림과 동시에 상기 콘트롤박스(60)의 상면이 수평부(53)의 하면에 닿게 되면서 콘트롤박스(60)의 상단부가 베리어(50)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트롤박스(60)를 베리어(50)에 장착하는 작업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별도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콘트롤박스(60) 하단부의 삽입편(62,62')을 베리어(50)의 걸고리편(52,52')이 형성하는 틈새에 삽입한 상태로 콘트롤박스(60)의 상단을 베리어(50)의 표면으로 눌러주면 조립이 완성된다.
그리고 분해시에는 상기 콘트롤박스(60)의 상단을 베리어(50)의 표면에 완전히 밀착시킨 상태에서 콘트롤박스(60)의 상단을 눌러 상기 걸이홀(64)에서 상기 상부걸이편(54)이 빠져나오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도구없이도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콘트롤박스(60)의 하단부가 베리어(50)에 장착되는 구조는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콘트롤박스(60)의 상단부에는 체결편(6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65)에는 나사공(65')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편(65)의 나사공(65')에 대응되는 베리어(50)에도 나사공(5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나사공(65',55)을 관통하여서는 나사(70)가 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단부는 상기 일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콘트롤박스(60)가 베리어(50)에 장착되고, 상단부에서는 나사(70)에 의해 콘트롤박스(60)가 베리어(5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트롤박스(60)를 베리어(50)에 장착함에 있어 비록 나사(70)가 하나 더 들어가게 되지만 콘트롤박스(60)의 체결은 보다 견고하고 정확하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를 사용하면 콘트롤박스를 베리어에 장착하기 위한 부품이 상대적으로 적어지므로 공기조화기 전체의 부품개수가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콘트롤박스를 장착하고 분해하기 위해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 및 분해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지며, 도구를 사용하더라도 상대적으로그 사용이 회수가 최소화되어 상대적으로 작업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구획부재와,
    상기 구획부재에 설치되고 각종 전장부품이 내부에 설치되는 콘트롤박스와,
    상기 콘트롤박스의 하단부를 상기 구획부재에 삽입시켜 고정하는 하단고정부와,
    상기 콘트롤박스의 상단부를 상기 구획부재에 고정시키는 상단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고정부는 상기 콘트롤박스의 하단 양측에 하부를 향해 형성된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과 대응되는 구획부재 상에 일체로 각각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편이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하부걸이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고정부는 상기 콘트롤박스의 상단에 형성된 걸이홀과,
    상기 구획부재의 상단 수평부에 형성되어 상기 걸이홀에 걸려지는 상부걸이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걸이편은 상기 상단 수평부에서 상기 구획부재의 표면을 향해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고정부는 상기 콘트롤박스의 상단과 구획부재에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어 콘트롤박스의 상단을 상기 구획부재에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KR1020000051796A 2000-09-02 2000-09-02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KR20020018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796A KR20020018474A (ko) 2000-09-02 2000-09-02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796A KR20020018474A (ko) 2000-09-02 2000-09-02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474A true KR20020018474A (ko) 2002-03-08

Family

ID=1968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796A KR20020018474A (ko) 2000-09-02 2000-09-02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84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9071C (zh) * 2002-11-26 2007-02-0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气调节器的控制盒组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9071C (zh) * 2002-11-26 2007-02-0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气调节器的控制盒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0953B2 (en) Air conditioner
KR20020018474A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KR100437393B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KR10038942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KR100389429B1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KR100757482B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KR100693539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체결구조
KR100353373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히터 장착구조
KR20020018473A (ko) 공기조화기의 콘트롤박스 장착구조
KR100633611B1 (ko) 공기조화기
KR100296799B1 (ko) 공기조화기
KR10034704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KR100347947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구조
KR20030000214A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KR0128732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콘트롤박스 취부구조
KR200180841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판넬구조
KR20050098399A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후면그릴 설치구조
KR20050057906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362436Y1 (ko) 공기조화기의콘트롤부조립장치
KR20030069457A (ko) 공기조화기의 히터 장착구조
KR200171916Y1 (ko) 공조기기
KR20040045516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설치구조
KR2003002306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공기유동장치
KR20020035980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KR20020018475A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