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13768A - 이동 무선 네트워크내의 트래픽 부하 제어를 위해 트래픽처리 용량을 고려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무선 네트워크내의 트래픽 부하 제어를 위해 트래픽처리 용량을 고려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768A
KR20020013768A KR1020010048208A KR20010048208A KR20020013768A KR 20020013768 A KR20020013768 A KR 20020013768A KR 1020010048208 A KR1020010048208 A KR 1020010048208A KR 20010048208 A KR20010048208 A KR 20010048208A KR 20020013768 A KR20020013768 A KR 20020013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rate
type
base station
processing capacity
maxim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긴빠스깔
블랑빠트릭
비스베끄올리비에
Original Assignee
크리스티안 그레그와르
알까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티안 그레그와르, 알까뗄 filed Critical 크리스티안 그레그와르
Publication of KR20020013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76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6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traf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부하 제어를 목적으로 트래픽 처리 용량을 고려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에서는 상기 트래픽 부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용량에서의 하나 이상의 한계들을 고려한다.

Description

이동 무선 네트워크내의 트래픽 부하 제어를 위해 트래픽 처리 용량을 고려하는 방법{A METHOD OF TAKING ACCOUNT OF TRAFFIC PROCESSING CAPACITY, FOR TRAFFIC LOAD CONTROL IN A MOBILE RADIO NETWOR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동 무선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CDMA 기술은 유니버셜 이동 통신 시스템(UMTS)과 같은 이른바 "제3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도 1에 요약된 대로, 이동 무선 네트워크는 UMTS에서 "노드 B"들로 공지된 한 세트의 기지국, 및 또한 UMTS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로 알려진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UMTS에서, 이 네트워크는 UMTS 지상 무선 접속 네트워크(UTRAN)로 알려져 있다. 노드 B는 자신의 담당 구역 또는 "셀" 안에 위치한 이동국들(UMTS에서는 "사용자 장비"(UE)로도 불려짐)과, 또한 그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CRNC) 둘다와 통신한다. UMTS에서 UE와 노드 B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는 Uu 인터페이스로 언급된다. 또한, UMTS에서 노드 B와 RNS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Iub 인터페이스로 언급된다. 또한, 이 네트워크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통상의 수단에 의해 통상의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CDMA 시스템들에서, 무선 인터페이스상의 용량 한계들은 다른 다중 접속 기술, 특히 시 분할 다중 접속(TDMA)기술을 이용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TDMA 기술은 특히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SM)과 같은 소위 "제2 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CDMA 시스템들에서는, 사용자들 모두가 같은 주파수 자원을 항상 공유한다. 따라서, 이런 시스템들에서의 용량은 간섭에 의해 제한되어지며, 이런 시스템들은 이 이유로 소프트 제한(soft-limited) 시스템들로 언급되어진다.
이는, CDMA 시스템들에서, 부하 제어 알고리즘들과 같은 알고리즘들이 과부하 예측, 과부하 검출, 및 품질 저하를 피하기 위해 과부하의 적절한 수정을 위해 제공되고, 주어진 순간에 셀안에서 사용되지 않는 용량이 이 셀안에 새로운 호를 받기 위해 충분한지의 여부를(호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등과 같은 다양한 파라미터들의 함수로서) 결정하기 위한 호 승인 제어 알고리즘이 제공되는 이유이다. 하기의 내용에서, 이들 다양한 알고리즘은 "부하 제어"라는 일반 용어로 일괄적으로 다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이들 알고리즘은 단지 무선 표준(radio criteria)만을 사용하고, 이들은 노드 B의 처리 용량에 관한 정보를 갖지 않는 CRNC에서 정상적으로 구현된다. 이런 조건들 아래에서, CRNC에 의해서만 받아들여진 새로운 호가 허용되는데, 이 호는 CRNC에서의 부가적인 처리 및 CRNC와 노드 B 사이에 상호교환되는 부가적인 신호를 무의미하게 발생시키는 노드 B에서의 불충분한 처리 자원 때문에 후속 거절된다.
자연적으로,(간섭 레벨이 매우 낮은 경우에 대응하는) 최대 용량의 경우들을 포함한 모든 환경들을 커버하기에 충분한 처리 자원들을 기지국에 제공함으로서 이들 결점들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 기지국은 고가이고 대부분의 시간동안 오버디멘션(overdimension)된다. 또한, 이런 시스템들에서 점차적으로 헐값의 서비스를 도입하는 상황에서는, 이들 시스템들이 최초로 서비스를 제공한 때는 기지국들의 처리 용량은 제한되고 그 이후로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시스템에서 트래픽 부하 제어를 위해 기지국들(또는 노드 B들)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MTS 시스템에 대해서, 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출간되고 3GPP R3-0000520 논문으로 수정된 논문 3G TS 25.433 V3.0.0(2000-01)은 노드 B가 스프레딩 팩터의 각각의 값에 대해 물리 채널 또는 스프레딩 코드를 할당함으로써 소비되는 이 처리 용량의 양과 함께, 전체 처리 용량("용량 크레디트(capacity credit)"로 언급됨)을 CRNC에 알리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출원인에 의해 관찰된대로,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된대로, 상기 해결책은 노드 B의 처리 용량에서의 제한들을 고려하기에는 부적당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이들 결함들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부하 제어를 목적으로 트래픽 처리 용량을 고려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에서는 상기 트래픽 부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용량에서의 하나 이상의 제한들을 고려한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는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갯수와 관련되어 있고, 대응되는 한계는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에 의해 나타내진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무선 링크의 상기 최대 갯수는 매크로다이버시티(macrodiversity)로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는 전송 다이버시티로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는 할당될 수 있는 무선 자원들의 최대 갯수에 의해 나타내진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는 설정된 무선 링크들에 대한 데이타 속도와 관련되어지고, 대응되는 제한은 설정된 무선 링크들에 대한 최대 데이타 속도에 의해 나타내진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최대 데이타 속도는 상방으로의 최대 데이타 속도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최대 데이타 속도는 하방으로의 최대 데이타 속도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최대 데이타 속도는 제 1 유형의 에러 수정 코드가 사용되는 제 1 유형의 트래픽에 대한 최대 데이타 속도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최대 데이타 속도는 제 2 유형의 에러 수정 코드가 사용되는 제 2 유형의 트래픽에 대한 최대 데이타 속도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에러 수정 코드의 제 1 유형은 터보 코드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에러 수정 코드의 제 2 유형은 콘볼루션(convolution) 코드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데이타 속도는 순수(net) 데이타 속도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계들은 셀당 또는 기지국당 기반으로 고려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계들은 물리 채널에 대해 고려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계들은 물리 채널의 유형에 대해 고려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물리 채널의 하나의 유형은 전용(dedicated) 물리 채널이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물리 채널의 하나의 유형은 공통 물리 채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데, 이 네트워크는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무선 네트워크용 기지국을 제공하는데, 상기 기지국은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지국내의 상기 수단은 처리 용량에서의 하나 이상의 한계들을 제어 기지국 제어기에 알리기 위한 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계들은 트래픽 부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무선 네트워크용 기지국 제어기를 제공하고, 이 기지국 제어기는 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필수적으로 포함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기지국 제어기내의 상기 수단은 기지국의 처리 용량에서 트래픽 부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한계들이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도 1은 특히 UMTS 시스템과 같은 이동 무선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조를 요약한 도면.
도 2 및 3은 UMTS 시스템용 노드 B와 같은 기지국에서 각각 송수신에 사용되는 주 처리를 요약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의 예를 도시한 상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신기
2 : 채널 인코딩 수단
3 : 스프레딩 수단
4 : 무선 송신기 수단
5 : 수신기
6 : 무선 수신기 수단
도 2 및 3은 특히 UMTS 시스템용의 노드 B와 같은, 기지국에서의 송수신에 각각 사용되는 주 처리를 요약한다.
도 2는 다음을 포함하는 송신기(1)를 도시한다:
채널 인코딩 수단(2);
스프레딩 수단(3); 및
무선 송신기 수단(4).
이들 처리의 다양한 종류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다시 설명될 필요는 없다.
통상의 방식에서, 채널 인코딩은 에러 수정 코드 및 송신 에러에 대한 방지 획득용 인터리빙과 같은 기술들을 이용한다.
인코딩(가령 에러 수정 코드에 의해 행해짐)은 송신된 정보로 리던던시를 도입하기 위한 것이다. 코딩 비는 송신된 비트들 또는 코드 비트들의 수에 대한 송신될 정보 비트들의 수의 비로서 정의된다. 서비스 품질의 다양한 레벨들은 다른 유형들의 에러 수정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UMTS에서, 트래픽의 제 1 유형에 대해(고속 데이타 속도의 데이타 트래픽과 같은), 터보 코드로 구성된 에러 수정 코드의 제 1 유형이 사용되고, 트래픽의 제 2 유형에 대해(저속 데이타 속도의 육성 또는 데이타와 같은), 콘볼루션 코드로 구성된 에러 수정 코드의 제 2 유형이 사용된다.
또한 채널 코딩은 전송에 사용가능한 데이타 속도와 전송될 데이타 속도를 매칭시키기 위해 데이타 속도를 적응시키는 것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데이타 속도 매칭은 반복 및/또는 펑처링(puncturing)과 같은 기술을 포함하고, 데이타 속도 적응 비는 반복 비 및/또는 펑처링 비로서 정의되어진다.
생 데이타 속도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제적으로 전송된 데이타 속도로 정의된다. 순수 데이타 속도는 특히 인코딩에 의해 도입된 리던던시와 같이, 사용자에게는 전혀 쓸모가 없는 것을 생 데이타 속도로 부터 제거한 후에 얻어진 데이타 속도이다.
스프레딩은 공지된 스펙트럼 스프레딩의 원리들을 이용한다. 또한 사용되는 스프레딩 코드의 길이는 스프레딩 팩터로 공지되어있다. 특히 UMTS와 같은 시스템에서, 스프레딩 팩터는 전송될 데이타 속도의 함수로서 가변될 수 있다.
도 3은 다음을 포함한 수신기(5)를 도시한다:
무선 수신기 수단(6); 및
수신 데이타의 추정을 위한 수단(7), 이 수단은 특히 언스프레딩(unspreading) 수단(8) 및 채널 디코딩 수단(9)을 포함한다.
이들 각종 처리는 또한 당업자에게 잘 공지되어 있고 따라서 본 명세서에 상세히 다시 설명할 필요는 없다.
도 3은 언스프레딩 수단(8)으로 구현될 수 있는 처리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서, 이 처리는 특히 환경내의 요소들상의 다중 반사들에 의해 얻어지는 바와 같이, 멀티패스 현상, 즉 멀티패스들을 통한 단일 소스 신호의 전파를 이용해서 수신 데이타의 추정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레이크(Rake) 유형 수신기로 구현된 것에 대응한다. CDMA 시스템들에서, 특히 TDMA 시스템들과는 다르게 수신 데이타의 추정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들 멀티 패스가 이용될 수 있다.
레이크 수신기는 101내지 10L로 표시된 L개의 핑거들의 세트, 및 여러 핑거들로 부터의 신호들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11)을 함께 포함한다. 각 핑거는 고려된 많은 패스들 중의 하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언스프레드하기 위해 동작하며, 고려될 이 패스들은 전송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추정하기 위한 수단(12)에 의해 결정된다. 수단(11)은 수신 데이타가 추정되고 여러번 반복되는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한 처리를 이용해서, 고려된 다양한 패스들에 대응하는 언스프레드 신호들을 결합하도록 동작한다.
또한 레이크 수신기에 의한 수신 기술은 단일 소스 신호가 다수의 기지국들로 부터 단일 이동국으로 동시에 전송되는 매크로다이버시티 전송 기술과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 매크로다이버시티 전송 기술은 레이크 수신기의 사용으로 인한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뿐만아니라, 셀들 간의 이 기술은 핸드오버(handover)동안 호를 잃어버릴 위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이동국이 임의의 하나의 순간에 단지 하나의 기지국에 연결되는 "하드(hard)" 핸드오버 기술과 반대인 "소프트(soft)" 핸드오버로 언급된다.
또한 수신 데이타 추정을 위한 수단은 간섭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들어, 다중사용자 검출 기술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면, 수신 데이타의 추정된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한 것과 마찬가지로, 수신 데이타를 추정하기 위한수단은 다양한 수신 안테나들을 통해 얻어진 신호들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채널 디코딩은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및 에러 수정을 갖는 디코딩과 같은 기능들을 포함한다. 에러 수정을 갖는 디코딩은 일반적으로 에러 수정 코드를 사용하는 인코딩보다 훨씬 더 복잡하고, 예를 들어, 최대 가능성에 의한 디코딩과 같은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볼루션 코드들과 함께, 비터비(Viterbi) 알고리즘으로 공지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들을 처리하는 것을 가능케 하기 위해, 기지국 또는 노드 B는 상기한 송신기 및 수신기와 같은 송신기 및 수신기들의 세트를 갖는다. 따라서, 기지국 또는 노드 B에서 특히 수신측에서, 수신 데이타를 추정하기 위해 대량의 처리 용량이 필요하다.
특히, 대량 처리 용량은 레이크 수신기에 의해 행해진 처리를 위해 필요하다. 적어도 하나의 레이크 수신기 핑거가 하나의 액티브 사용자에 대해 필요하고, 그러나 핑거의 수는 수신 안테나의 갯수, 기지국의 섹터들의 갯수,..등과 같은 다수의 파라미터들에 의존할 수 있다. 레이크 수신기의 핑거들의 총수는 일반적으로 기지국에서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최대 수, 또는 기지국에서 동시에 처리될 수 있는 고려중인 셀내의 액티브 사용자들의 수에 대한 한계를 뜻한다.
또한 대량 처리 용량은 채널 디코딩을 위해, 주로 에러 수정을 갖는 디코딩을 위해 기지국에서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에러 수정을 갖는 디코딩을 위해 필요한 처리 자원들의 양은 데이타 속도와 관련되고 이것은 데이타 속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노드 B의 처리 용량은 제한될 수 있고, 이 경우는 부하 제어 알고리즘 또는 호 허용 알고리즘과 같은 알고리즘들에서 CRNC가 이를 고려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언급한 종래의 해결책은 최적 방식으로 이 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는데, 특히 다음의 이유들 때문이다:
·채널 디코딩에서 행해진 처리는 생 데이타 속도, 또는 실제 스프레딩 팩터보다 순수 데이타 속도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128인 스프레딩 팩터(생 데이타 속도는 초당 30킬로비트이고)에 대해, 순수 데이타 속도는 코딩 비 및 데이타 속도 매칭 비에 의존해서 다양한 값들을 가질 수 있고, 일반적으로 순수 데이타 속도는 5 kbps내지 15 kbps까지의 범위안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된 스프레딩 팩터에 대해서, 노드 B에서의 처리 용량은 크게 변할 수 있다(예를 들어 3보다 큰 인수에 의해). 불행하게도, 종래 해결책은 이점을 무시하였다.
·전술 채널 및 그 데이타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무선 링크들의 갯수에 크게 의존한다. 종래의 해결책에서, 이 유형의 한계가 스프레딩 팩터와 관련이 없기 때문에 노드 B에서 레이크 수신기 핑거들의 최대 갯수는 부하 제어 알고리즘 또는 호 허용 알고리즘과 같은 알고리즘들에서 무시되었다.
·노드 B에 의해 CRNC로 통지된 처리 용량은 전체 처리 용량이고, 노드 B의 처리 용량상의 다른 가능한 한계들을 고려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래픽 부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처리 용량에서의 하나 이상의 한계가 고려된다.
트래픽 부하를 나타내는 제 1 파라미터는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갯수이고, 노드 B의 처리 용량에서의 대응 한계는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에 의해 표시된다.
하나의 가능성은 매크로다이버시티로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를 고려하는 것이다.
제공되는 수신 성능의 향상에 대한 반대급부로서, 예를 들어, 처리 자원들은 새로운 호를 허용하는것 대신에 현재의 호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매크로다이버시티 전송 기술은 처리 과부하의 위험을 더 빨리 초래하는 결함을 갖는다. 이런 이유로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에 우선하여(매크로다이버시티로 설정되든 말든), 해당 셀에서 매크로다이버시티내로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가 노드 B의 처리 용량에서의 이 유형의 한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유사한 이유들로, 또 다른 가능성은 전송 다이버시티내로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를 고려하는 것이다.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를 고려하는 것에 대한 또 다른 가능성은 해당 셀내에서 할당될 수 있는, 무선 자원들의 최대 갯수 또는 스프레딩 코드들을 고려하는 것이다.
트래픽 부하를 나타내는 또 다른 파라미터는 이미 설정된 무선 링크들에 대한 데이타 속도이고, 노드 B의 처리 용량에서의 대응된 한계는 설정된 무선 링크들에 대한 최대 데이타 속도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양호하게, 고려된 데이타 속도는 순수 데이타 속도이다.
또한, 이런 시스템들내에서 데이타 속도를 한정하기 위한 모든 가능성들을 커버하기 위해, 데이타 속도는 비트 속도, 심벌 속도, 또는 칩 속도가 될 수 있다.
비트 속도와 심벌 속도사이의 차이는 다수의 가능한 변조의 종류들을 이용하는 시스템들내에서 통상 만들어진다. 변조는 전송될 정보를 상기 정보를 나를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이다. 다양한 변조 기술들은 공지되어 있고, 주어진 할당된 주파수 영역에 대해, 이들의 스펙트럼 효율, 즉 심벌당 보다 큰 또는 보다 작은 수의 비트들을 전송하는 이들의 능력에 의해 특성화되는데, 주어진 할당 주파수 대역에서 전송 비트 속도는 변조 효율과 함께 증가한다.
용어 칩 속도는 스프레딩 이후의 데이타 속도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여기에서 용어 "칩"은 통상 스프레딩 후에 얻어진 신호의 단위 전송 주기를 지시한다).
수신시 노드 B의 처리 용량의 한계들을 고려하기 위해, 고려된 최대 데이타 속도는 상방으로의 최대 데이타 속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송시의 처리는 수신시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것 보다 작은 처리 용량을 필요로한다. 그러나, 특히 에러 수정 코드들에 의한 처리때문에, 전송시의 최대 데이타 속도에 대한 제한이 가해질 수도 있다.
또한 전송시 노드 B의 처리 용량의 한계들을 고려하기 위하여,
·상방 최대 데이타 속도; 와
·하방 최대 데이타 속도 사이에는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처리 자원들의 양은, 예를 들어 UMTS에서 터보 코드 또는 콘볼루션 코드와 같은 사용된 에러 수정 코드의 유형에 의존한다. 보다 큰 처리 용량은 터보 코드에서 필요하다.
최대 데이타 속도에 대한 제한이 다음의 사이에서의 차이를 유도한다:
·특히 터보 코드와 같은 제 1 유형의 에러 수정 코드를 이용한 제 1 유형 트래픽에 대한 최대 데이타 속도; 및
·특히 콘볼루션 코드와 같은 제 2 유형의 에러 수정 코드을 이용한 제 2 유형 트래픽에 대한 최대 데이타 속도.
또한 제한들은 기지국내에서 사용가능한 메모리 볼륨에도 기인한다. 필요한 메모리 볼륨은 데이타 속도와, 에러 수정 코드 및 인터리빙이 행해지는 시퀀스의 길이에 의존한다.UMTS 시스템에서, 또한 이 길이는 전송 시간 인터벌(TTI)로 언급된다.
따라서, 노드 B의 처리 용량의 또 다른 한계는 노드 B에서 사용가능한 메모리 볼륨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이 유형의 한계는 특히 데이타 속도와 같은, 트래픽 부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들에 의해서도 표현될 수 있다.
단일 노드 B가 다수의 셀들을 처리할 수 있다면, 고려되는 다양한 한계들은 셀당 또는 노드 B당 기반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다양한 셀들을 처리하는 노드 B에 대해, 고려되는 각 한계와 관련하여 셀당 값 및 노드 B에 대한 값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려된 다양한 한계들은 노드 B에 의해 CRNC로 신호로 보내진다. 이런 환경하에서, 이런 신호를 보내는 데 필요한 전송 자원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예를들어 다음과 같은 소정 종류의 정보로 시그널링을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셀 또는 노드 B 내에서 설정가능한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
·셀 또는 노드 B내에서의 설정된 무선 링크들 모두를 고려하여 노드 B의 콘볼루션 디코더가 처리할 수 있는 상방의 최대 순수 데이타 속도(kbps); 및
·셀 또는 노드 B내에서 설정된 무선 링크들 모두를 고려하여 노드 B의 터보 디코더가 처리할 수 있는 상방 최대 순수 데이타 속도(kbps).
이것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부호 M은 노드 B에서 CRNC로 보내진 시그널링 메세지를 나타내고, 상기 시그널링 메세지는 다음의 정보, 즉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MMAX); 콘볼루션 디코더에 대한 최대 데이타 속도(D1MAX); 및 터보 디코더에 대한 최대 데이타 속도(D2MAX)를 포함한다.
다수의 셀들, 가령 3개의 셀을 처리하는 노드 B에 대해, 노드 B에서 CRNC로 보내진 시그널링 메세지는 각 표준에 대해 가령, 4개의 다른 값의 D1MAX: 셀당 하나의 D1MAX값 플러스 노드 B에 대한 D1MAX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다수의 셀들 사이에서 구별하는것 없이 노드 B에 대한 단일 D1MAX값만을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들 한계들 각각에 대해, 각 물리 채널에 대한 값을 신호로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UMTS에서 다양한 물리 채널들은 특히 다음의 채널들을 포함한다:
·전용 물리 데이타 채널/전용 물리 채널 제어 채널(DPDCH/DPCCH);
·물리 랜덤 접속 채널(PRACH);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등등.
또한, 물리 채널에 대한 값을 신호로 보내는 것 대신에, 물리 채널의 각 유형에 대한 값을 신호로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물리 채널의 하나의 유형은 전용 채널(또는 특정 사용자에 할당된), 예를 들면 UMTS에서 DPDCH/DPCCH 채널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채널의 또 다른 유형은, UMTS에서 PRACH와 같은, 공통 채널(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공유된)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한계들은 특히 채널 디코딩에 기인한 데이타 속도상의 제한들, 및 레이크 수신기에 의한 처리로 인한 무선 링크들의 갯수상의 제한을 분리하여 고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앞에서 설명한대로, 이들 한계는 노드 B에 의해 이들이 변하는 각 시간에 CRNC로 전송될 수 있다. 이들은 UMTS에 관한 논문 3G TS 25.433 V3.0.0 (2000-01)에 정의된 자원 상태 지시 메세지와 같은 특별한 시그널링 메세지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노드 B에 의해 CRNC로 신호를 보내는 것 대신에, 이 정보는 어떤 다른 수단, 특히 시스템의 동작 및 유지(O 및 M) 수단에 의해 CRNC로 통신될 수 있다.
CRNC는 고려된 파라미터 각각에 대해 한계가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여 이러한 방식으로 자신에게 전송 또는 통신되는 각종 한계를 고려하고, 만약 상기 정의된 아이템 NMAX, D1MAX, D2MAX를 수신한다면, 다음의 여부를 검증한다:
·셀 또는 노드 B에서 설정된 무선 링크들의 갯수가 NMAX보다 작은지의 여부;
·셀 또는 노드 B에서 설정된 무선 링크 모두가 D1MAX보다 작은 경우, 노드 B의 콘볼루션 디코더가 처리해야 하는 상방의 최대 순수 데이타 속도(kbps); 및
·셀 또는 노드 B에서 설정된 무선 링크 모두가 D2MAX보다 작은 경우, 노드 B의 터보 디코더가 처리해야 하는 상방의 최대 순수 데이타 속도(kbps).
이들 조건들중 임의의 하나가 만족되지 않는다면, CRNC는 예를 들어, 고려중인 셀 또는 노드 B에서 새로운 호를 받아들이지 않을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수의 셀들(가령, 3개)을 조정하는 노드 B에 대해, 예를 들어 노드 B로부터 CRNC로 보내진 시그널링 메세지가 각 표준에 대해 4개의 다른 값 즉 셀당 하나 및 노드 B에 대해 하나를 갖는 상기 고려된 경우에 CRNC는 4개의 제한들, 각 셀내의 링크들의 모두에 대한 하나 및 노드 B의 모든 셀들내에 모든 링크들에 대한 하나를 검증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부하 제어를 위해 트래픽 처리 용량을 고려할 수 있다.

Claims (23)

  1.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서 트래픽 부하 제어를 목적으로 위한 트래픽 처리 용량을 고려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부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용량에서의 하나 이상의 한계들을 고려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는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갯수에 관련되고, 대응되는 한계는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에 의해 표현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는 매크로다이버시티(macrodiversity)로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인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는 전송 다이버시티로 설정될 수 있는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인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들의 최대 갯수는 할당될 수 있는 무선 자원들의 최대 갯수로 나타내지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는 설정된 무선 링크들에 대한 데이타 속도에 관련되고, 대응되는 한계는 설정된 무선 링크들에 대한 최대 데이타 속도에 의해 나타내지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데이타 속도는 상방에서의 최대 데이타 속도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데이타 속도는 하방에서의 최대 데이타 속도인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데이타 속도는 제 1 유형의 에러 수정 코드가 사용되는 제 1 유형의 트래픽에 대한 최대 데이타 속도인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데이타 속도는 제 2 유형의 에러 수정 코드가 사용되는 제 2 유형의 트래픽에 대한 최대 데이타 속도인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에러 수정 코드의 제 1 유형은 터보 코드인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에러 수정 코드의 제 2 유형은 콘볼루션 코드인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속도는 순수(net) 데이타 속도인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들은 셀당 또는 기지국당 기반으로 고려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들은 물리 채널에 대해 고려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들은 물리 채널의 유형에 대해 고려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물리 채널의 하나의 유형은 전용 물리 채널인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물리 채널의 하나의 유형은 공통 물리 채널인 방법.
  19. 제1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
  20. 제1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용 기지국.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처리 용량에서의 하나 이상의 한계들을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에 알리기 위한 수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한계들은 트래픽 부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들에 대응하는 기지국.
  22. 제1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무선 네트워크용 기지국 제어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내의 상기 수단은 기지국의 처리 용량에서 트래픽 부하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한계들이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제어기.
KR1020010048208A 2000-08-10 2001-08-10 이동 무선 네트워크내의 트래픽 부하 제어를 위해 트래픽처리 용량을 고려하는 방법 Ceased KR200200137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0538A FR2813006B1 (fr) 2000-08-10 2000-08-10 Procede pour tenir compte de la capacite de traitement du trafic, pour le controle de la charge de trafic dans un reseau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FR0010538 2000-08-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768A true KR20020013768A (ko) 2002-02-21

Family

ID=8853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208A Ceased KR20020013768A (ko) 2000-08-10 2001-08-10 이동 무선 네트워크내의 트래픽 부하 제어를 위해 트래픽처리 용량을 고려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021673A1 (ko)
EP (1) EP1180908A1 (ko)
JP (1) JP2002135852A (ko)
KR (1) KR20020013768A (ko)
CN (1) CN1338882A (ko)
FR (1) FR28130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506A1 (ko) * 2012-12-19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4098504A1 (ko) * 2012-12-19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4098505A1 (ko) * 2012-12-19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9658B1 (fr) * 2001-01-12 2004-04-09 Cit Alcatel Procede de gestion des ressources de traitement dans u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s mobiles
AU2003263164A1 (en) 2002-07-03 2004-01-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for controlling a data transmission in a radiocommunication system with a hierarchical network architecture
EP1848234B1 (en) * 2005-01-11 2010-10-06 NTT DoCoMo, Inc. Wireless resource management method, wireless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controller
JP4083771B2 (ja) * 2005-02-09 2008-04-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リソース管理方法、無線回線制御局及び無線基地局
US20080207245A1 (en) * 2005-08-04 2008-08-28 Mitsubish Electri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Control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DE602006005669D1 (de) * 2006-09-15 2009-04-23 Ntt Docomo Inc Gerät zur Unterstützung der Datenübertragung zwischen einer Konfigurationsvorrichtung und einer Datenverarbeitungsvorrichtung für Cross-Layer-Optimierung
EP1928196A1 (en) * 2006-11-30 2008-06-04 Alcatel Lucent A method for radio flow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068513B2 (en) * 2007-05-07 2011-11-29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Determining load measure for network element
ES2349382B1 (es) * 2009-01-16 2011-11-11 Vodafone España, S.A.U Metodo para activar/desactivar automaticamente una diversidad de recepcion de x-vias de una estacion base en una red movil, en funcion del consumo de banda base.
ES2353481B1 (es) * 2009-02-05 2012-01-13 Vodafone España, S.A.U Procedimiento de gestión de recursos de banda base en redes de comunicaciones móviles que implementan técnicas de cancelación de interferencia.
ES2361893B1 (es) * 2009-08-07 2012-05-04 Vodafone España, S.A.U. Método y sistema para seleccionar din�?micamente el alcance de celda de una estación ba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2307A1 (en) * 1998-04-03 1999-10-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radio access and resource allocation in a universal mobile telephone system (umts)
WO2000033589A1 (en) * 1998-11-30 2000-06-08 Nokia Networks Oy Air interface capacity schedul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0534A (en) * 1996-09-20 1998-08-04 Nokia Mobile Phones Limited Load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DMA cellular system having circuit and packet switched terminals
US6330232B1 (en) * 1997-07-16 2001-12-11 Nortel Networks Limited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carrier selection at a CDMA cell site
KR100250716B1 (ko) * 1997-10-31 2000-04-01 서평원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의 호제어방법
FI108588B (fi) * 1998-12-15 2002-02-15 Nokia Corp Menetelmä ja radiojärjestelmä digitaalisen signaalin siirtoon
US7233600B1 (en) * 1998-12-17 2007-06-19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SP resource management
GB2347317A (en) * 1999-02-25 2000-08-30 Motorola Ltd Determining a cost function from the actual resource impact of supporting a subscriber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6434380B1 (en) * 1999-12-13 2002-08-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ynamic negotiation of resources for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6393276B1 (en) * 2000-01-12 2002-05-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obile station assisted forward link open loop power and rate control in a CDMA system
US6996081B1 (en) * 2000-10-05 2006-02-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capacity reporting to control node of radio access network
US6738624B1 (en) * 2000-11-16 2004-05-1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apacity reporting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2307A1 (en) * 1998-04-03 1999-10-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radio access and resource allocation in a universal mobile telephone system (umts)
WO2000033589A1 (en) * 1998-11-30 2000-06-08 Nokia Networks Oy Air interface capacity scheduling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TSI TS 125 433 V3.2.0 *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98506A1 (ko) * 2012-12-19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4098504A1 (ko) * 2012-12-19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4098496A1 (ko) * 2012-12-19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선택적 트래픽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WO2014098505A1 (ko) * 2012-12-19 2014-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686731B2 (en) 2012-12-19 2017-06-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electively processing traffic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access network,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9826451B2 (en) 2012-12-19 2017-11-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mmunica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access network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9961610B2 (en) 2012-12-19 2018-05-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mmunica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access network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10123246B2 (en) 2012-12-19 2018-11-0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mmunica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multiple access network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13006B1 (fr) 2003-01-31
US20020021673A1 (en) 2002-02-21
FR2813006A1 (fr) 2002-02-15
JP2002135852A (ja) 2002-05-10
EP1180908A1 (fr) 2002-02-20
CN1338882A (zh) 200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0640B2 (en) Method of managing processing resources in a mobile radio system
KR100773793B1 (ko) 순방향 링크용 가변 레이트 코딩 방법
CN100401651C (zh) 用于确定移动站内的接收分集的方法和装置
US81895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rate packet data transmission
EP187395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transmission control in a high data rate communication system
US7428406B2 (en) Data transfer method for halting communication of data when a transfer gap is detected
EP11171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DMA cellular radio transmission system
US200402338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EP1285507B1 (en) Data transfer method
US200700649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nd receiving plurality of data streams
KR20010073079A (ko) 추론적 지식을 이용한 코덱 모드 디코딩
EP1526670B1 (en) Radio device
KR20020013768A (ko) 이동 무선 네트워크내의 트래픽 부하 제어를 위해 트래픽처리 용량을 고려하는 방법
US20040053597A1 (en) Method for managing processing resources in a mobile radiocommunication system
US20080089447A1 (en) Radio Base Station, Radio Line Control St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JP4205371B2 (ja) 移動無線システムの処理リソースを管理する方法
KR100880289B1 (ko) 이동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처리 자원을 관리하는 방법
Holma et al. High‐Speed Packet Access Evolution (HSPA+) in 3GPP Release 7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8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5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0710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