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534A - 전극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극 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13534A KR20020013534A KR1020017014079A KR20017014079A KR20020013534A KR 20020013534 A KR20020013534 A KR 20020013534A KR 1020017014079 A KR1020017014079 A KR 1020017014079A KR 20017014079 A KR20017014079 A KR 20017014079A KR 20020013534 A KR20020013534 A KR 2002001353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electrode
- electrode structure
- fan
- cathod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05—Porous electrodes
- H01M4/8626—Porous 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form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70—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 C25B9/73—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of the filter-press type
- C25B9/77—Assemblies comprising two or more cells of the filter-press type having diaphrag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icromachine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 Hybrid Cell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70)
- 접시형 리세스와, 인접한 전극 구조체의 플랜지 사이에 있는 분리기를 밀봉하기 위한 가스켓 수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시형 리세스 주변 둘레에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분리기는 제1 전극 구조체의 양극 표면과 제2 전극 구조체의 음극 표면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전극 구조체의 양극 표면이 제2 전극 구조체의 음극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그 음극 표면을 대면하지만 상기 분리기에 의하여 음극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또 상기 분리기에 밀폐식으로 밀봉되어 있는, 팬과;상기 팬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전기 전도성 판과;용액용 유입구; 그리고유체용 배출구를 포함하며,상기 판은 다수의 전기 전도성 부재에 의하여 팬에 전기 전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도성 부재에는 전도성 판이 전기 전도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전도성 판이 양극판인 경우에, 팬에 직접 전기 전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는 조건하에서, 상기 전도성 부재는 팬과 전도성 판 사이에 전기 전도 경로를 제공하며,상기 전극 구조체가 양극 구조체인 경우에, 상기 접시형 리세스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돌출부가 제공되며, 상기 전극 구조체가 음극 구조체인 경우에, 상기 접시형 리세스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돌출부가 제공되어, 양극 구조체 팬의 접시형 리세스에 제공된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다수의 전극 구조체를 포함하는 조립체에서 인접한 음극 구조체 팬의 접시형 리세스에 제공된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짝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판은 가요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돌출부는 전도성 부재에 전기 전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돌출부는 제1 방향과 횡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절두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부재는 선택적으로 로드 베어링인 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부재 각각은, 그 사이에 다지점 전기 접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전기 전도성 판에 인접하여 전류 캐리어, 바람직하게는 다중 지맥 전류 캐리어(multi-legged current carr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구조체는 레그가 짧은 비교적 탄성이 없는 스파이더(spider)가 제공된 양극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구조체는 레그가 긴 탄성이 있는 스파이더가 제공된 음극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구조체의 하부에는 유입 튜브가 제공되며, 이 유입 튜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 구조체의 한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1항에 있어서, 유입구를 따라 포트가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는 유입 튜브를 따른 압력 변화율이 최소가 될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튜브에는 한 단부에서만 용액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튜브에 대한 공급 튜브는 그 막다른 부분에 도달할 때까지 유입 튜브를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튜브에 대한 공급 튜브는 비전도성 재료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유입 튜브를 따라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배플이 제공되어, 상기 배플의 제1 측면과 전기 전도성 판 사이에 제1 채널과, 배플의 제2 측면과 접시형 리세스 사이에 제2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채널은 구조체의 상부에 있는 배출 헤더로 올려 보내기 위하여 가스 충전 전해액용 라이저(riser)를 제공하고, 상기 제2 채널은 구조체의 바닥까지 낙하시키기 위하여 탈기 전해액용 하강 유로(downcomer)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수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구조체는 티타늄 또는 그 합금으로 제조된 양극 구조체인 경우에, 상기 배플은 티타늄 또는 그 합금으로 제조되며, 상기 전극 구조체가 니켈 또는 그 합금으로 제조된 음극 구조체인 경우에, 상기 배플은 니켈 또는 그 합금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구조체가 양극 구조체인 경우에, 상기 배플은 양극 팬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상에 장착되며, 상기 전극 구조체가 음극 구조체인 경우에, 상기 배플은 포스트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다수의 조각을 포함하며, 그 조각 각각은 그 사이에 수평 간극을 마련한 상태로 구조체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7항에 있어서 또는 제7항에 종속하는 제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는 로드 베어링(load bea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베어링 포스트의 단부는 전기 전도성 판에 형성된 구멍과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양극 구조체인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구조체의 팬이 음극 구조체인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구조체의 팬에 접착되며, 상기 양극 구조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음극 구조체의 팬 상에 형성된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짝을 이루어 바이폴라 유닛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유닛.
- 전류 분배 수단과;장착 프레임 상에 장착되며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직렬로 조립된 적어도 하나의 바이폴라 유닛을 포함하는 필터 프레스형(filter press) 바이폴라 전해장치에 있어서,상기 바이폴라 유닛은 제24항에 따른 바이폴라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프레스형 바이폴라 전해장치.
- (가) 접시형 리세스와, 상기 접시형 리세스 둘레에 플랜지를 갖는 팬, (나) 양극판, (다) 상기 양극이 전기 전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팬과 양극판 사이에 전기 전도 경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로드 베어링 부재를 선택적으로 갖는 수단, (라) 용액용 유입구, 그리고 (마) 유체용 배출구를 구비하는 양극 구조체와;(가) 접시형 리세스와, 상기 접시형 리세스 둘레에 플랜지를 갖는 팬, (나) 음극판, (다) 상기 음극이 전기 전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팬과 음극판 사이에 전기 전도 경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로드 베어링 부재, (라) 용액용 유입구, 그리고 (마) 유체용 배출구를 구비하는 음극 구조체와;양극 표면과 음극 표면 사이에 배치된 분리기로서, 상기 양극 표면이 음극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그 음극 표면을 대면하지만 상기 분리기에 의하여 음극 표면과 절연되고 또 그것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모듈을 개별 양극 격실과 음극 격실로 분할하는 분리기와;상기 분리기를 팬의 주변 상의 플랜지 사이에서 밀봉하는 가스켓 수단과;상기 가스켓 수단에 압력을 가하여 분리기를 가스켓 수단에 대하여 밀폐식으로 밀봉하는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양극 구조체 팬의 접시형 리세스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돌출부가 제공되며, 상기 음극 구조체의 접시형 리세스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돌출부가 제공되어, 모듈의 양극 구조체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다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모듈식 바이폴라 전해장치에서 인접한 모듈의 음극 구조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짝을 이루며,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로드 베어링 포스트와, 상기 양극 구조체와 음극 구조체 사이에 개재된 관련 분리기를 갖는 제24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바이폴라 유닛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바이폴라 전해장치용 모듈.
- 장착 프레임 상에 기계적 전기적으로 직렬로 조립된 하나 이상의 모듈과;전해장치의 각 단부에 배치된 전류 분재 판을 포함하는 모듈식 바이폴라 전해장치에 있어서,상기 모듈은 제26항에 따른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바이폴라 전해장치.
- 제25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모듈식 바이폴라 전해장치의 인접한 모듈간의 또는 바이폴라 유닛의 전극 구조체간의 전기 전도는 인접한 모듈 또는 인접한 전극 구조체간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하여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장치.
- 제25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바이폴라 전해장치의 인접한 모듈간의 또는 바이폴라 유닛의 전극 구조체간의 전기 전도율은 전도율 증강 재료의 사용에 의하여 또는 인접한 모듈 또는 인접한 전극 구조체간의 장치의 사용에 의하여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율 증강 장치는 팬으로 절단하도록 채택된 전기 전도성 금속 와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장치.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율 증강 장치는 양극 구조체의 팬에 있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각각에 배치되어,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와 인접한 모듈의 응극 구조체의 팬에 있는 짝을 이루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사이에 전기 접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장치.
- 제26항에 따른 모듈 또는 제25항에 따른 필터 프레스형 바이폴라 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판이 부착된 전기 전도성 로드 베어링 부재는 포스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또는 전해장치.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포스트를 통한 전기 전도 경로 대 양극 포스트를 통한 전기 전도 경로의 길이 비는 적어도 2: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1,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또는 전해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베어링 부재 각각은 다중 지맥 스파이더에 의하여 전기 전도성 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 제26항에 따른 모듈 또는 제25항에 따른 필터 프레스형 바이폴라 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를 밀폐식으로 밀봉하기 위하여 가스켓에 압력을 가하는 수단은 플랜지의 구멍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또는 전해장치.
- 제26항에 따른 모듈 또는 제25항에 따른 필터 프레스형 바이폴라 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 전도성 판에 인접한 포스트의 단부에는 전기 절연체인 하중 전달 쿠션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또는 전해장치.
- 제26항에 따른 모듈 또는 제25항에 따른 필터 프레스형 바이폴라 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기는 실질적으로 전해액 불투과성 이온 교환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또는 전해장치.
- 제26항에 따른 모듈 또는 제25항에 따른 필터 프레스형 바이폴라 전해장치에 있어서, 이온 교환막이 용액에 노출되지 않는 경우에, 전해 영역 상방의 각 구조체에서 전해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에 배출 헤더(outlet header)가 제공되며, 상기 배출 헤더 내부에서 가스/액체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또는 전해장치.
- 제26항에 따른 모듈 또는 제25항에 따른 필터 프레스형 바이폴라 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수단은 가소화 처리된 이피디엠(EPDM) 수지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또는 전해장치.
- 제39항에 따른 모듈 또는 필터 프레스형 바이폴라 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가스켓 수단에는 화학적으로 내성이 있는 노우즈(nose)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또는 전해장치.
- 제40항에 따른 모듈 또는 필터 프레스형 바이폴라 전해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으로 내성이 있는 노우즈는 피티에프이(PTFE)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또는 전해장치.
- 접시형 리세스와, 인접한 전극 구조체의 플랜지 사이에 있는 분리기를 밀봉하기 위한 가스켓 수단을 안착 및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시형 리세스 주변 둘레에 플랜지를 구비하는 팬과;상기 팬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전기 전도성 판과;상기 전기 전도성 판이 전기 전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팬과 전기 전도성 판 사이에 전기 전도 경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부재를 선택적으로 갖는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전극 구조체가 음극 구조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전기 전도성 부재는 적어도 포스트 형태이며, 상기 전극 구조체가 양극인 경웨, 접시형 리세스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돌출부가 제공되며, 상기 전극 구조체가 음극 구조체인 경우에, 상기 접시형 리세스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돌출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23항 및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해 영역 상방의 전해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에 배출 헤더가 제공되며, 상기 배출 헤더 내부에서 가스/액체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또는 전해장치.
- 할로겐화 알칼리 금속의 전해 방법에 있어서,제25항 또는 제27항에 따른 바이폴라 전해장치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방법.
- 장착 프레임 상에 전류 분배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바이폴라 유닛을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분배 수단과 바이폴라 유닛을 기계적 전기적으로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5항에 따른 필터 프레스형 바이폴라 전해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상기 바이폴라 유닛은 제24항에 따른 바이폴라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 장착 프레임 상에 하나 이상의 모듈을 기계적 전기적으로 조립하는 단계와, 전해장치의 각 단부에 전류 분배 판을 제공하는 포함하는 제27항에 따른 모듈식 바이폴라 전해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상기 모듈은 제26항에 따른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 (가) 접시형 리세스와, 상기 접시형 리세스 둘레에 플랜지를 갖는 팬, (나) 전해 촉매적인 활성 표면을 선택적으로 갖는 양극판, 그리고 (다) 상기 양극판이 전기 전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팬과 양극판 사이에 전기 전도 경로를 제공하는 선택적으로 다수의 전기 전도성 부재 형태인 수단를 구비하는 양극 구조체와;(가) 접시형 리세스와, 상기 접시형 리세스 둘레에 플랜지를 갖는 팬, (나) 전해 촉매적인 활성 표면을 선택적으로 갖는 음극판, 그리고 (다) 상기 음극이 전기 전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팬과 음극판 사이에 전기 전도 경로를 제공하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부재를 구비하는 음극 구조체와;양극 표면과 음극 표면 사이에 배치된 분리기로서, 상기 양극 표면이 음극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그 음극 표면을 대면하지만 상기 분리기에 의하여 음극 표면과 절연되고 또 그것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모듈을 개별 양극 격실과 음극 격실로 분할하는 분리기와;상기 분리기를 팬의 주변 상의 플랜지 사이에서 밀봉하는 가스켓 수단과;상기 가스켓 수단에 압력을 가하여 분리기를 가스켓 수단에 대하여 밀폐식으로 밀봉하는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양극 팬과 음극 판 사이의 전기 전도 경로의 길이는 음극 팬과 음극 판 사이의 전기 전도 경로의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바이폴라 전해장치용 모듈.
-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하여 유체 수용 리세스를 형성하는 측벽을갖는 팬과;상기 베이스의 내면과 떨어져서 마주보는 관계로 장착된 전극판과;상기 전극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팬의 베이스에 제공된 다수의 중공 돌출부를 포함하며,상기 중공 돌출부 각각은 돌출부의 정점과 전극판 사이에 전기 연속체를 제공하는 전기 전도성 부재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다수의 전도성 레그를 통해 전극 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포스트를 구비하며, 상기 레그는 포스트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돌출하여 유체 수용 리세스를 형성하는 측벽을 갖는 팬과;상기 베이스의 내면과 떨어져서 마주보는 관계로 장착된 전극판과;상기 팬의 베이스에 제공된 다수의 중공 돌출부를 포함하며,상기 중공 돌출부 각각은 돌출부의 정점과 전극판 사이에 전기 연속체를 제공하는 전류 캐리어를 구비하며, 상기 전류 캐리어는 다수의 전기 전도성 레그를 통해 전극 판에 연결되고, 상기 레그는 다른 지점에서 전극판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23항, 제42항, 그리고 제48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동일한 방향으로만 모두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48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전극판 사이의 공간을 두 개의 연통하는 유체 유동 영역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팬의 베이스와 전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배플 부재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전극판 사이의 공간을 두 개의 연통하는 유체 유동 영역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팬의 베이스와 전극판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배플 부재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배플 부재는 포스트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구조체는 상기 돌출부가 양극 판을 향하여 연장하는 양극 구조체 형태로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베이스와 전극판 사이의 공간을 두 개의 연통하는 유체 유동 영역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팬의 베이스와 전극판 사이에서 돌출부에 의하여 장착된 하나 이상의 배플 부재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구조체.
- 제1항 내지 제23항, 제42항 그리고 제48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구조체용 전극 조립체에 있어서, 전기 전도성 판과, 상기 전기 전도성 판의 주 표면에 부착된 전류 캐리어 어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전류 캐리어 각각은 판에 결합된 다수의 레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판에는 적어도 그 주 표면 상에 전해 촉매적 활성 코팅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캐리어는 판의 한 측면, 예를 들면 판의 코팅되지 않은 표면 상에서 상기 판에 모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제52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캐리어 각각은 중앙 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레그가 중앙 부착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제55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 각각은 휘어 질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제55항 내지 제5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캐리어는 판과 동일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제55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판은 다공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 조립체.
- 제1항 내지 제23항, 제42항, 그리고 제48항 내지 제5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구조체용 전류 캐리어에 있어서, 복수의 레그가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중앙 부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그의 외부 말단부는 상기 부착부에 대하여 다른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 캐리어.
- 제60항 내지 제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티타늄, 지르코늄, 니오븀, 탄탈륨, 텅스텐, 니켈 또는 하나 이상의 이러한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금속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또는 캐리어.
- 한 쌍의 플랜지 사이에 유사한 형상을 갖는 제2 가스켓의 프레임과 함께 압축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스켓으로서, 상기 가스켓은 제2 가스켓 상에 유사한 돌출부와 함께 조임 밀봉을 수행하기 위하여 그 한 측면 상에 탄성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돌출부는 프레임의 내주변에 또는 그것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 제64항 또는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내주변은 돌출부 위로 연장하는 화학적으로 내성이 있는 라이너에 의하여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켓.
- 전해 셀 또는 연료 셀용으로서, 양극판을 구비하는 양극 격실과, 음극판과 상기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배치된 이온 교환막을 구비하는 음극 격실을 포함하며, 상기 이온 교환막은 제64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한 쌍의 가스켓에 의하여 그 외주변에서 또는 인접하여 밀봉되고, 상기 가스켓은 돌출부가 이온 교환막과 정합 관계로 결합하여 그 사이에 조임 밀봉을 형성하는 상태로 이온 교환막의 각 측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 제8항, 제9항, 제10항, 제49항 또는 제50항에 따른 전극 구조체를 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전류 캐리어를 팬으로부터 또는 캐리어가 연결된 포스트로부터 분리하여 전극판과 전류 캐리어를 구비하는 조립체를 팬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와, 전극판을 수리 또는 교체한 이후에 수리 또는 교체 판과 관련된 전류 캐리어를 상기 팬 또는 포스트에 부착하여 동일한 전극 판을 팬에 재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 방법.
-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의 수리는 적어도 다수의 전류 캐리어 교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리 방법.
- 전극 구조용의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구조체, 유닛 또는 모듈용의 전기 전도성 금속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산화층과 같은 전기 절연 코팅을 통해 절단 또는 부식하는 것에 의하여 팬의 표면을 부식 또는 관통시키고, 또한 상기 장치와 팬의 표면 사이에 절연층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전도성 금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GBGB9910714.6A GB9910714D0 (en) | 1999-05-10 | 1999-05-10 | Bipolar electrolyser |
GB9910714.6 | 1999-05-10 | ||
US14608899P | 1999-07-28 | 1999-07-28 | |
US60/146,088 | 1999-07-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13534A true KR20020013534A (ko) | 2002-02-20 |
KR100645463B1 KR100645463B1 (ko) | 2006-11-13 |
Family
ID=26315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7014079A KR100645463B1 (ko) | 1999-05-10 | 2000-04-28 | 전극 구조체 |
Country Status (20)
Country | Link |
---|---|
EP (1) | EP1190115B1 (ko) |
JP (1) | JP2002544383A (ko) |
KR (1) | KR100645463B1 (ko) |
CN (1) | CN1222639C (ko) |
AT (1) | ATE256768T1 (ko) |
AU (1) | AU777533B2 (ko) |
BR (1) | BR0010411B1 (ko) |
CA (1) | CA2373098C (ko) |
CZ (1) | CZ302573B6 (ko) |
DE (1) | DE60007311T2 (ko) |
DK (1) | DK1190115T3 (ko) |
ES (1) | ES2209875T3 (ko) |
HU (1) | HU228287B1 (ko) |
MX (1) | MXPA01011385A (ko) |
NO (1) | NO333310B1 (ko) |
PL (1) | PL195913B1 (ko) |
PT (1) | PT1190115E (ko) |
SK (1) | SK285920B6 (ko) |
TR (1) | TR200103228T2 (ko) |
WO (1) | WO2000068463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347703A1 (de) * | 2003-10-14 | 2005-05-12 | Bayer Materialscience Ag | Konstruktionseinheit für bipolare Elektrolyseure |
EP1690312B1 (en) | 2003-11-28 | 2010-11-17 | Ird Fuel Cells A/S | Fuel-cell reactant delivery and circulation device |
FR2875057B1 (fr) * | 2004-09-09 | 2006-10-20 | Air Liquide | Joint d'etancheite et plaque de cellules de pile a combustible, cellules resultantes et pile a combustible comprenant un empilement de telles cellules |
JP2006086045A (ja) * | 2004-09-16 | 2006-03-30 | Seiko Instruments Inc | 平面型燃料電池 |
DE102007024959A1 (de) * | 2007-05-30 | 2008-12-04 | Linde Medical Devices Gmbh | Dichtung einer Elektrode einer Brennstoffzelle oder eines Elektrolyseurs, Elektrode mit Dichtung und Verfahren zum Dichten von Elektroden |
FR2940857B1 (fr) | 2009-01-07 | 2011-02-11 |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 Procede de fabrication d'un electrolyseur haute temperature ou d'une pile a combustible haute temperature comprenant un empilement de cellules elementaires |
ITMI20111070A1 (it) * | 2011-06-14 | 2012-12-15 | Uhdenora Spa | Componente di sostituzione per flange di elettrolizzatori |
JP5840549B2 (ja) * | 2012-03-29 | 2016-01-06 |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 電解槽用陰極側ガスケット及び電解槽 |
JP6543277B2 (ja) * | 2014-06-24 | 2019-07-10 | ケメティ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狭い間隙の非分割電解槽 |
TWI656241B (zh) * | 2014-11-10 | 2019-04-11 | 瑞士商億諾斯技術公司 | 襯墊、包含該襯墊之裝置及相關方法 |
CA2982381C (en) * | 2015-04-20 | 2023-03-28 | Ineos Technologies Sa | Electrode assembly, electrolysers and processes for electrolysis |
CN112340815B (zh) * | 2019-08-06 | 2023-08-25 |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 电解组件、电解装置及衣物处理设备 |
CN113548719B (zh) | 2019-08-06 | 2023-08-18 |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 电解组件及衣物处理设备 |
CN111136353B (zh) * | 2019-12-31 | 2020-11-27 | 安徽工业大学 | 电解加工微细沟槽的层叠式工具电极的电解加工方法 |
CN113802136B (zh) * | 2021-09-29 | 2023-10-20 |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电解槽系统及其工作方法 |
DE102022107044A1 (de) | 2022-03-25 | 2023-06-15 |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 Redox-Flusszelle |
EP4279637A1 (de) * | 2022-05-18 | 2023-11-22 | Zentrum für Sonnenenergie- und Wasserstoff-Forschung Baden-Württemberg | Elektrodenplatte mit integrierter stromübertragerstruktur und elektrodenpackungseinheit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40918A (en) * | 1976-02-26 | 1977-08-09 | Ppg Industries, Inc. | Method of activating an anode |
US4342460A (en) * | 1978-03-30 | 1982-08-03 | Hooker Chemicals & Plastics Corp. | Gasket means for electrolytic cell assembly |
US4894128A (en) * | 1986-05-05 | 1990-01-16 | The Dow Chemical Company | Membrane unit for electrolytic cell |
DE4014778A1 (de) * | 1990-05-09 | 1991-11-14 | Metallgesellschaft Ag | Elektrolyseur |
US5454925A (en) * | 1994-05-03 | 1995-10-03 | Eltech Systems Corporation | Repair of mesh electrode spaced from electrode pan |
DE4419683C2 (de) * | 1994-06-06 | 2000-05-04 | Eilenburger Elektrolyse & Umwelttechnik Gmbh | Bipolare Filterpressenzelle für anodische Oxidationen an Platin |
-
2000
- 2000-04-28 HU HU0201133A patent/HU228287B1/h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4-28 PL PL00351744A patent/PL195913B1/pl unknown
- 2000-04-28 ES ES00927468T patent/ES2209875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4-28 CZ CZ20014027A patent/CZ302573B6/cs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4-28 PT PT00927468T patent/PT1190115E/pt unknown
- 2000-04-28 CA CA2373098A patent/CA2373098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4-28 WO PCT/GB2000/001645 patent/WO2000068463A2/en active IP Right Grant
- 2000-04-28 TR TR2001/03228T patent/TR200103228T2/xx unknown
- 2000-04-28 SK SK1620-2001A patent/SK285920B6/sk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4-28 EP EP00927468A patent/EP119011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4-28 DE DE60007311T patent/DE60007311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4-28 KR KR1020017014079A patent/KR10064546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4-28 CN CNB008073430A patent/CN1222639C/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4-28 MX MXPA01011385A patent/MXPA01011385A/es active IP Right Grant
- 2000-04-28 BR BRPI0010411-6A patent/BR0010411B1/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4-28 DK DK00927468T patent/DK1190115T3/da active
- 2000-04-28 AT AT00927468T patent/ATE256768T1/de active
- 2000-04-28 AU AU45871/00A patent/AU777533B2/en not_active Expired
- 2000-04-28 JP JP2000617231A patent/JP2002544383A/ja active Pending
-
2001
- 2001-11-09 NO NO20015493A patent/NO333310B1/n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190115A1 (en) | 2002-03-27 |
JP2002544383A (ja) | 2002-12-24 |
MXPA01011385A (es) | 2002-11-04 |
HUP0201133A2 (en) | 2002-08-28 |
PL195913B1 (pl) | 2007-11-30 |
WO2000068463A3 (en) | 2001-04-12 |
AU777533B2 (en) | 2004-10-21 |
PT1190115E (pt) | 2004-05-31 |
CN1352704A (zh) | 2002-06-05 |
EP1190115B1 (en) | 2003-12-17 |
CA2373098A1 (en) | 2000-11-16 |
DK1190115T3 (da) | 2004-04-19 |
CZ20014027A3 (cs) | 2002-03-13 |
WO2000068463A2 (en) | 2000-11-16 |
TR200103228T2 (tr) | 2003-03-21 |
ATE256768T1 (de) | 2004-01-15 |
NO20015493D0 (no) | 2001-11-09 |
KR100645463B1 (ko) | 2006-11-13 |
PL351744A1 (en) | 2003-06-16 |
DE60007311T2 (de) | 2004-10-21 |
SK285920B6 (sk) | 2007-11-02 |
CA2373098C (en) | 2010-02-09 |
NO20015493L (no) | 2002-01-09 |
NO333310B1 (no) | 2013-04-29 |
CN1222639C (zh) | 2005-10-12 |
AU4587100A (en) | 2000-11-21 |
BR0010411A (pt) | 2002-02-19 |
DE60007311D1 (de) | 2004-01-29 |
HU228287B1 (en) | 2013-02-28 |
HUP0201133A3 (en) | 2003-07-28 |
ES2209875T3 (es) | 2004-07-01 |
SK16202001A3 (sk) | 2002-05-09 |
CZ302573B6 (cs) | 2011-07-20 |
BR0010411B1 (pt) | 2011-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90000709B1 (ko) | 전해조에 사용되는 전극 구조물 및 그 전극 구조물을 내포하는 전해조 | |
KR100645463B1 (ko) | 전극 구조체 | |
CA2982399C (en) | Electrode assembly, electrode structures and electrolysers | |
US7363110B2 (en) | Gasket with curved configuration at peripheral edge | |
US6761808B1 (en) | Electrode structure | |
EP0443430B1 (en) | Monopolar ion exchange membrane electrolytic cell assembly | |
EP1469103A2 (en) | Gaskets for use with electrode structures | |
US5254233A (en) | Monopolar ion exchange membrane electrolytic cell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111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501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3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