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12988A -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2988A
KR20020012988A KR1020000046296A KR20000046296A KR20020012988A KR 20020012988 A KR20020012988 A KR 20020012988A KR 1020000046296 A KR1020000046296 A KR 1020000046296A KR 20000046296 A KR20000046296 A KR 20000046296A KR 20020012988 A KR20020012988 A KR 20020012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screen
rotation
bracket
right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훈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46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2988A/ko
Priority to US09/925,683 priority patent/US6601810B2/en
Publication of KR2002001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98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1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1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7Video display screen support
    • Y10S248/919Adjustably orientable video screen support
    • Y10S248/922Angular
    • Y10S248/923Ti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는 모니터의 좌우 회전을 위해 모니터 지주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에 수직으로 축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한 좌우 회전축을 구비하고; 모니터의 상하 회전을 위해 상기 좌우 회전축의 상단에 고정 체결되는 경사 조절판과, 상기 경사 조절판의 사이에 삽입되어 화면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상하 회전축과, 모니터의 배면에 체결되어 상기 상하 회전축의 양단에 삽입되고 이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부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는, 화면부를 상하로 움직이기도 용이할 뿐 아니라 좌우로 움직이는 데에 있어서도 큰 힘을 요구하지 않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상하회전과 좌우회전이 동일한 위치에서 이루어짐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작업자가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와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하 회전축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은 스프링의 복원력이 계속해서 작용하는 상태로 사용자는 화면부의 중량에 대항하여 화면부를 위로 움직이고자 할 때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해당되는 힘은 빼고서 가하면 되므로 그 만큼 화면부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가해야 하는 힘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screen position for monitor}
본 발명은 모니터의 화면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모니터를 지지하는 지주로서의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화면을 시야 각에 맞추어 상하 좌우로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는 무게가 작아 이를 지지하는데 많은 힘이 들지 않고, 또한 적은 힘으로도 화면을 움직이도록 하는데 지장이 없는 경량의 모니터, 예를 들면 엘씨디 모니터(LCD monitor)의 화면위치를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화면위치조정장치는 개략적으로 하측에 마련되면서 아래에 넓게 형성되어 상측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판(11)과, 상기 하부 지지판(11) 상에 마련되어 회전여유를 제공하게 위해 디귿(ㄷ)자 형태로 굴곡되어 있는 회전고정판(12)과, 상기 회전고정판(12)의 위에 설치되어 좌우로 회전되는 좌우 회전축(13)과, 상기 좌우 회전축(13)에 체결되어 모니터에 일정높이를 제공하는 세로대(14)와, 상기 세로대(14)의 상단에 두 개씩 마련되는 제 1 브라켓(15)과, 상기 제 1 브라켓(15)에 삽입 설치되어 상하로 회전하는 힌지역할을 하는 상하 회전축(16)과, 상기 상하 회전축(16)에 삽입되면서 제 1 브라켓(15)과의힌지작용을 하는 제 2 브라켓(17)과, 상기 제 2 브라켓(17)에 체결되는 동시에 모니터의 배면에 체결되는 모니터 연결판(18)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A - A'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좌우 회전축(13)은 회전 고정판(12)에 끼워지고, 좌우 회전축(13)의 끼워진 부분에는 너트(21)가 삽입됨으로써 좌우 회전축(13)은 세워지게된다. 또한, 상기 회전 고정판(12)과 너트(21)의 사이에는 미끄럼 와셔(23)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좌우 회전축(13)은 회전 고정판(12)에 대해서 좌우로 회전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우 회전축(13)이 접하는 회전 고정판(12)의 상측에는 외주면상에 회전 스토퍼 홈(22a)이 형성된 각도 조절판(22)이 마련되어 좌우 회전축(13)이 회전되는 한계를 제공한다.
도 1및 도 2와 같이 구성된 종래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에 있어서 그 동작을 상술하면, 상기 세로대(14)와 모니터 연결판(18)에 체결되어 있는 상기 제 1, 2 브라켓은 상기 상하 회전축(16)이 이용되어 상하로 회전되므로 결국 화면은 상하로 움직일 수가 있는데, 한편으로는 상기 제 2 브라켓(17)에는 상하 회전 스토퍼(17a)가 마련되어 모니터 연결판(18)은 일정한 정도 이상으로는 상향으로 회전을 할 수 없게된다.
한편, 모니터가 좌우로 회전작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상기 좌우 회전축(13)에 끼워져 있는 너트(21)가 좌우 회전축(13)을 고정하면서, 상기 너트(21)의 상측에 마련된 미끄럼 와셔(23)가 회전 고정판(12)과 미끄러짐으로써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회전 고정판(12)의 상측에 마련된 각도 조절판(22)에 회전 스토퍼 홈(22a)이 가공되고, 상기 회전 스토퍼 홈(22a)의 양 끝단이 회전 고정판(12)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 스토퍼(12a)에 일정 범위내에서 걸리게 되어 좌우 회전축(13)은 좌우로 일정한 범위 이상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종래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모니터의 화면위치를 조정할 경우에는 모니터의 화면부를 잡고서 조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같은 경우 상하회전은 그 거리가 가까와 자유로이 움직일 수가 있으나 좌우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그 거리가 멀어서 용이하게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모니터 전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모니터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키는 화면부(33)와, 상기 화면부를 직립시키는 지주부(32), 및 상기 화면부(33)와 지주부(32)를 지지하는 지지판(31)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모니터의 위치를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하 회전축(도 1의 16참조)과 화면부(33)와의 수평거리(H)가 짧아 용이하게 움직일 수가 있다. 그러나, 화면부(33)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좌우 회전축(13)과 화면부(33)와의 수직거리(V)가 지주부(32)의 길이만큼 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화면부(33)를 잡고 회전시키면 경우에 따라 축이 정확하게 수직에 맞지 않아 상기 미끄럼 와셔(23)에 강한 마찰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큰 힘을 주어도 쉽게 회전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모니터의 위치를 좌우로 조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공정상의 복잡한 순서를 줄여 작업자의 불편을 줄이고, 또한 소요되는 부품의 수를 줄이면서 작동을 단순화 시킴으로써 제조원가를 줄이고 이와 동시에 세세한 부분에서 발생되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여 내구기간이 길어지는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의 단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가 채용된 모니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하부지지판 12................회전고정판
13...............좌우 회전축 14................세로대
15...............제 1 브라켓 16................상하 회전축
17...............제 2 브라켓 17a...............상하 회전 스토퍼
18...............모니터 연결판 21, 41d, 44e......너트
22...............각도 조절판 22a...............회전 스토퍼 홈
23...............미끄럼 와셔 31................지지판
32...............지주부 33................화면부
41...............하부 브라켓 41a...............좌우 회전 스토퍼
41b..............축 삽입홀 41c...............제 2 와셔
42...................................................상부 브라켓
42a..............상하 회전 스토퍼 42b...............제 1 걸이홈
42c..................................................상하 회전축 삽입홀
42d..............상부 브라켓 절곡부 43................경사 조절판
43a..................................................상하 회전축 삽입홀
43b............상하 회전 스토퍼 홈 43c...............상부돌기 삽입홈
43d...............제 2 걸이홈 43e...............수평 절곡부
43f...............................................경사조절판 수직절곡부
44................상하 회전축 44a..............상하 회전축 나사부
44b...............제 1 코일 스프링 44c..............제 2 코일 스프링
44d...............제 3 와셔
44f...............좌우 격리벽 45...............좌우 회전축
45a...............제 1 와셔 45b..............상부 돌기
45c...............나사 홈 46...............각도 조절판
46a...............좌우 회전 스토퍼 홈
51................화면부 52...............화면위치조정부
53................지주부 54...............지지판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니터 화면위치를 사용자의 시야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에 있어서, 모니터의 좌우 회전을 위해 모니터 지주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에 수직으로 축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한 좌우 회전축을 구비하고; 모니터의 상하 회전을 위해 상기 좌우 회전축의 상단에 고정 체결되는 경사 조절판과, 상기 경사 조절판의 사이에 삽입되어 화면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상하 회전축과, 모니터의 배면에 체결되어 상기 상하 회전축의 양단에 삽입되고 이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부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니터의 지주부와 체결되는 하부 브라켓(41)과, 화면부와 체결되는 상부 브라켓(42)과, 상기 상부 브라켓(42) 및 하부 브라켓(41)이 포함되며 기타 여러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화면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는 종래의 화면위치조정장치와 같이 좌우회전과 상하회전이 떨어져 있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좌우의 회전이 모두 하나의 장소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종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문제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성은 상하회전을 위한 부분과 좌우회전을 위한 부분으로 크게 대별되는데, 상하 회전부분은 화면부로 체결되기 위하여 쌍으로 마련되는 상부 브라켓(42)과, 경사를 조절하는 부분으로서 경사 조절판(43)과, 상기 경사 조절판(43)과 상부 브라켓(42)에 삽입되어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상하 회전축(4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좌우 회전부분은 지주로 연결되는 하부 브라켓(41)과, 상기 하부 브라켓(41)에 삽입되어 좌우로 회전하게 되는 좌우 회전축(45)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대별된 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술하면, 먼저 상하 회전부분은 상부 브라켓(42)의 일측이 화면부와 결합되기 위하여 나사못이나 볼트등이 이용되어 체결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42)의 타측에는 상하 회전축(44)이 삽입되기 위하여 상하 회전축 삽입홀(42c)이 마련되고, 상기 상하 회전축 삽입홀(42c)의 상측에는 상하 회전 스토퍼(42a)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42)의 하측에는 수평 되게 절곡되어 있는 상부 브라켓 절곡부(42d)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 절곡부(42d)에는 제 2 코일 스프링(44c)의 내측 일단이 걸리기 위한 제 1 걸이홈(42b)이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조절판(43)에는 하측에 수평 되게 절곡되어 있는 경사 조절판 수평절곡부(43e)가 마련되고, 상기 경사조절판 수평절곡부(43e)의 중앙에는 상기 좌우 회전축(45)이 삽입되도록 상부돌기 삽입홈(43c)이 가공되어 있고, 상기 경사조절판(43)의 대략 가운데 부분의 일측에는 경사조절판 수직절곡부(43f)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조절판 수직절곡부(43f)의 하단에는 제 2 걸이홈(43d)이 각각 가공되고, 상기 경사조절판(43)의 상측에는 상하 회전축 삽입홀(43a)이 각각 가공되고, 경사조절판(43)의 상단에는 상기 상하회전 스토퍼(42a)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는 상하 회전 스토퍼홈(43b)이 가공된다.
또한, 상기 상하 회전축(44) 양 단부에 상기 상하 회전축 삽입홀(42c)(43a)에 삽입된 후 고정되기 위하여 나사홈이 가공된 상하회전축 나사부(44a)가 가공되고, 상기 상하 회전축(44)의 중앙에는 삽입되는 두개의 스프링이 격리되도록 좌우 격리벽(44f)이 마련되고, 상기 좌우 격리벽(44f)을 중심으로 제 1, 2 코일 스프링(44b)(44c)이 삽입되고, 상기 상하 회전축(44)이 상하 회전축 삽입홀(42c)(43a)에 삽입된 후에 이를 고정하는 너트(44e)와, 상기 너트(44e)를 보다 완전하게 체결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제 3 와셔(44d)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지금까지 살핀 바와 같은 상하 회전부분은 상하 회전축(44)을 제외한 거의 모든 부품들이 좌우 대칭적인 형상으로 쌍으로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상하 회전부분의 결합과정 및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상하 회전축(44)의 외주면에 제 1, 2 코일 스프링(44b)(44c)을 위치시키고, 상기 상하 회전축(44)을 상하 회전축 삽입홀(42c)(43a)에 삽입시키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제 1, 2 코일 스프링(44b)(44c) 외측의 스프링 단부는 제 1걸이홈(42b)에 각각 끼워지고, 내측의 스프링 단부는 경사조절판 수직절곡부(43f)에 마련된 제 2 걸이홈(43d)에 각각 끼워지는 것인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제 1, 2 코일 스프링(44b)(44c)은 압축된 상태로 복원력을 행사하게 되고, 이같은 복원력은 상부 브라켓(42)을 상하 회전축(44)을 중심으로 위쪽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여 화면부를 위쪽으로 들어올릴 때 적은 힘으로도 이를 적은 힘으로도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하 회전축(44)을 중심으로 상부 브라켓(42)과 경사조절판(43)이 끼워지면 상기 상하 회전 스토퍼(42a)는 상하 회전 스토퍼홈(43b)의 외주에 정확히 위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형태를 취함으로써 상기 상하 회전스토퍼(42a)는 상하 회전 스토퍼홈(43b)에 의해서 가이드 되는 동시에 일정범위 이상은 회전을 할 수 없게되고, 따라서 상하 회전스토퍼와 연결되는 상부 브라켓(42)도 상하회전 스토퍼홈(43b)에 의해서 정해진 이상은 회전을 할 수 없게된다.
이상과 같이 상하 회전 부분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았고, 이하 좌우 회전부분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좌우 회전부분은 지주로 연결되는 하부 브라켓(41)과, 상기 하부 브라켓(41)에 삽입되어 좌우로 회전하게 되는 좌우 회전축(45)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하부 브라켓(41)은 기역자(ㄱ) 형태로 절곡되어 있으며, 절곡된 하부는 지주와 체결되고, 상부는 좌우 회전축(45)과 결합되어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러한 동작을 위하여 하부 브라켓(41)의 상면에는 상기 좌우 회전축(45)이 삽입되는 축 삽입홀(41b)이 가공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41)의 절곡선상에는 좌우 회전축(45)이 회전되는 한계를 설정하는 좌우 회전스토퍼(41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회전축(45)은 상단에 타원형의 돌출된 상부 돌기(45b)가 마련되고, 하단에는 상기 축 삽입홀(41b)에 삽입된 후 너트 등으로 고정되기 위한 나사홈(45c)이 가공되고, 상기 나사홈(45c)이 하부 브라켓(41)에 끼워진 뒤에는 제 2 와셔(41c)와 너트(41d)가 차례로 끼워져 상기 좌우 회전축(45)은 고정되고, 또한 제 2 와셔(41c)는 미끄럼 작용을 하게된다.
한편, 상기 좌우 회전축(45)에 접하는 하부 브라켓(41)의 상단 면에는 좌우회전 스토퍼홈(46a)이 가공되는 각도조절판(46)이 마련되어 좌우 회전축(45)이 좌우로 돌아가는 것을 원하는 값 이하로 맞추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있어 좌우 회전 부분의 결합과정 및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 돌기(45b)는 경사 조절판(43) 하단의 상부 돌기 삽입홈(43c)에 끼워지는데, 이때 상부 돌기(45b)가 타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좌우 회전축(45)은 경사 조절판(43)에 대해서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도 조절판(46)은 좌우 회전축(45)에 단단하게 체결되어 좌우 회전축(45)과 동시에 움직이게 되고, 이 때 상기 좌우회전 스토퍼 홈(46a)의 범위내에서 좌우회전 스토퍼(41a)가 가이드 하는데 이와 같은 좌우 회전을 가이드 하는 좌우회전 스토퍼홈(46a)은 일정한 각에 해당되는 가이드 범위를 가지므로 이 범위내로 좌우 회전축(45)의 회전은 제한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나사홈(45c)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제 1 와셔(45a)는 그리스 등과 같은 윤활제가 하부 브라켓(41)의 사이 등에 뿌려져 미끄럼작용을 하므로 상기 좌우 회전축(45)은 마찰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좌우회전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달리 좌우 회전축(45)을 화면부와 근접된 부분에 위치시켜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화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관계를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화면위치조정장치가 채용된 모니터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부(51)와, 상기 화면부(51)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회전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볼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위치조정부(52)와, 상기 화면위치조정부(52)와 체결되어 상기 화면부(51)를 세워주는 지주부(53)와, 상기 지주부의 하면에 체결되어 수평을 유지하는 지지판(54)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취하는 모니터를 사용자가 사용하면서 필요에 따라 화면부의 위치를 조정하고자 할 경우에 대개는 화면부(51)를 손으로 잡고 힘을 가하게 되는데, 이를 역학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화면부(51)의 위치를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상하 회전축(44)과 화면부(51)와의 수평거리(H)가 짧아 용이하게 움직일 수가 있고, 또한 종래와 달리 화면부(51)를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도 좌우 회전축(45)과 화면부(51)와의 수직거리(V)가 종래와 달리 현저하게 줄어들어서 좌우 회전축(45)의 접촉부분에서 마찰을 거의 일으키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화면부(51)를 움직여서 원하는 시야각대로 손쉽게 맞출 수가 있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는, 화면부를 상하로 움직이기도 용이할 뿐 아니라 좌우로 움직이는 데에 있어서도 큰힘을 요구하지 않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상하회전과 좌우회전이 동일한 위치에서 이루어짐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작업자가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와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하 회전축에 설치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은 스프링의 복원력이 계속해서 작용하는 상태로 사용자는 화면부의 중량에 대항하여 화면부를 위로 움직이고자 할 때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해당되는 힘은 빼고서 가하면 되므로 그 만큼 화면부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가해야 하는 힘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모니터 화면위치를 사용자의 시야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에 있어서,
    모니터의 좌우 회전을 위해 모니터 지주부의 상단에 마련되는 하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에 수직으로 축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한 좌우 회전축을 구비하고;
    모니터의 상하 회전을 위해 상기 좌우 회전축의 상단에 고정 체결되는 경사 조절판과, 상기 경사 조절판의 사이에 삽입되어 화면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상하 회전축과, 모니터의 배면에 체결되어 상기 상하 회전축의 양단에 삽입되고 이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부 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회전축에는 각각의 단부가 상기 상부 브라켓과 경사 조절판의 지지를 받아 상부 브라켓이 상측으로 회전되는 복원력을 행사하도록 마련된 두개의 코일 스프링이 좌우로 삽입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에는 코일 스프링의 외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가공된 제 1걸이홈과, 상기 경사 조절판에는 코일 스프링의 내측 단부를 지지하도록 가공된 제 2 걸이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의 상측에 놓여 좌우 회전축에 고정 체결되어 좌우 회전축이 회전되는 한계를 정해주기 위하여 원주면 상에 좌우회전 스토퍼홈이 가공된 각도 조절판과, 상기 좌우회전 스토퍼홈에 가이드 되도록 하부 브라켓의 절곡선상에 형성된 좌우회전 스토퍼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이 화면부와 고정 체결되는 타측에는 모니터의 상하회전 한계를 정해주기 위하여 상하회전 스토퍼가 마련되고, 상기 경사 조절판의 상단에는 상하회전 스토퍼를 가이드 하기 위하여 상하회전 스토퍼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과 경사 조절판에 끼워지는 상하 회전축의 양 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최외곽에 와셔와 너트를 각각 끼워 그 고정을 견고하게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위치조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회전축의 상단에 마련되어 경사 조절판에 삽입되는 타원형의 상부 돌기와, 상기 상부 돌기가 삽입되어 경사 조절판과 좌우 회전축이 같이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양 경사조절판의 일측에 마련된 상부돌기 삽입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회전축이 삽입된 하부 브라켓의 하면에는 좌우 회전축을 회전이 가능한 동시에 기울어지지 않도록 고정하여 주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상측에 마련되어 좌우 회전축이 하부 브라켓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와셔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위치조정장치.
KR1020000046296A 2000-08-10 2000-08-10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 KR20020012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296A KR20020012988A (ko) 2000-08-10 2000-08-10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
US09/925,683 US6601810B2 (en) 2000-08-10 2001-08-10 Apparatus for positioning screen of mon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6296A KR20020012988A (ko) 2000-08-10 2000-08-10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988A true KR20020012988A (ko) 2002-02-20

Family

ID=19682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296A KR20020012988A (ko) 2000-08-10 2000-08-10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601810B2 (ko)
KR (1) KR2002001298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320B1 (ko) * 2001-07-11 2004-05-22 캠아이티(주) 액정 모니터용 힌지장치
KR101358649B1 (ko) * 2013-07-19 2014-02-07 이슬기 대용량형 투광등 각도 조절겸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04206B2 (en) * 2001-11-19 2009-10-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nitor improved in a tilting and combining structure
KR100446902B1 (ko) * 2001-12-27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영상 표시 기기의 힌지 구조
TW531019U (en) * 2001-12-31 2003-05-01 Hinge Basestrong Co Ltd Improved LCD seat
US20030173476A1 (en) * 2002-03-12 2003-09-18 Kuni Masuda Stable support system for displays
US6929224B1 (en) 2002-03-12 2005-08-16 Sun Microsystems, Inc. Multi-hinge system for displays
KR100520060B1 (ko) * 2002-05-28 2005-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461185B1 (ko) * 2002-06-07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630969B1 (ko) * 2002-08-24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D500037S1 (en) 2002-09-03 2004-12-21 Bloomberg Lp Bezel-less flat panel display
US6919678B2 (en) 2002-09-03 2005-07-19 Bloomberg Lp Bezel-less electric display
USD496362S1 (en) 2002-09-03 2004-09-21 Bloomberg Lp Multi-panel computer display
AU2003225641A1 (en) 2002-09-03 2004-03-29 Bloomberg Lp Bezel-less electronic display
USD496363S1 (en) 2002-09-03 2004-09-21 Bloomberg Lp Multi-panel computer display
US7607620B2 (en) * 2002-09-03 2009-10-27 Bloomberg Finance L.P. Support for one or more flat panel displays
KR100476090B1 (ko) * 2002-09-27 200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482007B1 (ko) * 2002-09-28 200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KR100770981B1 (ko) * 2002-10-30 200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스탠드
KR100500234B1 (ko) * 2002-11-05 2005-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826605B1 (ko) * 2002-11-11 2008-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US6837469B2 (en) * 2003-05-01 2005-01-04 Wei Chung Wu Structure of liquid crystal display (LCD)
KR100770984B1 (ko) * 2003-05-23 2007-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88534B1 (ko) * 2003-07-23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7017235B2 (en) * 2003-10-08 2006-03-28 Shin Zu Shing Co., Ltd. Dual-directional hinge
KR100568181B1 (ko) * 2003-10-17 200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109310A (ko) * 2004-05-13 2005-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7434774B1 (en) * 2004-05-14 2008-10-14 Engineered Network Systems, Inc. Monitor mounting apparatus
USD532011S1 (en) * 2004-06-24 2006-11-14 Apple Computer, Inc. Electronic device
TWI279119B (en) * 2004-09-20 2007-04-11 Asustek Comp Inc Angle adjustable holder device
US20060237599A1 (en) 2005-04-22 2006-10-26 John Ternus Flat panel display including a hinge assembly
KR20070033211A (ko) * 2005-09-21 2007-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33210A (ko) * 2005-09-21 2007-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N2831343Y (zh) * 2005-09-22 2006-10-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支架装置
KR101164820B1 (ko) * 2005-09-22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0813726B1 (ko) * 2005-12-30 2008-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US7707691B2 (en) * 2006-05-25 2010-05-04 Lg Electronics Inc. Hinge assembly for electronic appliance and st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TWD119531S1 (zh) * 2006-10-20 2007-10-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裝置
TWD120628S1 (zh) * 2006-12-29 2007-12-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裝置
USD578528S1 (en) * 2006-12-27 2008-10-14 Innolux Display Corp. LCD monitor
USD578532S1 (en) * 2006-12-29 2008-10-14 Innolux Display Corp. LCD monitor
US20080172835A1 (en) * 2007-01-19 2008-07-24 Chun-Ching Hsu Hinge assembly with multiple resilient spacers
JP2008241903A (ja) * 2007-03-26 2008-10-09 Bank Of Tokyo-Mitsubishi Ufj Ltd 表示装置用スタンド
USD593558S1 (en) * 2007-05-18 2009-06-02 Innolux Display Corp. LCD monitor
TWD123263S1 (zh) * 2007-06-15 2008-06-1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裝置
USD597095S1 (en) * 2007-06-15 2009-07-28 Innolux Display Corp. LCD monitor
US20090032668A1 (en) * 2007-08-01 2009-02-05 Benq Corporation Adjustably-tiltable supporting apparatus and display with the same
USD605193S1 (en) * 2007-08-02 2009-12-01 Apple Inc. Computer
USD585894S1 (en) * 2007-08-13 2009-02-03 Lg Electronics Inc. Monitor
USD584309S1 (en) * 2007-12-19 2009-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CD monitor
USD584729S1 (en) * 2007-12-19 2009-0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CD monitor
US7954781B2 (en) * 2007-12-27 2011-06-07 Shin Zu Shing Co, Ltd. Flat panel display support with a hinge assembly
USD586811S1 (en) * 2008-03-12 2009-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CD monitor
USD584310S1 (en) * 2008-03-12 2009-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CD Monitor
US7775494B2 (en) * 2008-07-11 2010-08-17 Syncmold Enterprise Corp. Foldable holder
US20100281653A1 (en) * 2008-08-19 2010-11-11 Zong-Ying Lin Bidirectional Hinge
USD600696S1 (en) * 2008-10-10 2009-09-22 Apple Inc. Monitor
CN101770734A (zh) * 2009-01-05 2010-07-0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支撑结构
USD601147S1 (en) * 2009-01-20 2009-09-29 Dell Products L.P. Display device
US20110073723A1 (en) 2009-09-25 2011-03-31 Ashpole Benjamin C Joint and foldable structures employing the same
USD651607S1 (en) 2009-10-19 2012-01-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8960632B2 (en) 2011-07-05 2015-02-24 Mediamounts, Ltd. Dual bar linkage monitor support with adustment feature
USD669077S1 (en) * 2012-02-03 2012-10-16 VIZIO Inc. All in one display screen
USD752587S1 (en) 2013-12-13 2016-03-29 Lenovo (Beijing) Co., Ltd. Multimode device with base
USD743394S1 (en) * 2014-01-14 2015-11-1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Display with support bracket
USD763255S1 (en) * 2014-08-04 2016-08-0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USD781372S1 (en) 2015-05-22 2017-03-14 Engineered Network Systems, Llc Payment terminal stand
USD796508S1 (en) * 2015-10-06 2017-09-05 Lg Electronics Inc. Monitor
USD796509S1 (en) * 2015-10-06 2017-09-05 Lg Electronics Inc. Monitor
USD819031S1 (en) * 2016-09-0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nitor
USD819030S1 (en) * 2016-09-0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er monitor
USD819029S1 (en) * 2016-09-01 2018-05-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er monitor
USD854009S1 (en) * 2016-11-28 2019-07-16 Lg Electronics Inc. Monit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520A (ja) * 1997-06-19 1999-01-12 Nhk Spring Co Ltd 軸ロック装置およびこの軸ロック装置を用いたローテーション機構
US5870280A (en) * 1997-06-25 1999-02-09 Compal Electronics, Inc. Base f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receptacle for accessories
KR19990030721U (ko) * 1997-12-30 1999-07-26 김영환 Lcd 모니터 조절 장치
KR100242840B1 (ko) * 1997-05-27 2000-02-01 윤종용 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20000002781U (ko) * 1998-07-10 2000-02-07 윤종용 액정 모니터장치의 스탠드
KR200182807Y1 (ko) * 1999-12-10 2000-05-15 주식회사Korea신예 액정 모니터의 회전 스탠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2778A (en) * 1990-11-02 1991-06-11 Lu Sheng N Pivot shaft
US6164611A (en) * 1997-09-18 2000-12-26 Gamber Johnson Quad-motion device
US6018847A (en) * 1998-07-02 2000-02-01 Lu; Sheng-Nan Hinge axle device for a LCD monitor
US6244553B1 (en) * 2000-02-02 2001-06-12 Chin-Yang Wang Fastening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TW457445B (en) * 2000-02-24 2001-10-01 Acer Inc Flat display capable of replacing different bases
US6285339B1 (en) * 2000-04-07 2001-09-04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Two axis positioner with zero backlash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2840B1 (ko) * 1997-05-27 2000-02-01 윤종용 액정디스플레이장치
JPH116520A (ja) * 1997-06-19 1999-01-12 Nhk Spring Co Ltd 軸ロック装置およびこの軸ロック装置を用いたローテーション機構
US5870280A (en) * 1997-06-25 1999-02-09 Compal Electronics, Inc. Base for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receptacle for accessories
KR19990030721U (ko) * 1997-12-30 1999-07-26 김영환 Lcd 모니터 조절 장치
KR20000002781U (ko) * 1998-07-10 2000-02-07 윤종용 액정 모니터장치의 스탠드
KR200182807Y1 (ko) * 1999-12-10 2000-05-15 주식회사Korea신예 액정 모니터의 회전 스탠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320B1 (ko) * 2001-07-11 2004-05-22 캠아이티(주) 액정 모니터용 힌지장치
KR101358649B1 (ko) * 2013-07-19 2014-02-07 이슬기 대용량형 투광등 각도 조절겸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01810B2 (en) 2003-08-05
US20020020792A1 (en) 200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2988A (ko) 모니터의 화면위치조정장치
US6532628B2 (en) Hinge assembly for LCD monitor
KR100476090B1 (ko) 모니터장치
US6983917B2 (en) Arm apparatus for mounting electronic devices
EP2204601A2 (en) Forearm extension for mounting a device thereto
US20070194183A1 (en) Stand of display device
WO2007044289A2 (en) Adjustable display mount apparatus and system
US20130299649A1 (en) Mounting Bracket
JP2004522920A (ja) 平面型液晶表示画面用の支持装置
JP2019527464A (ja) 回転クランプ装置
US20200326031A1 (en) Support frame
KR100264032B1 (ko) 평판 디스플레이기기의 경사 및 회전조절 어셈블리
CN220383146U (zh) 摄像机
US5971548A (en) Monitor filter
EP2264352A1 (en) Forearm extension for use in an extension arm
KR100443866B1 (ko) 회전력 조절 가능한 힌지 장치
KR10037025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위치조정장치
JPH04119779A (ja) 電子機器のチルト装置
JP4780978B2 (ja) 床頭台
JP2003113916A (ja) 平行リンク式機器支持装置
KR100628118B1 (ko) 평판형 모니터
CN219317996U (zh) 一种光机结构及投影仪
JP3043179U (ja) アンダーミラー方式オーバーヘッドプロジェクタにおけるレンズとミラーの仰角調整機構
KR0134756Y1 (ko) 영상표시기기의 경사회전 받침장치
KR200279075Y1 (ko) 모니터용 천장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9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4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10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