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10359A -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경로선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경로선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359A
KR20020010359A KR1020000044038A KR20000044038A KR20020010359A KR 20020010359 A KR20020010359 A KR 20020010359A KR 1020000044038 A KR1020000044038 A KR 1020000044038A KR 20000044038 A KR20000044038 A KR 20000044038A KR 20020010359 A KR20020010359 A KR 20020010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paths
signals
channel
frequency al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4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0359A/ko
Publication of KR20020010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35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04B7/263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for channel frequency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8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predict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채널장치에서 서로 다른 할당 주파수간의 채널 선택을 임의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경로 선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스위칭 조건에 의해 송신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한 테이블과 수신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한 테이블을 구성하고, 구성한 테이블에 의해 송신할 신호와 수신한 신호를 적절하게 스위칭하는 경로선택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으로서 채널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비용 절감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경로 선택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PATH IN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OF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에서 서로 다른 할당 주파수간의 채널 선택을 임의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는 채널카드에서의 경로 선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시스템은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과 이동국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BTS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FA; Frequency Assignment)이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FA별로는 사용할 수 있는 채널의 수가 지정되어 있다. 즉, 현재 CDMA 이동통신시스템에 사용되는 BTS는 FA별 채널 수가 고정되어 있어 상기 BTS는 FA별 채널 수를 변경할 수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CDMA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FA간 통화량의 변화에 대하여 적절히 대응할 수 없었다. 즉, 특정 FA의 채널로의 트래픽이 집중되는 경우 다른 FA의 채널로의 분산 처리가 불가능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FA간 채널에 대한 신축적인 조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FA당 많은 채널 수를 포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경우에 따라 많은 채널 자원들을 사용하지 않는 대기상태(IDLE)로 인하여 불필요하게 남아 있는 채널들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송신경로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수신경로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송신 및 수신 경로를 적절하게 선택하도록 함으로서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복수의 할당 채널에 대하여 채널카드 당 8채널 단위로 할당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폴링 기능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카드에서 순방향 경로 선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카드에서 역방향 경로 선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 도면.
도 3은 도 1과 도 2에서 보여지고 있는 구성에서의 경로 선택의 일 예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경로 선택을 수신 경로와 송신 경로를 구분하여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후술될 본 발명은 송신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과 수신 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동작을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카드에서 송신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송신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카드의 구성은 크게 변조부(110)와 셀 가산 및 다중화부(CAM; Cell Adder and Multiplier)(120) 및 SCTA(Shelf Controller and Transceiver Control Assembly)(130)로 구성된다. 상기 변조부(110)는 소정 채널의 출력을 변조하는 복수의 변조부(VMOD, Modulator)(110a,110b,110c)로 구성된다. 복수의 변조부(VMOD, Modulator)(110a,110b,110c)는 각각이 복수의 채널들을 구비하는 출력경로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채널을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신호들을 변조한다. 일 예로서 4개의 VMOD(110a,110b,110c)들은 8채널 단위의 순방향 신호들을 변조하여 대응하는 출력경로를 통해 출력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4개의 VMOD(110a,110b,110c)들 각각은 서로 다른 3개 출력 경로들(α,β,γ)을 동일하게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변조부(110)에 의해 변조되는 채널의 총수는 32채널(23×4)임에 따라 채널카드는 32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CAM(120)은 채널카드에서 이동국으로 전송을 위한 순방향 경로의 신호를 스위칭 조건에 의해 스위칭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CAM(120)은 소정 출력경로(α,β,γ)를 통해 상기 VMOD(110a,110b,110c)들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을 입력으로 하고, 디지털신호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스위칭 조건에 의해 상기 변조된 신호들을 복수의 주파수 할당 경로들(1FA 경로, 2FA 경로)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할당 경로로 스위칭 한다. 예를 들어, 상기 4개의 VMOD(110a,110b,110c)들로부터의 8채널의 변조신호들을 입력한다. 이때, 상기 CAM(120)은 상기 입력으로 하는 변조신호들을 변조부별로 디코딩(Decoding) 하고, 소정 출력경로(α,β,γ)별로의 신호들을 가산하여 제1FA 경로와(1 FA Tx Base Band) 제2FA 경로(2 FA Tx Base Band) 중에서 원하는 경로를 스위칭 조건에 의해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VMOD(110a,110b,110c)들로부터의 변조신호들을 스위칭하기 위해 상기 DSP는 스위칭 조건을 제공하는데, 이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결정된다. 상기 스위칭 조건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제1FA 경로와 상기 제2FA 경로를 통해 처리되는 신호 량의 비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FA 경로를 통해 처리해야 할 신호 량이 2,제2FA 경로를 통해 처리해야 할 신호 량이 6이라 가정할 시 상기 스위칭 조건은 4개의 VMOD들 중 어느 하나의 VMOD로부터의 변조신호를 제1FA 경로로 스위칭하고, 나머지 3개의 VMOD들로부터의 변조신호를 제2FA 경로로 스위칭하도록 하는 스위칭 조건을 제공할 것이다. 상기 SCTA(130)는 상기 제1FA 경로와 제2FA 경로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되며, 대응하는 FA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디지털신호들을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도면상에서는 상기 제1FA 경로로서 α,β,γ을 표시하고 있으며, 제2FA 경로로서 χ,ψ,ω을 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카드에서 수신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수신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채널카드의 구성은 크게 복조부(DEMOD, 210)와 셀 분배 선택부(CDS; Cell Division Selector)(220) 및 SCTA(Shelf Controller and Transceiver Control Assembly)(230)로 구성된다. 상기 복조부(210)는 소정 채널들로부터의 입력을 복조하는 복수의 복조부(DEMOD, Demodulator)(210a,210b,210c)로 구성된다. 복수의 복조부(DEMOD, Demodulator)(210a,210b,210c)는 각각이 복수의 채널들을 구비하는 입력경로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채널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들을 복조한다. 일 예로서 4개의 DEMOD(210a,210b,210c)들은 8채널 단위의 역방향 신호들을 복조하여 대응하는 출력경로를 통해 출력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4개의 DEMOD(210a,210b,210c)들 각각은 서로 다른 3개 입력 경로들(α,β,γ)을 동일하게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복조부(210)에 의해 변조되는 채널의 총수는 32채널(23×4)임에 따라 채널카드는 32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CDS(220)는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역방향 경로의 신호를 스위칭 조건에 의해 스위칭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CDS(22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 경로들(1FA 경로, 2FA 경로)로부터의 디지털신호들을 입력하고, 디지털신호처리부(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스위칭 조건에 의해 소정 출력경로(α,β,γ)를 통해 상기 DEMOD(210a,210b,210c)들 중 어느 하나의 DEMOD로 스위칭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주파수 할당 경로인 제1FA 경로(α,β,γ)와 제2FA 경로(χ,ψ,ω)로부터 각각 8채널의 변조신호들을 입력한다. 이때, 상기 CDS(220)는 상기 제1FA 경로(α,β,γ)와 제2FA 경로(χ,ψ,ω)들로부터 입력되는 변조신호들을 스위칭 조건에 의해 상기 DEMOD(210a,210b,210c)들 중 어느 하나를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출력한다. 상기 변조신호들을 상기 DEMOD(210a,210b,210c)들로 스위칭하기 위해 상기 DSP는 스위칭 조건을 제공하는데, 이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결정된다. 상기 스위칭 조건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상기 제1FA 경로와 상기 제2FA 경로를 통해 처리되는 신호 량의 비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FA 경로를 통해 처리해야 할 신호 량이 2, 제2FA 경로를 통해 처리해야 할 신호 량이 6이라 가정할 시 상기 스위칭 조건은 제1FA 경로로부터의 변조신호를 4개의 DEMOD들 중 어느 하나의 DEMOD로 스위칭하고, 제2FA 경로로부터의 변조신호들은 나머지 3개의 VMOD들로 스위칭하도록 하는 스위칭 조건을 제공할 것이다. 상기 SCTA(230)는 상기 제1FA 경로와 제2FA 경로에각각 대응하여 구비되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신호들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대응하는 FA 경로를 통해 상기 CDS(220)로 제공한다. 상기 도면상에서는 상기 제1FA 경로로서 α,β,γ을 표시하고 있으며, 제2FA 경로로서 χ,ψ,ω을 표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카드에서 송신경로와 수신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일 예를 보여주고 있는 도면이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도 3에서 보여지고 있는 일 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DSP(360)는 제1FA 경로와 제2FA 경로에 대응한 스위칭 조건으로서 제1FA 경로에 한 개의 변/복조부(310)를 할당하고, 제2FA 경로에 세 개의 변/복조부(320)를 할당하는 스위칭 조건을 CAM/CDS(330)로 제공한다. 상기 CAM/CDS(330)는 상기 스위칭 조건에 의해 경로 선택 테이블을 구성한다. 상기 경로 선택 테이블은 상기 변/복조부(310,320)와 상기 제1 및 제2FA 경로를 스위칭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를 가지는 테이블이다. 이때, 상기 경로 선택 테이블은 복수의 변조부들을 상기 제1 및 제2FA 경로로 스위칭하기 위한 송신경로 선택 테이블과 상기 제1 및 제2FA 경로를 복수의 복조부로 스위칭하기 위한 수신경로 선택 테이블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수신경로 선택 테이블과 상기 송신경로 선택 테이블은 상기 DSP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조건에 의해 모두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 테이블을 구성하는 정보 또한 동일하다.
상기 송신경로 선택 테이블의 일 예를 표로서 보이면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MOD Selector Cell Selector
선택 VMOD B7 B6 B5 B4 B3 B2 B1 B0 FA 경로 선택 결과
VMOD 0 0 0 0 0 0 1 1 1 제1FA 경로 선택
VMOD 1 0 1 1 1 1 0 0 0 제2FA 경로 선택
VMOD 2 1 0 1 1 1 0 0 0
VMOD 3 1 1 1 1 1 0 0 0
상기 <표 1>에서도 보여지고 있는 바와 같이 VMOD 0(310)으로부터의 변조신호에 대해서만 제1FA 경로를 선택하고, 나머지 VMOD(320)로부터의 변조신호들에 대해서는 제2FA 경로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으로, 수신경로 선택 테이블의 일 예를 표로서 보이면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Cell Selector DEMOD Selector
FA 경로 B5 B4 B3 B2 B1 B0 B7 B6 DEMOD 선택 결과
제1FA 경로 0 0 0 1 1 1 0 0 DEMOD 0
제2FA 경로 1 1 1 0 0 0 0 1 DEMOD 1, DEMOD 2,DEMOD 3, DEMOD 4 중 어느 하나
1 1 1 0 0 0 1 0
1 1 1 0 0 0 1 1
상기 <표 2>에서도 보여지고 있는 바와 같이 제1FA 경로로부터의 변조신호에 대해서는 DEMOD 0(310)으로만 제공될 수 있도록 선택하고, 제2FA 경로로부터의 변조신호에 대해서는 나머지 DEMOD(320)들 중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게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DSP(360)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조건에 의한 경로 선택 테이블의 구성이 완료되면 상기 CAM/CDS(330)은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변/복조부(310)로부터 변조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CAM/CDS(330)은 상기 <표 1>에서 보여지고 있는 송신경로 선택 테이블에 의해 제1FA 경로를 선택하고, 상기 변조신호를 상기 선택된 제1FA 경로로 스위칭 한다. 한편, 상기 변/복조부(320)로부터 제공되는 변조신호에 대해서 상기 CAM/CDS(330)은 상기 <표 1>에서 보여지고 있는 송신경로 선택 테이블에 의해 제2FA 경로를 선택하고, 상기 변조신호를 상기 선택된 제2FA 경로로 스위칭 한다. 이때, 상기 변/복조부(320)로부터 제공되는 변조신호들은 복수이므로 상기 CAM/CDS(330)은 변조신호들을 스위칭 하기 전에 각 입력 경로들(α,β,γ)별로 상기 변조신호들을 가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전술한 동작에 의해 상기 제1FA 경로로 스위칭된 변조신호는 SCTA(340)으로 제공되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이동국으로 전송되며, 상기 제2FA 경로로 스위칭된 변조신호는 SCTA(350)으로 제공되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이동국으로 전송된다.
이에 반하여, 상기 제1FA 경로로부터 변조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CAM/CDS(330)은 상기 <표 2>에서 보여지고 있는 수신경로 선택 테이블에 의해 변/복조부(310)을 선택하고, 상기 변조신호를 상기 선택된 변/복조부(310)로 스위칭 한다. 이때, 상기 제1FA 경로로부터 제공되는 변조신호는 이동국으로부터 전송 받은 아날로그신호가 SCTA(340)에 의해 디지털로 변환된 신호이다. 한편, 상기 제2FA 경로로부터 제공되는 변조신호에 대해서 상기 CAM/CDS(330)은 상기 <표 2>에서 보여지고 있는 수신경로 선택 테이블에 의해 변/복조부(320)를 선택하고, 상기 변조신호를 상기 선택된 변/복조부(320)로 스위칭 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할 변/복조부(320)는 복수이므로 상기 CAM/CDS(330)은 제2FA 경로를 통해 제공되는 변조신호들이 상기 복수의 변/복조부(320)로 공평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스위칭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상기 CAM/CDS(330)의 스위칭에 의해 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CAM/CDS(330)는 제공받은 변조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변/복조부(320) 모두로 스위칭하고, 상기 복수의 변/복조부(320) 각각이 자신이 처리하여야 할 변조신호인지를 판단하여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변조신호들을 구분하기 위한 별도의 정보가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동작에 의해 상기 변/복조부(310)로 스위칭된 변조신호는 복조되어 출력되며, 상기 변/복조부(320)로 스위칭된 변조신호들 또한 복조되어 출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신 및 수신 경로를 적절하게 선택하도록 함으로서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복수의 할당 채널에 대하여 채널카드 당 8채널 단위로 FA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폴링 기능이 가능하다. 따라서, 채널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및 비용 절감에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이동국으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 구비된 채널카드에 있어서,
    각각이 복수의 채널들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채널을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신호들을 변조하는 복수개의 변조부들과,
    상기 복수개의 변조부들로부터의 변조신호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조건을 제공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와,
    상기 복수개의 변조부들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로부터의 스위칭 조건에 의해 상기 변조된 신호들을 복수의 주파수 할당 경로들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할당 경로로 스위칭하는 셀 가산 및 다중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선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변조부들 각각은 서로 다른 3개 출력 경로들을 동일하게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선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 가산 및 다중화부는,
    상기 복수개의 변조부들로부터의 변조된 신호들을 상기 서로 다른 출력 경로별로 분리하고, 동일 출력 경로로 분리된 신호들끼리 가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선택장치.
  4.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 구비된 채널카드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신호가 디지털 변환된 신호를 입력하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 경로들을 연결하고, 스위칭 조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주파수 할당 경로들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복수의 출력 경로들로 스위칭하는 셀 분배 선택부와,
    상기 스위칭 조건을 제공하는 디지털신호처리부와,
    상기 복수의 출력 경로들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하며, 상기 대응하는 출력 경로들로 제공되는 복수의 채널 신호를 복조하는 복수개의 복조부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선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할당 경로들은 제1주파수 할당 경로와 제2주파수 할당 경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주파수 할당 경로와 상기 제2주파수 할당 경로 각각은 8채널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서로 다른 3개의 경로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경로선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력 경로들로 제공되는 복수의 채널 신호는 8채널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선택장치.
  7. 이동국으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 구비된 채널카드에서 경로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출력경로들 각각으로 출력하고자 하는 신호들을 변조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출력경로들로 제공되는 변조신호들을 스위칭하기 위한 조건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출력경로들 각각으로부터의 변조신호들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스위칭하기 위한 조건에 의해 상기 변조신호들을 복수의 주파수 할당 경로들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할당 경로로 스위칭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선택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력경로들 각각은 8채널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선택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셀 가산 및 다중화부는,
    상기 복수의 출력경로들 각각으로부터의 변조신호들을 채널별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동일 채널의 변조신호들을 가산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선택방법.
  10.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 구비된 채널카드에서 경로를 선택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주파수 할당 경로별 신호 처리 비율에 의해 스위칭 조건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한 신호가 디지털 변환된 신호들을 상기 복수의 주파수 할당 경로들을 통해 제공받고, 상기 스위칭 조건에 의해 상기 복수의 주파수 할당 경로들로 입력되는 신호들을 복수의 출력 경로들로 스위칭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출력 경로들 각각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복수의 채널 신호들을 복조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선택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할당 경로들은 제1주파수 할당 경로와 제2주파수 할당 경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주파수 할당 경로와 상기 제2주파수 할당 경로 각각은 8채널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서로 다른 3개의 경로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선택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력 경로들로 제공되는 복수의 채널 신호는 8채널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선택방법.
KR1020000044038A 2000-07-29 2000-07-29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경로선택장치 및 방법 KR20020010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038A KR20020010359A (ko) 2000-07-29 2000-07-29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경로선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4038A KR20020010359A (ko) 2000-07-29 2000-07-29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경로선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359A true KR20020010359A (ko) 2002-02-04

Family

ID=1968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4038A KR20020010359A (ko) 2000-07-29 2000-07-29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경로선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03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31370C (zh) * 2004-02-13 2007-08-08 三星电子株式会社 增加频率分配和实现小型基站收发机子系统中的信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31370C (zh) * 2004-02-13 2007-08-08 三星电子株式会社 增加频率分配和实现小型基站收发机子系统中的信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3643A (en) Method and system network for providing an area with limited bandwidth bi-direction burst personnel telecommunications
US11012998B2 (en) Multi-beam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KR100428331B1 (ko) 통신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AU724424B2 (en) Adaptive channel allo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lot,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
KR100375145B1 (ko) 멀티캐리어를 사용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데이타 통신장치 및 방법
CA2374036A1 (en) Base st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A2222547A1 (en) Adaptive channel alloc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system
JPH0865273A (ja) トランスミッタユニット及びコード分割多重アクセス実現方法
JP2002016531A (ja) Cdma通信方式及びその方法
KR20080025730A (ko) 공통 물리 계층 기술 플랫폼을 사용한 유연형 대역폭 통신시스템 및 방법
KR20010030943A (ko) 이동통신시스템용 기지국 구조
KR20030093356A (ko) 물리적 채널 구성 신호화 절차
KR100346192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에서순방향공통채널확산부호지정장치및방법
KR20030019136A (ko) 통신 채널 설정 방법, 통신 제어 장치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20010359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경로선택장치 및 방법
JP2001292474A (ja) 通信チャネルを有する複数のキャリアに対し負荷をバランスさせる方法
KR20040076438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 기반의 멀티셀에서의부반송파 운용 방법
KR100287429B1 (ko) 부호 분할 방식의 채널 할당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assigning of Code division duplexing]
KR100364208B1 (ko) Imt-2000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신호 처리 장치
KR10039039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비지/유휴비트송수신방법
KR20020019180A (ko) 타임스위치를 이용한 무선통신 기지국의 동적 채널할당 장치
JPH05336071A (ja) 符号分割多重無線通信機
KR20000039394A (ko) 혼합 변복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기지국 장치와 가입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