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10130A - Device on sewing or embroidery machines, for changing the bobbin for the gripper thread - Google Patents

Device on sewing or embroidery machines, for changing the bobbin for the gripper thr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0130A
KR20020010130A KR1020017012048A KR20017012048A KR20020010130A KR 20020010130 A KR20020010130 A KR 20020010130A KR 1020017012048 A KR1020017012048 A KR 1020017012048A KR 20017012048 A KR20017012048 A KR 20017012048A KR 20020010130 A KR20020010130 A KR 20020010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apsule
journal
gripp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0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필립 몰
Original Assignee
필립 몰
기노시타 하루히코
기노시타 세이미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 몰, 기노시타 하루히코, 기노시타 세이미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필립 몰
Publication of KR20020010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130A/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05B59/04Devices for changing the bobbi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빈캡슐을 위하여 서로 인접한 다수의 수취장소들을 가지는 하나의 수취장치를 가지며; 그리고 수취장치로부터 그립퍼에로 충진된 보빈을 가지는 보빈캡슐의 이월을 위하여 그리고 또 그립퍼로 부터 수취장소의 교체장소에로 비어있는 보빈을 가지고 보빈캡슐을 이월하기 위한 파지장치를 가지며, 여기서 직접 그립퍼의 측방에 그리고 그립퍼에 대하여 대체로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파지장치는 그립퍼의 축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향하여진 궤도에 따라서 그립퍼와 수취장치의 교체위치 사이에서 움직일수 있으며 그립퍼의 하부캡슐내에 배열된 저어널에 의하여 수취되어 있는, 보빈을 수취하고 있는 보빈캡슐의 교체를 이중 백스팃치-재봉기 또는 편물기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receiving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locations adjacent to each other for the bobbin capsule; And a holding device for carrying bobbin capsules for carrying over of bobbin capsules having bobbins filled from the receiving device to the gripper and for carrying the bobbin capsules with empty bobbins from the gripper to the replacement place of the receiving place. Journals arranged laterally and coaxially with respect to the gripper and the gripping device can be moved between the gripper and the receiving device's replacement position along a trajectory directed generally parallel to the gripper's axis and arranged in the lower capsule of the gripper. The replacement of the bobbin capsule receiving the bobbin, which is recei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a double back squelch-sewing machine or knitting machine.

Description

그립퍼실에 대한 보빈을 교체하기 위한, 재봉 또는 편물기상의 장치{DEVICE ON SEWING OR EMBROIDERY MACHINES, FOR CHANGING THE BOBBIN FOR THE GRIPPER THREAD}DEVICE ON SEWING OR EMBROIDERY MACHINES, FOR CHANGING THE BOBBIN FOR THE GRIPPER THREAD} for replacing bobbins for gripper threads

상기한 이중 백스티치-재봉기들은 통상적으로 바늘실구멍을 파지하고 있는 그립퍼 첨두부를 가지며 그리고 또 하부캡슐에 의하여 수취된 보빈캡슐을 가지며 그립퍼내에 자리잡은 하부캡슐을 가지는 하나의 그립퍼를 가진다. 이 경우 하부 캡슐은 그립퍼의 축에 동축으로 배열된 저어널을 갖추고 있으며, 이 저어널은 하부 캡슐에 삽입된 보빈캡슐의 경우에 이 캡슐 안에 배열된 하나의 중공실린더내에로 물리며, 이 중공실린더는 그쪽에서 그립퍼실 저장부를 수용하고 있는 보빈을 반송한다.Such double backstitch-sewing machines typically have a gripper tip holding a needle thread hole and one gripper having a bobbin capsule received by the lower capsule and a lower capsule settled in the gripper. In this case, the lower capsule has a journal arranged coaxially to the axis of the gripper, which in the case of bobbin capsules inserted into the lower capsule is snapped into one hollow cylinder arranged in this capsule, the hollow cylinder Conveys the bobbin that accommodates the gripper chamber storage thereon.

하부캡슐의 저어널상에 보빈 캡슐의 고정을 위하여 이 저어널은 그의 자유단의 범위에 절삭부를 갖추고 있으며, 이 절삭부속으로는 하부캡슐에로 삽입된 보빈캡슐의 경우에 이것에 형성된 제지빗장이 물려있다. 이 제지 빗장은 보빈캡슐내에서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이동가능하며 그리고 저어널의 진입을 위하여 하나의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는 저어널의 직경보다 일정한 양만큼 더 크다. 이제지빗장은 이로서 그의 하나의 단부위치에서 보빈 캡슐을 하부 캡슐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에 대하여 방지하며 그리고 보빈 캡슐에 선회운동이 가능하게 배열되었으며 그리고 제지빗장과 운동가능하게 결합된 후랩에 의하여 스프링의 힘에 대처하여 보빈캡슐을 해방하는 그의 또다른 단부위치에로 가져와질수 있으며 이 단부위치에서 보빈캡슐은 하부캡슐로부터 내지 그립퍼로부터 꺼집어내어질 수 있다. 제지빗장의 상기한 위치에서 그리고 이와함께 특히 삽입의 동안에도 그리고 또 보빈캡슐의 꺼짐어 내는 동안에도 보빈캡슐로부터 보빈의 떨어져나옴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지 빗장에는 대체로 직각으로 굴곡된 노오스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보빈 캡슐의 벽에 형성된 홈을 통하여 그의 내부공간에로 돌출하며 보빈을 보빈캡슐로부터 떨어져나가는 것에 대하여 방지한다.To fix the bobbin capsule on the journal of the lower capsule, this journal has a cutting part in its free end, and in the case of the bobbin capsule inserted into the lower capsule, a paper latch formed therein is bitten. have. This paper bar is movable against the force of the spring in the bobbin capsule and has one opening for entry of the journal, the opening being a certain amoun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journal. Now the jib restrains the bobbin capsule against its coming off the lower capsule at its one end position and is pivotally arranged on the bobbin capsule and is supported by the force of the spring by a lap movably coupled to the restraint The bobbin capsule can be brought to its other end position in response to free the bobbin capsule from which the bobbin capsule can be drawn from the lower capsule to the gripper. In order to prevent the bobbin from falling out of the bobbin capsule at the above-mentioned position of the paper latch and with it, especially during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bobbin capsule, the paper latch is provided with a generally curved bent portion. This protrudes into its inner space through a groove formed in the wall of the bobbin capsule and prevents the bobbin from falling out of the bobbin capsule.

후랩의 작동의 용이화를 위하여 이것의 자유단은 보빈캡슐로부터 약간 벗어나게 굽어져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하부 캡슐로부터 보빈캡슐을 집어내기 위하여 그리고 또 하부캡슐 내에로 이것을 도입하기 위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후방파지되어질 수 있다.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flap its free end is bent slightly away from the bobbin capsule and can be gripped relatively easily by the user to pick up the bobbin capsule from the lower capsule and to introduce it into the lower capsule. have.

보빈은 다만 그립퍼실의 상대적으로 근소한 길이만을 수용할 수 있으며 그래서 보빈캡슐의 꺼집어냄과 다시 집어넣음이 결부된 보빈의 빈번한 교체가 필요하여지므로 보빈의 수동의 교체를 기술적수단을 가지고 맡아서하는, 보빈 내지 보빈 캡슐의 교체를 위한 장치들이 공지되었다.The bobbin can only accommodate the relatively small length of the gripper seal, so the frequent replacement of the bobbin combined with the extraction and reinsertion of the bobbin capsule requires manual replacement of the bobbin with technical means, Devices for the replacement of bobbins or bobbin capsules are known.

이러한 종류의 장치들은 예를 들면 JP 8-196 766 그리고 또 US PS 5 718 181에서 표시되어 있다.Devices of this kind are for example indicated in JP 8-196 766 and also in US PS 5 718 181.

JP 8-196 766 에 의한 장치는 움직일 수 있는 캐리어에 의하여 수취된 하나의 훅크를 가지며 이 훅크는 보빈캡슐을 집어내기 위하여 그의 후랩을 뒤에서 파지하며 그리고 이것에게 수동운동에 상응하는 선회운동을 부여하며, 그의 단부에는 후랩이 캐리어에 형성된 반대편위치에 접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지빗장은 상응하는 횡방향운동을 행하여 이것에 의하여 보빈캡슐은 해방되며 그리고 보빈과 함께 미리주어진 궤도상에서 움직일 수 있는 캐리어에 의하여 하부캡슐로부터 밖으로 움직여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운동궤도는 캐리어가 형에 적합하게 안내되어져 있으며 그리고 먼저 그립퍼의 축에 평행하게 향하여진 운동을 행하며, 이 운동은 다음에 선회운동으로 이월하며, 이 운동에 접속해서는 비스듬히 하방으로 향하여 안내되는 운동이 이어지며, 그 단부에서 보빈캡슐은 그립퍼의 하방 및 측방으로 배열된 카셋트에 이월되도록 그렇게 형성되어 있다.The device according to JP 8-196 766 has one hook received by a movable carrier which holds its flap behind to pick up the bobbin capsule and gives it a turning motion corresponding to manual movement. At its end, the flap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pposite position formed in the carrier. This allows the restraint latches to perform a corresponding transverse motion, whereby the bobbin capsules are released and can be moved out of the lower capsule by a carrier which can be moved on a track given in advance with the bobbins. In this case, the motion trajectory is carried out by the carrier being guided appropriately to the mold, first of which is direct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gripper, which is then carried over to the pivoting movement and connected to this movement at an oblique downward direction. Followed by the movement, at its end the bobbin capsule is so shaped that it is carried over to the cassette arranged below and laterally of the gripper.

이것에 유사하게, 충진된 보빈으로 장비된 보빈캡슐을 하부캡슐내에로의 집어놓음이 이루어졌다.Similarly, bobbin capsules equipped with filled bobbins were placed into the lower capsule.

보빈캡슐은 이로서 그립퍼로부터 카세트에로의 그의 운동의 동안에도, 카세트로부터 그립퍼에로의 운동의 동안에도 훅크에 의하여 다만 힘에 적합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은 상기한 운동의 전체의 기간동안에 후랩위에 상응하게 큰 압력을 행사하지 않으면 안된다.Since the bobbin capsules are thus only adequately supported by the hook during their movement from the gripper to the cassette and during the movement from the cassette to the gripper, this corresponds to the flaps on the entire lap of the above-described movement. You must exercise great pressure.

전술한 US-PS에 의한 장치의 경우에도 역시, 보빈캡슐의 파지를 위하여 그의 후랩을 뒤에서 파지하는 훅크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것은 JP 8-196766에 의한 장치에 유사하게 그립퍼로부터 카셋트에로 내지 카셋트로부터 그립퍼에로 보빈캡슐의 운동의 동안에 후랩을 상응하는 스톱퍼에 대하여 눌른다. 상기한 스톱퍼에 동시에, 단부위치에 존재하는 후랩의 경우에 이 후랩에 바로 형성된 요홈속에 파지된 설형상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운동의 동안에 보빈캡슐의 지지가 일부는 형에 적합하게 그리고 일부는 힘에 적합하게 이루어진다.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US-PS device, there is also a hook for holding his flap behind for holding the bobbin capsule, which is similar to the device according to JP 8-196766 to the cassette from the gripper to the cassette from the cassette. During the movement of the erotic bobbin capsule, the flap is pressed against the corresponding stopper. At the same time in the above stopper, in the case of the flap present in the end position, the tongue-like body gripped in the groove formed immediately in the flap is formed, so that the bobbin capsule is supported by the mold during the above-described movement, and the force is partially applied. It is made to suit.

역시 여기서도 다수의 상이한 운동들에 의하여 그립퍼로부터 카셋트에로 그리고 또 이것으로 부터 그립퍼에로 보빈캡슐의 이월이 이루어지며, 그 결과로 역시 이 장치도 비교적 복잡화되어 있는 것이 불리하다.Again here a number of different movements lead to the carryover of the bobbin capsules from the gripper to the cassette and from this to the gripper, as a result of which the device is also relatively complicated.

그래서 이 발명에게는 한편으로는 보빈캡슐의 파지와 지지가 간단화되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보빈의 교체를 위한 구조적인 비용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 종류의 장치를 개선하는 과제가 기초로 놓여있다.Thus, on the one hand, the task lies in improving this kind of device in a way that the gripping and supporting of the bobbin capsule on the one hand is simplified and the structural cost for the replacement of the bobbin is reduced on the other hand.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상위개념에 상응하여 그립퍼실을 위한 보빈을 교체하기 위하여 이중 백스티치-재봉기 또는 편물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bagstitch-sewing machine or knitting machine in order to replace the bobbin for the gripper yarn in accordance with the higher concept of claim 1.

도 1 은 재봉기의 기초판의 정면도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a front view of a base plate of a sewing machine;

도 2 는 그립퍼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형성된 하부 캡슐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a lower capsule form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of the gripper;

도 3a 는 로킹된 제지 요소를 가지며 단면으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에서의 사용을 위한 보빈 캡슐의 제 1 실시예;3a shows a first embodiment of a bobbin capsule for use in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ving a locked papermaking element and shown in cross section;

도 3b 는 도 3a 에 따르는 보빈 캡슐의 정면도;3B is a front view of the bobbin capsule according to FIG. 3A;

도 4a 는 로킹 해제된 제지 요소를 가지는 도 3a 에 따르는 보빈 캡슐의 단면도;4a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bbin capsule according to FIG. 3a with the unlocked papermaking element;

도 4b 는 도 4a 에 따르는 보빈 캡슐의 정면도;4B is a front view of the bobbin capsule according to FIG. 4A;

도 5a 는 로킹된 제지 요소를 가지며 단면으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에서의 사용을 위한 보빈 캡슐의 제 2 실시예;5a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a bobbin capsule for use in an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th a locked papermaking element and shown in cross section;

도 5b 는 도 5a 에 따르는 보빈 캡슐의 정면도;5B is a front view of the bobbin capsule according to FIG. 5A;

도 6a 는 로킹 해제된 제지 요소를 가지는 도 5a 에 따르는 보빈 캡슐의 단면도;6a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bbin capsule according to FIG. 5a with the unlocked papermaking element;

도 6b 는 도 6a 에 따르는 보빈 캡슐의 정면도;6B is a front view of the bobbin capsule according to FIG. 6A;

도 7a 는 휴지위치에 있는 파지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지지요소의 표현도;7A is a representation of the support elemen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holding device in the resting position;

도 7b 는 작용위치에 있는 도 7a 에 따르는 지지요소들의 표현도;7b shows a representation of the support elements according to FIG. 7a in the acting position;

도 8a 는 휴지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 핑거들을 가지는 파지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도;8A is a sid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gripping apparatus having fingers present in a resting position;

도 8b 는 작용위치에 있는 핑거들을 가지는 도 8a 에 따르는 파지장치의 표현도;8b is a representation of a gripp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8a with fingers in the acting position;

도 9a - 9c 는 단면으로 표시되었으며 수취장치의 내부의 보빈 캡슐에 대한 수취장소들의 여러가지 실시 형태들;9a-9c are shown in cross sec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receiving locations for bobbin capsules inside the receiving device;

도 10a - 10c 는 그립퍼에로의 시선방향으로 본, 수취장치의 내부의 보빈캡슐에 대한 수취장소들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의 정면도;10A-10C are front views of various embodiments of receiving locations for bobbin capsules in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device, viewed in the eye of the gripper;

도 11a - 11b 는 그립퍼에로의 시선방향으로 본, 수취장치에서의 보빈캡슐에 대한 수취장소의 단면도 그리고 또 정면도;11A-11B are cross-sectional and front views of the receiving location for bobbin capsules in the receiving device, viewed in the eye of the gripper;

도 12 는 캐리어를 위한 수취장치 표현도;12 is a representation of a receiver for a carrier;

도 13 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전체배열의 개략도;13 is a schematic view of the entire arrangemen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4 는 보빈캡슐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단면도;14 is a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bobbin capsule;

도 15 는 도 14 에 따르는 보빈캡슐의 평면도;15 is a plan view of the bobbin capsule according to FIG. 14;

도 16a 는 휴지위치에 있는 파지장치의 제 3 실시형태의 지지요소들의 표현도;16A is a representation of support element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gripping apparatus in the resting position;

도 16b 는 작용위치에 있는 도 16a 에 따르는 지지요소들의 표현도;FIG. 16b shows a representation of the support elements according to FIG. 16a in the acting position;

도 17 는 지지요소들의 상세도;17 shows a detailed view of the support elements;

도 18 는 수취장소내에 보빈 캡슐(101)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수취장소도;18 is a collection point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bobbin capsule 101 in the collection location;

도 19a - 19d 는 그립퍼로부터 수취장치의 수취장소까지의 보빈캡슐(101)의 이동 경로의 개략적인 표현도이다.19A-19D are schematic representations of the travel path of the bobbin capsule 101 from the gripper to the receiving location of the receiving device.

상기한 과제는 이 종류에 따르는 장치의 경우에 수취장치의 교체위치가 직접 그립퍼의 측방에 그리고 대체로 그립퍼에 대하여 동축으로 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파지장치는 그립퍼와 파지 장치의 교체위치사이에서 그립퍼의 축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향하여진 궤도를 따라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에 의하여 해결된다.In the case of a device according to this kind, the problem is that the receiving position of the receiving device is directly on the side of the gripper and generally coaxial with the gripper, and the gripping device is located on the axis of the gripper between the position of the gripper and the holding device. It is solved by being able to move along a generally parallel orbit relative to it.

수취장치의 교체위치의 본 발명에 따르는 배열에 의하여는 넘겨주고자하는 보빈캡슐의 조종이 현저하게 간소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수취장치로 부터 그립퍼에로, 내지 그립퍼로부터 수취장치에로의 보빈캡슐의 인도를 위하여는 극히 짧은 행정이 결과하여졌으며, 이 행정은 수취장치와 그립퍼내에 삽입된 보빈캡슐사이의 간격이 바늘실의 진입을 위하여 필요하여진 양으로 감소되어 있는 한 보빈캡슐의 폭보다 다만 근소하게 더 크다. 이로서 한편으로는 보빈캡슐의 인도를 위한 구조적인 내용이 현저하게 감소하며, 그리고 다른한편으로는 파지장치를 위한 짧은 행정으로 인하여 역시 상응하는 시간절약을 가져오며 이 시간절약은 이 파지장치가 교체과정마다 상기한 행정을 2회나 따로 떼어 놓지 않으면 안되는 그러한 관점에서 특별히 강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the replacement position of the receiving device not only greatly simplifies the control of the bobbin capsule to be delivered, but rather leads the bobbin capsule from the receiving device to the gripper, or from the gripper to the receiving device. For this, an extremely short stroke was obtained, which was only slightly more than the width of the bobbin capsule as long as the distance between the bobbin capsule inserted in the receiving device and the gripper was reduced to the amount needed for entry of the needle thread. Big. This, on the one hand, significantly reduces the structural content for the delivery of the bobbin capsules, and on the other hand, a short stroke for the gripping device, which also leads to corresponding time savings, which means that the gripping device is replaced. There is a particularly strong effect from that point of view that the administration must be separated twice each time.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르는 가르침은 재봉기에서 그립퍼의 구조방식에도 조립위치에도 무관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회전하는 그립퍼가 문제인가 또는 소위 선회 그립퍼가 문제가 되는가는 중요하지가 않다. 마찬가지로 그립퍼가 재봉기의 주축에 대하여 평행한 축주위를 또는 주축에 대하여 횡방향을 향하여진 축둘레를 회전하는지의 여부는 무관하다. 수직축 둘레를 돌아가는 그립퍼를 가지는 재봉기의 경우 조차도 본 발명에 따르는 가르침이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clear that the teaching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independent of the gripper structure and the assembly position in the sewing machine. It does not matter whether the rotating gripper is the problem or the so-called turning gripper is the problem. Likewise, it is irrelevant whether the gripper rotates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main axis of the sewing machine or about an axis laterally directed relative to the main axis. Even in the case of a sewing machine having a gripper rotating around a vertical axis, the teachings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applied.

비어있게 작업되어진 보빈을 가지는 동시에 간단한 운반 같은, 장소를 절약하는 해법은 수취장치가 그립퍼에 대하여 간격을 떼며 이것에 평행하게 되어 있는 하나의 축 주위를 선회할 수 있을 때에 결과하여진다.A place-saving solution, such as having simple bobbins and at the same time simple transport, results when the receiving device is able to pivot about one axis parallel to and parallel to the gripper.

이것에 대한 대안은 수취장치가 하나의 축둘레를 선회하며 이축은 그립퍼의 축에 횡방향으로 지나고 이것을 교차할 때 얻어질 수 있다.An alternative to this can be obtained when the receiving device pivots around one axis and this axis passes transversely to and crosses the axis of the gripper.

이 경우에 수취장치가 수직의 및/또는 수평의 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을 때 유리하다.In this case it is advantageous when the receiving device can move in the vertical and / or horizontal direction.

통상적인 건조방식의 보빈캡슐은 파지와 처리를 위하여 선회가능한 후랩을갖추고 있으며 이것의 선회운동은 동시에 하부 캡슐의 저어널의 절삭부속에 물려있으며 대부분의 제지원반으로서 형성된 제지요소의 이동을 야기시키며, 이것으로 인하여 보빈캡슐은 그립퍼로부터 꺼집어 내기 위하여 해방된다.Conventional dry bobbin capsules have a pivotable flap for gripping and processing, the pivoting motion of which is entrained by the cutting part of the journal of the lower capsule and causes the movement of the papermaking element formed as most of the supporters. This causes the bobbin capsule to be released to release it from the gripper.

한편으로는 이제까지 통상적인 후랩을 대체없이 포기할 수 있으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립퍼로부터 수취장치의 교체장소에로의 이월의 동안에 보빈캡슐의 모가나게함 또는 조임이 접속하는 해법은 파지장치는 스키드상에서 그립퍼의 축에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는 보빈캡슐에 대한 2개의 지지요소들을 가지며, 이 중에서 첫번재 지지요소는 지지 핑거를 갖추고 있으며, 이 지지 핑거는 파지 장치의 운동방향에서 보빈캡슐에 형성된 요홈속에로 들여 보낼 수 있고 그리고 두번째 지지 요소는 하나의 지지 노오스부를 가지며, 이 지지요소는 제지 슬라이더에 파지하면서 추가적으로 보빈캡슐의 장축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이 경우에 제 2 지지 요소의 횡방향운동을 얻기 위하여 이것은 제 1 지지 요소에 선회가능하게 축수하며 있을 수 있다.On the one hand, the conventional flaps can be given up without replacement, and on the other hand, the solution of the embossing or tightening of the bobbin capsule during the carryover from the gripper to the replacement location of the receiving device is that the gripping device is on the skid. It has two supporting elements for bobbin capsules that can move parallel to the axis of the gripper, the first of which has a supporting fing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in the bobbin capsule in the direction of motion of the gripping device. The indentable and second support element has one support nose portion, which is represented by being able to move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long axis of the bobbin capsule while holding the paper slider. In this case it may be pivotally bearing on the first support element in order to obtain the lateral movement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

제 1 지지요소를 위한 요홈이 보빈캡슐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요홈에 인접하여 제지슬라이더는 후방절삭부를 가지며 이것은 제 2 지지요소의 지지 노오스에 의하여 뒤에서 파지될 때에는 양지지요소들에 대하여 보빈캡슐의 파지를 위한 비교적 짧은 행정이 결과한다.Grooves for the first support element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obbin capsule and adjacent the grooves, the paper slider has a rear cutout, which is a bobbin capsule for both support elements when gripped from behind by the support nose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 This results in a relatively short stroke for the grasp of.

지지요소가 현저하게 간단화되는 해법은 이중-각부스프링으로서 제지요소는 대체로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향하여진 2개의 각부들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며, 이중에서 제지요소의 로킹위치에 있는 그 첫번째 각부는 하부캡슐의 저어널의 절삭부의 내부에 놓여 있으며 그리고 파지 장치에 의하여 그의 해제 위치에로 이월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결과하여진다.A solution that significantly simplifies the support element is a double-angular spring, in which the papermaking element is formed with two corners which are generally oriented parallel to one another, the first corner of which is in the locking position of the papermaking element in the lower capsule. The result is that it lies inside the cut of the journal and can be carried over to its release position by the gripping device.

이중-각부스프링은 이중-각부스프링의 각부의 자유단은 대체로 직각으로 굽어져 있으며 그리고 해제위치에 존재하는 이중-각부스프링의 경우에 보빈에 대한 보빈캡슐의 수취공간 내에로 돌출할 때에 역시 동시에 보빈캡슐의 대부에 보빈의 고정을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Double-leg springs are also simultaneously bobbin when protruding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bbin capsule for the bobbin in the case of the double-angle springs in which the free ends of the legs of the double-foot spring are generally bent at right angles. It can be used to fix the bobbin on the large part of the capsule.

보빈캡슐로부터 보빈이 떨어져 나옴을 동시에 방지하면서 그립퍼로부터 꺼집어 내기 위한 보빈캡슐의 해제를 위하여 제 1 파지 장치의 하나의 변형은 위에 2개의 핑거를 갖추고 있는 이중-각부스프링을 위한 전개장치를 가지며, 이 핑거들은 그립퍼의 축에 대하여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는 스키드에 의하여 이중 - 각부스프링의 각부들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여기서 보빈캡슐을 로킹해제하고 있는 각부가 추가적으로 스키드의 운동궤도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One variant of the first gripping device has a deployment device for double-angular springs with two fingers on top for releasing the bobbin capsule to take it out of the gripper while simultaneously preventing the bobbin from falling out of the bobbin capsule. These fingers can be moved between the legs of a double-foot spring by a skid that can be mov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gripper, where the angle of unlocking the bobbin capsule is additionally transverse to the trajectory of the skid. Can be.

보빈캡슐의 지지를 위한 여기를 지나서 나가고 있는 안전성은 파지장치가 스키드에 의하여 반송된 자석을 가지며, 이 자석은 보빈캡슐의 전면과 상호작용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The safety going past the excitation for the support of the bobbin capsule has a magnet with the gripping device carried by the skid, which can be obtained by interacting with the front side of the bobbin capsule.

한편으로는 비어있게 작업된 보빈캡슐은 수취장치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하고 그리고 다른한편으로는 이것을 다시, 충진된 보빈을 가지는 보빈캡슐로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캐리어는 상기 캡슐과 해체가능하게 결합하여져 있으며 그리고 이것과는 신속폐쇄에 의하여 로킹되어질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수취장치는 그때그때의 재봉과정에 무관하게 별도의 장소에 다시 충진된 보빈을 가지는 보빈캡슐을장비되어질 수 있다.On the one hand, the empty bobbin capsule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receiving device and on the other hand the carrier is releasably combined with the capsule in order to be able to mount it back into the bobbin capsule with the filled bobbin. And it can be locked by quick closure. Thereby the receiving device can be equipped with a bobbin capsule having a bobbin refilled in a separate place irrespective of the sewing process at that time.

모두 이것의 다만 하나의 직선운동을 필요로하는 파지장치의 구동을 위한 특별히 간단한 해법은 파지장치가 그립퍼로부터 먼쪽의 캐리어의 측방으로부터 그립퍼에로 움직일 수 있을때 제공되어진다.A particularly simple solution for driving a gripping device, which all require only one linear movement thereof, is provided when the gripping device can move from the side of the carrier away from the gripper to the gripper.

특별히 충진된 보빈을 가지는 보빈캡슐을 위치에 적합하게 그립퍼내에로 도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상기 수취장치는 보빈 캡슐을 위치에 맞게 수취장치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The receiving device has means for securing the bobbin capsule in the receiving device in position so that the bobbin capsule with the specially filled bobbin can be introduced into the gripper appropriately in position.

특히 유리하고 그리고 역시 비용이 유리하게 제조가능한 해법은 보빈캡슐의 고정을 위한 수단이 대체로 수직하게 향하여지며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간격을 떼어서 배열된 2개의 핀들이 형성되며 이들은 보빈캡슐의 요홈속에로 돌출하며, 여기서 핀들의 상호간의 간격은 보빈캡슐에 대한, 하부 캡슐내에 배열된 고정핀의 간격에 상응하며 보빈 캡슐 내에 그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핀들과 상호작용하고 있는 요홈은 수취장치의 핀들을 위한 요홈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얻어진다.A particularly advantageous and also advantageously advantageous solution is that the means for fixing the bobbin capsules are generally oriented vertically and form two fins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ch protrude into the groove of the bobbin capsule. Wherein the spacing between the pins corresponds to the spacing of the fastening pins arranged in the lower capsule relative to the bobbin capsule and the recesses interacting with the fastening pins for their fixation in the bobbin capsule form the grooves for the pins of the receiving device. Obtained by doing.

캐리어에의 보빈캡슐을 위한 또다른 고정가능성은 이것은 그의 운동궤도에 대체로 평행하게 향하여진 다수의 웨브들을 가지며, 여기서 웨브들의 각각은 보빈캡슐의 제지요소에 대한 안내홈을 갖추고 있으며, 또는 캐리어가 그의 운동궤도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향하여지며 그리고 서로에 대해서 간격을 떼어서 배열된 다수의 피복들을 가진다면 각각 보빈캡슐의 제지요소와 상호작용하고 있는 하나의 안내홈을 갖추고 있는 것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Another fixability for bobbin capsules to the carrier is that it has a number of webs oriented generally parallel to its trajectory, where each of the webs has guide grooves for the restraint elements of the bobbin capsules, or If there are a plurality of sheaths arranged generally parallel to the trajectory and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this is indicated by having one guide groove each interacting with the restraining element of the bobbin capsule.

본 발명은 그립퍼로부터 수취장치에로 내지 이것으로부터 그립퍼에로 보빈캡슐의 파지를 위한 그의 운반을 위한 파지장치를, 지지요소들이 서로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부품을 더 필요하지 않게 되기까지 간단화하게하는 앞서가는 과제를 기초로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gripping device for its transport from the gripper to the receiving device to the gripper from the gripper to the gripper, until no more parts are required for the support elements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t is based on the challenges ahead.

상기한 과제는 이를 위하여 특별히 형성된 보빈캡슐을 사용하여, 파지장치는 스키드상에 그립퍼의 축에 평행하게 움직일수 있는, 보빈캡슐을 위한 다수의 지지요소들을 가지며 이들은 보빈 캡슐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들의 종축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향하여진 개구들속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그리고 이 개구들안에서 보빈캡슐의 파지를 위하여 파지장치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에 의하여 해결된다.The above object is to use bobbin capsules specially formed for this purpose, the gripping device has a number of supporting elements for the bobbin capsule, which can be mov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gripper on the skid and they ar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bbin capsule and It is solved by being able to enter into openings that are oriented generally parallel to their longitudinal axis, and move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motion of the gripping device for gripping the bobbin capsules in these openings.

이 경우에는 개구들이 단계상 구멍들로서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큰 구멍은 보빈을 위한 보빈캡슐의 수취공간내에로 접합한다면 유리하다.In this case, the openings are formed as stepwise holes, which are advantageous if they join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bbin capsule for the bobbin.

보빈캡슐의 파지를 위한 극히 간단한 가능성은 지지저어널들이 이들의 종방향축에 대하여 평행하거나 또는 횡방향으로 되어 있는 각각 하나의 축둘레를 선회할 수 있는 것에 의하여 결과한다.The extremely simple possibility for the gripping of the bobbin capsules results from the fact that the supporting journals can pivot around each axis, either parallel or transverse to their longitudinal axis.

그립퍼로부터 수취장치에로 내지 여기서부터 그립퍼에로의 보빈캡슐(101)의 이월의 동안에 보빈의 고정은 지지저어널들에게는 보빈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스프링이 소속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스프링은 보빈들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향하여져 있으며, 그리고 개구들속으로 움직여진 지지저어널들의 경우에 보빈캡슐의 하우징내에 형성된 간극내에 물릴 때 이루어진다.The fixing of the bobbin during the carryover of the bobbin capsule 101 from the gripper to the receiving device and from here to the gripper means that the supporting journals belong to at least one support spring for the bobbin, the support spring being the bobbins. Oriented generally parallel to, and in the case of supporting journals moved into the openings when they are caught in the gap formed in the housing of the bobbin capsule.

지지스프링의 그리고 또 지지저어널의 운동을 위한 구조적으로 간단한 해법은 지지스프링과 지지저어널이 하나의 공통적인 캐리어에 의하여 수용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캐리어는 스키드와 결합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결과한다.A structurally simple solution for the support spring and also for the movement of the support journal results from the support spring and the support journal being accommodated by a common carrier, which is coupled with the skid.

지지저어널들을 가지고 양방향들에서 보빈캡슐을 파지하고 움직일 수 있게 하기위하여 지지저어널에는 동반구에 인접하여 압력요소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압력요소들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원추형상의 작은 직경은 단계상 구멍들의 작은 직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으며 그리고 이것의 큰 직경은 단계상 구멍들의 작은 직경보다 더 크다.In order to be able to grip and move the bobbin capsules in both directions with the supporting journals, the supporting journals are provided with pressure elements adjacent to the entrainment, which are formed conical and the small diameter of the two-conical It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small diameter of the phase holes and its large diameter is larger than the small diameter of the phase holes.

그의 구조의 관점에서 그리고 그의 운동의 그리고 그의 취급의 시작의 관점에서 비용이 드는 제지슬라아더는 이 제지요소가 하나의 링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링은 보빈캡슐의 중공저어널내에 마련된 절삭부의 내부에 배열되고 그리고 반경방향에서 탄성적으로 변형할 수 있을 때는 없앨 수가 있다.In terms of his construction and in terms of his movements and the start of his handling, paper sladers are made of a single ring which is formed by a single ring, which is placed inside a cutting section provided in the hollow journal of the bobbin capsule. It can be eliminated when it is arranged and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radial direction.

이 경우에 이것은 제지요소의 탄성적인 변형이 지지 저어널에 의하여 도입할 수 있는 보빈캡슐의 축방향의 운동에 의하여 야기할 수 있다면 특히 간단하다.In this case this is particularly simple if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papermaking element can be caused by the axial movement of the bobbin capsule which can be introduced by the support journal.

역시 수취장치의 내부에도 제지요소를 위한 운동의 별도의 도입부를 없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반송아암들은 보빈캡슐의 수취를 위하여 각각 하나의 수취저어널을 가지며, 이들은 이들의 단부에 먼쪽의 그의 단부의 범위에 하나의 절삭부를 갖추고 있으며, 이 절삭부는 하부캡슐의 저어널에 있는 절삭부에 상응하며, 여기서 수취저어널의 직경은 하부캡슐의 저어널의 직경에 상응한다.The conveying arms each have one receiving journal for the receipt of the bobbin capsules, so that the inside of the receiving device does not have a separate introduction of the movement for the papermaking element, and they There is one cut in the range, which cut corresponds to the cut in the journal of the lower capsule, where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journal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journal of the lower capsule.

수취저어널에 의하여 수취된 보빈 내지 보빈캡슐의 고정을 위하여 각각의 수취저어널에는 이것에 평행하게 뻗쳐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스프링이 소속되어 있으며 이 지지 스프링은 수취저어널 위에 밀어 올려진 보빈캡슐의 경우에 이안에 형성된 하나의 간주 내에 물려들어가 있다.In order to fix the bobbin or bobbin capsule received by the receiving journal, each receiving journal has at least one supporting spring extending in parallel to the receiving journal, and the supporting spring of the bobbin capsule pushed over the receiving journal. In the case there is an inheritance within one regard formed in the lanyard.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들과 상세는 이것의 도면에 표시된 실시예의 기술로부터 나타난다.Further advantages and details of the invention emerge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figures.

도 1 에는 점선으로 재봉기의 기초판(1)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 기초판은 하나의 수평축(2)의 둘레를 돌아가고 있는 그립퍼(3)를 가지며, 상기 그립퍼는 공지된 방법으로, 계목의 형성을 위하여 실을 안내하고 있는(표시되지 않은) 바늘과 협동작업을 한다.1 shows a base plate 1 of a sewing machine as a dashed line, which has a gripper 3 which is circumferentially circumferentially around one horizontal axis 2, which gripper is known in the art. Work with a needle guiding (unmarked) the thread.

그립퍼(3)에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보빈캡슐(5)의 수취를 위하여 사용되는 하부캡슐(4)이 축지되어 있으며 이 보빈캡슐은 실저장부를 가지고 있는 보빈(6)을 반송하고 있다. 하부캡슐(4)이 그러한 하부캡슐의 공지된 실시예들에 비하여 변동을 갖지 않을지라도 도 2 에는 본 발명에 대하여 관련된 그의 부품들이 보여지고 있는 하부캡슐(4)의 정면도가 보여져 있다. 이 하부캡슐(4)은 보빈캡슐(5)의 고정을 위하여, 축(2)에 동축으로 배열된 저어널(7)을 가지며 이 저어널은 그의 자유단의 범위내에 절삭부(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삭부는 뒤에 또 기술하고자하는 보빈캡슐(5)의 제지요소와 상호작용을 한다. 이것의 상부범위에는 하부캡슐(4)의 내부측에 서로에 대하여 간격을 떼고 배열된 2개의 고정핀들(9)이 있으며, 이 고정핀들은 하부캡슐(4)내에로 삽입된 보빈캡슐(5)이 또다른 범위에 형성된 요홈(10)내에로 돌기하며 그리고 보빈캡슐(5)을 반경방향으로 고정한다.The gripper 3 has a lower capsule 4 used for receiving the bobbin capsule 5 in a conventional manner, and the bobbin capsule carries a bobbin 6 having a seal storage portion. Although the lower capsule 4 has no variation compared to the known embodiments of such lower capsules, FIG. 2 shows a front view of the lower capsule 4 in which its parts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shown. The lower capsule (4) has a journal (7) arranged coaxially to the shaft (2) for fixing the bobbin capsule (5), which journal has a cutting portion (8) formed within the free end of its range. This cutting part interacts with the restraining element of the bobbin capsule 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its upper range there are two fixing pins 9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capsule 4, which fixing pins are inserted into the bobbin capsule 5 into the lower capsule 4. It protrudes into the groove 10 formed in this another range and fixes the bobbin capsule 5 in the radial direction.

도 3 및 도 4 에 표시된 보빈캡슐(5)의 제 1 실시예는 먼저 거기에 선회할 수 있는 보통의 후램이 생략되어지는 때에 한에서는 관용적인 보빈캡슐과 구별된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bobbin capsule 5 shown in Figs. 3 and 4 is distinguished from conventional bobbin capsules as long as the ordinary flam which can be swung there first is omitted.

본 발명에 따르는 보빈캡슐(11)은 공지된 방법으로 보빈(6)의 수취를 위하여 사용되는 중공저어널(13)이 설치되어있는 하나의 하우징(12)을 가진다. 보빈캡슐(11)의 전방측면에는 마찬가지로 공지된 방법으로 제지슬라이더(14)로서 형성된 제지요소를 위한 제비꼬리와 유사한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지 슬라이더는 보빈캡슐(11)의 종축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어있다. 이 제지슬라이더(14)는 도 3b 및 도 4b 에서 볼 수 있는 스톱퍼(15)를 갖추고 있으며 이 스톱퍼는 하우징(12)내에 배열된 스프링(16)에 대항하여 작용하고 그리고 제지 슬라이더(14)를 도 3 및 도 4 에 관련하여 우측을 향하여 눌른다. 제지슬라이더(14)의 상기한 위치에서는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그리고 훅크형상의 노오스부(17)를 형성하는 보빈캡슐(11)의 외측의 우측단부가 존재한다. 보빈(6)은 이것과는 자유롭다.The bobbin capsule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using 12 in which a hollow journal 13 is used, which is used for receiving the bobbin 6 in a known manner. On the front side of the bobbin capsule 11, a guide similar to the swallow tail for the papermaking element formed as the paper slider 14 is formed in a known manner, and this paper slider is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bbin capsule 11. It is arranged to be movable. This paper slider 14 has a stopper 15 as seen in FIGS. 3b and 4b which acts against a spring 16 arranged in the housing 12 and shows the paper slider 14. Press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3 and 4. In the above-described position of the paper slider 14, the right end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bobbin capsule 11, which is bent at right angles and forms a hook-shaped nose portion 17, is present. The bobbin 6 is free from this.

상기 제지 슬라이더(14)는 나아가서는, 좌측단부의 범위에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요홈(18)을 가진다. 이것으로 인하여 제지슬라이더(14) 측방에는- 평면도에서 대략 반월 형상을 가지는 하나의 빗장(19)을 생성하며 이 빗장은 하부캡슐(4)내에로 삽입되는 보빈캡슐(11)의 경우에 저어널(7)의 절삭부(8)내에로 돌출하며 그리고 보빈캡슐(11)을 축방향에서 고정한다.The paper-making slider 14 further has a recess 18 formed in a step shape in the range of the left end. This results in a side of the paper slider 14-one bar 19 having a roughly half moon shape in plan view, which in the case of the bobbin capsule 11 is inserted into the lower capsule 4. It protrudes into the cutting part 8 of 7) and fixes the bobbin capsule 11 in the axial direction.

특히 하부캡슐(4)로부터 꺼집어낸 보빈캡슐(11)의 경우에 제지 슬라이더(14)의 운동자유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지 슬라이더(14)내에로는 스톱퍼(21)로서 작용하고 있는 나사가 조여져 있으며 이 나사의 자유단은 보빈캡슐(11)의하우징(12)의 저면에 형성된(자세히 표시 되지는 않은) 요홈속으로 돌출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bobbin capsule 11 taken out from the lower capsule 4, the screw acting as a stopper 21 is tightened into the paper slider 14 to limit the freedom of movement of the paper slider 14. The free end of the screw projects into the groove (not shown in detail) form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12 of the bobbin capsule 11.

도 4 에 표시된 보빈캡슐(11)의 해제 위치에서 제지슬라이더(14)의 노오스부(17)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보빈캡슐(11)의 하우징(12)내에 형성된 요홈(20)내에로 돌출하며 그리고 보빈(6)의 상부 후랜지를 하부에 파지하며 그 결과로 후자는 보빈캡슐(11)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In the release position of the bobbin capsule 11 shown in FIG. 4, the nose portion 17 of the paper slider 14 protrudes into the groove 20 formed in the housing 12 of the bobbin capsule 11 in a conventional manner. And the upper flange of the bobbin 6 is gripped to the bottom, as a result of which the latter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the bobbin capsule (11).

또 뒤에 더 자세히 설명되어지는 바와 같이, 보빈캡슐(11)에 대한 도 3에 표시된 로킹위치로 부터 도 4에 표시된 해제위치에로 제지슬라이더(14)의 이동을 위하여 제지슬라이더(14) 측방에 직접파지하고 있는 파지장치가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는 도 3 및 도 4에 관련하여 제지슬라이더(14)의 좌측범위내에는 하나의 요홈(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요홈은 이것이 보빈캡슐(11)내에 원래 존재하는 요홈(23)을 가지고 부분적으로 덮는 방법으로 배열되며 그리고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양 요홈들(22 및 23)을 통과하면서 파지하고 있는 파지장치의 지지요소는 보빈캡슐(11)의 요홈(23)의 우측경계면에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요홈(22)은 파지장치의 지지요소를 위한 후방절삭부(24)를 가진다.As will be explained in further detail later, the bobbin capsule 11 is directly on the side of the paper slider 14 for the movement of the paper slider 14 from the locking position shown in FIG. 3 to the release position shown in FIG. 4. The gripping device being held is used. To this end, one groove 22 is formed in the left range of the paper slider 14 in relation to FIGS. 3 and 4, which has a groove 23 originally present in the bobbin capsule 11. Arranged and formed in a partially covered manner. Thus, the supporting element of the gripping device that is gripped while passing through both grooves 22 and 23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right boundary of the groove 23 of the bobbin capsule 11. Furthermore, the groove 22 has a rear cutting portion 24 for the supporting element of the gripping device.

마지막으로, 도 3b 및 도 4b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보빈캡슐(11)은 이것의 상부범위에 하나의 요홈(25)을 가지며 이 요홈의 측방의 경계면들은 하부캡슐(4)속으로 삽입된 보빈캡슐(11)의 경우에 하부캡슐(9)의 고정핀들(9)과 상호작용하며 그리고 반경방향에서 이 보빈캡슐(11)을 고정한다.Finally, as can be seen from FIGS. 3b and 4b, the bobbin capsule 11 has one groove 25 in its upper range and the side interfaces of the grooves are inserted into the lower capsule 4. In the case of the capsule 11 it interacts with the fixing pins 9 of the lower capsule 9 and fixes the bobbin capsule 11 in the radial direction.

도 5 및 도 6 에서 표시된 보빈 캡슐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측방의 통상적인 후랩이 없어진다. 보빈캡슐(11)의 제 1 실시예에 비하여 역시 제지슬라이더(14)가 없어지며 그리고 이중 각부스프링에 의하여 형성된 제지요에 의하여 대체되어져 있다.In the ca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bobbin capsule shown in FIGS. 5 and 6, the lateral conventional flaps are likewise eliminated.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obbin capsule 11, the paper slider 14 is also eliminated and replaced by the papermaking formed by the double corner springs.

제 2 실시형태의 보빈캡슐(31)은 이로서 제지요소로서 전술한 이중 각부 스프링(32)을 가지며 이것의 하나의 각부(33)는 도 5에 관련하여 대체로 수평으로 지나고 있으며 이제까지의 제지 슬라이더에 대한 상부가이드의 내부에 놓여있다. 상기한 각부(33)의 자유단은 먼저 하방으로 향하여 비스듬하게 진행하며 그리고 노오스부(34)의 형성을 위하여 대체로 직각으로 굴곡되어져 있다. 보빈캡슐(31)의 로킹위치에서 노오스부(34)는 보빈캡슐(31)의 하우징(12)내에 형성된 요홈(20)을 통하여는 돌출하지 않으며, 그 결과로 보빈(6)은 자유롭다.The bobbin capsule 31 of the second embodiment thus has a double-angular spring 32 as described above as a papermaking element, one of which 33 passes generally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FIG. 5 and with respect to the papermaking slider thus far. It is placed inside the upper guide. The free end of each of the corners 33 first runs obliquely downward and is curved at right angles to form the nose portion 34. In the locking position of the bobbin capsule 31, the nose portion 34 does not protrude through the groove 20 formed in the housing 12 of the bobbin capsule 31, so that the bobbin 6 is free.

이중-각부 스프링(32)의 각부(33)는 하나의 웨브(35)를 거쳐서 이것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지나고 있는 제 2 의 각부(36)와 결합하여져 있으며, 제 2 각부는 보빈캡슐(31)의 로킹위치에서 하부 캡슐(4)의 저어널(7)의 절삭부(8)의 안에 놓여 있으며 이것으로 인하여 보빈캡슐(31)은 축방향에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각부(36)는- 도 5b 및 도 6b 에 관련하여-그의 우측의 범위에 고리모양으로 뒤로 굴곡되어 있으며, 그 결과로 그 범위(37)는 이제까지의 제지슬라이더에 대한 하부가이드내에 놓여있다. 각부(33)와 그리고 각부(36)의 범위(37)는 이로서 이제까지의 제지슬라이더(14)에 대한 가이드내에서 거의 동일한 높이에서 진행하며, 한편 각부(36)는 여기서부터 약간상부에서 지나고 있다. 도 5 및 도 6 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범위(37)는 수평 평면에서 또다시 직각으로 굴곡되며 그리고 웨브(35)의 하부에서 이것에 거의 평행하게 보빈캡슐(31)의 하우징(12)의 요홈(23) 까지 진행하며 거기서 제지되어있다. 각부(33)의 우측범위가 파지장치의 하나의 요소에 의하여 지지되며 그리고 이 경우에 동시에 이중-각부스프링(32)의 하부각부(36)가 파지장치의 또다른 요소에 의하여 하방을 향하며 눌려진다며, 도 5b 및 도 6b 에서 볼수 있는 바와 같이 각부(36)는 저어널(7)의 절삭부(8)의 범위로부터 밖으로 움직여지며, 여기서 각부(33)의 노오스부(34)는 동시에 보빈캡슐(31)의 하우징(12)에로 움직여지며 그리고-하우징(12)내의 요홈(20)을 통과하면서-보빈(6)의 상부후랜지에 접촉하게되며 그리고 이것에 의하여는 제지해제된 보빈캡슐(31)의 경우에는 이것으로부터 보빈(6)이 떨어져 나옴이 피하여진다.The corner portion 33 of the double-angle spring 32 is coupled with a second corner portion 36 which passes through a web 35 and is about parallel to it, the second corner portion being bobbin capsules 31. In the locked position of the lower capsule 4 lies in the cutting section 8 of the journal 7, which causes the bobbin capsule 31 to be fix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corner portion 36-in relation to FIGS. 5B and 6B-is bent back in a ring to the right of its range, as a result of which the range 37 lies in the lower guide for the paper slider as ever. The section 33 and the range 37 of the section 36 thus run at about the same height within the guide to the paper slider 14 thus far, while the section 36 runs slightly above it from here. As can be seen in FIGS. 5 and 6, the range 37 is again bent at right angles in the horizontal plane and at the bottom of the web 35 the grooves of the housing 12 of the bobbin capsule 31 almost parallel to it. 23) and restrained there. The right range of the foot 33 is supported by one element of the gripping device and in this case the lower leg 36 of the double-foot spring 32 is pressed downwards by another element of the gripping device. 5b and 6b, the leg 36 moves out of the range of the cutting 8 of the journal 7, where the nose 34 of the leg 33 is simultaneously bobbin capsules. Moved to the housing 12 of the 31 and-in contact with the upper flange of the bobbin 6-while passing through the groove 20 in the housing 12, thereby debinding the bobbin capsule 31 In the case of), it is avoided that the bobbin 6 comes off from this.

도 7a 및 도 7b 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파지장치(40)의 제 1 실시예가 보여져있으며, 이 파지장치는 보빈캡슐의 제 1 실시예와, 즉 보빈캡슐(11)과 상호작용한다. 이 파지 장치(40)는 2개의 지지요소들(41, 42)을 가지고 있으며, 여기서 지지요소(41)는 그립퍼(3)의 축(2)에 대하여 평행하게 향하여진 가이드 궤도(44)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위에서 회전에 방지되어 있는 하나의 스키드(43)와 고정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요소(41)는 지지핑거(45)를 갖추고 있으며, 이 지지핑거는 그의 작용위치에서 보빈캡슐(11)의 하우징(12)의 요홈(23)의 경제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 지지요소(42)는 지지요소(41)측방에서 선회할 수 있게 축수되어 있으며 하나의 지지노오스부(46)를 가지며 상기 지지노오스부는-양지지요소들(41), (42)의 종방향으로 보아서- 지지핑거(45)에 비하여 약간 뒤로 물러서 있으며 그리고 이들의 작용위치에서 보빈캡슐(11)의 후방절삭부(24)속으로 물린다.7a and 7b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gripping apparatus 40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interacts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obbin capsule, ie with the bobbin capsule 11. The gripping device 40 has two support elements 41, 42, where the support element 41 is in accordance with a guide trajectory 44 which is oriented parallel to the axis 2 of the gripper 3. It is movable and is fixedly coupled with one skid 43 which is prevented from rotating on this. The support element 41 is provided with a support finger 45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economic surface of the recess 23 of the housing 12 of the bobbin capsule 11 at its working position. The support element 42 is pivotally pivot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element 41 and has a support nose portion 46 which is the support of both support elements 41, 42.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slightly backward relative to the supporting finger 45 and into their rear cutting portion 24 of the bobbin capsule 11 at their working position.

이에 추가하여 상기 양 지지요소들(41), (42)을 반송하고 있는 스키드(43)는장소가 고정된 후레임(47)에 의하여 반송되고 그리고 실린더 또는 마그네트(48)로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 구동장치에 의하여 가이드 궤도(44)를 따라 움직여진다. 이 경우에 실린더/마그네트(48)는 후레임(47)에 축수된 굽은 레버(49)를 파지하며 이 굽은 레버는 그 쪽에서 하나의 핀/장공-결합을 거쳐서 스키드(43)측면에 파지되며 그리고 이 스키드를 스프링(50)의 힘에 대항하며 그립퍼(3)에 그리고 이로서 보빈캡슐(11)에로 움직인다. 상기한 종방향운동의 종단에서 이 지지요소(41)는 그의 작용위치에 도달하며 그리고 제지슬라이더(14)의 요홈(22)을 통과하여 돌출하면서 보빈캡슐(11)의 하우징(12)에 형성된 요홈(23)의 경계면에 접촉한다. 이 지지 노오스부(46)는 이 경우에 실로 마찬가지로 제지슬라이더(14)의 요홈(22)내부에 존재하며, 그러나 이것의 후방절삭부(24)의 범위에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In addition to this the skid 43 carrying both of the support elements 41, 42 is driven by a frame 47 having a fixed location and may be formed as a cylinder or magnet 48. It is moved along the guide track 44 by the device. In this case the cylinder / magnet 48 grips the bent lever 49 bearing the frame 47 which is gripped on the side of the skid 43 via one pin / hole-engagement thereon. The skid moves against the force of the spring 50 and into the gripper 3 and thereby into the bobbin capsule 11. At the end of the longitudinal movement this support element 41 reaches its working position and is formed in the housing 12 of the bobbin capsule 11 while protruding through the groove 22 of the paper slider 14. Contact the interface of (23). This support nose portion 46 is in this case indeed likewise present in the recess 22 of the paper slider 14, but not yet in the range of its rear cut-out portion 24.

지지요소(42)에 파지되어 있으며 그리고 지지요소(41)에 의하여 반송되어진 마그네트에 의하여 작용되어질 수 있는, 지지요소(42)의 뒤따르는 선회운동의 동안에 지지노오스부(46)는 후방절삭부(24)의 범위내에 안내된다. 이 경우에 지지 노오스부(46)는 동시에 제지슬라이더(14)내에 형성된 요홈(22)의 경계면에 접촉하며, 그 결과로 제지슬라이더(14)는 횡방향운동을 설치하며, 이것으로 인하여 한편으로는 그의 빗장(19)의 하부캡슐(4)의 저어널(7)의 절삭부(8)로부터 빠져나와지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지슬라이더(14)의 노오스부(17)는 요홈(20)을 통하여 보빈캡슐(11)의 하우징(12)의 내부에로 안내된다. 이로서 동시에 보빈(6)은 보빈캡슐(11)로 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During the following pivoting movement of the support element 42, the support nose portion 46 is supported by the back cutting portion, which is held by the support element 42 and can be acted upon by a magnet carried by the support element 41. Guided within the scope of (24). In this case, the supporting nose portion 46 simultaneously contacts the interface of the groove 22 formed in the paper slider 14, as a result of which the paper slider 14 installs a lateral movement, thereby Is drawn out from the cutting portion 8 of the journal 7 of the lower capsule 4 of its bolt 19 and on the other hand the nose portion 17 of the paper slider 14 is recessed 20. It is guid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2 of the bobbin capsule 11 through. As a result, the bobbin 6 is prevented from falling off from the bobbin capsule 11 at the same time.

지지노오스(46)의 선회운동에 의하여 야기된 제지슬라이더(14)의 횡방향운동의 동안에 지지요소(41)의 지지핑거(45)과 제지슬라이더(14)안에 형성된 요홈(22)을 통하여 보빈캡슐(11)의 하우징(12)내에 마련된 요홈(23)속으로 돌출하며 그리고 이것의 경계면에 접촉하므로 상기 보빈캡슐(11)은 제지슬라이더(14)의 횡방향 운동의 동안에 측방에 힘들에 대항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저어널(7)에서 보빈캡슐(11)의 끼워지는 일은 이것으로 인하여 피하여진다. 이로서 양 지지요소들(41),(42)에 의하여 파지된 제지슬라이더(14)는 이완되는 스프링(50)에 의하여 작용되는 파지장치의 뒤따르는 후진운동의 동안에 상기한 위치에 머무른다. 이 보빈캡슐(11)은 상기한 위치에서 그립퍼(3)의 축(2)에 평행한 궤도에 따라서 그립퍼(3)의 직접측방에 설치된 수취장치의 교체장에 안내되며 그리고 거기서 뒤에도 기술하고자 하는 방법으로 고정된다.Bobbin through the support finger 45 of the support element 41 and the groove 22 formed in the paper slider 14 during the lateral movement of the paper slider 14 caused by the pivoting motion of the support nose 46. The bobbin capsule 11 resists forces laterally during the lateral movement of the paper slider 14 as it projects into the groove 23 provided in the housing 12 of the capsule 11 and contacts its interface. It is supported and the fitting of the bobbin capsule 11 in the journal 7 is avoided by this. The paper slider 14 gripped by both support elements 41, 42 thus stays in this position during the subsequent backward movement of the gripping device acted by the spring 50 to be relaxed. This bobbin capsule 11 is guided to a replacement site of the receiving devic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gripper 3 directly along the track parallel to the axis 2 of the gripper 3 at the position described above and thereafter described. Is fixed.

도 8a 및 도 8b 에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장치(60)의 제 2 실시예가 보여지고 있으며 이 파지장치는 보빈캡슐의 제 2 실시예와, 즉 보빈캡슐(31)과 상호작용을 하며 이것의 제지 요소는 이중- 각부스프링(32)에 의하여 형성되어있다. 이 파지장치(60)는 이중-각부스프링(32)의 로킹해제를 위하여 2개의 핑거(61), (62)를 둘려싸고 있는 전개 장치(63)를 가지며 이 전개장치는 마찬가지로 그립퍼(3)의 축(2)에 대하여 평행하게 향하여진 가이드궤도에 따라서 이동 가능한 스키드(65)에 의하여 교체장소로부터 그립퍼에로, 내지 거기서 부터 교체장소에로 움직일 수 있다. 파지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구동장치에 대한 스키드(65)의 상기한 종방향운동의 성취를 위한 구동 장치는 구조적으로 동일한 것일 수 있으므로 뒤에 상기한 구동장치에 되돌와서 시작된다. 이것에 의하면 역시 스키드(65)는 가이드궤도(44)에따라서 움직여지며 그리고 전술한 방법으로 실린더 또는 마그네트(48) 내지 스프링(50)에 의하여 움직여진다.8a and 8b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gripping apparatus 60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interacts wit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bobbin capsule, i.e. the bobbin capsule 31 and the restraining thereof. The element is formed by a double-angular spring 32. The gripping device 60 has a deploying device 63 enclosing two fingers 61, 62 for unlocking the double-angular spring 32 which is likewise of the gripper 3. The skid 65 movable along the guide trajectory directed parallel to the axis 2 allows movement from the replacement location to the gripper and from there to the replacement location. The drive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longitudinal motion of the skid 65 relative to the drive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gripping device may be structurally the same, and therefore starts back to the drive device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the skid 65 is also moved along the guide track 44 and by the cylinder or magnet 48 to the spring 50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핑거(61)는 스키드(65)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어 있으며 그리고 계단부(66)를 가지며, 한편 핑거(62)는 스키드(65)에 또는 핑거(61)에 선회가능하게 축수되어있다. 핑거(61) 내지 그의 계단부(66)는 이중-각부스프링(32)의 각 부(33)와 작용한다. 역시 핑거(61)는 핑거(62)를 하방으로 선회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마그네트(67)에 의하여 형성되어 질 수 있는 작동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 선회운동는 핑거(62)를 다음에 다시 그의 최초위치에로 복귀시키는, 자세히 표시되지는 않는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핑거(62)는 이중-각부스프링(32)의 각부(36)와 공동작용하는 압축면(68)을 가진다. 도 8a 및 도 8b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키드(65)에는 하나의 마그네트(6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의 앵커는 가이드 궤도(44)에 평행하게 향하여져 있다.The finger 61 is fixedly fixed to the skid 65 and has a step 66, while the finger 62 is pivotally confined to the skid 65 or to the finger 61. Fingers 61 to its step 66 act on each part 33 of double-angular spring 32. The finger 61 is also provided with actuation means that can be formed by, for example, a magnet 67 to pivot the finger 62 downward. This pivoting movement can be made against the force of the spring, which is not shown in detail, which then returns the finger 62 back to its initial position. This finger 62 has a compressive surface 68 which cooperates with the leg 36 of the double-leg spring 32. As can be seen from FIG. 8A and FIG. 8B, a magnet 69 is provided on the skid 65, and its anchor is directed parallel to the guide track 44.

보빈캡슐(31)의 로킹해제를 위하여 실린더 또는 마그네트(48)는 스프링(50)의 힘에 대항하여 스키드(65)를 그립퍼(3)에로 움직인다. 전개장치의 작용위치에서 핑거(61)는 하나의 위치를 차지하며, 이 위치에서 상기 계단부(66)가 각부(33)의 하측방에 근접하여 있다. 핑거(62)는 하방으로 선회되며 그리고 그의 압축면(68)을 가지고 하방을 향하여 각부(36)를 누르며, 여기서 이것(각부(36))은 저어널(7)의 절삭부(8)로부터 밖으로 움직여 나가며 그리고 이와함께 보빈캡슐(31)을 자유롭게 한다. 동시에 이것에 추가하여 각부(36)에서 압축면(68)의 힘 작용에 의하여 각부(33)의 노오스부(34)를 보빈캡슐(31)의 내부에로 움직여지며, 이것에 의하여노오스부(34)는 보빈(6)의 후랜지에 접촉하게 되며 그리고 이로서 보빈(6)은 보빈캡슐(31)로부터 떨어져나옴이 방지된다. 이제 마그네트(69)의 앵커는 자유롭게된 보빈캡슐(31)의 전축방측에로 향하게 이동하며 그 결과로 이것은 스키드(43)의 이어지는 귀환 운동의 동안에 동반되고 교체장소에로 가져와진다The cylinder or magnet 48 moves the skid 65 to the gripper 3 against the force of the spring 50 to unlock the bobbin capsule 31. The finger 61 occupies one position at the action position of the deployment device, in which the step portion 66 is close to the lower side of the corner portion 33. The finger 62 is pivoted downwards and with its compression surface 68 presses the corner 36 downwards, where it (foot 36) is out from the cutting section 8 of the journal 7. It moves and frees the bobbin capsule 31 with it.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o this, the nose portion 34 of the leg portion 33 is moved into the inside of the bobbin capsule 31 by the action of the force of the compression surface 68 on the leg portion 36. 34 contacts the flange of the bobbin 6 and thereby prevents the bobbin 6 from falling off the bobbin capsule 31. The anchor of the magnet 69 now moves towards the front axis side of the free bobbin capsule 31, as a result of which it is entrained during the subsequent return movement of the skid 43 and brought to the place of replacement.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는 캐리어(71)를 장비하고 있는, 보빈캡슐을 위한 수취장치(70)를 가지고 있다. 이 캐리어는 보빈캡슐을 위한 다수의 수취장소들(73)을 설치하고 있으며 그리고 축(72)의 둘레를 선회할 수 있다. 이 축(72)은 상응하는 재봉기에서 장소사정여하에 따라서 수직으로 또는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보빈캡슐은 그의 교체위치에서 그립퍼(3)에서 그의 위치에 상응하는 하나의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캐리어(71) 내에서 보빈캡슐을 위한 수취장소들(73)과 그의 지지수단이 보빈캡슐의 종방향축이 그의 교체위치에서 그립퍼(3)의 축(2)에 대하여 동축으로 지나도록 하는 방법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교체위치에서 보빈캡슐은 그립퍼(3)내에서 그의 위치에 비하여, 그립퍼(3)와 그때그때의 보빈캡슐 내지 캐리어 (71) 사이의 정상적인 재봉과정을 방해하지 않는 간격이 존재할 만큼 그렇게 멀리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 receiving device 70 for bobbin capsules, which is equipped with a carrier 71. This carrier is equipped with a number of receiving points 73 for the bobbin capsule and can pivot around the shaft 72. This shaft 72 may be arrang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sewing machine. It is important that the bobbin capsule occupy one position corresponding to its position in the gripper 3 at its replacement position. This means that the receiving points 73 and its supporting means for the bobbin capsule in the carrier 71 cause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bbin capsule to pass coaxially with respect to the axis 2 of the gripper 3 at its replacement position. And the bobbin capsules in the replacement position, as compared to their positions in the gripper 3,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normal sewing process between the gripper 3 and the bobbin capsules and the carrier 71 at that time. This means that it is axially moved so far as to exist.

본 발명의 상세히 보여준 실시형태의 경우에 수취장치(70)의 축(72)은 그립퍼(3)의 축(2)에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한 수취장치(70)는 이 경우에 하나의 스키드(74)에 의하여 수취되어지며, 이 스키드는 더 자세히는 표시되지 않은 가대에 배열된 안내봉들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된 스키드(74)이다. 이 스키드(74)는 역시 축(72)의 수취를 위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수취장치(70)는 축(72) 둘레를 회전할 수 있으며, 재봉기내에 존재하는 장소가 이것을 위하여 충분하지 않다면, 추가적으로 회전운동을 위하여 상하로 움직일 질 수 있다. 스키드(74)의 구동을 위하여는 자세히는 표시되지 않은 가대에 의하여 수용된 마그네트(80)가 사용되며, 이 마그네트는 직접 또는 계단식스위치 장치를 거쳐서 여기에 작용한다.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detai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ft 72 of the receiving device 70 is arranged parallel to the shaft 2 of the gripper 3. The receiving device 70 is in this case received by a skid 74, which skid is arrang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guide rods arranged on a mount not shown in more detail. 74). Since the skid 74 is also used for receiving the shaft 72, the receiving device 70 can rotate around the shaft 72 and if there is not enough place for this in the sewing machine, further rotation. You can move up and down for exercise. For driving the skid 74, a magnet 80 accommodated by a mount not shown in detail is used, which acts on it directly or via a stepped switch device.

표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캐리어(71)는 4개의 반송아암(75)을 갖추고 있으며, 캐리어는 그래서 보빈캡슐을 위한 총 4개의 수취장소들(73)을 가진다. 이 캐리어(71)는 맥동방식으로 그때 그때마다 90도 만큼 축(72)둘레를 선회하며, 그 결과로 수취장소들(73)의 각각은 계단방식으로 교체위치에 도달한다. 물론 캐리어(71)는 역시 4개 이상의 수취장소들(73)을 가지며 그리고 이것에 상응하게 맥동되어질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the carrier 71 is equipped with four conveying arms 75 and the carrier thus has a total of four receiving points 73 for bobbin capsules. The carrier 71 pivots around the shaft 72 by 90 degrees at that time in a pulsating manner, as a result of which each of the receiving places 73 reaches the replacement position in a stepwise manner. Of course the carrier 71 also has four or more receiving points 73 and can be pulsated correspondingly.

도 9a 내지 도 9c 그리고 또 도 10a 내지 도 10c 는 보빈캡슐(11)을 위한 수취장소들(73)의 특별한 형성의 상이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9A-9C and also 10A-10C show the different possibilities of the special formation of receiving sites 73 for the bobbin capsule 11.

도 9a 및 도 10a 에 따르는 수취장소들(73)의 실시형태에서 반송아암(75)은 수취저어널(76)을 가지며, 이것의 직경은 대체로 하부캡슐(4)의 저어널(7)의 직경에 상응하며, 그 결과로 보빈캡슐(11)은 하부캡슐(4)에서와 같은 동일한 허용차 비율하에 있는 수취저어널(76) 상에 수취되어 있다. 제지슬라이더(14) 내에로 돌출하고 있는 그 범위에는 수취저어널(76)이 편심돌출부(7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는 제지슬라이더(14)의 요홈(18) 내에로 돌출한다. 제지슬라이더(14)는 이로서지지요소들(41),(42)내지 지지핑거(45) 및 지지노오스부(46)가 그의 요홈(22)으로 부터 밖으로 움직여 나올때 이제까지의 그의 위치를 유지하며, 이 위치에서 노오스부(17)는 보빈캡슐(11)의 하우징(12)내에 요홈(20)을 통하여 돌출하면서 보빈(6)의 후렌지의 하나를 아래에서 파지하며 그리고 이것을 보빈캡슐(11) 내에서 단단히 붙잡는다. 보빈캡슐(11)의 반경방향의 위치의 고정을 위하여는 2개의 핀(7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핀들은 캐리어(71)의 돌출부(79) 내에 수취되며 그리고 보빈캡슐(11)의 축에 수직하게 향하여져있다. 그의 상대방의 간격은 하부캡슐(4)의 고정핀들(9)의 맞은편의 간격에 상응한다. 핀들(78)은 보빈캡슐(11)의 요홈(25)내에로 돌출하며, 그 결과로 이것은 하부캡슐(4) 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경방향에서의 교체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receiving places 73 according to FIGS. 9a and 10a the conveying arm 75 has a receiving journal 76, the diameter of which is generally the diameter of the journal 7 of the lower capsule 4. As a result, the bobbin capsule 11 is received on the receiving journal 76 under the same tolerance ratio as in the lower capsule 4. In the range protruding into the paper slider 14, the receiving journal 76 is formed with an eccentric protrusion 77, which protrudes into the groove 18 of the paper slider 14. As shown in FIG. The paper slider 14 thus maintains its position as far as the support elements 41, 42 to support finger 45 and the support nose portion 46 move out from their grooves 22, In this position, the nose portion 17 protrudes through the groove 20 in the housing 12 of the bobbin capsule 11 and grips one of the flanges of the bobbin 6 from below, and this is in the bobbin capsule 11. Hold firmly in Two pins 78 are provided for fixing the radial position of the bobbin capsule 11, which are received in the projection 79 of the carrier 71 and on the axis of the bobbin capsule 11. Faced vertically The spacing of its counterparts corresponds to the spacing opposite the fixing pins 9 of the lower capsule 4. The pins 78 protrude into the grooves 25 of the bobbin capsule 11, as a result of which they are fixed in the radially replaceable position in the same way as in the lower capsule 4.

특히 도 10a 로부터 나타난 바와 같이 반송아암(75)은 보빈캡슐(11)의 요홈(22)의 측방에 존재하며, 그 결과로 지지요소들(41),(42)은 보빈캡슐(11)을 방해받지 않고 수취저어널(76) 상에 끌어올수 있다.In particular, as shown from FIG. 10A, the carrier arm 75 is present on the side of the groove 22 of the bobbin capsule 11, with the result that the supporting elements 41, 42 interfere with the bobbin capsule 11. Can be pulled onto the receiving journal 76 without receiving.

도 9b 및 도 10b 에 따르는 수취장소들(73)의 실시형태에서 반송아암(75)은 수취저어널(81)을 가지며 이것의 직경은 마찬가지로 대체로 하부캡슐(4)의 저어널(7)의 직경에 상응한다. 수취저어널(81)은 편심의 돌출부(77)의 대신에 굴곡된 하나의 웨브(82)를 가지며 이 웨브는 스키드(43)의 움직임 궤도에 평행하게 향하여져 있고 그리고 보빈캡슐의 노오스부(17)를 위한 안내홈(83)을 가지고 있다. 이것으로 인하여, 제지슬라이더(14)는 파지장치(40)가 보빈캡슐(11)을 완전히 수취저어널(81) 위에로 움직이고 그리고 이것(11)을 해방할때는 보빈(6)을 로킹하고 있는 그의 위치에서 유지된다. 동시에 보빈캡슐(11)의 반경방향의 위치는 안내홈(83) 속에로 돌출하고 있는 노오스부(17)에 의하여 고정된다. 특히 도 10b 로부터 나타내어진바와 같이 역시 여기서도 보빈캡슐(11)의 요홈(22)의 측방에 반송아암(75)이 존재하며, 그 결과로 지지요소들(41),(42)은 보빈캡슐(11)을 방해받지 않고 수취저어널(81)위에 끌어당길 수가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receiving places 73 according to FIGS. 9b and 10b, the return arm 75 has a receiving journal 81, the diameter of which is generally the diameter of the journal 7 of the lower capsule 4. Corresponds to The receiving journal 81 has one web 82 that is bent in place of the eccentric protrusion 77 and the web is oriented parallel to the trajectory of the skid 43 and the nose portion of the bobbin capsule ( 17 has a guide groove (83). Due to this, the paper slider 14 moves its holding device 40 fully onto the receiving journal 81 and the locking position of the bobbin 6 when it is released. Is maintained at. At the same time, the radial position of the bobbin capsule 11 is fixed by the nose portion 17 protruding into the guide groove 83. In particular, as shown from FIG. 10B, the carrier arm 75 is also present on the side of the groove 22 of the bobbin capsule 11, so that the supporting elements 41, 42 are the bobbin capsule 11. ) Can be attracted to the receiving journal 81 without being disturbed.

도 9c 및 도 10c 에 따르는 수취장소들(73)의 실시형태에서 반송아암(75)에는 하나의 피복(84)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피복의 내경은 대체로 보빈캡슐(11)의 외경에 상응한다. 이 피복(84)은 그립퍼(3)에 향하여진 그의 전면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그립퍼(3)에게 먼쪽의 상기피복의 전면측에는 피복(84)은 저면(85)을 갖추고 있으며, 이 저면은 파지장치(40)의 지지요소들(41),(42)의 통과를 위한 개구(86)를 사용한다. 이 피복(84)은 이것의 내측면에 제지슬라이더(14)의 노오스부(17)를 위한 안내홈(83)을 가진다. 역시 여기에서 제지슬라이더(14)는 파지장치(40)가 보빈캡슐(11)을 완전히 피복(84)내로 운직이고 그리고 보빈캡슐(11)을 해방한 때에 보빈(6)을 로킹하는 그의 위치에 유지된다. 동시에 보빈캡슐(11)의 반경방향의 위치는 안내홈(87) 속에로 돌출하고 있는 노오스부(17)에 의하여 고정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receiving places 73 according to FIGS. 9C and 10C, the carrier arm 75 is arranged with one sheath 84, the inner diameter of which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obbin capsule 11. . The sheath 84 is open at its front side facing the gripper 3, and at the front side of the sheath far from the gripper 3, the sheath 84 has a bottom 85, and this bottom is gripped. An opening 86 for the passage of the support elements 41, 42 of the device 40 is used. The sheath 84 has a guide groove 83 for the nose portion 17 of the paper slider 14 on its inner side. Here too, the paper slider 14 is held in its position to lock the bobbin 6 when the gripping apparatus 40 is fully loaded with the bobbin capsule 11 into the covering 84 and the bobbin capsule 11 is released. do. At the same time, the radial position of the bobbin capsule 11 is fixed by the nose portion 17 protruding into the guide groove 87.

도 11a 및 도 11b 에서, 수취장치(70)의 내부에 보빈캡슐(31)을 위한 수취장소들(73)의 형성이 보여지고 있다. 역시 여기서도 수취저어널의 직경이 대체로 하부캡슐(4)의 저어널(7)의 직경에 상응하는 수취저어널(88)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결과로 이 보빈캡슐(31)은 하부캡슐(4)에서와 같은 동일한 허용차 비율하에서 수취저어널(88) 위에 수취되어져있다.11A and 11B, the formation of receiving sites 73 for the bobbin capsule 31 inside the receiving device 70 is shown. Here too, the receiving journal 88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journal 7 of the lower capsule 4, and as a result, the bobbin capsule 31 has a lower capsule 4 Is received on the receiving journal 88 under the same tolerance ratio as shown in FIG.

이 수취저어널(88)은 그립퍼(3)에서 먼 그의 단부에 프리즘형상의 돌출부(89)를 가지며 이것의 폭은 대체로 보빈캡슐(11)의 제지슬라이더(14)의 폭에 상응한다. 보빈캡슐(31)이 파지장치(60)의 핑거(61),(62)에 의하여 수취저어널(88) 위에로 밀어올려지자마자 이것의 돌출부(89)는 보빈캡슐(31) 내에 형성된, 제지슬라이더(14)를 위한 안내부속에로 물리며; 이것으로 인하여 보빈캡슐(31)은 반경방향의 위치에서 고정되어져 있다. 돌출부(89)는 이 경우에 제지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그의 이중-각부스프링(32)을 보빈(6)을 해방시키는 위치에로의 귀환운동에서 방해하기 때문에 역시 각부(33)의 노오스부(34)는 보빈(6)을 보빈캡슐(31)로 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에서 방지하는 그의 위치에 머무른다.This receiving journal 88 has a prism-shaped protrusion 89 at its end far from the gripper 3, the width of which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paper slider 14 of the bobbin capsule 11. As soon as the bobbin capsule 31 is pushed onto the receiving journal 88 by the fingers 61 and 62 of the gripping device 60, its protrusion 89 is formed in the bobbin capsule 31. Snapped into the guide for (14); For this reason, the bobbin capsule 31 is being fixed at the radial position. The protrusion part 34 of the leg part 33 also obstructs the return motion to the position in which the bobbin 6 releases its double-angular spring 32 which occupies the restraining position in this case. ) Stays in its position, which prevents the bobbin 6 from coming off from the bobbin capsule 31.

수취장치(70)를 점차적으로, 설치된 수취장소들(73)의 수에 상응하는 각도량만큼을 축(72) 둘레에서 회전시킬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하나의 마그네트(91)를 가지는 구동장치(90)(도 12)가 설치되어 있다. 마그네트들(91)의 앵커에는 슬라이더(92)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더는 만곡테두리(93)의 수평범위에 형성된 안내궤도에 따라서 움직일 수 있다. 이 안내궤도는 만곡테두리(93) 속에 가공되어 있는 간극(94)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간극속으로 슬라이더(92)의 하단부가 물린다. 이 슬라이더(92)는 수취장치(70)를 반송하고 있는 축(72)상에 배열된 인덱스-원반(97)의 핀들(96)과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동반턱(95)을 가진다. 마그네트(91)는 표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스위치 단계마다 2개의 작업공정들을 일단에서는 만곡테두리(93)에 그리고 타단에서는 슬라이더(92)에 파지된 스프링(98)의 힘에 대항하여 실시하며, 여기서인덱스-원반(97)은 인덱스-원반(97)내에서 상응하는 절삭부(100)내에 들어가 있는, 스프링 부하된 제동구(99)에 의한 각각의 스위치 단계후에 그때그때의 위치에 제동되어진다.Drive device 90 having one magnet 91 in order to be able to rotate the receiving device 70 gradually around the axis 72 by an angular amoun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installed receiving places 73. 12 is provided. A slider 92 is connected to an anchor of the magnets 91, and the slider can move according to a guide trajectory formed in the horizontal range of the curved edge 93. This guide orbit may be formed by the gap 94 processed in the curved edge 93, and the lower end of the slider 92 is bitten into the gap. This slider 92 has one companion jaw 95 which interacts with the pins 96 of the index-disc 97 arranged on the axis 72 carrying the receiving device 70. In the embodiment shown, the magnet 91 carries out two working processes per switch step against the force of the spring 98 held at one end on the curved edge 93 and at the other end on the slider 92. The index-disc 97 is braked at that time after each switch step by the spring-loaded brakes 99 which are in the corresponding cutting section 100 in the index-disc 97.

다음의 경과기술을 위하여는 도 13 에서 표시된 상황으로 부터 시작되며, 이것에 의하면 그때그때마다 하나의 보빈캡슐(11)을 가지는 수취장치(70)의 4개의 수취장소들(73)이, 채워진 보빈(6)을 가지고 장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그립퍼(3) 내에는 보빈캡슐(11)이 존재하지 않는다.For the following transition description, it begins with the situation indicated in FIG. 13, whereby four receiving places 73 of the receiving device 70 each having one bobbin capsule 11 are then filled. It is mounted with (6) and there is no bobbin capsule (11) in the gripper (3).

보빈캡슐(11)의 제지슬라이더(14)는 그때그때의 보빈(6)을 로킹하고 있는 위치를 차지한다. 캐리어(71)를 가지는 수취장치(70)는 바로 그립퍼(3)의 측방에 존재하며, 여기서 교체위치에서 저어널(76),(81)의 하나에 또는 피복(84)의 내부에 존재하는 보빈캡슐(11)의 축은 그립퍼(3)의 축과 일직선상에 오며 그리고 지지요소들(41),(42)을 가지는 파지장치(40)는 -도 13 과 관련하여- 캐리어(71)의 좌측에 존재한다. 상기한 상황은 선행하고 있는 재봉과정들에 의하여 모든 보빈캡슐(11)의 보빈(6)이 비어지게 작업되어지고 그리고 4개의 보빈캡슐(11)을 가지며 재봉기의 외부에 놓여진 장착장소에 캐리어(71)가 충진된 보빈(6)을 가지고 장착되어질 때 나타난다.The paper slider 14 of the bobbin capsule 11 occupies the position which locks the bobbin 6 at that time. The receiving device 70 with the carrier 71 is located immediately to the side of the gripper 3, in which the bobbin is present in one of the journals 76, 81 or inside the sheath 84 at the replacement position. The axis of the capsule 11 is in line with the axis of the gripper 3 and the gripping device 40 with the supporting elements 41, 42-on the left side of the carrier 71-in relation to FIG. 13. exist. In the above situation, the bobbin 6 of all the bobbin capsules 11 is emptied by the preceding sewing processes, and the four carriers 71 are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sewing machine having four bobbin capsules 11. Appears when mounted with the filled bobbin (6).

여기서부터 출발하여 스키드(43)는 그의 안내궤도(44) 상에서 지지요소(41)의 지지핑거(45)가 제지원반(14) 내의 요홈(22)을 통과하여 보빈캡슐(11)의 요홈(23) 내에로 움직일 만큼 멀리 우측을 향하여 움직여진다. 마그네트들(51)에 의하여 도입된 이어지는 지지요소(42)의 선회운동에 의하여 그의 지지노오스부(46)는 제지슬라이더(14)의 후방절삭부(24)의 범위에 도달한다. 그렇게 파지된 보빈캡슐(11)은 스키드(43)의 또다른 종방향운동의 동안에 상응하는 수취저어널(76 내지 81) 또는 피복(84)을 떠나면서, 그립퍼(3) 내에로 내지 그의 하부 캡슐(4) 내에로 밀어 넣어지며 그리고 이 경우에 그의 저어널(7)에 의하여 수취되어진다. 이 제지슬라이더(14)의 노오스부(17)는 또 항상 보빈(6)을 제동하고 있는 그의 위치에 존재한다; 역시 지지노오스부(46)는 저어널(7) 상에서 보빈캡슐(11)의 이동을 허용하는 그의 위치에 더 존재하며, 보빈캡슐(11)은 완전히 그립퍼(3)내에 또는 그의 하부캡슐(4)내에 밀어넣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그의 재봉위치를 차지한다.Starting from here, the skid 43 has a support finger 45 of the support element 41 passing through the groove 22 in the support plate 14 on the guide track 44 thereof, and thus the groove 23 of the bobbin capsule 11. To the right, far enough to move within. By the pivoting motion of the subsequent support element 42 introduced by the magnets 51, its support nose portion 46 reaches the range of the rear cutting portion 24 of the paper slider 14. The thus retained bobbin capsules 11 into or to the lower capsule thereof in the gripper 3, leaving the corresponding receiving journal 76 or 81 or the sheath 84 during another longitudinal motion of the skid 43. It is pushed into (4) and in this case received by his journal (7). The nose portion 17 of this paper slider 14 is also always in its position of braking the bobbin 6; The support nose portion 46 is further present in its position allowing movement of the bobbin capsule 11 on the journal 7, the bobbin capsule 11 being completely in the gripper 3 or its lower capsule 4. Can be pushed in and occupy its sewing position.

스키드(43)의 후진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지지요소(42)의 지지노오스부(46)는 마그네트들(51)에 의하여 해방되며, 그 결과로 이것은 제지슬라이더(14)에 있는 후방절삭부(24)로 부터 빠져나온다. 지지요소들(41),(42)이 제지 슬라이더(14)의 범위로 부터 빠진 후에 보빈캡슐(11)내에 배열된 스프링(16)은 제지슬라이더(14)를 보빈캡슐(11)을 로킹하는 그의 제지위치에로 움직이며, 여기서 동시에 제지슬라이더(14)의 노오스부(17)는 보빈(6)을 해방하는 그의 위치에로 움직여진다. 역시 스키드(43)는 그의 최초위치에로 되돌아 움직인다.Before starting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skid 43, the support nose portion 46 of the support element 42 is released by the magnets 51, as a result of which the rear cut-off portion in the paper slider 14 Exit from 24). The spring 16 arranged in the bobbin capsule 11 after the support elements 41, 42 have fallen out of the range of the paper making slider 14 is responsible for locking the paper slider 14 to the bobbin capsule 11. At the same time, the nose portion 17 of the paper slider 14 is moved to its position to release the bobbin 6. Again the skid 43 moves back to its initial position.

이제 다음의 재봉과정의 동안에 수취장치(70)의 캐리어(71)는 보빈(6)이 비어있게 작업하여지기까지 그렇게 오래 그의 위치에서 머무른다. 이 교체위치에 존재하는 캐리어(71)의 수취장소(73)는 이로써 비어 있다.Now during the next sewing process the carrier 71 of the receiving device 70 stays in its position for so long until the bobbin 6 is worked empty. The receiving place 73 of the carrier 71 existing in this replacement position is thereby empty.

비어있게 가공된 보빈을 반송하고 있는 보빈캡슐(11)의 교체를 위하여 스키드(43)는 새로이 그립퍼 내지 보빈캡슐(11)에로 움직여진다. 이 지지요소(41)는 제지슬라이더(14)에 있는 요홈(22)을 통과하여 보빈캡슐(11)의 저면내에 마련된 요홈(23) 내에까지 움직여지며 그리고 이 경우에 이것의 측방의 경계면에 접촉하게 된다. 마그네트(51)는 지지요소(42)를 선회하며, 그 결과로 이것의 지지노오스부(46)는 제지슬라이더(14)에 있는 후방절삭부(24)의 범위내로 선회된다. 상기한 선회운동의 동안에 지지요소(42)는 요홈(22)의 측방의 경계면에 접촉하며 그리고 이 경우에 제지슬라이더(14)를 저어널(7)을 해방하는 그의 위치에로 밀어낸다; 제지슬라이더(14)의 노오스부(17)는 이경우에 보빈(6)에 대한 그의 제지위치에로 안내되며 그리고 이것을 보빈캡슐(11)로 부터 떨어져 나옴을 방지한다. 그렇게 파지된 보빈캡슐(11)은 스키드(43)의 이제 시작된 후진운동의 동안에 캐리어(71)의 교체위치에 존재하는 비어 있는 수취장소(73)에로 안내되어 질수 있다.The skid 43 is newly moved to the gripper to the bobbin capsule 11 for the replacement of the bobbin capsule 11 carrying the empty processed bobbin. This support element 41 moves through the groove 22 in the paper slider 14 and into the groove 23 provided in the bottom of the bobbin capsule 11 and in this case makes contact with the lateral boundary thereof. do. The magnet 51 pivots the support element 42, as a result of which the support nose portion 46 is pivoted into the range of the back cut 24 in the paper slider 14. During the pivoting motion the support element 42 contacts the side boundary of the groove 22 and in this case pushes the paper slider 14 to its position releasing the journal 7; The nose portion 17 of the paper slider 14 is in this case guided to its res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bbin 6 and prevents it from falling out of the bobbin capsule 11. The gripped bobbin capsule 11 can then be guided to an empty receiving site 73 which is in the replacement position of the carrier 71 during the now started reverse movement of the skid 43.

캐리어(71)내지 보빈캡슐(11)의 수취를 위한 그의 수취장소들(73)이 도 9c 에 상응하게 형성되어있으며 그리고 그 결과로 피복(84)을 가지는 한 파지장치(40)의 지지요소들(41),(42)은 피복(84)을 통과하여 움직여지며 그리고 이경우에 상응하는 보빈캡슐(11)을 피복(84)속으로 움직인다. 보빈(6)을 위한 그의 제지위치에 존재하는 제지슬라이더(14)의 노오스부(17)는 이경우에 피복(84)의 홈(87) 속으로 돌출하며 그리고 피복(84) 내부에서 비틀림에 대하여 보빈캡슐(11)을 고정한다. 피복(84)의 내경은 대체로 보빈캡슐(11)의 외경에 상응하며 그리고 제지슬라이더(14)는 -도 9c 와 관련하여- 우측을 향하여는 움직일 수 없으므로 이것은 역시 지지요소들(41),(42)이 이것으로부터 밖으로 움직일 때에도 역시 저어널(7)의 해방에 상응하는 그의 해방위치에 머무른다. 캐리어(71)에 형성된 수취장소들(73)의 수에 크기에 따라서 상응하게 적합한 캐리어(71)의 선회운동에 의하여, 비어있게 작업되어진 보빈(6)을 반송하는 보빈캡슐(11)이 교체위치로 부터 밖으로 움직여지며 그리고 이 경우에 동시에 충진된 보빈(6)을 반송하는 보빈캡슐(11)이 교체위치에로 가져와진다.Support elements of the gripping apparatus 40 as long as its receiving places 73 for receiving the carriers 71 to bobbin capsules 11 are formed correspondingly to FIG. 9C and as a result have a coating 84. 41 and 42 move through the sheath 84 and in this case move the corresponding bobbin capsule 11 into the sheath 84. The nose portion 17 of the paper slider 14 present at its papermaking position for the bobbin 6 projects in this case into the grooves 87 of the sheath 84 and against torsion in the sheath 84. Fix the bobbin capsule (11). The inner diameter of the sheath 84 generally correspond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obbin capsule 11 and the paper slider 14 is immovable towards the right side-in relation to FIG. 9C-which is also a support element 41, 42. When) moves out of this, it also stays in its releas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of journal 7. The bobbin capsule 11 for conveying the bobbin 6, which is empty, has been replaced by the pivoting motion of the carrier 71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number of receiving places 73 formed in the carrier 71. The bobbin capsule 11, which is moved out of the furnace and simultaneously conveys the filled bobbin 6, is brought to the replacement position.

이전에, 캐리어(71)는 모든 보빈캡슐(11)의 보빈들(6)이 비어지게 작업되어진 때에는 충진된 보빈들(6)을 가지는 보빈캡슐(11)을 가지고 장비된 하나 또다른 캐리어(71)에 대하여 교체되거나 또는 재봉기의 외부에 다시 충진된 보빈들을 가지는 보빈캡슐(11)을 가지고 장비되어지는것으로 부터 시작되었다. 물론 캐리어(71)에 대하여 이 발명에 따르는 파지장치(40),(60)를 가지는 제 2교체위치를 설정하는 것도 물론 역시 가능하다. 그러한 제 2의 교체위치는 전술한 교체위치의 바로 뒤에 배열되어질수 있으며 그 결과로 보빈캡슐(11)은 제 1교체위치를 떠난 후에 비어있게 작업되어진 보빈을 가지며, 다음에 제 2교체위치에서는 즉시 보빈캡슐(11)에 의하여, 충진된 보빈(6)을 가지고 장비되어질 수 있다.Previously, the carrier 71 was equipped with one bobbin capsule 11 having the bobbins 6 filled therein when the bobbins 6 of all the bobbin capsules 11 were empty. It was started by being equipped with bobbin capsules 11 having bobbins replaced with or replaced with a bobbin refilled outside of the sewing machine.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set the second replacement position with the gripping apparatus 40, 60 according to this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carrier 71. Such a second replacement position can be arranged immediately after the above-mentioned replacement position so that the bobbin capsule 11 has a bobbin that has been worked empty after leaving the first replacement position, and then immediately in the second replacement position. By the bobbin capsule 11, it can be equipped with a packed bobbin (6).

보빈캡슐의 그리고 또 이것에 적합하여진 파지장치의 제 3 실시형태가 도 14 내지 도 19 에 표시되어 있다.A third embodiment of a bobbin capsule and a gripping device adapted to it is shown in FIGS. 14 to 19.

보빈캡슐의 상기한 또다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역시 이제까지의 통상적인 후랩이 없다. 역시 제 1 실시형태의 제지슬라이더가 없어졌으며 그리고 제지요소에 의하여 대체되었으며 이 제지요소는 전술한 양 실시형태의 제지슬라이더와는 반대로 보빈캡슐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다.In the ca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above described bobbin capsules, there is no conventional flap ever. Again, the paper slider of the first embodiment was eliminated and replaced by the papermaking element, which is arranged inside the bobbin capsule as opposed to the paper sliders of bo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도 14 및 도 15 에 표시된 보빈캡슐(101)은 통상적인 보빈(6)의 수취를 위하여 하나의 하우징(102)을 가지며, 이 하우징은 통상적인 하부캡슐(4)에 향하여진 그의 전면측에서 개방되어 있으며 그리고 하부캡슐(4)에서 먼쪽의 그의 측면에는 저면(103)에 의하여 폐쇄되어있다. 저면(103)의 외측면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바늘실 구멍의 각부를 위한 슬라이드면을 형성한다. 보빈캡슐(101)의 하우징(102)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하나의 중공 저어널(104)을 가지며 이것의 내경은 하부캡슐(4)의 저어널(7)의 직경에 상응한다. 보빈캡슐(101)의 회전방지를 위하여 하부캡슐(4)은 공지된 방법으로 서로에 대하여 간격을 떼고 배열된 2개의 고정핀(9)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정핀들은 이것의 둘레에 형성된 요홈(10)내에로 돌출하며 그리고 반경방향에서 보빈캡슐(101)을 고정시킨다. 보빈캡슐(101)을 이것의 종방향에서 고정시키기 위하여 하부캡슐(4)은 하나의 저어널(7)을 가지며, 이 저어널은 그의 자유단의 범위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절삭부(8)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절삭부는 보빈캡슐(101)의 제지요소(105)와 상호작용을 한다.The bobbin capsule 101 shown in FIGS. 14 and 15 has one housing 102 for receipt of a conventional bobbin 6, which is open at its front side facing the conventional lower capsule 4. And on its side farther from the lower capsule 4 is closed by the bottom face 103. The outer face of the bottom face 103 forms a slide face for each part of the needle thread hole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housing 102 of the bobbin capsule 101 has one hollow journal 104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inner diameter of which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journal 7 of the lower capsule 4. In order to prevent the rotation of the bobbin capsule 101, the lower capsule 4 is provided with two fixing pins 9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known manner, and the fixing pins have grooves formed around them. 10) protrude into and fix the bobbin capsule 101 in the radial direction. In order to fix the bobbin capsule 101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wer capsule 4 has one journal 7, which is adapted to move the cutting section 8 in a conventional manner in the range of its free end. The cutting portion interacts with the papermaking element 105 of the bobbin capsule 101.

이 제지요소(105)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O-링(106)에 의하여 또는 비교적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또는 전개가능한 스프링링(107)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을수 있으며, 이 스프링링은 중공저어널(104)의 절삭부(108)에 수취되어 있으며 그리고 그의 내경은 저어널(7)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다. 이 경우에 절삭부(108)의 직경은 탄성적인 제지요소(105)의 내지 O-링(106)의 또는 스프링링(107)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다. 보빈캡슐(101)이 하부캡슐(4)의 저어널(7)위로 밀려진다면 제지요소(105)는 저어널(7)에 의하여 먼저 전개되며 그리고 이경우에 탄성적으로 변형된다.The papermaking element 105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may be formed by an O-ring 106 or by a spring ring 107 that is relatively easily deformable or deployable, which spring ring is a hollow journal. Received at the cutting portion 108 of 104 and its inner diameter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journal 7.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cutting portion 108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pring ring 107 or from the O-ring 106 of the elastic papermaking element 105. If the bobbin capsule 101 is pushed onto the journal 7 of the lower capsule 4, the papermaking element 105 is first deployed by the journal 7 and in this case is elastically deformed.

상기 제지요소(105)가 저어널(7)의 절삭부(8)의 범위에서 존재하자마자, 제지요소(105)는 그의 원래의 위치와 형태로 되돌아가게 변형하며 그리고 저어널(7)의 절삭부(8)내에 걸리며 그 결과로 보빈캡슐(101)은 축방향에서 고정되어 있게된다.As soon as the papermaking element 105 is present in the range of the cutting portion 8 of the journal 7, the papermaking element 105 deforms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shape and the cutting portion of the journal 7. And the bobbin capsule 101 remains fixed in the axial direction.

도 14 및 도 15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면(103)에는 보빈(6)의 장방향축에 평행하게 향하여진 모두 4개의 계단상의 구멍들(109)이 형성되어 있다. 그것의 큰 직경은 저면부분(103)의 내부측의 범위에 존재하는 4개의 계단상의 구멍들(109)은 또 나중에 설명하고자 하는 이유로 부터 직사각형의 또는 정방향의 모서리점에 배열되어 있다. 하우징(102)에는 저면(103)의 범위에 서로 정반대로 대항하여 놓여있는 2개의 간극들(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간극들 속으로는 보빈캡슐(101)로 부터 꺼집어 내어진 보빈(6)의 경우에 파지장치의 지지스프링이 물려져 있다. 중공저어널(104)의 측방으로는 저면(103)에 하나의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구멍은 하부캡슐(4)로 부터 꺼집어 내어진 보빈캡슐(101)의 경우에 회전에 대한 그의 고정을 위하여 사용된다.As can be seen from FIGS. 14 and 15, the bottom face 103 is formed with all four stepped holes 109 orient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bbin 6. Its large diameter is such that the four stepped holes 109 present in the range of the inner side of the bottom portion 103 are arranged at rectangular or forward corner points for reasons to be described later. The housing 102 is formed with two gaps 110 lying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range of the bottom surface 103, into which the bobbin 6 is pulled out from the bobbin capsule 101. In the case of), the supporting spring of the holding device is bitten. On the side of the hollow journal 104, one hole 111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03, which is rotated in the case of the bobbin capsule 101 which is pulled out from the lower capsule 4; Used for his fixation.

파지장치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구조 및 작용방식의 설명을 위하여 처음에 기술된 파지장치(40)에 되돌아간다. 이 경우에 파지장치(120)의 또다른 실시형태의, 전술한 파지장치(40)의 부품들과 동일한 부품들이 파지장치(40)의 경우와 동일한 관련 부호로서 표시되어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and mode of operation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gripping apparatus returns to the gripping apparatus 40 described earlier. In this case, the same parts as those of the gripping apparatus 40 described abov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gripping apparatus 120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case of the gripping apparatus 40.

안내궤도(44)(도 16a, 도 16b)에 따라서 이동 가능한 스키드(43)에는 하나의캐리어(121)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캐리어는 모두 4개의 지지 저어널(122)의 수취를 위하여 사용된다. 서로에 대한 그리고 중공 저어널(104)에 대한 지지 저어널(122)의 상대적 위치는 서로에 대한 그리고 또 중공저어널(104)에 대한 계단상 구멍들(109)의 배열과 상대적 위치에 상응한다. 이로써는 스키드(43)가 그립퍼(3)의 방향으로 충분히 멀리 움직일때 전체의 4개의 지지 저어널(122)이 동시에 4개의 계단상의 구멍(109)속으로 잠겨 들어 가는 것이 보증된다. 이들의 최초 위치에서 서로 대체로 평행하게 향하여진 지지 저어널(122)은 캐리어(121)에서 각각 하나의 축(123) 둘레를 회전할 수 있으며, 이 축은 수평하게 또는 수직하게 배열되어 있을수 있다. 표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수평으로 또는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는 그때 그때의 하나의 축(123)이 선회할수 있다. 표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축(123)은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결과로 지지 저어널(122)은 수직평면내에서 선회할 수있다. 지지 저어널(122)을 축(123)둘레에서 선회할 수있게 하기 위하여 지지 저어널(122)의 각각에는 하나의 마그네트(125)가 소속되어 있다. 이 마그네트들(125)은 하나의 수직평면내에서 서로 인접한 양 지지 저어널(122)이 서로로부터 떨어지거나 또는 서로를 향하여 움직여질수 있는 방법으로 배열되어 있다.One carrier 121 is fixed to the skid 43 which is movable along the guide track 44 (FIGS. 16A and 16B), and these carriers are used for receiving four support journals 122 in all.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support journals 122 relative to each other and to the hollow journal 104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and relative position of the stepped holes 109 relative to each other and to the hollow journal 104. . This ensures that when the skid 43 moves far enough in the direction of the gripper 3, the entire four support journals 122 are simultaneously locked into the four staircase holes 109. The support journals 122, which are generally parallel to each other at their initial positions, can rotate about one axis 123 in the carrier 121, respectively, which axes can be arrang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one axis 123 at that time, which may be arrang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may pivot.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the axes 123 are arranged horizontally, with the result that the support journal 122 can pivot in a vertical plane. One magnet 125 is associated with each of the support journals 122 so as to allow the support journals 122 to pivot around the shaft 123. These magnets 125 ar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both support journals 122 adjacent to each other in one vertical plane can be moved away from each other or towards each other.

도 16a, 도 16b 와 관련하여- 하부의 지지 저어널(122)의 하부에는 하나의 지지스프링(124)이 캐리어(121)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것의 전방단부는 아래로 굽으려져 있다. 이 경우에 캐리어(121)에서 지지스프링(124)의 배열은 이것은 스키드(43)가 - 도 16a, 도 16b 와 관련하여- 충분히 멀리 보빈캡슐(101)위에로 움직여 질때, 지지스프링(124)을 보빈캡슐(101)의 간극(110)의 하부에서 물리며 그리고 보빈캡슐(101)을 회전에 대하여도 보빈을 보빈캡슐(101)로부터 떨어져 나옴에 대하여도 방지하도록 그렇게 만들어진다. 지지 저어널(122)의 선단들은 그때 그때마다 하나의 돌출부(126)를 갖추고 있으며(도 17), 이 돌출부는 동반구(127)로서 사용하고 있는 원환형상면을 가진다. 동반구(127)의 외경은 보빈캡슐(101)의 단계상 구멍(109)의 직경보다 약간 더 작으며, 그 결과로 이 돌출부(126)는 상기한 구멍내로 용이하게 들어가게 한다. 그때 그때의 단계상구멍(109)내에로 돌출부(126)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의 전방의 범위는 약간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동반구(127)에 대하여 간격을 떼어서 돌출부(126)는 압력요소(128)로서 사용되는 원추형체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의 작은직경은 단계상구멍(109)의 작은 직경보다 약간 더 작으며, 그 결과로 압력요소(128)는 다만 근소하게 그 속으로 움직여 들어가게 한다.16A, 16B-At the bottom of the lower support journal 122, one support spring 124 is fixed to the carrier 121, the front end of which is bent down.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of the support springs 124 in the carrier 121 means that the skids 43-in relation to FIGS. 16A and 16B-move the support springs 124 when they are moved far enough over the bobbin capsule 101. It is made so as to bit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ap 110 of the bobbin capsule 101 and to prevent the bobbin from falling out of the bobbin capsule 101 against the rotation of the bobbin capsule 101. The tips of the support journal 122 are then each equipped with one projection 126 (FIG. 17), which has an annular surface which is used as the companion 127. The outer diameter of the entrainment 127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tepwise aperture 109 of the bobbin capsule 101, as a result of which the protrusion 126 easily enters into the aperture described above.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troduction of the protruding portion 126 into the step-shaped hole 109 at that time, the range in front of it is formed in a slightly conical shape. The projection 126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to be used as the pressure element 128 at a distance from the entrainment 127, the small diameter of which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small diameter of the step hole 109, as a result. The pressure element 128 only slightly moves into it.

도 18 에는 보빈캡슐(101)의 특별한 형성에 적합한, 수취장치(70)의 수취장소들(73)의 구성이 보여져 있다.18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places 73 of the receiving device 70, which are suitable for the special formation of the bobbin capsule 101.

이 경우에 반송아암(75)에는 수취저어널(13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의 배열은 도 9a 및 도 9b 에 표시된 수취저어널(76),(81)의 배열에 상응한다. 그래서 수취저어널(130)은 하부캡슐(4)의 저어널(7)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진다. 반송아암(75)에 향하여진 그의 단부범위에는 수취저어널(130)이 절삭부(131)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절삭부는 그쪽에서 하부캡슐(4)의 저어널(7)에서 절삭부(8)에 상응한다. 그래서 이 보빈캡슐(101)은 하부캡슐(4)의 저어널(7)위에서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수취저어널(130)에서 수취되어 진다. 이 경우에 보빈캡슐(101)을 수취저어널(130)에서 회전운동에 대하여 방지하기 위하여 반송아암(75)에는 수취저어널(130)의 측방에 또는 상방에 지지스프링(132)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것의 자유단은 용이하게 굽으려져 있으며 그리고 수취저어널(130)위에 밀어올려진 보빈캡슐(101)의 경우에 보빈캡슐(101)의 하우징(102)안에 있는 상부간극(110)내에로 물려진다. 이로써 역시 보빈(6)이 보빈캡슐(101)로부터 떨어져 나오는 것 내지 보빈캡슐(101)이 수취저어널(130)로부터 미끌어 떨어지는 것에 대하여 방지되어있다. 보빈캡슐(101)을 수취저어널(130)상에 밀어올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의 자유단은 원추형의 돌출부(133)를 갖추고 있다. 마지막으로 반송아암(75)에는 수취저어널(130)에 평행하게 향하여진 핀(134)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핀은 수취저어널(130)위에로 보빈캡슐(101)의 밀어올림의 경우에 보빈캡슐(101)의 저면(103)에 형성된 구멍(111)에 물려있다.In this case, a receiving journal 130 is provided in the transfer arm 75, and its arrangement corresponds to the arrangement of the receiving journals 76, 81 shown in Figs. 9A and 9B. Thus, the receiving journal 130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journal 7 of the lower capsule (4). The receiving journal 130 has a cutting portion 131 in its end range facing the conveying arm 75, which cuts from the journal 7 of the lower capsule 4 to the cutting portion 8 thereon. Corresponds. Thus, the bobbin capsule 101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journal 130 in the same manner as on the journal 7 of the lower capsule 4.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bobbin capsule 101 against the rotational movement in the receiving journal 130, a support spring 132 is fixed to the conveying arm 75 on the side of or above the receiving journal 130. , The free end thereof is easily bent and in the case of the bobbin capsule 101 pushed over the receiving journal 130 into the upper gap 110 in the housing 102 of the bobbin capsule 101. Handed down This also prevents the bobbin 6 from coming off from the bobbin capsule 101 or the bobbin capsule 101 from slipping off the receiving journal 130. In order to facilitate pushing the bobbin capsule 101 onto the receiving journal 130, its free end is provided with a conical projection 133. Finally, the conveying arm 75 may be provided with a pin 134 facing parallel to the receiving journal 130, which is the case of pushing the bobbin capsule 101 onto the receiving journal 130. The hole 111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103 of the bobbin capsule 101.

보빈캡슐(101)의 그리고 상응하는 지지요소들의 제 3 실시형태의 작용방법의 설명을 위하여 도 19a 내지 도 19d 와 관련된다. 이 경우에는 그립퍼(3)에 존재하는 보빈(6)이 비어있게 작업되어져 있으며 그리고 반송아암(75)에 설치된 수취장치(70)의 수취저어널(130)은 그립퍼(3)의 축과 일직선상에 있게되며 그리고 보빈캡슐(101)로부터 자유롭게 되어 있다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파지장치(120)는 -도 19a 와 관련하여-반송아암(75)의 좌측에 놓여있는 그의 휴지위치에 존재한다.19a to 19d are described for explanation of the method of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bobbin capsule 101 and of the corresponding support elements. In this case, the bobbin 6 existing in the gripper 3 is emptied and the receiving journal 130 of the receiving device 70 installed on the conveying arm 75 is in line with the axis of the gripper 3. And free from the bobbin capsule 101. The gripping device 120 is in its resting position lying on the left side of the transfer arm 75-in relation to FIG. 19A.

상기한 보빈의 수취를 위하여 스키드(43)는 반송아암(75)옆을 지나서 그립퍼(3)에로 움직여진다. 지지저어널(122)은 이 경우에 서로 평행하게 향하여진그의 위치를 차지하며 그리고 스키드(43)에 의하여는 동반구(127)의 원환형상면은 단계상의 구멍들(109)의 확대된 부분의 범위에 존재할 만큼 그렇게 멀리 단계상 구멍들(109)속으로 움직여 들어간다(도 19b). 보빈캡슐(101)의 저면(103)은 지금 그때그때의 동반구(127)와 지지저어널(122)의 그때그때의 압력요소(128)사이에 존재한다. 이 경우에 지지스프링(124) 보빈캡슐(101)의 하우징(102)의 하부간극(110)에 의하여 파지하며 그리고 보빈캡슐(101)의 뒤에 일어난 축방향의 운동의 동안에 보빈(6)을 고정한다.For receipt of the bobbin described above, the skid 43 is moved to the gripper 3 beyond the conveyance arm 75. The support journal 122 occupies its position in this case facing parallel to one another and by skid 43 the annular surface of the companion port 127 is the extent of the enlarged portion of the stepped holes 109. Into the stepwise holes 109 so far as to be present (FIG. 19B). The bottom face 103 of the bobbin capsule 101 is now present between the companion port 127 at that time and the pressure element 128 at the time of the support journal 122. In this case, the support spring 124 is gripped by the lower gap 110 of the housing 102 of the bobbin capsule 101 and the bobbin 6 is fixed during the axial movement occurring behind the bobbin capsule 101. .

상기한 위치에서 지지저어널(122)은 마그네트들(125)에 의하여 전개되며, 그 결과로 동반구(127)는 단계상 구멍들의 기초를 뒤에서 파지한다(도 19c).In this position the support journal 122 is deployed by the magnets 125, as a result of which the entrainment 127 grips the base of the holes in stages (Fig. 19C).

스키드(43)의 이제 이루어지고 있는 후진운동의 동안에 O-링(106) 또는 스프링링(107)에 의하여 형성된 탄성의 제지요소(105)는 지지저어널(122)의 후진운동에 의하여 약간 외부를 향하여 밀려지며 그리고 이 경우에 하부캡슐(4)의 저어널(7)의 절삭부(8)로부터 도달한다. 그렇게 지지저어널(122)에 의하여 파지된 보빈캡슐(101)은 하부캡슐(4)로부터 밖으로 움직여지며 그리고 수취장치(70)의 수취저어널(130)상으로 밀어올려진다. 이 경우에 탄성적으로 변형된 제지요소(105)는 이것이 수취저어널(130)의 절삭부(131)의 반대편에 존재할 때 절삭부(131)내에 걸리며, 그 결과로 보빈캡슐(101)은 하부캡슐(4)의 저어널(7)상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취저어널(130)위에 고정되어 있다. 반송아암(75)에 설치된 핀은 이 경우에 보빈캡슐(101)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111)속으로 물려지기 때문에 보빈캡슐(101)은 역시 반경방향에서 고정된다. 이에 추가하여 반송아암(75)에 설치된지지스프링(132)은 하우징(102)내에 형성된 상부의 간극(110)을 통하여 보빈캡슐(101)속에로 걸리며 그 결과로 한편으로는 보빈캡슐(101)은 역시 이것으로 인하여 반경방향에서 고정되며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역시 보빈(6)이 밖으로 떨어져 나오는것이 방지된다.During the now reversing motion of the skid 43, the resilient restraint element 105 formed by the O-ring 106 or the spring ring 107 is slightly outwardly by the backward motion of the support journal 122. Pushed towards and in this case reaches from the cutting 8 of the journal 7 of the lower capsule 4. The bobbin capsule 101 thus held by the support journal 122 is moved out of the lower capsule 4 and pushed onto the receiving journal 130 of the receiving device 70. In this case the elastically deformed papermaking element 105 is caught in the cutting portion 131 when it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utting portion 131 of the receiving journal 130, so that the bobbin capsule 101 is lowered. It is fixed on the receiving journal 130 in the same manner as on the journal 7 of the capsule (4). The bobbin capsule 101 is also fixed in the radial direction because the pins provided on the conveying arm 75 are in this case passed into the holes 111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bbin capsule 101. In addition to this, the support spring 132 installed on the conveying arm 75 is caught into the bobbin capsule 101 through the upper gap 110 formed in the housing 102. As a result, the bobbin capsule 101 is on the one hand. This, too, is fixed radially and on the other hand also prevents the bobbin 6 from falling out.

지지저어널들(122)이 다시 이들의 평행-위치에 복귀된 후에는 파지장치(120)는 이것의 스키드(43)에 의하여 다시 휴지위치에 가져와지며, 여기서는 지지저어널(122)도 지지스프링(124)도 보빈캡슐(101)의 외부에 존재한다.After the support journals 122 have been returned to their parallel-position again, the gripping device 120 is brought back to its rest position by its skid 43, where the support journal 122 is also supported. 124 is also present outside the bobbin capsule 101.

충진된 보빈(6)을 가지고 장비된 보빈캡슐(101)이 파지장치(120)에 의하여 수취저어널(130)로부터 그랩퍼(3)내지 하부캡슐(4)에로 가져와져야 한다면, 스키드(43)는 먼저 수취저어널(130)상에 존재하는 보빈캡슐(101)의 단계상 구멍들(109)의 확장된 범위에 수취장치(70)의 내부에 있는 동반구(127)가 존재하기까지 그렇게 멀리 그립퍼(3)의 방향으로 그의 평행위치에 있는 지지저어널(122)을 움직인다. 이로써 보빈캡슐(101)의 저면(103)은 다시 동반구(127)와 지지저어널 (122)의 압력편(128)사이에 존재하여진다. 상기한 위치한 도 19c 에 따르는 위치에 상응한다. 여기서 출발하는, 스키드(43)의 또 다른 운동의 동안에 지지저어널(122)의 압력편들(128)은 보빈캡슐(101)의 단계상 구멍들(109)에로 들어갈 수가 없기 때문에 지지저어널(122)자체의 확장은 필요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것은 이것으로 인하여 동반구들(127)이 보빈캡슐(101)의 단계상 구멍들(109)에 대한 동축의 위치를 가지지 않으며 그리고 이로써 보빈캡슐(101)은 그립퍼(3)에로의 스키드(43)의 운동의 동안에 지지저어널(122)로부터 아래로 떨어지지 않을수 있을만큼 그렇게 멀리에서가 합목적적이다.If the bobbin capsule 101 equipped with the filled bobbin 6 should be brought from the receiving journal 130 to the gripper 3 to the lower capsule 4 by the gripping device 120, the skid 43 First, the gripper is so far away until there is an entrainment 127 in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device 70 in the extended range of the stepwise holes 109 of the bobbin capsule 101 present on the receiving journal 130. The support journal 122 is moved in its parallel position in the direction of (3). As a result, the bottom surface 103 of the bobbin capsule 101 is again present between the companion port 127 and the pressure piece 128 of the support journal 122. Corresponding position corresponds to the position according to FIG. 19C. Starting from here, during another movement of the skid 43, the pressure pieces 128 of the support journal 122 cannot enter the stepwise holes 109 of the bobbin capsule 101, so the support journal ( 122 The expansion of itself may not be necessary. However, this means that the entrainment 127 does not have a coaxi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tepwise holes 109 of the bobbin capsule 101 and thus the bobbin capsule 101 has a skid 43 into the gripper 3. It is purposeful to be so far away that it may not fall down from the support journal 122 during the motion of.

본 발명은 그립퍼실을 위한 보빈을 교체하기 위하여 이중 백스티치-재봉기 또는 편물기에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double backstitch sewing machines or knitting machines to replace bobbins for gripper yarns.

Claims (32)

보빈캡슐에 대한 서로 인접한 다수의 수취장소들을 가지는 캐리어를 가진 하나의 수취장치를 가지며; 그리고 충진된 보빈을 가지는 보빈캡슐을 수취장치의 교체위치로부터 그립퍼에로의 이월을 위한 그리고 또 비어진 보빈을 가지는 보빈캡슐을 그립퍼로 부터 수취장치의 교체위치에로 이월을 위한 하나의 파지장치를 가지며; 그립퍼의 하부캡슐의 내부에 배열된 저어널에 의하여 수취되어진, 보빈을 수취하고 있는 보빈캡슐의 교체하기위한 이중 백스티치-재봉기 또는 편물기에 있어서,Having one receiving device having a carrier having a plurality of receiving locations adjacent to each other for the bobbin capsule; And a gripping device for carrying the bobbin capsule with filled bobbin from the replacement position of the receiving device to the gripper and for carrying the bobbin capsule with empty bobbin from the gripper to the replacement position of the receiving device. Has; In a double bag stitch-sewing machine or knitting machine for replacing bobbin receiving capsules received by a journal arranged inside the lower capsule of the gripper, 수취장치(70)의 교체위치는 그립퍼(3)의 직접측방에 그리고 그립퍼(3)에 대체로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파지장치(40, 60, 120)는 그립퍼(3)의 축(2)에 대체로 평행하게 향하여진 궤도에 따라서 이 그립퍼와 수취장치(70)의 교체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replacement position of the receiving device 70 is installed coaxially on the direct side of the gripper 3 and on the gripper 3 and the holding devices 40, 60, 120 are generally on the shaft 2 of the gripper 3. And a device capable of moving between the gripper and the replacement position of the receiving device (70) along a parallel facing trajector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수취장치(70)는 하나의 축(72)둘레에서 선회할 수 있으며 상기 축은 그립퍼(3)에 간격을 떼어서 이것에 평행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receiving device (70) is able to pivot around one axis (72), said axis being spaced apart from the gripper (3) and being parallel to 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수취장치(70)는 그립퍼(3)의 축(2)에 횡방향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을 교차하고 있는 하나의 축 둘레에서 선회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receiving device (7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verse to the axis (2) of the gripper (3) and is pivotable about one axis intersecting it. 전항들 중의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one of the preceding claims, 수취장치(70)는 수직의 그리고/또는 수평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receiving device (7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able in the vertical and / or horizontal direction. 하부캡슐에서 보빈캡슐의 고정을 위하여 설치된 이 장치의 저어널이 그의 자유단의 범위내에 보빈캡슐에 움직일수 있게 배열된 제지 슬라이더와 상호작용하는 절삭부를 가지며, 전항들 중의 한항에 의한 이중 백 스티치-재봉기 또는 편물기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The journal of the device, which is installed for fixing the bobbin capsules in the lower capsule, has a cutting part which interacts with the paper-making slider arranged to be movable on the bobbin capsule within the range of its free end. In the apparatus for sewing machines or knitting machines, 파지장치(40)는 그립퍼(3)의 축에 평행하며 스키드(43)상에서 움직일수 있는, 보빈캡슐(31)을 위한 2개의 지지요소들(41, 42)을 가지며, 이중에서 제 1 지지요소(41)는 지지핑거(45)를 갖추고 있으며 이 지지핑거는 파지장치(40)의 운동방향에서 보빈캡슐(31)에 형성된 요홈(23)속으로 들여 보낼 수 있으며 그리고 제 2 지지요소(42)는 지지노오스부(46)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지지노오스부는 제지슬라이더(14)에 파지되면서 추가적으로 보빈캡슐(31)의 종방향축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holding device 40 has two support elements 41, 42 for the bobbin capsule 31, which are parallel to the axis of the gripper 3 and movable on the skid 43, of which the first support element (41) is provided with a support finger (45) which can be introduced into the groove (23) formed in the bobbin capsule (31) in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gripping device (40) and the second support element (42). Is provided with a support nose portion (46),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nose portion is gripped by the paper slider (14) and can additionally move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obbin capsule (31).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제 2 지지요소(42)는 제 2 지지요소(41)의 측면에 선회 가능하게 축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second support element (4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ivotally bearing on the side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 (41).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요홈(23)은 보빈캡슐(3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groove 2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bobbin capsule (31).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요홈(23)에 인접한 제지슬라이더(14)는 후방절삭부(24)를 가지며 그리고 제 2 지지요소(42)의 지지노오스부(46)는 이것을 뒤에서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paper slider (14) adjacent the groove (23) has a back cutting portion (24) and the support nose portion (46) of the second support element (4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rips behind it. 하부캡슐에서 보빈캡슐의 고정을 위하여 설치된 이 장치의 저어널이 그의 자유단의 범위내에 보빈캡슐에 움직일수 있게 배열된 제지슬라이더와 상호작용하는 절삭부를 가지며, 전항들 중의 한 항에 의한, 이중 백스티치 재봉기 또는 편물기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The journal of this device, which is installed for fixing the bobbin capsule in the lower capsule, has a cutting part for interacting with the paper slider which is arranged to be movable on the bobbin capsule within the range of its free end. Apparatus for a stitch sewing machine or a knitting machine, 제지요소는 서로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향하여진 2개의 각부들(33, 36)을 가지는 이중 각부스프링(32)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중에서 그 하나의 각부(36)는 제지요소의 로킹위치에서 저어널(7)의 절삭부(8)내에 놓여 있으며 그리고 파지장치(60)에 의하여 그의 해제 위치에로 이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papermaking element is formed as a double angle spring 32 having two angles 33 and 36 facing generally parallel to one another, of which one angle 36 is stirred in the locking position of the papermaking element. 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lies within the cutting portion (8) of the null (7) and can be carried over to its release position by the gripping device (60).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이중-각부스프링(32)의 또 다른 각부(33)의 자유단은 대체로 직각으로 굽어져 있으며 그리고 해체위치에 존재하는 이중-각부스프링(32)의 경우에 보빈(6)에 대한 보빈캡슐(31)의 수용공간내에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free end of another leg 33 of the double-leg spring 32 is generally bent at a right angle and the bobbin capsule 31 for the bobbin 6 in the case of the double-leg spring 32 which is in the dismantling position. And protrudes into the receiving space. 전항들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파지장치(60)는 2개의 핑거들(61, 62)를 가지는 이중-각부스프링(32)을 위한 전개장치(63)를 가지며, 이들은 그립퍼(3)의 축(2)에 대하여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는 하나의 스키드(65)에 의하여 이중-각부스프링(32)의 각부들(33, 36)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여기서 보빈캡슐(31)을 로킹해제하는 각부(36)는 추가적으로 스키드(65)의 운동궤도에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gripping device 60 has a deployment device 63 for a double-angular spring 32 with two fingers 61 and 62, which can move parallel to the axis 2 of the gripper 3. A single skid 65 can move between the legs 33, 36 of the double-leg spring 32, where the legs 36 unlocking the bobbin capsule 31 are additionally skid 65.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m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trajectory of.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파지장치(60)는 스키드(65)에 의하여 반송된 마그네트(69)를 가지며, 이것은 보빈캡슐(31)의 전면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holding device (60) has a magnet (69) carried by a skid (65), characterized in that it interacts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bobbin capsule (31).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수취장치(70)의 캐리어(71)는 이 수치장치와 해체가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carrier (71) of the receiving device (7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erical device and the disassembly are coupled to each other.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수취장치의 캐리어(71)는 이 수취장치내에 위치하여질 수 있으며 그리고 신속한 폐쇄에 의하여 이 수취장치와 로킹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 carrier (71) of the receiving device can be located in the receiving device and can lock with the receiving device by quick closure.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파지장치(40,60)는 그립퍼(3)에 먼쪽의 캐리어(71)의 측면에서부터 그립퍼 (3)에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holding device (40, 6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vable from the side of the carrier (71) away from the gripper (3) to the gripper (3). 전항들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캐리어(71)는 캐리어(71)내에서/측면에서 보빈캡슐(11, 31)의 위치에 적합한 고정을 위한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Carrier (7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eans for fixing suitable for the position of the bobbin capsule (11, 31) in / on the carrier (71).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보빈캡슐(11, 31)의 고정을 위한 수단은 대체로 수직으로 향하여져 있으며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간격을 떼어서 배열된 2개의 핀들(78)에 의하여 형성되며, 이 핀들은 보빈캡슐(11, 31)의 요홈(25)안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means for fixing the bobbin capsules 11, 31 are formed by two pins 78 which are generally vertically oriented and arrang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which pins of the bobbin capsules 11, 31.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trudes into the groove (25).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핀들(78) 상호간의 간격은 하부캡슐(4)에 배열된, 보빈캡슐(11, 31)에 대한 고정핀들(9)의 간격에 상응하며 그리고 보빈캡슐(11, 31)에서 이들의 고정을 위하여 고정핀들(9)과 상호작용하는 요홈(25)은 요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장치.The spacing between the pins 78 corresponds to the spacing of the pins 9 with respect to the bobbin capsules 11, 31, arranged in the lower capsule 4, and for their fixation in the bobbin capsules 11, 31. The groove 25 which interacts with the fixing pins 9 forms a groove.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보빈캡슐(11)의 고정을 위한 캐리어(71)는 그의 운동궤도에 대체로 평행하게 향하여진 다수의 웨브(82)를 가지며, 여기서 웨브(82)의 각각은 보빈캡슐(11)의 제지요소(14)에 대한 안내홈(83)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carrier 71 for fixing the bobbin capsule 11 has a plurality of webs 82 oriented generally parallel to its trajectory, where each of the webs 82 is a deterrent element 14 of the bobbin capsule 11.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guide groove (83) for.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캐리어(71)는 보빈캡슐의 수취를 위하여 그의 운동궤도에 대체로 평행하게 향하여지며 그리고 서로에 대하여 간격을 떼고 배열된 다수의 피복(84)을 가지며, 이들은 각각 보빈캡슐(11)의 제지요소(14)와 상호작용하는 안내홈(87)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carrier 71 has a plurality of sheaths 84 that are generally parallel to their trajectory for receipt of the bobbin capsules and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ach of which contains the restraining elements 14 of the bobbin capsules 11. And a guide groove (87) for interacting with).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캐리어(71)는 보빈캡슐(11)의 수취를 위하여 수취저어널(76)을 가지며 이것의 직경은 하부캡슐(4)의 저어널(7)의 직경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carrier (7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ceiving journal (76) for receiving the bobbin capsule (11), the diameter of which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journal (7) of the lower capsule (4).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캐리어(71)는 보빈캡슐(11)의 수취를 위하여 피복(84)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의 내경은 보빈캡슐(11)의 외경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carrier (71) has a sheath (84) for receiving the bobbin capsule (11), the inner diameter of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rrespond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bobbin capsule (11). 하부캡슐에서 보빈캡슐의 고정을 위하여 설치된 이 장치의 저어널이 그의 자유단의 범위내에 보빈캡슐에 움직일수 있게 배열된 제지 슬라이더와 상호작용하는 절삭부를 가지며, 전항들 중의 한 항에 의한, 이중 백스티치 재봉기 또는 편물기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The journal of the device, which is installed for fixing the bobbin capsules in the lower capsule, has a cutting part which interacts with the papermaking slider arranged to be movable on the bobbin capsule within the range of its free end, according to one of the preceding claims. Apparatus for a stitch sewing machine or a knitting machine, 파지장치(120)는 스키드(43)상에 그립퍼(3)의 축(2)에 평행하게 움직일 수 있는 보빈캡슐(101)에 대한 지지요소들(지지 저어널(122))를 가지며, 이들은 보빈캡슐(101)의 저면(103)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것의 종방향축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하게 향하여진 개구들(109)속으로 들여 보낼 수 있으며 그리고 보빈캡슐(101)을 개구들(109)안에서 파지하기 위하여 파지장치(120)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gripping device 120 has support elements (support journal 122) for the bobbin capsule 101 which can move on the skid 43 parallel to the axis 2 of the gripper 3, which are bobbins. It is formed in the bottom face 103 of the capsule 101 a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openings 109 oriented generally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axis and the bobbin capsule 101 in the openings 109.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m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gripping device 120 for gripping.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개구들(109)은 단계상 구멍들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큰 구멍은 보빈(6)을 위한 보빈캡슐(101)의 수취공간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openings (109) are formed as holes in stages, the large holes of which are join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bobbin capsule (101) for the bobbin (6).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지지저어널(122)은 그의 종방향축에 평행하거나 또는 횡방향으로 되어 있는 각각 하나의 축(123)의 둘레를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support journal (12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pivot around each axis (123) which is parallel or transverse to its longitudinal axis.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지지저어널(122)에는 보빈(6)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스프링(124)이 소속하여지며, 이 지지스프링은 지지저어널들에게 평행하게 향하여져 있으며, 그리고 개구들(109)로 움직여진 지지저어널(122)의 경우에 보빈캡슐(101)의 하우징(102)내에 형성된 간극(110)내에로 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t least one support spring 124 for the bobbin 6 belongs to the support journal 122, which is directed parallel to the support journals and moved to the openings 109. In the case of a support journal (122), the device fits into a gap (110) formed in the housing (102) of the bobbin capsule (101).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지지스프링(124)과 지지저어널(122)은 공통적인 캐리어(121)에 의하여 수용되어져 있으며 그리고 이 캐리어는 스키드(43)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support spring (124) and the support journal (122) are received by a common carrier (121),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rier is connected with the skid (43).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동반구(127)에 인접한 지지저어널(122)곁에는 압력요소들(129)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원추형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원추형체의 작은 직경은 단계상 구멍들(109)의 작은 직경보다 같거나 또 더 작으며 그리고 이것은 큰 직경은 단계상구멍(109)의 작은 직경보다 더 큰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Pressure elements 129 are provided next to the support journal 122 adjacent to the companion port 127, which are formed as cones, the smaller of which are smaller than the smaller diameters of the stages 109. Equal or smaller and wherein the larger diameter is larger than the smaller diameter of the stepping holes 109. 제 2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제지요소(105)는 하나의 링(O-링(106)), 스프링링(107)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링은 보빈캡슐(101)의 중공저어널내에 형성된 절삭부(108)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으며 그리고 반경방향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papermaking element 105 is formed by one ring (O-ring 106) and a spring ring 107, which ring is formed inside the cutting portion 108 formed in the hollow journal of the bobbin capsule 101. Arranged and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radial direction.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제지요소(105)는 탄성적인 변형은 지지저어널(122)에 의하여 도입할 수 있는 보빈캡슐(101)의 축방향 운동에 의하여 야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papermaking element 105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can be caused by the axial movement of the bobbin capsule 101 which can be introduced by the support journal 122.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보빈캡슐(101)의 수취를 위한 반송아암(75)은 각각 하나의 수취저어널(130)을 가지며 이들은 그의 자유단에서 먼쪽의 그의 단부의 범위에 절삭부(108)를 가지며 이 절삭부는 하부캡슐(4)의 저어널(7)에서의 절삭부(8)에 상응하며, 여기서 수취저어널(130)의 직경은 하부캡슐(4)의 저어널(7)의 직경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conveying arm 75 for receiving the bobbin capsule 101 has one receiving journal 130, each of which has a cutting portion 108 in the range of its end far from its free end, and this cutting portion has a lower capsule. Corresponding to the cutting portion 8 in the journal 7 of (4), wherein the diameter of the receiving journal 130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journal 7 of the lower capsule (4). Device. 전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수취저어널들(130)에게는 이것에 평행하게 뻗쳐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스프링(132)이 소속되어 있으며, 이 지지스프링은 수취저어널(130)위에 밀어올려진 보빈캡슐(101)의 경우에 이 속에 미련된 하나의 간극(110)안으로 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receiving journals 130 belong to at least one support spring 132 extending parallel to the receiving journals 130, which in the case of the bobbin capsule 101 pushed onto the receiving journal 130.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ite in the gap 110 is fooled in.
KR1020017012048A 1999-03-23 2000-03-13 Device on sewing or embroidery machines, for changing the bobbin for the gripper thread KR2002001013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13043.4 1999-03-23
DE19913043A DE19913043C2 (en) 1999-03-23 1999-03-23 Device on sewing or embroidery machines for changing the bobbin for the hook thread
PCT/EP2000/002072 WO2000056969A1 (en) 1999-03-23 2000-03-13 Device on sewing or embroidery machines, for changing the bobbin for the gripper thre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130A true KR20020010130A (en) 2002-02-02

Family

ID=790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048A KR20020010130A (en) 1999-03-23 2000-03-13 Device on sewing or embroidery machines, for changing the bobbin for the gripper thread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2539867A (en)
KR (1) KR20020010130A (en)
CN (1) CN1120907C (en)
DE (1) DE19913043C2 (en)
WO (1) WO2000056969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067A (en) *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픽스로봇 Device and method of exchangining bobbin for sew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28231B4 (en) * 2000-05-27 2004-11-04 Philipp Moll Device on sewing or embroidery machines for changing the bobbin for the hook thread
DE102004018935B4 (en) * 2004-04-16 2008-01-03 Philipp Moll Device on sewing or embroidery machines for changing the bobbin for the looper thread
JP5197197B2 (en) * 2008-07-04 2013-05-15 Juki株式会社 Sewing machine bobbin case
CN101525823B (en) * 2009-03-30 2011-11-09 永嘉县德宝机械有限公司 Smart lock type towel embroidering device of computer embroidering machine
CN102086576B (en) * 2011-03-25 2013-08-07 佛山市启创科技发展有限公司 Automatic shuttle peg feeder for automatic ground thread replacing device of computerized embroidery machine
CN103409955B (en) * 2013-07-19 2015-05-06 上海塔木德刺绣机械有限公司 Computerized embroidery machine automatic baseline replacing apparatus
CN103710901B (en) * 2013-12-25 2017-03-15 苏州市晨彩纺织研发有限公司 Sewing machine
CN106480616B (en) * 2015-08-26 2019-01-15 北京大豪科技股份有限公司 Automatic wire-changing device and embroidery machine
CN105755692A (en) * 2016-04-29 2016-07-13 金华高博机械有限公司 Bottom line shuttle disassembly and assembly mechanism and disassembly and assembly method
CN105755691B (en) * 2016-04-29 2018-08-31 金华高博机械有限公司 A kind of baseline shuttle changer and assembly and disassembly methods
CN105734864B (en) * 2016-05-12 2017-03-08 佛山市启创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discrete multi-function embroidery machine bobbin thread-replacing mechanism
CN109208196A (en) * 2017-07-05 2019-01-15 启翔股份有限公司 Automatic bobbin replac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3071C (en) * 1951-08-09
US3747547A (en) * 1971-02-23 1973-07-24 Bobbin Monitor Corp Bobbin changing mechanism method and product
TW262494B (en) * 1993-08-31 1995-11-11 Zyuki Kk
US5718181A (en) * 1995-01-18 1998-02-17 Juki Corporation Bobbin exchanger
JP3447831B2 (en) * 1995-01-31 2003-09-16 木下精密工業株式会社 Automatic bobbin thread changing device
JP3640725B2 (en) * 1996-02-09 2005-04-20 ジューキ株式会社 Bobbin replacement judgmen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6067A (en) * 2019-05-27 2020-12-07 주식회사 픽스로봇 Device and method of exchangining bobbin for sew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44340A (en) 2002-04-10
JP2002539867A (en) 2002-11-26
WO2000056969A1 (en) 2000-09-28
DE19913043C2 (en) 2001-09-27
CN1120907C (en) 2003-09-10
DE19913043A1 (en)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0130A (en) Device on sewing or embroidery machines, for changing the bobbin for the gripper thread
US5964170A (en) Sewing machine with thread-cutting device
GB2083844A (en) Weft transfer devices in shuttleless looms
US4098208A (en) Sewing machine having a device for initiating the movement of the thread catcher of a thread cutting device
CN1942620B (en) Device for sewing or knitting machines for changing the spool for the looper thread
CN1507512A (en) Device for changing the bobbin of a looper thread on a sewing or embroidering machine
US4913195A (en) Gripper loom
KR101138601B1 (en) Needle bar mechanism of two-needle sewing machine
DE3537714A1 (en) METHOD FOR HANDLING A WIDE THREAD IN A CONTINUOUS WEAVING MACHINE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20070013258A (en) Seamless wrinkle prevention shuttle system for sewing machines
CS234040B2 (en) Coupling device especially for textile machine
KR960015663B1 (en) Thread cutting device on a sewing machine
CN1044927C (en) Braker of bobbin of sewing thread bobbin for double lock stitching sewing machine
US3599588A (en) Thread-carrying looptaker for chain stitch sewing machines with thread catcher and clamping device
JP2002302854A (en) Knitting machine,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broken hooks of needle in knitting machine, and needle used for same apparatus and method
KR100355884B1 (en) Bobbin thread end gripper and shuttlelace cap of sewing machine
US3494316A (en) Thread wiping device
US4164908A (en) Chainstitch forming device for sewing machines
JPS61146292A (en) Main stitch sewing machine having looper
US4817896A (en) Thread-catching device for winding machines
US35453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wing angular seams
JPH0435430Y2 (en)
KR860001418B1 (en) Weft operating apparatus during stopping of jet loom
JPS5825195A (en) Yarn cutter of sewing machine
JPH0740387Y2 (en) Looper thread guide device for overlock s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9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