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845A -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08845A KR20020008845A KR1020017013623A KR20017013623A KR20020008845A KR 20020008845 A KR20020008845 A KR 20020008845A KR 1020017013623 A KR1020017013623 A KR 1020017013623A KR 20017013623 A KR20017013623 A KR 20017013623A KR 20020008845 A KR20020008845 A KR 200200088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tem
- content
- terminal
- server
- brows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101100365087 Arabidopsis thaliana SCRA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1150105073 SCR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1100134054 Saccharomyces cerevisiae (strain ATCC 204508 / S288c) NTG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101000668165 Homo sapiens RNA-binding motif, single-stranded-interacting protein 1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1000668170 Homo sapiens RNA-binding motif, single-stranded-interacting protein 2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100039692 RNA-binding motif, single-stranded-interacting protein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2100039690 RNA-binding motif, single-stranded-interacting protein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IRLPACMLTUPBCL-KQYNXXCUSA-N 5'-adenylyl sulfate Chemical compound C1=NC=2C(N)=NC=NC=2N1[C@@H]1O[C@H](COP(O)(=O)OS(O)(=O)=O)[C@@H](O)[C@H]1O IRLPACMLTUPBCL-KQYNXXCU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2)
-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상기 서버로 무선 패킷들을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무선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정해진 송수신기;제1 컨텐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아이템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도록 정해지는, 컨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아이템 및 추가 아이템들의 결합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추가 아이템들은 각각 개별 컨텐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액세스가능하며, 상기 제1 아이템 및 상기 추가 아이템들은 각각 컨텐트 또는 컨텐트에 링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및컨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브라우저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 무선 패킷들을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 패킷들을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 및 상기 단말기로의 전송을 위해 액세스가능한 컨텐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저장된 컨텐트는, 상기 제1 컨텐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액세스가능한 상기 제1 아이템 및 상기 추가 아이템들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아이템들은 각각 개별컨텐트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액세스가능하며, 상기 제1 아이템 및 상기 추가 아이템들은 각각 컨텐트 또는 컨텐트에 링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상기 단말기에 전송시 상기 제1 아이템은,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상기 추가 아이템들의 상기 컨텐트 식별자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 및각 링크가 개별 컨텐트 식별자를 사용하고, 상기 제1 아이템으로부터 복수의 추가 아이템들 각각으로 링크를 자동으로 제공하기 위한 링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링크들의 활성화는 상기 추가 아이템들로의 액세스 및 그것에 의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성을 제공하고, 상기 서버는 비동기적으로 상기 제1 아이템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전송시 상기 제1 아이템은, 상기 추가 아이템들이 개별 컨텐트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액세스될 수 있는 상기 단말기내의 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추가 아이템들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템의 상기 링크 수단은 부가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상기 링크의 가시적인 표시를 제공하고 표시된 링크의 사용자 활성화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에 의한 상기 제1 아이템 및 상기 추가 아이템들로의 액세스는 상기 단말기내의 메모리로부터 상기 아이템을 독출하려고 하는 것과 그다음 실패한 경우 적합한 컨텐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무선 패킷을 송신하고 응답으로 상기 아이템을 포함하는 무선 패킷 또는 무선 패킷들을 수신함으로써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아이템의 전송을 요청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텐트 식별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2항에 종속되는 경우의 제3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이미 국부적으로 저장되지 않은 아이템들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2항에 종속되는 경우의 제3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상기 제1 아이템을 전송할 때 상기 식별 수단, 상기 링크 수단 및 상기 전송 수단은 아이템들의 계층을 확립하도록 활성화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수단, 상기 링크 수단 및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제1 아이템이 전송될 때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식별 수단과 상기 서버내의 상기 제1 아이템의 링크 수단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제1 아이템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갱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버내의 추가 아이템들의 컨텐트를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아이템들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갱신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제1 활성화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모든 아이템들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상기 서버 간의 통신은 무선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에 의하고 상기 제1 아이템은 데크(deck)이며 상기 추가 아이템들은 카드들 또는 데크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아이템이 상기 브라우저에 의한 액세스를 요청하는 것에 응답하고 상기 브라우저로 향해야 하는지 또는 상기 브라우저에 의한 액세스를 요청하는 것에 응답하지 않고 국부 저장장치로 향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조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서버에 의해 제공된 식별자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으로부터 컨텐트를 수신한 후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컨텐트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분할되지 않은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에이아이엠(AIM) 카드 및 가입자 신분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카드의 컨텐트들을 독출하기 위한 가입자 신분 모듈(SIM) 카드 독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입자 신분 모듈(SIM) 카드는 상기 제1 컨텐트 식별자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아이템과 관련하여 컨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생성된 컨텐트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8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 전송된 상기 생성된 컨텐트는 상기 단말기로의 장래의 전송을 위해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아이템들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컨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전송되는 새로운 추가 아이템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8항에 종속되는 경우의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컨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전송되는 현재 아이템의 컨텐트를 적합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8항에 종속되는 경우의 제19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브라우저에 의한 아이템들의 액세스에 의존하여 컨텐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아이템이 액세스되었다는 것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아이템들의 쌍들은 연관되며, 상기 쌍의 제1의 추가 아이템은 상기 브라우저에 의한 액세스와 상기 사용자에 의한 관찰을 위해 컨텐트를 보유하고 상기 쌍의 제2의 추가 아이템은 상기 제1 아이템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식별하는 컨텐트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제1의 추가 아이템이 상기 브라우저에 의해 액세스되었는지 그리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관찰되었는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8항에 종속되는 경우의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쌍의 상기 제1의 추가 아이템이 상기 브라우저에 의해 액세스될 때 한 쌍의 추가 아이템들의 상기 제2의 추가 아이템의 파라미터를 적합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24항 내지 제2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쌍의 상기 제2의 추가 아이템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가시적인 표시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8항에 종속되는 경우의 제19항 내지 제2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컨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컨텐트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컨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 상기 서버에 비동기적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서버와 상기 단말기 간에 무선 통신이 존재할 때까지 상기 단말기내의 출력 박스 버퍼에 저장되고 자동으로 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28항 내지 제3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를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애플리케이션을 나갈때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3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추가 아이템은 상기 브라우저에 의해 액세스될 때 상기 추가 아이템을 퇴장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퇴장 수단의 활성화는 상기 서버를 갱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갱신된 아이템 또는 아이템들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3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에 의해 액세스될 때 추가 아이템은 상기 추가 아이템을 나가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나가는 퇴장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퇴장 수단은 상기 브라우저에 의해 액세스되는 아이템을 나갈 때 이벤트의 생성에 의해 활성화되는 이벤트 처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제2 아이템이 제공되는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내에 아이템의 저장시, 표시를 제공하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은 적어도 정적인 부분을 포함하고, 전용 아이템을 위한 표시를 마련하거나 마련하지 않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은 적어도 동적인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임의의 아이템의 표시를 삭제/삽입할 수 있게 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은 동적인 부분과 정적인 부분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제35항 내지 제3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은 선입선출(First In First Out, FIFO) 우선 순위로 상기 표시들을 처리하도록 더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상기 서버로부터 무선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정해진 수신기;메모리;제1 컨텐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제1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제1 아이템을 독출함으로써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도록 정해지는, 컨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아이템 및 추가 아이템들의 결합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추가 아이템들은 각각 개별 컨텐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액세스가능하며, 상기 제1 아이템 및 상기 추가 아이템들은 각각 컨텐트 또는 컨텐트에 링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및컨텐트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입력 수단을 구비하는 상기 브라우저에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 무선 패킷들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및 상기단말기로의 전송을 위해 액세스가능한, 컨텐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저장된 컨텐트는 상기 제1 아이템 및 상기 추가 아이템들을 포함하고,상기 단말기에 전송시 상기 제1 아이템은,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상기 추가 아이템들의 상기 컨텐트 식별자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 및각 링크가 개별 컨텐트 식별자를 사용하고, 상기 제1 아이템으로부터 복수의 추가 아이템들 각각으로 링크를 자동으로 제공하기 위한 링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링크들의 활성화는 상기 추가 아이템들로의 액세스 및 그것에 의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성을 제공하고, 상기 서버는 비동기적으로 상기 제1 아이템과 상기 추가 아이템들의 결합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무선 통신을 통하여 단말기상에 제1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갱신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상기 단말기로 무선 패킷들을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무선 패킷들을 수신하기 위한 송수신기; 및 상기 단말기로의 전송을 위해 액세스가능한, 컨텐트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저장된 컨텐트는, 제1 컨텐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액세스가능한 제1 아이템 및 추가 아이템들을 포함하고 상기 추가 아이템들은 각각 개별 컨텐트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액세스가능하며, 상기 제1 아이템 및 상기 추가 아이템들은 각각 컨텐트 또는 컨텐트에 링크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상기 제1 아이템은,상기 브라우저에 대해 상기 추가 아이템들의 상기 컨텐트 식별자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 및각 링크가 개별 컨텐트 식별자를 사용하고, 상기 제1 아이템으로부터 복수의 추가 아이템들 각각으로 링크를 자동으로 제공하기 위한 링크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링크들의 활성화는 상기 추가 아이템들로의 액세스 및 그것에 의한 상기 제1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성을 제공하고, 상기 서버는 비동기적으로 상기 제1 아이템을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 서버로부터 무선 링크를 통하여 아이템들을 전송함에 의해 상호-링크된 아이템들의 계층을 생성함으로써 단말기의 브라우저내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성을 제공하고, 상기 계층으로의 입장은 제1 컨텐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제1 아이템을 통해서 행해지며, 상기 제1 아이템은 컨텐트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액세스가능한 상기 계층에서 추가 아이템들을 식별하고 상기 컨텐트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상기 추가 아이템들에 링크들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브라우저를 통하여 상기 제1 아이템의 컨텐트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아이템에 액세스함으로써 상기 단말기내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개시하는 단계;상기 제1 아이템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제1 아이템내의 상기 추가 아이템들의 컨텐트 식별자들을 사용하여 상기 추가 아이템들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제1 아이템과 상기 추가 아이템들 간에 링크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성은 상기 링크들의 활성화로부터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GB9909562.2 | 1999-04-26 | ||
GBGB9909562.2A GB9909562D0 (en) | 1999-04-26 | 1999-04-26 | A radio terminal |
GB9913196A GB2349551A (en) | 1999-04-26 | 1999-06-07 | Mobile telephone with browser application |
GB9913196.3 | 1999-06-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08845A true KR20020008845A (ko) | 2002-01-31 |
KR100681873B1 KR100681873B1 (ko) | 2007-02-12 |
Family
ID=1085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70136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1873B1 (ko) | 1999-04-26 | 2000-04-25 |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KR (1) | KR100681873B1 (ko) |
AT (1) | ATE511288T1 (ko) |
DK (1) | DK1175766T3 (ko) |
ES (1) | ES2364236T3 (ko) |
GB (2) | GB9909562D0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819675B1 (fr) * | 2001-01-17 | 2003-05-16 | Sagem | Telephone portable a navigateur de capture et de rappel d'adresses informatiques |
GB2373677B (en) * | 2001-03-19 | 2005-08-10 | Nokia Mobile Phones Ltd | Client server system |
US7155425B2 (en) | 2001-05-15 | 2006-12-26 | Nokia Corporation | Mobile web services |
US7249100B2 (en) | 2001-05-15 | 2007-07-24 | Nokia Corporation | Service discovery access to user location |
US6714778B2 (en) * | 2001-05-15 | 2004-03-30 | Nokia Corporation | Context sensitive web services |
GB2375926B (en) * | 2001-05-24 | 2004-09-22 | 3G Lab Ltd | Method of browser-server communication |
DE10126709B4 (de) * | 2001-05-31 | 2007-03-08 | T-Mobile Deutschland Gmbh | Verfahren zur Verringerung der Latenzzeit bei der Übertragung von Informationen in einem GPRS-Netzwerk |
US20020186827A1 (en) * | 2001-06-12 | 2002-12-12 | Griffiths Michael A. |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call administration in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US6771947B1 (en) * | 2001-06-12 | 2004-08-03 |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call administration |
AU2002366902A1 (en) | 2001-12-21 | 2003-07-09 | Nokia Corporation | Location-based novelty index value and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
KR100591752B1 (ko) | 2003-04-25 | 2006-06-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독립된 복수의 전송 채널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95471A (en) * | 1997-07-11 | 1999-04-20 | Unwired Planet, Inc. | Providing a directory of frequently used hyperlinks on a remote server |
AU1921799A (en) * | 1997-12-23 | 1999-07-12 | Global Mobility Systems, Inc.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rs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to and from a telecommunications device |
-
1999
- 1999-04-26 GB GBGB9909562.2A patent/GB9909562D0/en not_active Ceased
- 1999-06-07 GB GB9913196A patent/GB2349551A/en not_active Withdrawn
-
2000
- 2000-04-25 DK DK00934962.2T patent/DK1175766T3/da active
- 2000-04-25 AT AT00934962T patent/ATE511288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4-25 ES ES00934962T patent/ES2364236T3/es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4-25 KR KR1020017013623A patent/KR10068187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GB2349551A8 (en) | 2000-11-13 |
KR100681873B1 (ko) | 2007-02-12 |
ATE511288T1 (de) | 2011-06-15 |
DK1175766T3 (da) | 2011-08-08 |
GB9909562D0 (en) | 1999-06-23 |
ES2364236T3 (es) | 2011-08-29 |
GB2349551A (en) | 2000-11-01 |
GB9913196D0 (en) | 1999-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95475B1 (ko) | 브라우저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 |
US6985754B1 (en) | Radio terminal for browsing the internet | |
JP2002543676A5 (ko) | ||
JP4690615B2 (ja) | セルラー通信システムのサーバからコンテンツを取り出す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KR100628010B1 (ko) |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대화식 양방향 통신 장치의 구성 및 방법 | |
US765374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wireless content | |
EP1166575B1 (en) | Radio handset | |
KR100729654B1 (ko) | 브라우저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 |
KR100681873B1 (ko) |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기 위한 무선 단말기 | |
US7574480B1 (en) | Radio terminal | |
KR100716673B1 (ko) | 네트워크상에서의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
JP2002183030A (ja) | 完全情報セットの配信方法 | |
MXPA01010799A (en) | Radio terminal with browser | |
KR100718391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바일 홈페이지 서비스 방법 | |
MXPA01010800A (en) | Radio terminal with browser | |
KR20050090858A (ko) | 오프라인 무선인터넷 서핑 방법 및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110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3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2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1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