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08633A - 탄두 - Google Patents

탄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633A
KR20020008633A KR1020000042507A KR20000042507A KR20020008633A KR 20020008633 A KR20020008633 A KR 20020008633A KR 1020000042507 A KR1020000042507 A KR 1020000042507A KR 20000042507 A KR20000042507 A KR 20000042507A KR 20020008633 A KR20020008633 A KR 20020008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head
barrel
effective range
present
gu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008B1 (ko
Inventor
김용대
Original Assignee
김용대
허만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대, 허만수 filed Critical 김용대
Priority to KR10-2000-0042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00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8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00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02Stabilising arrangements
    • F42B10/14Stabilising arrangements using fins spread or deployed after launch, e.g. after leaving the barr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32Range-reducing or range-increasing arrangements; Fall-retarding means
    • F42B10/38Range-increasing arrangements
    • F42B10/42Streamlined projecti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두(彈頭)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포신이나 총신으로부터 발사되는 탄두가 우향으로 회전하면서 전진하게 되어 탄두의 진행 방향이 우경사를 이룸에 따라 유효 사거리가 감소되는 결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탄두에 역방향회전안내부를 형성시키어 포신이나 총신의 내부에 형성시키는 강선에 의하여 회전하는 탄두가 그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받아 결국 탄두가 회전치 아니하고 곧바르게 전진하여 유효 사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임.

Description

탄두 {Warhead}
본 발명은 총포로부터 발사되는 탄두(彈頭)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두의 구조를 개량하여 유효사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게 한 것에 관한 것이다.
탄두에 있어서 유효사거리라 함은 발사된 탄두가 효력을 발휘할 수 있는 거리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비행하는 탄두가 회전원심력에 의해 좌우로 휘어짐이 없이 곧바로 날아가는 최대거리를 뜻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인마살상용으로 제조되는 총포의 경우 살상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총열의 내주연에 다수의 강선을 형성시켜 총신을 통과하는 탄두에 회전력을 부여함으로써, 살상의 기능을 증대시켜왔다.
강선은 그 설치 형태에 따라 4조우선, 6조우선으로 분류되며, 4조우선은 4개의 강선이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고, 6조우선은 6개의 강선이 우측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만약 강선이 좌측으로 회전하는 형태의 것에 있어서는 이를 4 또는 6조 좌선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총열을 통과하는 탄두가 강선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 탄두가 목표물을 통과하면서도 계속적으로 회전하게 되어 목표물에 심한 상처를 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강선에 의한 탄두의 회전은 인마 살상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반대급부적으로 탄두의 유효사거리를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총열을 통과한 탄두가 회전하는 경우 회전원심력에 의하여 탄두가 우측으로 점점 휘어지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결국 총포의 유효 사거리가 짧아짐으로 기존 M-16 소총의 유효 사거리 460M, K-1 소총 및 K-2 소총의 유효 사거리는 400M로 제한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총포의 구조를 개량하지 않으면서 탄두의 구조만을 부분적으로 개량하여 탄두의 진행탄도를 직선화시켜 유효사거리를 증대시키면서도 본래 탄두가 가지는 살상능력은 저하되지 않게 한 탄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총열의 강선에 의해 회전하면서 날아가는 탄두에 역방향 회전 안내부를 형성시킴으로써, 탄두가 회전원심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유효사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탄피
2.....................탄두
3.....................경사홈
4.....................날개
41....................축
42....................스프링
현재 군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개인화기로 M-16, K-1, K-2 소총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6조우선 방식에 의해서 살상효과가 더 있다고 하나 소총의 유효 사거리가 M-16: 460M, K-1 및 K-2: 400M, M-60기관총: 1100M임을 감안하고, 군에서 특수 목적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격용 소총이 있다는 점에서 볼 때 개인화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경우 불필요한 군사장비를 줄일 수 있어 군대의 기동력을 향상시키고 군 장비의 현대화, 과학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군대의 기동력은 군 전투력과 같고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소총 및 기관총의 유효 사거리를 늘이는 기술은 개인 휴대장비의 성능향상과 기능개선 차원에 있어서도 꼭 필요한 것이며, 따라서 본 기술개념과 다른 기술개발을 현재 국방부 체계개발과, 국방과학 연구소(1 체계과)에서 연구 중에 있다고 한다. 그러나 현대전은 속도전이고 기술전쟁이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는 분명한 사실이다. 이에 대하여 본 기술개발자는 상기의 이러한 사실을 직시하고 소총 및 기관총의 유효 사거리를 늘이는 기능과 살상효과 또한 향상배가(向上倍加)시키는 기술을 정립하였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탄두와 탄피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총포로부터 발사된 탄두가 강선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두를 회전시키게 하는 역방향 회전 안내부(3)를 탄두에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역방향 회전 안내부(3)는 탄두(2)의 몸체 후측에 형성되는 경사홈(30)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총포로부터 발사된 탄두(2)가 총열의 강선을 따라 우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진행되다가 탄두(2)가 총열을 통과하는 시점부터는 탄두의 후방에 형성된 경사홈(30)에 의해 탄두가 서서히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면서날아가게 되어 탄두(2)가 강선에 의한 회전원심력에 의해 우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보상시키게 됨에 따라 결구 탄두의 유효사거리가 증가되는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상기 경사홈(30)의 내부에 날개(4)를 설치하되 이에 날개 펼침수단을 설치하되 펼침수단을 스프링(42)으로 구성시킴으로써 축(41)으로 설치된 날개가 총신이나 포신을 떠나면서 펼침수단에 의하여 펼쳐져 탄두(2)가 강선의 회전방향과 반대인 좌측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더욱 크게 하였다.
경사홈(30)에 설치된 날개(4)의 펼침수단은 첨부된 도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실시 될 수 있다. 즉, 탄두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시키고 이에 밀대(51)를 설치하되 스프링(52)에 의하여 탄력 설치시키며, 밀대(51)의 머리가 외방으로 밀리면 날개(4)를 외측으로 밀도록 구성시키고, 밀대(51)의 머리부에 도화선(신관)(54)에 연결된 화약부(53)를 설치함으로서, 탄피내에서의 화약 폭발이나 포신내에서의 장약 폭발에 의하여 도화선(54)이 점화되면 화약부(53)가 폭발하고, 그리하여 화약부(53)가 공간부를 이루게 되면 밀대(51)가 스프링(52)에 의하여 외방으로 밀려지면서 날개(4)가 펼쳐지게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탄피(1)내부의 탄약의 폭발에 의한 추진력으로 탄두(2)가 총열을 따라 진행되고 총열을 통과하는 동안에는 총열의 강선방향에 의해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탄두의 후측에 설치된 화약(53)은 탄피내의 화약 폭발에 의한 열로 점화된 도화선(신관)을 통하여 점화되어 탄두(2)가 총열을 통과한 시점에서는 화약(53)이 완전하게 소각되어 공간이 발생된다.
이어 탄두(2)가 총열을 통과하는 시점에서 스프링(52)이 밀대(51)를 밀어냄에 따라, 또는 밀대(53)가 날개(4)를 밀어내고, 날개(4)가 축(41)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날개(4)의 후단부가 경사홈(3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탄두(2)에 좌측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M-16 및 K-1, K-2 소총의 단점을 해소하여 유효 사거리를 늘이면서 그 성능향상, 기능향상 목적의 기술수단을 발휘하여 기존의 단점을 개선한 수단으로써 기존 소총의6조우선의 구조 기능에 의하여 실탄이 총기의 약실에서 폭발하여 총열 내부의 6조우선(六組右旋) 즉, 우 선회형 6조 강선에 안내되어 통과하면서 총구를 떠나 탄착점으로 진행할 때 총열내의 6조우선에 의한 회전 원심력작용으로 결국 실탄이 우측으로 휘어지는 것에 대한 상대적 기능작용효과를 주기 위하여 실탄이 약실에서 부터 폭발할 때는 기존 6조우선의 총열 내부의 강선에 안내되어 진행하다가 실탄이 총구를 떠난 즉시 좌회전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형식으로 실탄의 진행탄도를 직선화시켜서 실탄 진행탄도를 똑바로 잡을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함으로써 기존 소총을 개량하지 않고 소총의 유효 사거리를 늘릴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탄두(2)의 몸체 후측에 역방향 회전 안내부(3)를 형성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회전 안내부(3)는 경사홈(30)과 그 내부에 설치된 날개(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회전 안내부(3)에 설치된 날개(4)의 펼침수단은, 스프링(52)과, 스프링(52)에 의하여 설치된 밀대(51), 화약부(53) 및 도화선(54)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두.
KR10-2000-0042507A 2000-07-24 2000-07-24 탄두 Expired - Fee Related KR100437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507A KR100437008B1 (ko) 2000-07-24 2000-07-24 탄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507A KR100437008B1 (ko) 2000-07-24 2000-07-24 탄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633A true KR20020008633A (ko) 2002-01-31
KR100437008B1 KR100437008B1 (ko) 2004-06-23

Family

ID=1967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5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437008B1 (ko) 2000-07-24 2000-07-24 탄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137B1 (ko) * 2020-01-07 2020-09-07 주식회사 두레텍 비행직진성과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080A (ko) 2016-12-13 2018-06-21 백수호 탄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0315A (en) * 1980-05-27 1982-09-21 The United Sta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Device to de-spin objects with very high spin
US5164538A (en) * 1986-02-18 1992-11-17 Twenty-First Century Research Institute Projectile having plural rotatable sections with aerodynamic air foil surfaces
US4752052A (en) * 1986-12-17 1988-06-21 The Marquardt Company Projectile
US5880398A (en) * 1997-08-20 1999-03-09 Scientific Solutions Inc. Dual-purpose bull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137B1 (ko) * 2020-01-07 2020-09-07 주식회사 두레텍 비행직진성과 파괴력을 증가하는 발사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7008B1 (ko) 200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75585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направлением полета ракеты и ракета
RU94002531A (ru) Осколочно-фугасный снаряд
US3815503A (en) Self-propelling ballistic projectiles
KR20050039740A (ko) 무기발사대
US3374969A (en) Stabilized projectile
US11248890B2 (en) Enhanced ballistics and projectiles
KR100437008B1 (ko) 탄두
RU2244246C2 (ru) Бронебойная пуля
SE9904053L (sv) Sätt att öka skottvidden för artillerigranater samt i enlighet därmed utformade granater
RU2110753C1 (ru) Кумулятивный боеприпас
RU2211350C1 (ru)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заряд для ракетного двигателя
RU2219479C2 (ru) Пуля
RU2131574C1 (ru) Способ стрельбы снарядом и стреляющий комплекс
RU2166726C1 (ru) Управляемый снаряд
RU2191983C1 (ru) Ракета
US20170205214A1 (en) Dual-mode Projectile
RU2103646C1 (ru) Патрон
US12305944B2 (en) Barrel and launching device as well as method for firing off a projectile
RU2197708C1 (ru) Способ поражения цели реактивным снарядом,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управляемым, и реактивный снаряд
US2892400A (en) Projectile for simulating firing of automatic weapons
RU2373485C2 (ru) Способ высокоточной стрельбы из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ушки и комплект снарядов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RU2229093C2 (ru) Патрон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для учебной стрельбы
RU2137088C1 (ru) Пуля
RU2084800C1 (ru) Ствол огнестрельного оружия
RU2165586C1 (ru) Управляемый снаря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6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61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