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6157A -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06157A KR20020006157A KR1020000039647A KR20000039647A KR20020006157A KR 20020006157 A KR20020006157 A KR 20020006157A KR 1020000039647 A KR1020000039647 A KR 1020000039647A KR 20000039647 A KR20000039647 A KR 20000039647A KR 20020006157 A KR20020006157 A KR 2002000615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fr
- ift
- power
- power supply
- msm3000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SM3000(Mobile Station Modem 3000), IFT(Intermediate Frequency Transmitter), IFR(Intermediate Frequency Receiver)을 구비한 CDMA 단말기에서 슬립 모드시 IFR, IFT의 소비 전류를 감소하도록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IFR, IFT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전압제어발진기의 전원 공급 장치를 공유하도록 하고, 슬롯 사이클 주기마다 MSM3000에서 IFT/IFR의 전원 제어를 수행하고, IFR의 동작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장치 구성을 간략화하고 슬립 모드시 소비 전류를 감소시켜 단말기의 밧데리 사용 시간을 연장시키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지털셀룰라이동통신 시스템(Digital Cellular System; DCS), 개인휴대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등 코드분할다중접속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MSM3000(Mobile Station Modem 3000), IFT(Intermediate Frequency Transmitter), IFR(Intermediate Frequency Receiver)을 사용하는 CDMA 단말기의 슬립 모드(sleep mode)시 MSM3000 칩에서 IFT/IFR의 전원 제어를 수행하여, 소비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한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MSM300, IFR(수신 중간 주파 처리 장치), IFT(송신 중간 주파 처리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IFT,IFR의 전원 제어 장치 블럭 구성을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MSM 전원 공급 장치(1)는 MSM3000(2)에서 항상 ON 신호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항상 동작하여 MSM3000(2)에 전원을 공급한다. MSM3000(2)은 MSM전원 공급 장치(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이 MSM3000(2)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전압제어발진기(VC_TCXO)(8)의 전원을 제어한다. IFR/IFT 전원 공급 장치(4)는 MSM3000(2)에서 항상 ON 신호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항상 동작하여 IFR(5), IFT(6)에 전원을 공급한다.
IFR(5)은 중간 주파(Intermediate Frequency; IF) 신호를 수신하여 기저 대역(baseband)의 디지털 신호로 처리한 후 MSM3000(2)으로 전송하게 된다. IFT(6)는상기 MSM3000(2)으로부터 출력되는 기저 대역의 신호를 중간 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 측으로 송신할 준비를 한다.
전압제어발진기(VC_TCXO) 전원 공급 장치(7)는 상기 MSM3000(2)에서 출력되는 인에이블(enable) 제어 신호에 따라 인에이블되어 전압제어발진기(8)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압제어발진기(8)는 전압제어발진기 전원 공급 장치(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단말기의 시스템 클럭을 발진하여 상기 IFR(5)과 IFT(6)에 제공한다. 슬립 크리스탈(sleep crystal)(3)은 단말기의 슬립 모드시 사용되는 클럭을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MSM3000, IFR, IFT를 구비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IFT,IFR의 전원 제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가 슬립 모드시 MSM3000(2)은 슬립 크리스탈(3)에서 발생되는 클럭(32.768KHz)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즉, 이 32.768KHz 클럭을 이용하여 슬롯 사이클(slot cycle) 주기를 체크하며, 이 슬롯 사이클 주기마다 기지국 측으로부터 자신에게 전송되는 정보가 있는 지를 검사한다.
이렇게 기지국 측으로부터 자신한테 오는 정보가 있는 지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IFR(5)이 깨어 있어야 하며 즉 동작 상태에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일반적인 단말기의 IFR/IFT 전원 공급 장치(4)는 항상 동작하여 IFR(5)과 IFT(6)에 전원을 항상 공급해 주도록 하였다.
그리고 MSM3000(2)은 슬롯 사이클 주기마다 전압제어발진기 전원 공급 장치(7)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8)로 전원 공급이 되도록한다. 그래서 전압 제어 발진기(8)는 자신보다 먼저 깨어난 IFR(5)로 시스템 클럭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IFR(5)은 공급받은 시스템 클럭을 이용하여 동작하게 되고, 기지국측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가 있으면 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MSM3000, IFR, IFT를 구비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는 IFR과 IFT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슬립 모드시에도 항상 IFR과 IFT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기 때문에, 슬립 모드시 전류 소비량이 많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IFR과 IFT 전원 공급 장치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장치 구성을 복잡하게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MSM3000(Mobile Station Modem 3000), IFT(Intermediate Frequency Transmitter), IFR(Intermediate Frequency Receiver)을 구비한 CDMA 단말기에서 IFR, IFT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전압제어발진기의 전원 공급 장치를 공유하도록 하며, 단말기의 슬립 모드(sleep mode)시 MSM3000 칩에서 슬롯 사이클 주기마다 IFT/IFR의 전원 제어를 수행하고 IFR의 동작을 제어하여, 슬립 모드시 소비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하고 단말기의 밧데리 사용 시간을 연장시켜 주도록 한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는,
전원공급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IFR, IFT, 전압제어발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IFR/IFT/전압제어발진기 전원 공급 장치와;
슬립 모드시 슬롯 사이클 주기마다, 상기 IFR/IFT/전압제어발진기 전원 공급 장치로 전원 공급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IFR, 상기 IFT, 상기 전압제어발진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IFR과 상기 전압제어발진기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MSM3000으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1은 MSM300, IFR, IFT를 구비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IFT,IFR의 전원 제어 장치 블럭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블럭 구성도,
도3은 슬립 모드와 아이들 모드시 MSM3000에서 IFR의 전원 제어 및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의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MSM 전원 공급 장치 20: MSM3000
30: 슬립 크리스탈 40: IFR/IFT/전압제어발진기 전원공급 장치
50: IFR 60: IFT
70: 전압제어발진기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 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블럭 구성을 보인다.
MSM 전원 공급 장치(10)는 MSM3000(20)에서 항상 ON 신호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항상 동작하여 MSM3000(20)에 전원을 공급한다. MSM3000(20)은 상기 MSM전원 공급 장치(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며, 이 MSM3000(20)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슬롯 사이클 주기마다 IFR/IFT/전압제어발진기 전원 공급 장치(40), IFR(50), 전압제어발진기(70)의 동작을 제어한다. IFR/IFT/전압제어발진기 전원 공급 장치(40)는 상기 MSM3000(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슬롯 사이클 주기마다 동작하여 IFR(50), IFT(60), 전압제어 발진기(7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압 제어 발진기(70)는 IFR/IFT/전압제어발진기 전원 공급 장치(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단말기의 시스템 클럭을 생성하여 IFR(50), IFT(60)에 제공한다. IFR(50)은 상기 전압제어발진기(70)로부터 시스템 클럭을 제공받아 동작한다. 슬립 크리스탈(sleep crystal)(30)은 단말기의 슬립 모드시 사용되는 클럭을 생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MSM3000, IFR, IFT를 구비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에 대해 설명하면, 단말기는 슬립 모드(sleep mode)와 아이들 모드(idle mode), 액티브 모드(active mode)로 나뉘어서 동작된다. 이러한 각 동작 모드는 일반 사용자는 단말기의 상태를 보고 구별하기가 어려우며, 개발자가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구별할 수 있다. 액티브 모드는 단말기가 송신과 수신이 모두 가능한 상태로서, IFR(50)과 IFT(60)가 모두 동작 상태에 있는 경우이다. 슬립 모드는 단말기가 송신과 수신 등 아무런 동작을 할 수 없는 상태로서, 슬롯 사이클 주기마다 기지국측으로부터 자신한테 전송되는 정보가 있는 지를 검사한다. 아이들모드는 단말기가 수신만 가능한 상태로서 대기 모드이다.
단말기가 슬립 모드시 슬롯 사이클 주기마다 깨어나서 기지국 측으로부터 자신한테 오는 정보가 있는 지를 검사하게 되는데, 이 슬롯 사이클 주기 체크시 슬립 크리스탈(30)에서 발생되는 32.768KHz를 이용하게 된다. 그래서 IFR(50), IFT(60), 전압제어발진기(70)를 동작 상태로 만들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IFR(50), IFT(60),전압제어발진기(70)로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다.
이에 슬롯 사이클 주기마다 기지국 측으로부터 단말기로 오는 정보가 있는 지를 검사하기 위해 MSM3000(2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IFR/IFT/전압제어발진기 전원 공급 장치(40)에 인에이블 제어 신호(VC_TCXO ENABLE)를 출력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MSM3000(20)은 전압제어발진기(70)와 IFR(50)을 인에이블 시켜 슬립 모드에서 아이들 모드로 천이한다.
이렇게 MSM3000(20)은 슬립 모드시 IFR/IFT를 위한 별도의 전원 제어를 하지 않기 때문에 전류 소비가 줄 뿐 아니라 IFR/IFT를 위한 별도의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없게 된다.
참고적으로 도1의 단말기와 본 발명에 의한 도2의 단말기에 슬립 모드시, 전류 소비를 비교하면 도1은 1 ~ 1.5 mA이고, 도2는 0.5 ~ 0.8 mA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IFR,IRT 전원 제어장치는 종래보다 전류 소모량이 약 2배로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는, MSM3000(Mobile Station Modem 3000), IFT(Intermediate FrequencyTransmitter), IFR(Intermediate Frequency Receiver)을 구비한 CDMA 단말기에서 IFR, IFT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전압제어발진기의 전원 공급 장치를 공유하도록 하고, 슬립 모드시 IFR, IFT에 별도로 항상 전원을 공급했던 것을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슬롯 사이클 주기마다 MSM3000에서 IFT/IFR의 전원 제어를 수행하고 IFR의 동작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장치 구성을 간략화하고 슬립 모드시 소비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단말기의 밧데리 사용 시간을 연장시키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 기지국 측으로부터 수신된 중간 주파(IF) 신호를 기저 대역의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IFR과; 단말기측 모뎀(MSM3000)과; 상기 MSM3000으로부터 출력되는 기저 대역의 신호를 중간 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 측으로 송신하기 위한 IFT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전원공급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IFR, 상기 IFT, 전압제어발진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IFR/IFT/전압제어발진기 전원 공급 장치와;슬립 모드시 슬롯 사이클 주기마다, 상기 IFR/IFT/전압제어발진기 전원 공급 장치로 전원 공급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IFR, 상기 IFT, 상기 전압제어발진기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고 상기 IFR과 상기 전압제어발진기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MSM30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39647A KR20020006157A (ko) | 2000-07-11 | 2000-07-11 |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39647A KR20020006157A (ko) | 2000-07-11 | 2000-07-11 |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06157A true KR20020006157A (ko) | 2002-01-19 |
Family
ID=1967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39647A Withdrawn KR20020006157A (ko) | 2000-07-11 | 2000-07-11 |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0615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1649B1 (ko) * | 2006-10-12 | 2008-0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의 대기모드 절전 방법 |
-
2000
- 2000-07-11 KR KR1020000039647A patent/KR20020006157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1649B1 (ko) * | 2006-10-12 | 2008-0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의 대기모드 절전 방법 |
US7912518B2 (en) | 2006-10-12 | 2011-03-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ower sav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09822B1 (en) | Synchronizing clock enablement in an electronic device | |
KR0138973B1 (ko) | 클럭 주파수를 제어하여 전자 회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KR100663584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립 모드 시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 |
US7321755B2 (en) | Dual-mode clock for improved power management in a wireless device | |
US20040025065A1 (en) | Dynamic voltage regulation in a wireless device | |
SK105394A3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receiver | |
US633023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 |
KR20000070944A (ko) |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 전화기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회로 | |
US6198820B1 (en) | Portable remote terminal apparatus | |
JP4064150B2 (ja) |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の制御方法 | |
WO2001050780A3 (en) |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with increased standby time i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 |
US7496774B2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locks for standby mode ope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
KR960003268A (ko) | 휴대폰 사용전원의 절전 장치 | |
KR20020006157A (ko) | 송수신 중간주파 처리장치의 전원 제어 장치 | |
KR100401735B1 (ko) | 기준 보상 전력 강하 제어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 |
JP2004336446A (ja) | 無線通信装置 | |
KR19990026609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력절약장치 | |
JP4687135B2 (ja) | 携帯通信端末及びそのクロック制御方法 | |
KR20030070381A (ko) | 무선랜 카드의 전력 관리 방법 | |
KR20000067419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장시간 미사용시 전원 자동 온/오프방법 | |
JP3438061B2 (ja) | 携帯端末 | |
JPH11234919A (ja) | 充電制御回路及び携帯端末 | |
KR940011750B1 (ko) |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 제어 방법 | |
KR100435557B1 (ko) | Rf-모듈의 전원 공급방법 | |
JP2009111818A (ja) | 間欠データ受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11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1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