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04304A -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설치공법 - Google Patents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설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4304A
KR20020004304A KR1020000038055A KR20000038055A KR20020004304A KR 20020004304 A KR20020004304 A KR 20020004304A KR 1020000038055 A KR1020000038055 A KR 1020000038055A KR 20000038055 A KR20000038055 A KR 20000038055A KR 20020004304 A KR20020004304 A KR 20020004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casing
ceiling plate
concrete slab
cei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한철
장한백
Original Assignee
장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한철 filed Critical 장한철
Priority to KR1020000038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4304A/ko
Publication of KR20020004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30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8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with extending protrusions, e.g. discs, segments, ridges, fingers or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F16B13/065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fastened by extrac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설되는 전선관, 철근 등에 흠을 내지 않는 충분히 작은 크기를 가지며, 콘크리트 슬래브에 박히면 끝이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콘크리트 슬래브에 단단하게 정착하여 천장판을 지지할 수 있는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앵커는 몸체(21)와 상기 몸체 하부에 테두리를 형성하는 머리(25)로 구분되며, 상기 몸체 하부에서부터 중간부까지는 끝이 경사면을 이루면서 모아지는 원통형의 중공(22)이 형성되고 몸체(21) 상부에는 상기 중공(22)과 만나는 일자형의 절개부(23)가 형성되는 케이싱(20); 및, 상기 케이싱 몸체(21)하부에서 중공(22)에 끼워지는 콘크리트 못(30);을 포함한다. 여기에 ㄹ자형 브라켓 및 볼트(51)와 캡(52)으로 구성되는 천장판 고정구(5)를 이용하면 천장을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설치공법{Anchor and the method of fitting in ceiling boar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설되는 전선관, 철근 등에 흠을 내지 않는 충분히 작은 크기를 가지며, 콘크리트 슬래브에 박히면 끝이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콘크리트 슬래브에 단단하게 정착하여 천장판을 지지할 수 있는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체가 완성되면 마감공사중의 하나로 슬래브의 하부에 천장판을 설치하는 천장공사가 실시된다. 천장공사는 단열 및 방음 역할을 함과 동시에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정으로, 천장판의 중량은 약 20㎏정도로써 단순한 접착제로는 천장판을 슬래브에 고정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천장판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 왔다.
즉, 콘크리트 타설시에 미리 고정철물을 매입하고 상기 고정철물에 달대를 연결하고 다시 달대에 반자틀을 고정한 후 상기 반자틀에 천장판을 설치하였다.주로 달대 및 반자틀은 목재로 제작되었으나 화재의 위험에 노출되고 습도의 변화에 의한 뒤틀림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최근에는 경량철골로 제작된 달대 및 반자틀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달대와 반자틀을 설치하여 천장판을 고정하는 종래의 천장공사는 고정철물을 매입하는 작업이 구조체 공사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이 있으며, 달대 및 반자틀을 설치하는 작업 또한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고 상당히 번거롭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여 간단하게 천장공사를 시행하고자 콘크리트 슬래브를 천공하고 천공부위에 앵커를 설치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면에서 30㎜ 정도 상부에는 전선관, 철근 등이 매설되기 때문에, 앵커를 설치하기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천공은 매설되는 전선관, 철근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범위, 약 20㎜ 내외의 깊이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천장판 고정용 앵커는 그 크기가 작으면서도 20㎏ 가량의 천장판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만큼 콘크리트 슬래브에 단단하게 정착할 수 있어야 한다.
종래에 사용하던 앵커는 나사못과 중앙이 절개된 플라스틱 재질의 팽창관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앵커를 콘크리트 슬래브에 정착하기 위해 나사못의 길이는 콘크리트의 피복두께보다 크게 제작되며, 이는 매설되는 전선관, 철근에 문제를 일으키곤 했다. 또한, 앵커는 플라스틱 재질의 팽창관 중앙의 절개부가 볼록하게 팽창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앵커는 천장판의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고, 팽창관의 팽창정도가 고정되지 않고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나사못이 상기 팽창관에서 이탈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작은 크기의 앵커로써 콘크리트 슬래브에 단단하게 정착하여 천장판을 지지할 수 있는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설치공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에 박힐 때 단부가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보다 단단하게 정착하는 앵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설되는 전선관, 철근 등에 흠을 내지 않는 충분히 작은 크기로 콘크리트 슬래브에 정착할 수 있는 앵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조립만을 천장판을 고정하고 천장의 내부공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앵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앵커를 이용한 천장 설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a도 내지 제1c도는 본 발명의 앵커의 분해정면도, 분해단면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의 분해단면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앵커를 콘크리트 슬래브에 고정하기 전의 상태의 입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앵커를 이용하여 천장판을 설치한 상태의 입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 콘크리트 슬래브 2: 앵커
5: 천장판 고정구 6: 핀
10: 천장판 20: 케이싱
21: 몸체 22: 중공
23: 절개부 25: 머리
27: 거친면 30: 콘크리트 못
40: ㄹ자형 브라켓 41: 구멍
42: 암나사구멍 51: 볼트
52: 캡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a도 내지 제1c도는 본 발명의 앵커(2)의 분해정면도, 분해단면도 및 결합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케이싱(20) 및 콘크리트 못(30)으로 구성된다.
케이싱(20)은 몸체(21)와 상기 몸체(21) 하부에 테두리를 형성하는 머리(25)로 구분된다. 상기 몸체(21)가 콘크리트에 삽입되면 상기 머리(25)에 의해 더 이상 삽입되지 않고 고정된다. 몸체(21) 하부에서부터 중간부까지는 끝이 경사면을 이루면서 모아지는 원통형의 중공(22)이 형성되고, 몸체(21) 상부에는 상기 중공(22)과 만나는 일자형의 절개부(23)가 형성되어 케이싱의 몸체(21) 상부를 둘로 나눈다. 또한 상기 몸체(21) 하부의 외면에는 룰렛을 새겨 거친면(27)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이는 케이싱(20)이 콘크리트에 삽입되면 상기 케이싱이 콘크리트에 더욱 효과적으로 정착하여 쉽게 빠지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콘크리트 못(30)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에 박을 때 사용하는 못으로, 상기 케이싱 몸체(21)하부에서 상기 중공(22)에 끼워진다. 상기 콘크리트 못(30)을 케이싱(20)에 깊숙이 박으면, 콘크리트 못(30)의 끝은 케이싱 절개부(22)의 양쪽을 바깥으로 밀어내어 벌어지게 하면서 상기 케이싱(30)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의 분해단면도 및 결합단면도로써, 천장판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로 사용하기 위하여 전술한 케이싱(20) 및 콘크리트 못(30)으로 구성되는 앵커(2)에 ㄹ자형 브라켓(40)을 더 포함한다.
ㄹ자형 브라켓(40)은 상부 면에는 일반적인 구멍(41)이 형성되고 하부 면에는 암나사구멍(42)이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구멍(42)은 ㄹ자형 브라켓(40)의 두께보다 더 길게 연장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전술한 앵커(2)를 상기 ㄹ자형 브라켓(40)과 함께 천장판 고정용 앵커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피복두께를 고려하여 앵커(2)의 크기를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앵커(2)의 케이싱의 몸체(21) 길이로는 20㎜ 정도가 적당하고,그 둘레는 상기 ㄹ자형 브라켓(40)의 상부 면에 형성된 구멍(41)의 크기와 일치하도록 한다. 결국 ㄹ자형 브라켓(40) 상부 면에 형성된 구멍(41)에 상기 케이싱(20)을 끼우면, 몸체(21)는 삽입되고 머리(25)는 상기 ㄹ자형 브라켓(40)에 걸리면서 케이싱(20)은 고정된다. 이때 몸체(21) 하부에 룰렛을 새겨 거친면(27)으로 처리한 케이싱(20)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케이싱(20)은 ㄹ자형 브라켓(40)과 더욱 견고하게 결합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의 단면도로써, 천장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전술한 ㄹ자형 브라켓(40), 케이싱(20) 및 콘크리트 못(30)으로 구성되는 앵커에 볼트(51)와 캡(52)으로 구성된 천장판 고정구(5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천장판 고정구(50)는 ㄹ자형 브라켓(40) 하부 면에 형성된 암나사구멍(42)에 체결되는 볼트(51)와 상기 볼트와 일체가 되는 캡(5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51)는 천장 내부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상기 캡(52)은 다각형의 판상의 부재로 하면은 수평면으로 처리되며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되면 재활용할 수 있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천장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제4도는 앵커(2)와 ㄹ자형 브라켓(40)을 콘크리트 슬래브(1)에 고정하기 전의 상태의 입면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의 앵커를 이용하여 천장판(10)을 설치한 상태의 입면도이다.
먼저 콘크리트 슬래브(1)의 하면을 수직으로 천공한다. 이때 천공깊이는 20㎜ 정도로 하여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설되는 전선관, 철근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한다. 20㎜ 정도의 천공은 구조적으로도 콘크리트 슬래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깊이이다.
케이싱(20)의 중공(21)에 콘크리트 못(30)을 끼운 앵커(2)를 ㄹ자형 브라켓(40)의 상부 면에 형성된 구멍(41)에 끼워 일체화하여 준비하고 이를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의 천공부위에 설치한 후, 케이싱(20) 및 콘크리트 못(30)이 콘크리트 슬래브(1)에 완전히 삽입될 때까지 해머로 앵커(2)를 타격하면 상기 앵커(2)는 콘크리트 슬래브(1)에 고정된다. 이때 콘크리트 못(30)은 케이싱(20)의 중공(22)으로 더욱 깊숙이 들어가면서 케이싱 상부의 절개부(23)를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결국 케이싱 상부의 절개부(23)는 천공부위의 상부 끝에서, 상기 케이싱 하부에 형성된 룰렛이 새겨진 거치면(27)은 천공부위의 하부 끝에서 케이싱(20)을 콘크리트 슬래브(1)에 단단하게 정착하여 빠지지 않게 한다.
이어 상기 ㄹ자형 브라켓(40)의 하부 면에 형성된 암나사구멍(42)에 천장판 고정구(50)의 볼트(51)를 체결한다. 볼트(51)의 체결 위치는 천장 내부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천장판(10)을 상기 천장판 고정구(50)의 캡(51)에 맞닿도록 설치한 후 핀(6)을 이용하여 상기 천장판(10)을 상기 천장판 고정구의 캡(52)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핀(6)은 녹막이 방지용 나사못 또는 타카핀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 길이는 15∼20㎜ 정도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앵커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설되는 전선관, 철근 등에 상처를 주지 않는 충분히 작은 크기이며, 콘크리트 슬래브에 박히면 끝이 양쪽으로 벌어지면서 콘크리트 슬래브에 단단하게 정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천장판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몸체(21)와 상기 몸체 하부에 테두리를 형성하는 머리(25)로 구분되며, 상기 몸체 하부에서부터 중간부까지는 끝이 경사면을 이루면서 모아지는 원통형의 중공(22)이 형성되고 몸체(21) 상부에는 상기 중공(22)과 만나는 일자형의 절개부(23)가 형성되는 케이싱(20); 및,
    상기 케이싱 몸체(21)하부에서 중공(22)에 끼워지는 콘크리트 못(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2. 제1항에서, 상부 면에는 상기 앵커(2)의 케이싱의 몸체(21)와 동일한 크기의 구멍(41)이 형성되고 하부 면에는 암나사구멍(42)이 형성되는 ㄹ자형 브라켓(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3. 제2항에서, 상기 ㄹ자형 브라켓(40) 하부 면에 형성된 암나사구멍(42)에 체결되는 볼트(51)와 상기 볼트와 일체가 되는 다각형의 캡(52)으로 구성된 천장판 고정구(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케이싱의 몸체(21) 하부 외부면에 룰렛을 새겨 거친면(27)으로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5. 콘크리트 슬래브(1)의 하면을 천공하고;
    제1항의 앵커의 케이싱(20)을 ㄹ자형 브라켓(40)의 상부 면에 형성된 구멍(41)에 끼워 일체화한 후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1)의 천공부위에 삽입하고;
    상기 앵커(2)를 타격하여 케이싱의 절개부(22)를 벌어지도록 함으로써 앵커(2)를 콘크리트 슬래브(1)에 정착시키고;
    상기 ㄹ자형 브라켓(40)의 하부 면에 형성된 암나사구멍(42)에 제3항에서의 천장판 고정구(5)의 볼트(51)를 체결하고; 그리고,
    천장판(10)을 상기 천장판 고정구(5)의 캡(52)에 맞닿도록 설치한 후 핀(6)을 이용하여 상기 천장판(10)을 상기 캡(52)에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설치공법.
KR1020000038055A 2000-07-04 2000-07-04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설치공법 Ceased KR200200043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055A KR20020004304A (ko) 2000-07-04 2000-07-04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설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055A KR20020004304A (ko) 2000-07-04 2000-07-04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설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304A true KR20020004304A (ko) 2002-01-16

Family

ID=1967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055A Ceased KR20020004304A (ko) 2000-07-04 2000-07-04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설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430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16042A2 (de) 2010-08-03 2012-02-08 Zurecon AG Justierbare Aufhängevorrichtung
KR101142275B1 (ko) * 2011-09-14 2012-05-07 주식회사 톱텍 태양전지판 고정장치
KR200476840Y1 (ko) * 2014-04-15 2015-04-08 정유진 다용도 걸이
KR20160139929A (ko) 2015-05-29 2016-12-07 (주)성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전용 칼블럭 세트 및 경량 기포 콘크리트 전용 칼블럭 제조방법
CN111005921A (zh) * 2019-12-23 2020-04-14 冷光君 自锁钢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194U (ko) * 1994-06-13 1996-01-22 반자틀 지지장치
KR970051966U (ko) * 1996-02-29 1997-09-08 이동희 천정판 지지용 고정구
KR970062606U (ko) * 1996-05-15 1997-12-11 이동희 천정판 지지용 고정구
KR19990022384U (ko) * 1999-02-09 1999-07-05 장한백 건축용천장판고정구의위치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194U (ko) * 1994-06-13 1996-01-22 반자틀 지지장치
KR970051966U (ko) * 1996-02-29 1997-09-08 이동희 천정판 지지용 고정구
KR970062606U (ko) * 1996-05-15 1997-12-11 이동희 천정판 지지용 고정구
KR19990022384U (ko) * 1999-02-09 1999-07-05 장한백 건축용천장판고정구의위치조절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16042A2 (de) 2010-08-03 2012-02-08 Zurecon AG Justierbare Aufhängevorrichtung
KR101142275B1 (ko) * 2011-09-14 2012-05-07 주식회사 톱텍 태양전지판 고정장치
KR200476840Y1 (ko) * 2014-04-15 2015-04-08 정유진 다용도 걸이
KR20160139929A (ko) 2015-05-29 2016-12-07 (주)성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 전용 칼블럭 세트 및 경량 기포 콘크리트 전용 칼블럭 제조방법
CN111005921A (zh) * 2019-12-23 2020-04-14 冷光君 自锁钢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70093A1 (en) Fastening device with adjustable fastening surface embedded in cast panel or other products
KR101257364B1 (ko) 건축물용 패널 고정장치
KR20020004304A (ko)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천장 설치공법
KR20090003818U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JP4471502B2 (ja) 遮音性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床構造
KR20080017772A (ko) 벽체 마감용 패널
KR200317809Y1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KR102307075B1 (ko) 전산볼트가 고정되어진 공동 콘크리트 블록 구조체 및 이의 앙카시공방법
JP4974023B2 (ja) 接続用金物、建物の補強構造
KR20090122670A (ko) 브라켓을 이용한 천정틀 시설재
JPH0339533Y2 (ko)
KR200326563Y1 (ko) 거푸집 체결부재
KR20200088693A (ko) 심재가 내장된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단열벽 시공방법
KR200164482Y1 (ko) 콘크리트 매설용 경량천정 받침레일
CN217580711U (zh) 具有支护结构的免拆保温模板装置
KR100462148B1 (ko) 천장틀
CN209760503U (zh) 一种易于固定墙面板的保温加气块砌体
KR200300711Y1 (ko) 천장틀
KR200381653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RU21209U1 (ru) Узел крепления изоляционных плит
JP3382194B2 (ja) 構築用インサート
KR20180038122A (ko) 지지용 시스템챤넬 시공방법
KR200141835Y1 (ko) 건축의 슬라브 거푸집 설치용 고정대
JP2001262811A (ja) 化粧パネルの固定方法
JP2000129845A (ja) 壁面板取付け構造と壁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4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2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