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1865A - Use of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to enhance immune responses - Google Patents
Use of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to enhance immune respons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01865A KR20020001865A KR1020017014170A KR20017014170A KR20020001865A KR 20020001865 A KR20020001865 A KR 20020001865A KR 1020017014170 A KR1020017014170 A KR 1020017014170A KR 20017014170 A KR20017014170 A KR 20017014170A KR 20020001865 A KR20020001865 A KR 200200018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ecule
- antigen
- cells
- igg
- ce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45—Orthomyxoviridae, e.g. influenza vir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5—Vertebrate antigens
- A61K39/0011—Cancer antig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immunostimulating additives, e.g. chemical adjuv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urine or of the urinary tract, e.g. urine acidifi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prost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1—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whole cells, viruses or DNA/RNA
- A61K2039/515—Animal cells
- A61K2039/5152—Tumor cel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05—Inorganic adjuv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16—Proteins; Pept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5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mbination antigen/adjuvant
- A61K2039/55511—Organic adjuvants
- A61K2039/55566—Emulsions, e.g. Freund's adjuvant, MF59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9/00—Fusion polypeptide
- C07K2319/30—Non-immunoglobulin-derived peptide or protein having an immunoglobulin constant or Fc region, or a fragment thereof, attached thereto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6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negative-sense
- C12N2760/00011—Details
- C12N2760/16011—Orthomyxoviridae
- C12N2760/16111—Influenzavirus A, i.e. influenza A virus
- C12N2760/16134—Use of virus or viral component as vaccine, e.g. live-attenuated or inactivated virus, VLP, viral prot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nc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i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공동자극 분자 예를 들어, B7 분자의 가용성 형태가 항원 예를 들어, 종양세포 및 감염성 제제에 대한 면역반응의 증대를 위해 투여되는 면역반응 증강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피험자의 예방적 및 치료적 면역화 둘 모두에 유용하다.Methods of enhancing immune response are provided in which a soluble form of a costimulatory molecule, eg, a B7 molecule, is administered to enhance an immune response against an antigen, eg, tumor cells and an infectious agent.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are useful for both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immunization of a subject.
Description
도 1은 B7-2Ig (100 ㎍)를 공동 투여하거나 투여함 없이 클래스 Ⅱ-제한 펩티드로 면역화시킨 마우스로부터의 세포의 항원 특이적 증식 반응을 도시한다.1 depicts the antigen specific proliferative response of cells from mice immunized with class II-restricted peptides with or without B7-2Ig (100 μg).
도 2는 일차 면역화 시점에서 단일 B7-2Ig 처리 마우스로부터의 세포가, 이차 면역화에 후속하여 B7-2Ig를 수용하지 않은 마우스로부터의 세포 보다 더 많은 증식 반응을 가짐을 도시한다.FIG. 2 shows that cells from a single B7-2Ig treated mouse at the time of primary immunization have more proliferative responses than cells from mice not receiving B7-2Ig following secondary immunization.
도 3은 B7-2Ig의 공동투여가 클래스 I 제한 펩티드를 사용한 면역화에 대해 CTL 반응을 증강시킴을 도시한다.3 shows that co-administration of B7-2Ig augments CTL responses to immunization with class I restriction peptides.
도 4는 클래스 Ⅱ 제한 펩티드 및 B7-2 Ig 처리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클래스 I 제한 펩티드를 사용하여 면역화시킨 마우스의 CTL 반응을 도시한다.4 depicts the CTL response of mice immunized with class I restriction peptides with or without class II restriction peptides and B7-2 Ig treatment.
도 5는 B7-IgG가 시험관내 증대 및 비장세포 (splenocyte)에서의 림포킨의 분비에 대한 공동자극 시그널을 제공함을 도시한다.FIG. 5 shows that B7-IgG provides costimulatory signals for in vitro augmentation and secretion of lymphokines in splenocytes.
도 6은 B7Ig가 예방적 종양 백신 모델에서 보조제로서 유효함을 제시한다.6 shows that B7Ig is effective as an adjuvant in a prophylactic tumor vaccine model.
도 7은 B7-1- 또는 B7-2-IgG와 혼합된 조사된 P815 종양세포를 사용한 마우스의 치료적 백신화가 종양의 퇴화 및 생존성의 연장을 유도함을 도시한다.FIG. 7 shows that therapeutic vaccination of mice with irradiated P815 tumor cells mixed with B7-1- or B7-2-IgG induces tumor regression and prolongation of viability.
도 8은 치료적 조사된 종양세포 백신을 위한 보조제로서 B7-IgG를 사용한 마우스의 백신화가 수개의 다른 마우스 종양 모델에서 효과적임을 제시한다.8 shows that vaccination of mice with B7-IgG as an adjuvant for therapeutically investigated tumor cell vaccines is effective in several different mouse tumor models.
도 9는 마우스에서 B7-IgG 단독의 치료적 투여의 항종양 효과가, 백신 보조제로서의 이것의 효과와 필적할 정도임을 제시한다.9 shows that the antitumor effect of therapeutic administration of B7-IgG alone in mice is comparable to its effect as a vaccine adjuvant.
도 10은 T 또는 B 세포가 B7-IgG-매개 항종양 활성에 필수적임을 제시한다.10 shows that T or B cells are essential for B7-IgG-mediated antitumor activity.
도 11은 CD4+가 아닌 CD8+ T 세포가 B7-IgG 항종양 활성에 필수적임을 제시한다.11 shows that CD8 + T cells but not CD4 + are essential for B7-IgG antitumor activity.
도 12는 확립된 종양의 B7-IgG 치료가 숙주 IFN-γ에 독립적임을 제시한다.12 shows that B7-IgG treatment of established tumors is independent of host IFN-γ.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면역반응을 강화시키기 위해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 (예를 들어, B7 분자의 세포외 도메인 또는 B7 융합 단백질)를 투여함에 의해 면역반응을 증강시키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는 가교제 없이 투여되나 놀랍게도 T 세포 반응을 자극한다. 실제로, 본 출원인들은 본 발명의 방법이 세포 표면상에 발현되는 공동자극 분자 예를 들어, 세포 표면의 공동자극 분자의 증가된 수준을 초래함을 발견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method of enhancing an immune response by administering a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 (eg, an extracellular domain of the B7 molecule or a B7 fusion protein) to enhance the immune response.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are administered without crosslinkers but surprisingly stimulate T cell responses. Indeed, Applicants have discovered that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ult in increased levels of costimulatory molecules expressed on the cell surface, eg, costimulatory molecules on the cell surface.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설명 이전에, 명세서,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특정 용어를 정의한다.Prior to further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certain terms used in the specification, examples and claims are defined.
정의Justice
본원에서, "예방적으로"는 공동자극 분자를 면역반응의 전개, 증대, 및/또는 강화를 유발하는 항원에 대해 노출시키기 이전 또는 동시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prophylactically” encompasses administering a costimulatory molecule prior to or concurrent with exposing to an antigen that causes the development, augmentation, and / or enhancement of an immune response.
본원에서, "치료적으로"는 공동자극 분자를 사용한 처리에 의해 효과를 보는 존재하거나 진행중인 감염 또는 질환 (예를 들어, 암 또는 바이러스 또는 세균성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공동자극 분자의 투여를 포함한다. 치료적 처리를 위해, 공동자극 분자는 면역반응의 전개, 증대, 및/또는 강화를 유발하는 항원에 대한 노출이후에 투여된다. 공동자극 분자를 사용한 치료는 예를 들어, 특정 항원에 대해 특이적인 것이 아니라 피험자의 면역반응에 대한 다른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As used herein, "therapeutically" includes the administrat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to treat an existing or ongoing infection or disease (eg, cancer or a viral or bacterial infection) that is efficacious by treatment with the costimulatory molecule. . For therapeutic treatment, the costimulatory molecule is administered after exposure to the antigen causing the development, augmentation, and / or augmentation of the immune response. It is understood that treatment with co-stimulatory molecules, for example, may not be specific for a particular antigen but may have other beneficial effects on the subject's immune response.
본원에서, "면역세포"는 조혈세포 기원의 세포를 포함하며 면역반응에서 작용한다. 면역세포는 림프구 예컨데, B 세포 및 T 세포; 천연 킬러세포; 골수세포 예컨데, 모노사이트, 대식세포, 호산구, 비만세포, 호염구, 및 과립구를 포함한다.As used herein, “immune cells” include cells of hematopoietic cell origin and act in an immune response. Immune cells include lymphocytes such as B cells and T cells; Natural killer cells; Myeloid cells such as monosite, macrophages, eosinophils, mast cells, basophils, and granulocytes.
본원에서, "면역반응"은 T 세포 및/또는 B 세포 반응 즉, 세포성 및/또는 체액성 면역반응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제안된 방법은 T 헬퍼 세포 반응을 감소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제안된 방법은 세포독성 T 세포 반응을 감소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안된 방법들은 일차 및 이차 면역반응을 감소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피험자 면역반응은 예를 들어, 항체 생성, 면역세포 증대, 사이토카인의 방출, 세포 표면 마커의 발현, 세포독성 등을 분석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As used herein, “immune response” includes T cell and / or B cell responses, ie, cellular and / or humoral immune responses. In one embodimen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reduce T helper cell response. In other embodiments,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reduce cytotoxic T cell responses. The proposed methods can be used to reduce primary and secondary immune responses. The subject's immune response can be measured, for example, by analyzing antibody production, immune cell augmentation, cytokine release, expression of cell surface markers, cytotoxicity, and the like.
본원에서, 활성화된 면역세포와 관련하여 "공동자극"은, 증식 또는 이펙터 기능을 유도하는 제 2의, 비-활성화 수용체 매개 시그널 ("공동자극 시그널")을 제공하는 공동자극 분자의 능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공동자극 시그널은 예를 들어, T 세포-수용체-매개 시그널을 수용한 T 세포에서 사이토카인 분비를 초래할 수 있다. 본원에서, "공동자극 분자"는 T 세포상의 공동자극 수용체 (예를 들어, CD28, CTLA4, ICOS (참고문헌; Hutloff et al. 1999. Nature 397:263), B7h 리간드 (참고문헌: Swallow et al. 1999. Immunity. 11:423) 및/또는 관련된 분자와 결합하는 항원발현세포 (예를 들어, B7-1, B7-2, B7RP-1 (참고문헌: Yoshinaga et al. 1999. Nature 402:827), B7 (참고문헌: Swallow et al. 1999. Immunity. 11:423) 및/또는 관련 분자 (예를 들어, 상동체)상에 존재하는 분자를 포함한다. 이들 분자는 또한 총칭하여 "B7 분자"로 본원에서 언급된다.As used herein, “co-stimulation” in the context of activated immune cells includes the ability of a co-stimulatory molecule to provide a second, non-activating receptor mediated signal (“co-stimulation signal”) that induces proliferation or effector function. do. For example, costimulatory signals can result in cytokine secretion in T cells that receive, for example, T cell-receptor-mediated signals. As used herein, a “costimulatory molecule” refers to a costimulatory receptor on T cells (eg, CD28, CTLA4, ICOS (Ref. Hutloff et al. 1999. Nature 397: 263), B7h ligand (Ref. Swallow et al) Immunity. 11: 423) and / or antigen-expressing cells that bind to related molecules (eg, B7-1, B7-2, B7RP-1 (see Yoshinaga et al. 1999. Nature 402: 827). ), B7 (Refer to Swallow et al. 1999. Immunity. 11: 423) and / or molecules present on related molecules (eg, homologues.) These molecules are also collectively referred to as "B7 molecules. Is referred to herein.
본원에서, "B7" 또는 "B7 분자"는 자연발생 B7-1 분자, B7-2 분자, B7RP-1 분자 (참고문헌: Yoshinaga et al. 1999. Nature 402:827), B7h 분자 (참고문헌: Swallow et al. 1999. Immunity. 11:423), 구조적으로 관련된 분자, 이러한 분자의 단편, 및/또는 이것의 기능적 등가물을 포함한다. 용어 "등가물"은 B7 분자의 활성 예를 들어, 면역세포상의 B7의 천연 리간드 예컨데, T 세포상의 CTLA4, ICOS, 및/또는 CD28과의 결합력을 지닌 기능적으로 등가인 공동자극 분자를 엔코딩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As used herein, “B7” or “B7 molecule” refers to naturally occurring B7-1 molecules, B7-2 molecules, B7RP-1 molecules (Ref. Yoshinaga et al. 1999. Nature 402: 827), B7h molecules (Ref. Swallow et al. 1999. Immunity. 11: 423), structurally related molecules, fragments of such molecules, and / or functional equivalents thereof. The term "equivalent" refers to an amino acid sequence encoding the activity of a B7 molecule, eg, a natural ligand of B7 on immune cells, such as a functionally equivalent costimulatory molecule with binding to CTLA4, ICOS, and / or CD28 on T cells. It is intended to include.
본원에서, "폴리펩티드"는 펩티드 결합 또는 변형된 펩티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두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임의의 펩티드 또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폴리펩티드"는 통상 펩티드로 언급되는 짧은 사슬, 올리고펩티드 및 올리고머, 및 일반적으로 단백질로 언급되는 보다 더 긴 사슬 둘 모두를 포함한다. 폴리펩티드는 20개의 유전자 엔코딩된 아미노산 이외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펩티드"는 자연적 과정 예컨데, 프로세싱 및 다른 번역 이후의 변형에 의한 변형을 포함할 뿐만아니라, 화학적인 변형 기술에 의한 변형된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변형은 기본 교재에 잘 기술되어 있고, 단행본, 및 여러권으로된 연구 문헌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은 당업자에게 공지이다. 동일한 형태의 변형이 주어진 폴리펩티드내의 여러부위에 동일하거나 다른 정도로 존재할 수 있다. 변형은 펩티드 주쇄, 아미노산 측쇄, 및 아미노 또는 카르복실 말단을 포함하여 폴리펩티드의 어디에서든지 발생할 수 있다. 변형은 예를 들어, 아세틸화, 아실화, ADP-리보실화, 아미드화, 플라빈의 공유결합, 헴 성분의 공유결합, 누클레오티드 또는 누클레오티드 유도체의 공유결합, 지질 또는 지질 유도체의 공유결합, 포스포티딜이노시톨의 공유결합, 가교, 고리화, 이황화결합의 형성, 탈메틸화, 공유 가교결합의 형성, 시스테인의 형성, 피로글루타메이트의 형성, 포르밀화, 감마-카르복실화, 글리코실화, GPI 앵커 형성, 히드록실화, 요오드화, 메틸화, 미리스토일화, 산화, 단백질 분해과정, 포스포릴화, 프레닐화, 라세미화, 글리코실화, 지질 결합, 황산화, 글루탐산 잔기의 감마-카르복실화, 히드록실화 및 ADP-리보실화, 셀레노일화, 황산화, 단백질에 대한 아미노산의 t-RNA 매개 부가 예컨데, 아르기닐화, 및 유비퀴틴화를 포함한다 (참고문헌: Protein Structure And Molecular Properties, 2nd Ed., T.E. Creighton, W. H. Freeman and Compay, New York (1993) and World, F., Posttranslational Protein Modifications: Perspectives and Prospects, pgs. 1-12 in Posttranslatonal Covalent Modifications Of Proteins, B.C. Johnson, Ed., Academic Press, New York (1983); Seifter et al., Meth. Enzymol. 182:626-646 (1990) and Rattan et al., Protein Synthesis: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and aging, Ann. N. Y. Acad. Sci. 663: 48-62 (1992). 폴리펩티드는, 분지되거나, 분지됨 없이 분지되거나 고리일 수 있다. 고리형, 분지된 및 분지된 환상 폴리펩티드는, 번역 후 자연적인 과정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완전히 합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As used herein, "polypeptide" refers to any peptide or protein comprising two or more amino acids linked by peptide bonds or modified peptide bonds. "Polypeptides" include both short chains, oligopeptides and oligomers, commonly referred to as peptides, and longer chains, generally referred to as proteins. The polypeptide may comprise amino acids other than twenty gene encoded amino acids. A “polypeptide” includes modifications by natural processes such as modifications by processing and other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as well as by chemical modification techniques. Such modifications are well described in the basic textbooks and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monographs and in multivolume research literature, which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ame type of modification may be present at the same or different degrees in several places in a given polypeptide. Modifications can occur anywhere in the polypeptide, including peptide backbones, amino acid side chains, and amino or carboxyl termini. Modifications include, for example, acetylation, acylation, ADP-ribosylation, amidation, covalent bonds of flavins, covalent bonds of heme components, covalent bonds of nucleotides or nucleotide derivatives, covalent bonds of lipids or lipid derivatives, phosphatides Covalent bonds, crosslinking, cyclization, disulfide bond formation, demethylation, formation of covalent crosslinks, formation of cysteines, formation of pyroglutamate, formylation, gamma-carboxylation, glycosylation, GPI anchor formation, Hydroxylation, iodide, methylation, myristoylation, oxidation, proteolysis, phosphorylation, prenylation, racemization, glycosylation, lipid binding, sulfated, gamma-carboxylation, hydroxylation, and glutamic acid residues and ADP-ribosylation, selenoylation, sulfated, t-RNA mediated addition of amino acids to proteins, including, for example, arginylation, and ubiquitination (see Protein Structure And Molecular Properties, 2nd Ed., TE Creighton, WH Freeman and Compay, New York (1993) and World, F., Posttranslational Protein Modifications: Perspectives and Prospects, pgs. 1-12 in Posttranslatonal Covalent Modifications Of Proteins, BC Johnson, Ed., Academic Press, New York (1983); Seifter et al., Meth.Enzymol. 182: 626-646 (1990) and Rattan et al., Protein Synthesis: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and aging, Ann. NY Acad. Sci. 663: 48- 62 (1992) Polypeptides may be branched, branched or cyclic without branching Cyclic, branched, and branched cyclic polypeptides can be induced by post-translational natural processes and are fully synthetically prepared. Can be.
본원에서, "단리된 폴리펩티드" 또는 "단리된 단백질"은 세포로부터 단리되거나 재조합된 DNA 기법에 의해 생산되는 경우에는 다른 폴리펩티드, 단백질, 세포성 물질 및 배양 배지가, 화학적으로 합성되는 경우에는 화학적 전구물질 또는 다른 화학물질이 실질적으로 없는 폴리펩티드 또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단리된" 또는 "정제된" 폴리펩티드 또는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이것의 부분은, B7 폴리펩티드가 유도되는 조직원으로부터의 세포성 물질 또는 다른 오염성 폴리펩티드가 실질적으로 없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되는 경우 화학적 전구물질 또는 다른 화학물질이 실질적으로 없는 것을 의미한다. "세포성 물질이 실질적으로 없는"은 B7 폴리펩티드의 제조물로서, 폴리펩티드가 그것이 단리되거나 재조합적으로 생산되는 세포의 세포성 성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의 것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용어 "세포성 물질이 실질적으로 없는"은 비-B7-폴리펩티드 (본원에서, "오염성 폴리펩티드"로 언급됨) 약 30% (건조 중량기준)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비-B7-폴리펩티드 약 20%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비-B7-폴리펩티드 약 1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비-B7-폴리펩티드 약 5% 미만 을 갖는 B7 폴리펩티드의 제조물을 포함한다. B7 폴리펩티드 또는 이것의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부분이 재조합적으로 생성되는 경우, 배양 배지가 실질적으로 없는 것 즉, 배양 배지가 폴리펩티드 중량기준으로 약 20%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10% 미만,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5% 미만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As used herein, an “isolated polypeptide” or “isolated protein” is a chemical precursor if other polypeptides, proteins, cellular materials and culture media are chemically synthesized when produced from a cell or produced by recombinant DNA techniques. A polypeptide or protein is substantially free of substances or other chemicals. A "isolated" or "purified" polypeptide or a biologically active portion thereof is a chemical precursor or other if the cellular material or other contaminating polypeptide from the tissue member from which the B7 polypeptide is derived is substantially free or chemically synthesized. It means that it is virtually free of chemicals. “Substantially free of cellular material” refers to the preparation of a B7 polypeptide, where the polypeptide is separated from the cellular component of the cell from which it is isolated or recombinantly produced. In one embodiment, the term “substantially free of cellular material” refers to non-B7-polypeptides (herein referred to as “polluting polypeptides”) less than about 30% (dry weight basis), even more preferably non- B7-polypeptides include preparations of B7 polypeptides having less than about 20%, even more preferably less than about 10% non-B7-polypeptide, and most preferably less than about 5% non-B7-polypeptide. When recombinantly produced a B7 polypeptide or biologically active portion thereof, the culture medium is substantially free, that is, the culture medium is less than about 20%, even more preferably less than about 10% by weight of the polypeptide, and Most preferably less than about 5%.
일 구체예에서, 용어 "화학적 전구물질 또는 다른 화학물질이 실질적으로 없는"은 폴리펩티드의 합성중에 포함되는 화학적 전구물질 또는 다른 화학물질로부터 폴리펩티드가 분리된, B7 폴리펩티드의 제조물을 포함한다. 일구체에에서, 용어 "화학적 전구물질 또는 다른 화학물질이 실질적으로 없는"은 화학적 전구물질 또는비-B7 화학물질 약 30% (건조 중량기준) 미만,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화학적 전구물질 또는 비-B7 화학물질 약 20%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화학적 전구물질 또는 비-B7 화학물질 약 1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화학적 전구물질 또는 비-B7 화학물질 약 5% 미만 을 갖는 B7 폴리펩티드의 제조물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term “substantially free of chemical precursors or other chemicals” includes preparations of B7 polypeptides in which the polypeptide is isolated from chemical precursors or other chemicals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the polypeptide. In one embodiment, the term "substantially free of chemical precursors or other chemicals" means less than about 30% (by dry weight) of chemical precursors or non-B7 chemicals, even more preferably chemical precursors or non- Preparation of B7 polypeptide having less than about 20% of B7 chemical, even more preferably less than about 10% of chemical precursor or non-B7 chemical, most preferably less than about 5% of chemical precursor or non-B7 chemical It includes.
B7 핵산 분자 및 폴리펩티드는 "천연발생"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천연발생" 분자는 자연발생하는 누클레오티드 서열을 갖는 B7 분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천연 B7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한다). 또한, 미생물내에서 동일한 기능적 활성 예를 들어, 스트레스 및/또는 독력에 대한 적응성을 조절하는 능력을 보유하는, 이들 폴리펩티드 및 핵산 분자의 자연발생 또는 비자연발생 변이체를 의미한다. 이러한 변이체는 예를 들어, 당업계에 공지된 돌연변이 기술을 사용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변이체는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B7 nucleic acid molecule and polypeptide are "naturally occurring". As used herein, “naturally” molecule means a B7 molecule having a naturally occurring nucleotide sequence (eg, encodes a native B7 polypeptide). It also refers to naturally occurring or non-naturally occurring variants of these polypeptides and nucleic acid molecules that possess the same functional activity in microorganisms, such as the ability to modulate adaptability to stress and / or virulence. Such variants can be prepared, for example, by using mutation techniques known in the art. In addition, variants may be synthesized chemically.
본원에서, "변이체"는 본질적인 특성을 보유하나 기준 핵산 분자 또는 폴리펩티드로부터의 서열과는 다른 핵산 분자 또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변이체의 누클레오티드 서열의 변화는, 기준 핵산 분자에 의해 엔코딩되는 폴리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을 변화시키거나 변화시키지 아니한다. 누클레오티드의 변화는 하기 기술된 바와 같이, 기준 서열에 의해 엔코딩되는 폴리펩티드에서의 아미노산 치환, 부가, 결실, 융합, 및 절단을 가져올 수 있다. 전형적인 폴리펩티드 변이체는 기준 폴리펩티드와 아미노산 서열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차이는 기준 폴리펩티드와 변이체가 전체적으로 매우 유사하고 많은 영역에서 동일한 정도로 제한적된다. 변이체 및 기준 폴리펩티드는 하나 이상의 치환, 부가 및/또는 결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다르게 될 수 있다. 핵산 분자 또는 폴리펩티드의 변이체는 예컨데, 대립형질변이체와 같이 자연발생이거나 자연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지 않은 변이체일 수 있다. 핵산 분자 및 폴리펩티드의 비자연발생 변이체는, 돌연변이 유발기술, 직접 합성, 및 당업자에 공지된 다른 재조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As used herein, “variant” includes nucleic acid molecules or polypeptides that retain essential properties but differ from sequences from a reference nucleic acid molecule or polypeptide. Changing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variant does not or does not change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polypeptide encoded by the reference nucleic acid molecule. Changes in nucleotides can result in amino acid substitutions, additions, deletions, fusions, and truncations in the polypeptide encoded by the reference sequence, as described below. Typical polypeptide variants differ in amino acid sequence from the reference polypeptide. In general, these differences are limited to the extent that the reference polypeptide and the variant are very similar throughout and the same in many regions. Variants and reference polypeptides may be different by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substitutions, additions and / or deletions. Variants of nucleic acid molecules or polypeptides may be variants that are known to occur naturally or naturally, such as, for example, allelic variants. Non-naturally occurring variants of nucleic acid molecules and polypeptides can be prepared by mutagenesis techniques, direct synthesis, and other recombinant method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B7 폴리펩티드는 또한 이것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변이체는 예를 들어,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변이체는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적으로 등가물인 B7 폴리펩티드의 돌연변이 형태 (예를 들어, CTLA4 및/또는 CD28과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돌연변이는 예를 들어, 하나의 치환을 일으킬 수 있는 분리된 점 돌연변이, 또는 하나 이상의 결실 또는 삽입에 의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이 이용될 수 있다. 돌연변이는 또한 무작위 돌연변이 유발에 의해 생성되거나 카세트 돌연변이 유발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분자의 전체 코딩 영역은 수개의 방법 (화학적, PCR, 도핑 올리고누클레오티드 합성)중 어느 하나에 의해 돌연변이 유발되고, 무작위적으로 돌연변이된 분자는 선택 및 스크리닝 공정이 수행된다. 후자의 경우, 정의된 구조적 또는 기능적 결정인자중 하나에 대응하는 폴리펩티드의 분리된 영역은 포화 또는 반-무작위 돌연변이가 수행되고, 이러한 돌연변이된 카세트는 그렇지 않은 경우 야생형인 대립형질의 콘텍스트내로 재도입된다. 일 구체예에서, PCR 돌연변이 유발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가프리머 PCR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문헌: O.H. Landt, Gene 96:125-128).For example, the B7 polypeptides described herein also include equivalents thereof. Such variants can be prepared, for example, by using techniques known in the art. In addition, variants may be synthesized chemically. For example, mutant forms of functionally equivalent B7 polypeptides (eg, having the ability to bind CTLA4 and / or CD28) can be prepared using techniques well known in the art. Mutations can include, for example, isolated point mutations that can result in one substitution, or by one or more deletions or insertions. For example, random mutagenesis can be used. Mutations can also be generated by random mutagenesis or utilize cassette mutagenesis. In the former case, the entire coding region of the molecule is mutagenesis by any of several methods (chemical, PCR, doped oligonucleotide synthesis), and randomly mutated molecules are subjected to selection and screening processes. In the latter case, an isolated region of the polypeptide corresponding to one of the defined structural or functional determinants is subjected to saturation or semi-random mutations and such mutated cassettes are reintroduced into the context of an allele that is otherwise wild-type. . In one embodiment, PCR mutagenesis can be used. For example, megaprimer PCR can be used (O.H. Landt, Gene 96: 125-128).
본원에서, "면역반응의 강화"는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함에 의해 T 및/또는 B 세포 반응 즉, 세포성 및/또는 체액성 면역 반응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제안된 방법은 T 헬퍼 세포 반응을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제안된 방법은 세포독성 T 세포 반응을 강화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일차 및 이차 면역반응 둘 모두를 강화시키기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안된 방법은 미처리한 피험자 또는 청구된 방법을 처리하지 않은 피험자에 의한 면역반응과 비교하는 경우, 피험자에 의한 면역반응을 증가시켰다. 면역반응의 증가는 예를 들어, 제안된 방법으로 처리시에 피험자로부터 항원에 대한 면역세포의 증가된 반응에 의해 제시될 수 있다. 피험자의 면역반응은 생체내 또는 시험관내에서 면역세포 활성화의 측정 예를 들어, 항체의 생성, 면역세포의 증가, 사이토카인의 방출, 세포 표면 마커의 발현, 세포독성 등을 분석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As used herein, "enhancing an immune response" includes increasing T and / or B cell responses, ie cellular and / or humoral immune responses, by treatment using the proposed method. In one embodiment,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enhance the T helper cell response. In other embodiments, the proposed methods can be used to enhance cytotoxic T cell responses. The proposed method can be used to enhance both primary and secondary immune responses. Preferably, the proposed method increased the immune response by the subject when compared to the immune response by the untreated subject or the subject not treated. An increase in the immune response can be presented, for example, by an increased response of immune cells to the antigen from the subject upon treatment with the proposed method. The subject's immune response can be measured by measuring immune cell activation in vivo or in vitro, for example, by analyzing antibody production, increase in immune cells, release of cytokines, expression of cell surface markers, cytotoxicity, and the like. have.
본원에서, "가용성"은 분자 예를 들어, 세포와 관련되지 아니한 공동자극 분자를 포함한다.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는 이들이 유도된 세포-관련 분자의 기능을 보유한다. 즉, 이들은 T 세포상의 이들의 동족 리간드와 결합할 수 있으며, T 세포상의 CD28 및/또는 CTLA4 분자를 통해 시그널 유도를 조절할 수 있으나, 이들은 가용성 형태로서 즉, 막에 결합되어 있지 않다. 바람직하게는, 가용성 조성물은 B7 분자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soluble" includes molecules such as costimulatory molecules not associated with a cell.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retain the function of the cell-related molecules from which they are derived. That is, they can bind their cognate ligands on T cells and can modulate signal induction via CD28 and / or CTLA4 molecules on T cells, but they are in soluble form, ie not bound to the membrane. Preferably, the soluble composition comprises the extracellular domain of the B7 molecule.
본원에서, "공동자극 분자의 세포외 도메인"은 공동자극 분자의 세포-관련 형태로서 세포외인 공동자극 분자의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공동자극 분자의 세포외 도메인은 B7 분자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한다. B7 세포외 도메인은 CD28 및/또는 CTLA4와의 결합을 조절하는 공동자극 분자의 부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람 B7-1 세포외 도메인은 B7-1 (서열번호: 1)의 성숙한 형태의 아미노산 약 1 내지 약 208을 포함하며, 사람 B7-2 세포외 도메인은 B7-2 (서열번호: 2)의 성숙한 형태의 아미노산 약 24 내지 약 245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는 B7 분자의 세포외 도메인 및 추가로 시그널 서열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extradomain domai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includes a port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that is extracellular as a cell-related form of a costimulatory molecule. Preferably, the extracellular domain of the costimulatory molecule comprises the extracellular domain of the B7 molecule. The B7 extracellular domain comprises a port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that regulates binding to CD28 and / or CTLA4. For example, the human B7-1 extracellular domain comprises about 1 to about 208 amino acids of the mature form of B7-1 (SEQ ID NO: 1), and the human B7-2 extracellular domain is B7-2 (SEQ ID NO: About 24 to about 245 amino acids of the mature form of 2). In one embodiment, the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 comprises an extracellular domain of the B7 molecule and additionally a signal sequence.
본원에서, "클래스 I 제한 항원"은 주요조직적합성 복합체 (MHC) 클래스 I 그루브와 결합하고 MHC 클래스 I 분자의 콘텍스트내에서 T 세포로 전달되는 항원을 포함한다. 클래스 I 제한 항원은 주로 CD8+ T 세포를 자극한다. 본원에서, "클래스 Ⅱ 제한 항원"은 주요조직적합성 복합체 (MHC) 클래스 Ⅱ 그루브와 결합하고 MHC 클래스 Ⅱ 분자의 콘텍스트내에서 T 세포로 전달되는 항원을 포함한다. 클래스 Ⅱ 제한 항원은 주로 CD4+ T 세포를 자극한다.As used herein, “class I restriction antigen” includes antigens that bind to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class I grooves and are delivered to T cells within the context of MHC class I molecules. Class I restriction antigens primarily stimulate CD8 + T cells. As used herein, "class II restriction antigen" includes antigens that bind to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class II grooves and are delivered to T cells within the context of MHC class II molecules. Class II restriction antigens primarily stimulate CD4 + T cells.
본원에서, "보조제"는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강화시키는 항원을 포함한다. 보조제는 공동자극 분자와 결합 투여되어 항원반응을 보다 더 증대시킬 수 있다.As used herein, "adjuvant" includes antigens that enhance an immune response to an antigen. Adjuvants can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costimulatory molecules to further enhance antigen response.
본원에서, "단일특이성"은 단지 하나의 특이성만을 갖는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이들의 동족 리간드 예를 들어, T 세포상의 CD28 또는 CTLA4와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이러한 단일 특이성 제제는 추가의 특이성을 포함하도록 조작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다른 세포 표면 분자와 표적화된 방법으로 결합하지 않는다. 본원에서, "올리고특이성"은 하나 이상의 특이성 예를 들어, B7 리간드 이외의 분자에 대한 특이성 예를 들어, 세포표면 분자 예컨데, 종양세포항원또는 T 세포 수용체에 대한 특이성을 갖는 공동자극 분자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2가"는 하나의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에 대해, 이들의 동족 리간드 예를 들어, CD28 및/또는 CTLA4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두개의 결합 부위를 가지는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이량체"는 동종이량체 즉, 예를 들어 이황화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된 두개의 동일한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존재하는 가용성 형태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다량체"는 두개 이상의 서브유닛을 갖는 가용성 형태를 포함한다.As used herein, “monospecificity” includes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having only one specificity, which specifically binds to their cognate ligands such as CD28 or CTLA4 on T cells. Such monospecific agents have not been engineered to include additional specificity and therefore do not bind with other cell surface molecules in a targeted manner. As used herein, “oligospecificity” includes costimulatory molecules having one or more specificities, eg, specificity for molecules other than B7 ligands, eg, cell surface molecules such as tumor cell antigens or specificity for T cell receptors. . As used herein, “bivalent” includes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having two binding sites for interacting with their cognate ligands, eg, CD28 and / or CTLA4, for one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 As used herein, "dimer" includes soluble forms that exist as homodimers, ie, one unit comprising two identical subunits joined together by, for example, disulfide bonds. As used herein, "multimer" includes soluble forms having two or more subunits.
Ⅱ.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II.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B7 항원은 프로페셔널 항원발현세포 (예를 들어, 모노사이트, 수지상 세포, 랑게르한스 세포)인 B 림프구 및 면역세포에 항원을 제공하는 세포 (예를 들어, 각질세포, 내피세포, 성상세포, 섬유모세포, 히소돌기아교세포)의 표면에서 발견되는 공동자극 분자 계열이다. 이들 공동자극 분자는 T 세포상의 CTLA4, CD28, 및/또는 ICOS와 결합하거나, 면역세포상의 다른 공지이거나 아직 확인되지 아니한 수용체와 결합한다. 이러한 계열의 공동자극 분자의 구성원은 활성화된 T 세포에 공동자극을 제공함에 의해 T 세포 증대 및/또는 사이토카인 분비를 유도한다.B7 antigens are B lymphocytes that are professional antigen expressing cells (e.g., monosite, dendritic cells, Langerhans cells) and cells providing antigens to immune cells (e.g. keratinocytes, endothelial cells, astrocytes, fibroblasts, Is a family of costimulatory molecules found on the surface of histoliocytes. These costimulatory molecules bind CTLA4, CD28, and / or ICOS on T cells or other known or not yet identified receptors on immune cells. Members of this class of costimulatory molecules induce T cell expansion and / or cytokine secretion by providing costimulation to activated T cells.
B7 분자에 대한 정제기술은 설립되어 있으며, 또한 B7 유전자 (cDNA)가 사람 및 마우스를 포함하는 다수의 종으로부터 클로닝되었다 (참고문헌: 예를 들어, Freeman, G.J. et al. (1993) Science 262: 909-911; Azuma, M. et al. (1993) Nature 366:76-79; Freeman, G. J. et al. (1993) J. Exp. Med. 178:2185-2192).Purification techniques for B7 molecules have been established and also the B7 gene (cDNA) has been cloned from a number of species including humans and mice (see, eg, Freeman, GJ et al. (1993) Science 262: 909-911; Azuma, M. et al. (1993) Nature 366: 76-79; Freeman, GJ et al. (1993) J. Exp. Med. 178: 2185-2192).
공동자극 분자의 누클레오티드는 당업계에 공지이며 문헌 또는 진뱅크(GenBank)와 같은 데이타베이스에서 발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7-2 (참고문헌: Freeman et al. 1993 Science. 262:9090 or GeneBank Accession numbers P42081 or A48754); B7-1 (참고문헌: Freeman et al. J. Exp. Med. 1991. 174:625 or GeneBank Accession numbers P33681 or A45803); CTLA4 (참고문헌: 예를 들어, Ginsberg et al. 1985. Science. 228:1401; or GenBank Accession numbers P16410 or 291929); 및 CD28 (참고문헌: Aruffo and Seed. Proc Natl. Acad. Sci. 84:8573or Genbank Accession number 180091), ICOS (참고문헌: Hutloff et al. 1991. Nature. 397:263; WO 98/38216), 및 관련 서열들을 발견할 수 있다.The nucleotides of the costimulatory molecules are known in the art and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 or in a database such as GenBank. For example, B7-2 (Ref. Freeman et al. 1993 Science. 262: 9090 or GeneBank Accession numbers P42081 or A48754); B7-1 (Ref. Freeman et al. J. Exp. Med. 1991. 174: 625 or GeneBank Accession numbers P33681 or A45803); CTLA4 (see, eg, Ginsberg et al. 1985. Science. 228: 1401; or GenBank Accession numbers P16410 or 291929); And CD28 (Aruffo and Seed. Proc Natl. Acad. Sci. 84: 8573or Genbank Accession number 180091), ICOS (Hultoff et al. 1991. Nature. 397: 263; WO 98/38216), and Related sequences can be found.
공동자극 분자의 자연발생 형태에 부가하여, 용어 "공동자극 분자"는 또한 공동자극 분자의 기능 예를 들어, 동종 카운터 수용체와 결합하는 능력을 보유하는 공동자극 분자의 비자연발생 형태 예를 들어, 변이체 또는 돌연변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공동작극성 분자 유전자와 하이브리다이징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5 X SSC (1 X SSC = 150 mM NaCl/0.15 M Na 시트레이트)내의 65℃와 대등한 조건하에서), B7 분자를 엔코딩하는 DNA와 하이브리다이징할 수 있는 DNA 서열은 항B7 항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공동자극 분자의 기능 예를 들어, 다른 공동자극 분자와의 결합에 중요한 단백질 도메인을 엔코딩하는 핵산 분자의 영역에 대한 서열 동일성을 보유하는 DNA 서열이, 면역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공동자극 단백질을 생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공동자극 분자는, 자연발생의 공동작극성 분자 세포외 도메인의 아미노산 서열과 상당한 아미노산 동일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70%초과, 바람직하게는 80% 초과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0-95%).In addition to the naturally occurring form of the costimulatory molecule, the term “costimulatory molecule” also refers to a non-naturally occurring form of a costimulatory molecule that retains the function of the costimulatory molecule, eg, the ability to bind homologous counter receptors Variants or mutant forms. For example, conditions comparable to 65 ° C. in 5 × SSC (1 × SSC = 150 mM NaCl / 0.15 M Na citrate) under conditions that avoid hybridization with non-operating polar genes. Below), DNA sequences capable of hybridizing with DNA encoding B7 molecules can be used to prepare anti-B7 antibodies. In addition, a DNA sequence that retains sequence identity to a region of a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the functio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e.g., a protein domain important for binding to another costimulatory molecule, may be used as an immunogen. Can be used to produce. Preferably, the non-naturally occurring costimulatory molecule has significant amino acid identity with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naturally occurring costimulatory molecule extracellular domain (eg, greater than 70%, preferably greater than 80% and more More preferably 90-95%).
공동자극 분자와 이것의 카운터 수용체의 결합에 있어 중요한 것으로 보이는 공동자극 분자의 아미노산 잔기를 결정하기 위해, 다른 종 예를 들어, 마우스 및 사람의 공동자극 분자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는 아미노산 서열이 정렬될 수 있으며 보존된 (예를 들어, 동일한) 잔기가 주목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임의의 표준 정렬 프로그램 예컨데, Meg-Align (DNA STAR)를 사용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렬 프로그램은 하기에 보다 더 상세히 기술된다. 이와 같이 보존되거나 동일한 잔기는 공동자극 분자가 이들의 수용체에 결합하는데 필수적인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변경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To determine the amino acid residues of a costimulatory molecule that appear to be important for binding the costimulatory molecule and its counter receptor, the amino acid sequence comprising the extracellular domains of the co-stimulatory molecules of other species, eg, mouse and human, is aligned. And conserved (eg, identical) residues can be noted. This can be done, for example, by using any standard alignment program such as Meg-Align (DNA STAR). Such an alignment program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Such conserved or identical residues appear to be essential for the costimulatory molecules to bind to their receptors and therefore do not appear to be altered.
예를 들어, CD28 및 CTLA4와의 기능적 상호작용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B7-1 분자의 영역이 돌연변이에 의해 확인되었다. Y87 잔기를 포함하고, 모든 B7-1 및 B7-2 분자중에 보존된 B7-1의 V형 도메인 내의 2개의 소수성 잔기가 매우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참고문헌: Fargeas et al. 1995. J. Exp. Med. 182:667). 이들 또는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여, 매우 중요하고 따라서 변경될 수 없는 공동자극 분자의 세포외 도메인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정될 수 있다.For example, regions of the B7-1 molecule important for regulating functional interactions with CD28 and CTLA4 have been identified by mutations. Two hydrophobic residues in the V-type domain of B7-1, including Y87 residues and conserved among all B7-1 and B7-2 molecules, have been found to be very important (Refer to Fargeas et al. 1995. J. Exp. Ed. 182: 667). Using these or similar techniques, amino acid residues in the extracellular domain of the costimulatory molecule that are very important and therefore cannot be altered can be determined.
B7 cDNA 분자를 사용하면서, B7 활성을 갖는 펩티드는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펩티드를 발현하도록 트랜스펙션된 숙주 세포는 임의의 원핵세포 또는 진핵세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B7 활성을 가지는 펩티드가 세균세포 예컨데, 대장균(E. coli), 곤충 세포 (바쿨로바이러스), 효모, 또는 포유동물세포 예컨데, 중국 햄스터 난소 세포 (CHO) 및 NS0 세포 내에서 발현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숙주 세포 및 발현 벡터가 상기 참고문헌 (Goeddel, 1990)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 공지이다.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재(S. cerivisae)에서의 발현 벡터의 예로는 pYepSec1 (참고문헌: Baldari. et al., (1987) Embo J. 6:229-234), pMFa (Kurjan and Herskowitz, (1982) Cell 30:933-943), pJRY88 (참고문헌: Schultz et al., (1987) Gene 54:113-123), 및 pYES2 (참고문헌: Invitrogen Corporation, San Diego, CA)가 포함된다. 배양된 곤충 세포에서의 단백질 발현에 이용될 수 있는 바쿨로바이러스 벡터 (SF 9Cells)는 pAc 계열 (참고문헌: Smith et al., (1983) Mol. Cell Biol. 3:2156-2165) 및 pVL 계열 (참고문헌: Lucklow, V.A., and Summers, M.D., (1989) Virology 170:31-39)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COS 세포 (Gluzman, Y., (1981) Cell 23:175-182)가 벡터 예컨데, 일시적 증폭/발현을 위한 pCDM8 (Seed, B., (1987) Nature 329:840)와 함께 결합되어 사용되는 반면에, CHO 세포 (dhfr- Chinese Hamster Overy)는 벡터 예컨데, 포유동물 세포에서 안정적인 증폭/발현을 위한 pMT2PC (참고문헌: Kaufman et al. (1987), EMBO J. 6:187-195)와 함게 이용될 수 있다.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에 적합한 바람직한 세포주는 ECACC (목록 #85110503)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NS0 골수종 세포주이며, 문헌 (Galfre, G. 및 Milstein, C. ((1981) Methods in Enzymology 73(13):3-46; and Prepar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Strategies and Procedures, Academic Press, N.Y., N.Y)에 기술되어 있다. 벡터 DNA는 공지의 기술 예를 들어, 인산칼슘 또는 염화칼슘 공동-침전법, DEAE-덱스트란-매개 트랜스펙션, 리포펙틴, 또는 엘렉트로포레이션을 통해 포유동물 세포내로 도입될 수 있다. 숙주세포의 형질전환에 적합한 방법은 문헌(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ition,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89), 및 다른 실험 교재에서 발견될 수 있다. 포유동물 세포가 사용되는 경우, 발현 벡터의 조절 기능은 종종 바이러스 물질에 의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통상 사용되는 프로모터는 폴리오마, 아데노바이러스 2,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로 부터 유도되며, 가장 흔하게는 원숭이 바이러스 40 (SV40)으로부터 유도된다.Using B7 cDNA molecules, peptides with B7 activity can be generated using standard techniques. The host cell transfected to express the peptide can be any prokaryotic or eukaryotic cell. For example, peptides with B7 activity are expressed in bacterial cells such as E. coli , insect cells (baculovirus), yeast, or mammalian cells such as Chinese hamster ovary cells (CHO) and NS0 cells. Can be. Other suitable host cells and expression vectors can be found in this reference (Goeddel, 1990), which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Examples of the expression vector in Saccharomyces as MY process serenity non - (S. cerivisae) are pYepSec1 (reference:.. Baldari et al, ( 1987) Embo J. 6: 229-234), pMFa (Kurjan and Herskowitz, (1982 ) Cell 30: 933-943), pJRY88 (Schultz et al., (1987) Gene 54: 113-123), and pYES2 (Invitrogen Corporation, San Diego, Calif.). Baculovirus vectors (SF 9Cells) that can be used for protein expression in cultured insect cells are pAc family (Ref .: Smith et al., (1983) Mol. Cell Biol. 3: 2156-2165) and pVL family (Lucklow, VA, and Summers, MD, (1989) Virology 170: 31-39). In general, COS cells (Gluzman, Y., (1981) Cell 23: 175-182) are combined with a vector such as pCDM8 (Seed, B., (1987) Nature 329: 840) for transient amplification / expression. While used, CHO cells (dhfr-Chinese Hamster Overy) are vectors such as pMT2PC for stable amplification / expression in mammalian cells (Kaufman et al. (1987), EMBO J. 6: 187-195). It can be used with. Preferred cell lines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recombinant proteins are NS0 myeloma cell lines available from ECACC (List # 85110503) and described in Galfre, G. and Milstein, C. ((1981) Methods in Enzymology 73 (13): 3- 46; and Prepar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Strategies and Procedures, Academic Press, NY, NY.Vector DNA is known techniques such as calcium phosphate or calcium chloride co-precipitation, DEAE-dextran-mediated trans It can be introduced into mammalian cells via speculation, lipofectin, or electroporation Methods suitable for transformation of host cells can be found in 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ition,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89), and in other experimental texts, when mammalian cells are used, the regulatory function of the expression vector is often provided by viral material. Rio e, Adenovirus 2, is derived from cytomegalovirus and is derived from the most common is the monkey virus 40 (SV40).
B7 활성을 갖는 펩티드가 포유동물세포 내에서 발현되거나, 황산암모늄 침전, 분획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이온 교환, 겔 여과, 전기영동, 친화 크로마토그래피 등) 및 종국적인 결정화 (참고문헌: "Enzyme Purification and Related Techniques", Methods in Enzymology, 22:233-577(1971)를 포함하는 당업계의 표준 방법에 따라 정제될 수 있다.Peptides with B7 activity are expressed in mammalian cells, or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fractional column chromatography (eg, ion exchange, gel filtration, electrophoresis, affinity chromatography, etc.) and final crystallization (reference: " Enzyme Purification and Related Techniques ", Methods in Enzymology, 22: 233-577 (1971).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가용성 B7 분자를 제조하기 위한 B7 분자가 임의의 포유동물 종 및 바람직하게는 사람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수개의 기원으로부터의 B7 분자의 누클레오티드 서열은 당업계에 공지이다. 사람 B7-1 (CD80)의 완전한 DNA 서열은 진뱅크 번호 제 M27533호를 가지며, 문헌 (Freeman et al. in 1989 in J. Immunol. 143:2714)에 개시되어 있다. 사람 B7-2의 완전한 cDNA 서열은 진뱅크 번호 제 L25259호를 가지며 문헌 (Freeman et al. in Science in 1993. 262;9090 또는 Azuma et al. Nature. 1993. 366;76)에 개시되어 있다. B7-1 및 B7-2 둘 모두의 서열에 대해서는 WO 96/40915를 참고할 수 있다. 사람 B7-1 및 사람 B7-2의 누클레오티드 서열은 또한 서열번호: 1 및 2 (B7-1) 및 서열번호: 3 및 4 (B7-2)에 기술된다. 또한, 이러한 서열은 공지의 예를 들어, 사람 B7 서열에 대해 하이브리다이징되는 서열의 능력에 기초한 목적하는 기원으로부터 B7 핵산 분자를 단리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7 분자는 높거나 낮은 엄격한 조건하에서 이들이 B7 활성을 갖는 펩티드를 엔코딩하는 공지의 핵산 분자와 하이브리다이징하는 능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DNA 하이브리다이징을 촉진하는 적합한 엄격한 조건 예를 들어, 약 40℃에서 6.0 x 염화나트륨/시트르산 나트륨 (SSC) 및 후속하여 50℃에서 2.0 x SSC는 당업자에게 공지이며 문헌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N.Y. (1989), 6.3.1-6.3.6)에서 발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 단계에서의 염 농도는 50℃하 약 2.0 x SSC의 낮은 엄격한 조건으로부터 50℃하 약 0.2 x SSC의 높은 엄격한 조건까지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세척 단계에서의 온또는 낮은 엄격한 조건의 실온, 약 22℃에서부터 높은 엄격한 조건의 약 65℃까지 증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B7 분자는 사람 B7 분자이다.B7 molecules for preparing soluble B7 molecules for use in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can be derived from any mammalian species and preferably humans. The nucleotide sequence of B7 molecules from several sources is known in the art. The complete DNA sequence of human B7-1 (CD80) has GenBank No. M27533 and is disclosed in Freeman et al. In 1989 in J. Immunol. 143: 2714. The complete cDNA sequence of human B7-2 has GenBank No. L25259 and is disclosed in Freeman et al. In Science in 1993. 262; 9090 or Azuma et al. Nature. 1993. 366; 76. See WO 96/40915 for the sequences of both B7-1 and B7-2. The nucleotide sequences of human B7-1 and human B7-2 are also described in SEQ ID NOs: 1 and 2 (B7-1) and SEQ ID NOs: 3 and 4 (B7-2). In addition, such sequences can be measured by isolating B7 nucleic acid molecules from known origin based on the ability of the sequence to be known, for example, to human B7 sequences. For example, B7 molecules can be determined by their ability to hybridize with known nucleic acid molecules that encode peptides having B7 activity under high or low stringent conditions. Suitable stringent conditions that promote DNA hybridization, for example, 6.0 x sodium chloride / sodium citrate (SSC) at about 40 ° C. and subsequently 2.0 × SSC at 50 ° C.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re described in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NY (1989), 6.3.1-6.3.6). For example, the salt concentration in the washing step can be selected from low stringent conditions of about 2.0 x SSC at 50 ° C to high stringent conditions of about 0.2 x SSC at 50 ° C. It may also be increased from room temperature at about 22 ° C. at high or low stringent conditions to about 65 ° C. at high stringent conditions in the washing step.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7 molecule is a human B7 molecule.
일 구체예에서,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는 자연발생의 B7-1 또는 B7-2 분자로부터 유도된다. 본원에 기술된 것으로서, B7 분자 활성을 가지며, 유전자 코드의 변성으로 인하여 자연발생 B7 분자와는 다른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가 가용성 형태로서 발현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이와 같은 핵산은 B7과 기능적으로 등가 (예를 들어, B7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이나 당업계에 공지된 B7-1 또는 B7-2의 서열과는 다른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한다. 예를 들어, 수개의 아미노산이 하나 이상의 트리플렛에 의해 고안된다. 동일한 아미노산을 특성화하는 코돈, 또는 시노님 (예를 들어, CAU 및 CAC는 히스티딘의 시노님이다)이 유전자 코드중내의 변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서, B7 분자의 누클레오티드 서열내의 DNA 서열 다형성 (특히, 코돈의 제 3 염기내에서)은 엔코딩된 아미노산에 영향을 주지 않는 "사일런트" 돌연변이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B7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내의 변화를 유도하는 DNA 서열 다형성은 모집단 중에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규한 B 림프구 항원의 활성을 갖는 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핵산의 하나 이상의 누클레오티드에서의 이들 변이 (누클레오티드의 약 3-4% 이하)가 자연 대립형질 변이로 인하여 모집단내의 개체중에 존재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누클레오티드 변이 및 결과의 아미노산 다형성은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이들은 하나 이상의 이소포옴 (isoform) 또는 관련된 교차반응 B7 분자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 is derived from naturally occurring B7-1 or B7-2 molecules. As described herein, polypeptides having B7 molecular activity and having a sequence different from naturally occurring B7 molecules due to denaturation of the genetic code can be expressed as soluble forms, which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nucleic acids encode polypeptides that are functionally equivalent to B7 (eg, polypeptides having B7 activity) or that differ from the sequences of B7-1 or B7-2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several amino acids are designed by one or more triplets. Codons that characterize the same amino acid, or synonyms (eg, CAU and CAC are synonyms of histidine) can be caused by denaturation in the genetic code. As an example, DNA sequence polymorphism (particularly within the third base of the codon) in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B7 molecule can result in a "silent" mutation that does not affect the encoded amino acid. However, DNA sequence polymorphisms that induce changes in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B7 antigen are expected to be present in the popul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predict that these variants (up to about 3-4% of nucleotides) in one or more nucleotides of a nucleic acid encoding peptides having novel B lymphocyte antigen activity may be present in individuals within the population due to natural allelic variations. Can be. Such nucleotide variations and resulting amino acid polymorphis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y may be one or more isoforms or related cross-reactive B7 molecules.
자연발생 대립형질 변이체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B7 분자는 당업계에 알려진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는, B7 공동자극 분자의 기능을 보유하는 즉, 기능적으로 동일한 B7-1 또는 B7-2의 변형된 형태이다. B 림프구 항원의 DNA 서열은 유전자 기술에 의해 변경된 아미노산 서열을 지닌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를 생산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서열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여기서 발현된 폴리펩티드는 CTLA4 및/또는 CD28과 결합할 수 있으며, T 세포 매개 면역 반응 및 면역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o naturally occurring allelic variants, B7 molecule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using techniques known in the art. In another embodiment, the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 is a modified form of B7-1 or B7-2 that retains the function of the B7 costimulatory molecule, ie, is functionally identical. The DNA sequence of the B lymphocyte antigen can be modified to produce a protein or poly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altered by genetic techniques. Such sequences ar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expressed polypeptides can bind CTLA4 and / or CD28 and modulate T cell mediated immune responses and immune functions.
예를 들어, 일 구체예에서, 돌연변이가 단순한 결실 또는 삽입, 전체적 결실, 염기 클러스터의 삽입 또는 치환 또는 단일 염기의 치환을 생성시키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는 수개의 방법중의 임의의 하나에 의해 B 림프구 항원 DNA의 변이체 또는 변형된 등가물을 생산하도록 DNA 분자중에 도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7-1 또는 B7-2 cDNA 서열내의 변화 예컨데, 아미노산 치환 또는 결실이 바람직하게는 사이트-디렉티드 돌연변이 유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사이트 디렉티드 돌연변이 유발 시스템은 당업계에 공지이다. 프로토콜 및 시약은 아머샴 인터내셔날 피엘시 (Amersham International PLC, Amersham, U.K.)에 의해 시판된다.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B lymphocytes by any one of several methods, wherein the mutation comprises a simple deletion or insertion, a global deletion, an insertion or substitution of a base cluster or a substitution of a single base. 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DNA molecule to produce variants or modified equivalents of the antigenic DNA. For example, changes in B7-1 or B7-2 cDNA sequences, such as amino acid substitutions or deletions, can preferably be obtained by site-directed mutagenesis. Site directed mutagenesis systems are known in the art. Protocols and reagents are commercially available from Amersham International PLC, Amersham, U.K.
B7 활성 즉, B7 분자의 천연 리간드와 결합는 능력 및 예를 들어, 사이토카인 생산 및/또는 일차 활성화 시스널을 수용한 T 세포에 의한 T 세포의 증대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은 T 세포 매개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능력을 갖는 변형된 폴리펩티드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B7 activity, ie binding to the natural ligand of the B7 molecule, is responsible for the T cell mediated immune response, as evidenced by its ability and augmentation of T cells by, for example, T cells that receive cytokine production and / or primary activation signals. Modified polypeptides with the ability to modulate ar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7 분자의 활성을 갖는 펩티드의 변형의 다른 예는, 이황화 결합을 통한 이량체화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시스테인 잔기를 바람직하게는 알라닌, 세린, 트레오닌, 루이신 또는 글루탐산 잔기와 치환시키는 것이다. 또한, B7 활성을 갖는 아미노산 측쇄가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다른 변형은 펩티드의 고리화이다.Another example of modification of a peptide having the activity of a B7 molecule is to replace the cysteine residues with preferably alanine, serine, threonine, leucine or glutamic acid residues to minimize dimerization via disulfide bonds. In addition, amino acid side chains having B7 activity may be chemically modified. Another modification is the cyclization of the peptide.
안정성 및/또는 반응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B7 활성을 지닌 폴리펩티드가 임의의 자연 대립형질 변이로부터 초래되는 항원의 아미노산 서열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형성을 통합시키도록 변형될 수 있다. 또한, D-아미노산, 비천연아미노산, 또는 비아미노산 유사체가,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변형된 단백질을 생성시킬 수 있도록 치환되거나 부가될 수 있다. 또한, 펩티드는 A. Sehon 및 공동연구자 (상기 Wieet al.)의 방법에 따라 PEG와 컨쥬게이션된 펩티드를 생성시키도록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을 사용하여 변형될 수 있다. 또한, PEG는 펩티드의 화학합성중에 첨가될 수 있다. 펩티드의 다른 변형은 환원/알킬화 (참고문헌: Tarr in: Methods of Protein Microcharacterization, J. E. Silver ed., Humana Press, Clifton NJ 155-194 (1986)); 아실화 (상기 Tarr); 적합한 담체와의 화학결합 (참고문헌: Mishell and Shiigi, eds, Selected Methods in Cellular Immunology, WH Freeman, San Francisco, CA (1980), U.S. Patent 4,939,239; 또는 온화한 포르말린 처리 (참고문헌: Marsh (1971), Int. Arch. of Allergy and Appl. Immunol. 41:199-215).To increase stability and / or reactivity, polypeptides with B7 activity can be modified to incorporate one or more polymorphisms in the amino acid sequence of an antigen resulting from any natural allelic variation. In addition, D-amino acids, non-natural amino acids, or non-amino acid analogs may be substituted or added to produce modified protei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eptides can also be modified using polyethylene glycol (PEG) to produce peptides conjugated with PEG according to the methods of A. Sehon and co-workers (Weet et al., Supra). PEG can also be added during chemical synthesis of the peptide. Other modifications of the peptide include reduction / alkylation (Tarr in: Methods of Protein Microcharacterization, J. E. Silver ed., Humana Press, Clifton NJ 155-194 (1986)); Acylation (Tarr); Chemical bonds with a suitable carrier (Mishell and Shiigi, eds, Selected Methods in Cellular Immunology, WH Freeman, San Francisco, CA (1980), US Patent 4,939,239; or mild formalin treatment (Marsh (1971), Int.Arch. Of Allergy and Appl.Imunmun. 41: 199-215).
바람직한 B7 폴리펩티드는 B7 활성 및 자연 발생 B7 아미노산과 약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상의 동일성을 갖는다. B7 활성 및 자연 발생 B7 아미노산과 약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95% 이상, 및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98-99% 이상의 동일성을 가지는 폴리펩티드가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주어진 위치에서의 아미노산 "동일성"은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이 정렬되는 경우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아미노산을 갖는 두개의 펩티드를 언급한다. 비교된 서열내의 어느 위치가 동일한 아미노산에 의해 점유되는 경우, 분자는 그 위치에서 동일성이 있다. 서열의 동일성의 정도 (또는 백분율)는 서열들에 의해 합치되거나 동일한 위치의 수의 함수이다.Preferred B7 polypeptides have at least about 60%, preferably at least about 70%,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about 80% identity with B7 activity and naturally occurring B7 amino acids. Polypeptides having at least about 90, preferably at least about 95%, and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about 98-99% identity to B7 activity and naturally occurring B7 amino acid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mino acid “identity” at a given position refers to two peptides having the same amino aci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when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peptide is aligned. If any position in the compared sequences is occupied by the same amino acid, the molecules are identical at that position. The degree (or percentage) of identity of a sequence is a function of the number of positions matched or identical by the sequences.
당업자는 생물학적으로 유의할만한 정렬을 제공하기 위해 두개의 아미노산을 손쉽게 정렬시킬 수 있다. 서열의 비교 및 두개의 서열간의 백분율 동일성의 측정은 수학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두개의아미노산 서열간의 백분율 동일성은, 블로솜 62 매트릭스 또는 PAM250 매트릭스를 사용하는 GCG 소프트웨어 패키지 (http://www.gcg.com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내의 GAP 프로그램으로 통합된 니들맨 (Needleman) 및 분쉬 (Wunsch) 알고리즘, 및 16, 14, 12, 10, 8, 6, 5 또는 4의 갭 웨이트 및 1, 2, 3, 4, 5 또는 6의 길이 웨이트를 사용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두개의 아미노산 또는 누클레오티드 사이의 백분율 동일성은 ALIGN 프로그램 (버젼 2.0)에 통합된 이. 메이어 (E. Meyers) 및 더블유. 밀러 (W. Miller) (CABIOS, 4:11-17(1989))의 알고리즘을 사용함에 의해, PAM120 웨이트 잔기 테이블, 12의 갭 길이 페널티 및 4의 갭 페널티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On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align two amino acids to provide a biologically significant alignment. Comparison of sequences and determination of percent identity between two sequences can be achieved by using mathematical algorithms. In one embodiment, the percent identity between the two amino acid sequences is a needle incorporated into the GAP program in the GCG software package (available from http://www.gcg.com) using the Blowsome 62 matrix or the PAM250 matrix. Measured by using Needleman and Bunsch algorithms, and gap weights of 16, 14, 12, 10, 8, 6, 5 or 4 and length weights of 1, 2, 3, 4, 5 or 6 Can be. In another embodiment, the percent identity between two amino acids or nucleotides is incorporated in the ALIGN program (version 2.0). E. Meyers and W. By using the algorithm of W. Miller (CABIOS, 4: 11-17 (1989)), it can be measured using a PAM120 weight residue table, a gap length penalty of 12 and a gap penalty of 4.
본 발명의 핵산 및 단백질 서열은 예를 들어, 다른 계열의 구성원 또는 관련 서열을 확인하기 위해 공지의 데이타베이스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탐색 서열"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검색은 문헌 (Altscul, et al. (1990) J. Mol. Biol. 215:403-10)의 NBLAST 및 XBLAST 프로그램 (버젼 2.0)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BLAST 누클레오티드 검색은, 본 발명의 핵산 분자에 대해 상동인 핵산 서열을 수득하기 위해 NBLAST 프로그램, 스코어 = 100, 단어길이 = 12로 수행될 수 있다. BLAST 단백질 검색은, 본 발명의 B7 단백질 분자와 상동인 아미노산 서열을 수득하기 위해 XBLAST 프로그램, 스코어 = 50, 단어길이 = 3로 수행될 수 있다. 비교할 목적으로 갭이 있는 정렬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갭 BLAST가 문헌 (Altschul et al., (1997) Nucleic Acids Res. 25(17):3389-3402)에 기술된 바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BLAST 및 갭 BLAST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경우, 각 프로그램 (예를 들어,XBLAST 및 NBLAST)의 디폴트된 변수가 사용될 수 있다 (참고 인터넷사이트 주소: http://www.ncbi.nlm.nih.gov).Nucleic acid and protein sequences of the invention can be used, for example, as "search sequences" to perform searches against known databases to identify members or related sequences of other families. This search can be performed using the NBLAST and XBLAST programs (version 2.0) of Altscul, et al. (1990) J. Mol. Biol. 215: 403-10. BLAST nucleotide searches can be performed with the NBLAST program, score = 100, wordlength = 12 to obtain nucleic acid sequences homologous to the nucleic acid molecules of the invention. BLAST protein searches can be performed with the XBLAST program, score = 50, wordlength = 3, to obtain amino acid sequences homologous to the B7 protein molecules of the invention. To obtain a gapped alignment for comparison purposes, the gap BLAST can be used as described in Altschul et al., (1997) Nucleic Acids Res. 25 (17): 3389-3402. When using the BLAST and GAP BLAST programs, default variables of each program (eg XBLAST and NBLAST) can be used (reference website address: http://www.ncbi.nlm.nih.gov).
"B7 분자의 세포외 도메인의 일부 이상"은, B7의 세포외 도메인 서열 전부 또는 활성(즉, 면역세포상의 B7의 천연 리간드와의 결합력 예컨데, T 세포상의 CTLA4 및/또는 CD28과의 결합)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이것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B7 활성을 갖는 펩티드는 CTLA4 및/또는 CD28을 결합하고, T 세포 매개 면역반응을 예를 들어, 이들의 리간드와 결합하거나 실시예에 제시된 바와 같이 일차 활성화 시그널을 수용한 T 세포에 의한 사이토카인의 생성 및/또는 증대를 유도함에 의해 입증되는 바와 같이 조절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B7 분자의 세포외 도메인의 일부 이상"은 CTLA4 및/또는 CD28과 결합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사람 B7 항원의 세포외 부분의 전체 (예를 들어, 대략 B7-1의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1-208 또는 대략 B7-2의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 24-245)를 포함하는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At least a portion of the extracellular domain of the B7 molecule” refers to the entirety or activity of the extracellular domain sequence of B7 (ie binding to a native ligand of B7 on immune cells, eg binding to CTLA4 and / or CD28 on T cells). It is defined to include a portion of it that encodes a polypeptide having. Peptides with B7 activity bind CTLA4 and / or CD28 and bind T cell mediated immune responses to, eg, cytokines by T cells that bind their ligands or receive primary activation signals as shown in the Examples. Adjust as evidenced by inducing production and / or augmentation. In a preferred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racellular domain of the B7 molecule” is the entirety of the extracellular portion of the human B7 antigen that can be used to bind CTLA4 and / or CD28 (eg, approximately of the sequence of B7-1 Polypeptides comprising amino acid residues 1-208 or amino acid residues 24-245 of the sequence of approximately B7-2.
단지 자연발생 아미노산만을 포함하는 B7 폴리펩티드에 부가하여, B7 펩티도미메틱스가 또한 제공된다. 약품업계에서는 펩티드 유사체가 주형 펩티드의 특성과 유사한 특성을 지닌 비펩티드 약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비펩티드 화합물의 이러한 유형은 "펩티드 미메틱스" 또는 "펩티도미메틱스"로서 명명되며 (참고문헌: 본원에 참고로서 통합된 것으로서, Fauchere, J. (1986) Adv. Drug Res. 15:29; Veber and Fridinger (1985) TINS p.392; and Evans et al. (1987) J. Med. Chem 30: 1229), 대개 컴퓨터를 이용한 분자 모델링의 도움으로 개발되었다.In addition to B7 polypeptides comprising only naturally occurring amino acids, B7 peptidomimetics are also provided. Peptide analogs are commonly used in the pharmaceutical industry as non-peptide drugs with properties similar to those of the template peptide. This type of non-peptide compound is termed "peptide mimetics" or "peptidomimetics" (referenc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Fauchere, J. (1986) Adv. Drug Res. 15:29 Veber and Fridinger (1985) TINS p. 392; and Evans et al. (1987) J. Med. Chem 30: 1229), usually developed with the aid of computer-based molecular modeling.
치료적으로 유용한 펩티드와 유사한 구조인 펩티드 미메틱스가 등가의 치료적 또는 예방적 효과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펩티도미메틱스는 패러다임 폴리펩티드 (즉, 생물학적 또는 약물학적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 예컨데, B7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CH2NH-, CH2S-, -CH2-CH2-, -CH=CH- (시스 및 트랜스), -COCH2-, -CH(OH)CH2-, 및 -CH2S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결합에 의해 임의 치환된 하나 이상의 펩티드 결합을 기지며, 각각이 본원에 참고로서 통합된 문헌 (Spatola, A.F. in "Chemistry and Biochemistry od Amino Acids, Peptides, and Proteins, "B. Weinstein, eds., Marcel Dekker, New York, p.267 (1983); Spatola, A. F., Vega Data (March 1983), Vol. 1, Issue 3, "Peptide Backbone Modifications" (general review); Moley, J. S., Trends Pharm Sci (1980) pp. 463-468 (general review); Hudson, D. et al., Int J Pept PrtRes (1979) 14:177-185 (-CH2NH-, CH2CH2-); Spotola, A.F. et al., Life Sci (1986) 38:1243-1249 (-CH2-S-); Hann, M.M., J Chem Soc Perkin Trans I (1982) 307-314 (-CH-CH-, cis and trans); Almquist, R. G. et al., J Med Chem (1980) 23:1392-1398 (-COCH2-); Jennings-White, C. et al., Tetrahedron Lett (1982) 23:2533 (-COCH2-); Szelke, M. et al., European Appln. EP 45665 (1982) CA: 97:39405 (1982)(-CH(OH)CH2-); Holladay, M.W. et al., Tetrahedron Lett (1983) 24:4401-4404(-C(OH)CH2-); 및 Hurby, V. J., Life Sci (1982) 31:189-199 (-CH2-S-))에 추가로 기술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한 비펩티드 결합은 -CH2NH-이다.Peptide mimetics, which are structures similar to therapeutically useful peptides, can be used to provide an equivalent therapeutic or prophylactic effect. In general, peptidomimetics are paradigm polypeptides (i.e., polypeptides having biological or pharmacological activity), for example, structurally similar to B7, but by methods known in the art CH2NH-, CH2S-, -CH2-CH2-, And one or more peptide bonds optionally substituted by a bo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 = CH- (cis and trans), -COCH2-, -CH (OH) CH2-, and -CH2SO-, each of which Incorporated by reference (Spatola, AF in "Chemistry and Biochemistry od Amino Acids, Peptides, and Proteins," B. Weinstein, eds., Marcel Dekker, New York, p. 267 (1983); Spatola, AF, Vega Data (March 1983), Vol. 1, Issue 3, "Peptide Backbone Modifications" (general review); Moley, JS, Trends Pharm Sci (1980) pp. 463-468 (general review); Hudson, D. et al., Int J Pept Prt Res (1979) 14: 177-185 (-CH2NH-, CH2CH2-); Spotola, AF et al., Life Sci (1986) 38: 1243-1249 (-CH2-S-); Hann, MM, J Chem Soc Perkin Trans I (1982) 30 7-314 (-CH-CH-, cis and trans); Almquist, RG et al., J Med Chem (1980) 23: 1392-1398 (-COCH2-); Jennings-White, C. et al., Tetrahedron Lett (1982) 23: 2533 (-COCH2-): Szelke, M. et al., European Appln. EP 45665 (1982) CA: 97: 39405 (1982) (-CH (OH) CH2-); Holladay, M.W. et al., Tetrahedron Lett (1983) 24: 4401-4404 (-C (OH) CH 2-); And Hurby, V. J., Life Sci (1982) 31: 189-199 (-CH2-S-). Particularly preferred non-peptide bonds are -CH2NH-.
이와 같은 펩티드 미메틱스는 폴리펩티드 구성체와 비교하여 예를 들어, 경제적으로 보다 더 우수한 생산성, 보다 더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 강화된 약리학적 성질 (반감기, 흡수성, 효능, 효과 등), 변경된 특이성 (예를 들어, 생물학적 활성의 광 스펙트럼), 감소된 항원성 등을 포함하는 현저한 장점을 갖는다. 펩티도미메틱스의 표지화는 일반적으로, 정량적 구조-활성 데이터 및/또는 분자 모델링에 의해 예측된 펩티도미메틱스 상의 비방해 부위에 대한 직접적인 또는 스페이서 (예를 들어, 아미드 기)를 통한 하나 이상의 표지의 공유결합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비방해 부위는 치료적 효과를 생성시키기 위해 펩티도미메틱스가 결합하게되는 거대분자와 직접적인 접촉을 형성하지 않는 부위이다. 펩티도미메틱스의 유도 (derivatization) (예를 들어, 표지화)가 펩티도미메틱스의 목적하는 생물학적 또는 약리학적 활성을 실질적으로 방해해서는 않된다.Such peptide mimetics can, for example, be economically more productive, better chemical stability, enhanced pharmacological properties (half-life, absorbency, efficacy, effect, etc.), altered specificity (e.g., , Light spectrum of biological activity), reduced antigenicity and the like. Labeling of peptidomimetics is generally one or more labels directly or via spacers (eg, amide groups) to uninterrupted sites on the peptidomimetics predicted by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data and / or molecular modeling. Covalent bonds Generally, such uninterrupted sites are those that do not form direct contact with the macromolecules to which the peptidomimetics bind to produce a therapeutic effect. Derivatization (eg, labeling) of peptidomimetics should not substantially interfere with the desired biological or pharmacological activity of peptidomimetics.
B7 아미노산 서열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과 동일한 유형의 D-아미노산의 계획적인 치환 (예를 들어, L-리신을 대신하여 D-리신)이 보다 더 안정적인 펩티드를 생성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B7 아미노산 서열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서열 변이를 포함하는 속박된 펩티드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 (참고문헌: Rizo and Gierasch (1992) Ann, Rev.Biochem. 61:387) 예를 들어, 펩티드를 고리화하는 분자간 이황화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내부 시스테인 잔기를 가함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Intended substitutions of the same type of D-amino acid with one or more amino acids of the B7 amino acid sequence (eg, D-lysine in place of L-lysine) can be used to produce more stable peptides. In addition, constrained peptides comprising a B7 amino acid sequence or substantially identical sequence variation can be prepared by methods known in the art (see, eg, Rizo and Gierasch (1992) Ann, Rev. Biochem. 61: 387). It may be provided by adding an internal cysteine residue that can form intermolecular disulfide bonds to cyclize.
당업자는 과도한 실험 없이도 B7 펩티드 서열 및 이것의 서열 변이체에 대응하는 폴리펩티드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폴리펩티드는 B7 펩티드 서열을 엔코딩하는 폴리누클레오티드의 발현에 의해 원핵 또는 진핵숙주 세포내에서 흔히 보다 더 큰 폴리펩티드의 일부로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펩티드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재조합 숙주내에서 이종성 폴리펩티드의 발현 방법, 폴리펩티드의 화학합성, 및 시험관내 트랜스래이션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본원에 참고로서 통합되는 문헌 (Maniatis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1989), 2nd Ed., Cold Spring Harbor, N.Y.; Berger and Kimmel, methods in Enzymology, Volume 152, Guide to Molecular Cloning Technology (1987), Academic Press, Inc., San Die해, Calf.: Merrifield, J. (1969) j. aM. cHEM. sOC. 91:501; cHAIKEN I. m. (1981) crc cRIT. rEV. bIOCHEM. 11:255; kAISER ET AL. (1989) sCIENCE 243: 187; mERIFIELD, b (1986) sCIENCE 232:342; kENT, S. B. H. (1988) Ann. Rev. Biochem. 57:957; and Offord, R.E. (1980) Semisynthetic Proteins, Wieley Publishing)에 추가로 기술된다.One skilled in the art can produce polypeptides corresponding to B7 peptide sequences and sequence variants thereof without undue experimentation. Such polypeptides can often be produced as part of larger polypeptides in prokaryotic or eukaryotic cells by expression of polynucleotides encoding the B7 peptide sequence. Such peptides can also be synthesized by chemical methods. Methods of expressing heterologous polypeptides in recombinant hosts, chemical synthesis of polypeptides, and in vitro translation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Maniatis et al.,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1989). ), 2nd Ed., Cold Spring Harbor, NY; Berger and Kimmel, methods in Enzymology, Volume 152, Guide to Molecular Cloning Technology (1987), Academic Press, Inc., San Die, Calf .: Merrifield, J. ( 1969) j.aM.cHEM.sOC.91: 501; cHAIKEN I. m. (1981) crc cRIT.rEV.bIOCHEM. 11: 255; kAISER ET AL. (1989) sCIENCE 243: 187; mERIFIELD, b (1986) ) sCIENCE 232: 342; kENT, SBH (1988) Ann. Rev. Biochem. 57: 957; and Offord, RE (1980) Semisynthetic Proteins, Wieley Publishing).
펩티드는 예를 들어, 직접적인 화학합성에 의헤 생성될 수 있다. 펩티드는 N-말단 및/또는 C-말단과 공유결합에 의해 부착된 비펩티드 부분을 지닌 변형된 펩티드로서 생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특정 구체예에서, 카르복시 말단 또는 아미노 말단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말단의 아미노 및 카르복시 기의 가장 일반적인 변형은 각각 아세틸화 및 아미드화이다. 아미노말단 변형 예컨데, 아실화(예를 들어, 아세틸화) 또는 알킬화 (예를 들어, 메틸화) 및 카르복시 말단 변형 예컨데, 아미드화, 및 고리화를 포함하는 다른 말단 변형이 본 발명의 다양한 구체예로 통합될 수 있다. 특정 아미노 말단 및/또는 카르복시말단 변형 및/또는 중심 서열로의 펩티드 신장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및 약리학적 성질 예컨데, 증가된 안정성, 증가된 효능 및/또는 효과, 혈청 프로테아제에 대한 내성, 바람직한 약동학적 성질 등의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Peptides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direct chemical synthesis. Peptides may be produced as modified peptides having non-peptide moieties covalently attached to the N-terminus and / or C-terminus. In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either or both of the carboxy terminus or the amino terminus can be chemically synthesized. The most common modifications of terminal amino and carboxy groups are acetylation and amidation, respectively. Amino terminus modifications such as acylation (eg, acetylation) or alkylation (eg, methylation) and carboxy terminus modifications, such as amidation, and cyclization, ar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grated. Peptide elongation to certain amino terminus and / or carboxy terminus modifications and / or central sequences may result in physical, chemical,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such as increased stability, increased potency and / or effect, resistance to serum proteases, and desirable. Such as pharmacokinetic properties.
본 발명은 또한 B7 키메라 또는 융합 폴리펩티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서 B7 "키메라 폴리펩티드" 또는 "융합 폴리펩티드"는 비-B7 폴리펩티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B7 폴리펩티드를 포함한다. "B7 폴리펩티드"는 B7 폴리펩티드와 대응사는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의미하는 반면, "비-B7폴리펩티드"는 B7 폴리펩티드와 실질적으로 상동이 아닌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B7 폴리펩티드와 다른 폴리펩티드 및 동일하거나 다른 유기체로부터 유도된 폴리펩티드)와 대응하는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의미한다. B7 융합 폴리펩티드내에서, B7 폴리펩티드는 B7 폴리펩티드의 전부 또는 일부와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에에서, B7 융합 폴리펩티드는 B7 폴리펩티드의 하나 이상의 생물학적 활성 부분을 포함한다. 융합 폴리펩티드내에서, 용어 "작동적으로 결합된"은 B7 폴리펩티드 및 비-B7 폴리펩티드가 상호 프레임내에서 융합되었음을 지시한다. 비-B7 폴리펩티드는 B7 폴리펩티드의 N-말단 또는 C-말단과 융합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B7 chimeric or fusion polypeptide. A B7 “chimeric polypeptide” or “fusion polypeptide” herein includes a B7 polypeptide that is operably linked to a non-B7 polypeptide. "B7 polypeptide" refers to a polypeptide having an amino acid sequence that corresponds to a B7 polypeptide, while a "non-B7 polypeptide" refers to a polypeptide that is not substantially homologous to a B7 polypeptide (eg, a polypeptide different from and identical to or different from a B7 polypeptide). Polypeptides derived from an organism). Within a B7 fusion polypeptide, the B7 polypeptide may correspond to all or part of the B7 polypeptid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7 fusion polypeptide comprises one or more biologically active moieties of the B7 polypeptide. Within a fusion polypeptide, the term "operably linked" indicates that the B7 polypeptide and the non-B7 polypeptide are fused in frame with each other. Non-B7 polypeptides may be fused with the N-terminus or C-terminus of the B7 polypeptide.
약 40 아미노산 잔기 길이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80 아미노산 잔기 길이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120 아미노산 잔기 길이 이상의 B7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할 수 있는 핵산 단편이 바람직하다. 약 200 아미노산 잔기 길이 이상인 단편 예를 들어, B7 분자의 전체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는 단편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개의 방법이 단리된 DNA 서열의 단편을 생성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B7-1또는 B7-2단백질을 엔코딩하는 핵산의 작은 서브영역 또는 단편 예를 들어, 1-30 염기길이가 표준 유기화학합성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또한 B7 DNA의 보다 더 큰 합성 단편의 생성에 사용하기 위한 프라이머의 제조에 유용하다.Preference is given to nucleic acid fragments capable of encoding a B7 polypeptide of at least about 40 amino acid residues in length, preferably at least about 80 amino acid residues in length,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about 120 amino acid residues in length. Particularly preferred are fragments that are at least about 200 amino acid residues in length, for example fragments comprising the entire extracellular domain of a B7 molecule. Several methods can be used to generate fragments of an isolated DNA sequence. Small subregions or fragments of nucleic acids encoding B7-1 or B7-2 proteins, eg, 1-30 base lengths, can be prepared by standard organic chemical synthesis methods. This method is also useful for the preparation of primers for use in the generation of larger synthetic fragments of B7 DNA.
B 림프구 항원을 엔코딩하는 유전자의 보다 더 큰 서브영역 또는 단편이 관련된 DNA 조각을 중합효소연쇄반응 (PCR) (참고문헌: Sambrook, Fritsch and Maniatis, 2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N.Y., (1989))을 사용한 합성, 및 이와 같이 수득된 DNA를 적합한 발현 벡터와 결합시킴에 의해 펩티드로서 발현될 수 있다. PCR을 이용하는 동안, 클로닝된 이중가닥 DNA의 특정 서열이 생성되고 발현벡터로 클론이된 다음, CTLA4/CD28 결합 활성에 대해 분석된다. 예를 들어, PCR을 이용하여 사람 B7-1 또는 B7-2 단백질의 분비된 (가용성) 형태를 발현시키기 위해, 막단백질 및 단백질의 세포질 영역을 엔코딩하지 않는 DNA가 합성될 수 있다. 이러한 DNA 분자는 적합한 발현 벡터로 라이게이션되어 숙주 세포 예컨데 CHO내로 도입될 수 있으며, 여기서 B7 단백질 단편이 합성되고 분비된다. 다음, B7 단백질 단편은 배양 배지로부터 쉽게 수득될 수 있다.DNA fragments associated with larger subregions or fragments of genes encoding B lymphocyte antigens are ident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Sambrook, Fritsch and Maniatis, 2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NY). (1989)), and the DNA thus obtained can be expressed as a peptide by combining with a suitable expression vector. While using PCR, specific sequences of cloned double-stranded DNA are generated and cloned into expression vectors, which are then analyzed for CTLA4 / CD28 binding activity. For example, to express secreted (soluble) forms of human B7-1 or B7-2 protein using PCR, DNA that does not encode the membrane proteins and the cytoplasmic regions of the protein can be synthesized. Such DNA molecules can be ligated with a suitable expression vector and introduced into a host cell such as CHO, where the B7 protein fragment is synthesized and secreted. Next, the B7 protein fragment can be easily obtained from the culture medium.
일 구체예에서, B7 분자의 일부 이상 예컨데, 분자의 막단백질 부분이 결핍된 세포외 도메인 부분이 발현 벡터내에 놓이고 숙주 세포에 의해 발현되어, 그 결과 B7 분자가 세포의 표면에서 발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B7 분자의 세포외 도메인 엔코딩하는 cDNA는 B7-1 또는 B7-2의 공지 서열로부터 유도된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PCR (미국특허 제 4,683,202호)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참고문헌: Freeman et al., J. Immunol. 1989. 143:2714 또는 Science. 1993. 262:9090). 생성된cDNA 서열은 원핵 또는 진핵 발현벡터로 수집될 수 있으며, 상기 벡터는 적합한 숙주 예를 들어, COS 또는 CHO 세포에 의해 B7의 세포외 도메인의 합성에 이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B7 molecule, such as an extracellular domain portion deficient in the membrane protein portion of the molecule, is placed in an expression vector and expressed by the host cell such that the B7 molecule is not expressed at the surface of the cell. For example, cDNA encoding the extracellular domain of the B7 molecule can be synthesized by PCR (US Pat. No. 4,683,202) using primers derived from known sequences of B7-1 or B7-2 (Ref. Freeman) et al., J. Immunol. 1989. 143: 2714 or Science. 1993. 262: 9090). The resulting cDNA sequence can be collected as a prokaryotic or eukaryotic expression vector, which vector can be used for the synthesis of the extracellular domain of B7 by a suitable host such as COS or CHO cells.
다른 구체예에서, 발현벡터는 B7 항원 활성을 갖는 펩티드를 엔코딩하는 DNA 및 제 2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DNA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폴리펩티드는 공동자극 분자로부터 유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B7 키메라 또는 융합 단백질은 표준 재조합 DNA 방법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어, 다른 폴리펩티드 서열을 코딩하기 위한 DNA 단편은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라이게이션을 위한 블런트 말단 또는 스태거 말단, 적합한 말단을 제공하기 위한 제한효소 분해, 적합한 것으로서 접착 (cohesive) 말단의 필링-인, 목적하지 않은 결합을 피하기 위한 알칼리 포스포타아제 처리, 및 효소적 라이게이션을 이용함에 의해 프레임내에 상호 라이게이션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융합 유전자는 자동화된 DNA 합성기를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또한, 유전자 단편의 PCR 증폭은, 키메라 유전자 서열을 생성시키기 위해 후속하여 재어닐링 및 재증폭될 수 있는 두개의 연속적 유전자 단편 사이에서 상보적 내물림을 일으키는 앵커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참고문헌: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eds. Ausuel ey al. John Wiley & Sons: 1992). 또한, 융합 부분을 엔코딩하는 많은 발현 벡터가 시판중이다 (예를 들어, GST 폴리펩티드). B7-엔코딩 핵산 분자가 이러한 발현 벡터로 코딩됨에 따라 융합 부분이 프레임내에서 B7 단백질과 결합된다. 예를 들어, 헥사-히스티딘이 고정화 금속이온 친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를 위해 펩티드에 부가될 수 있다 (참고문헌: Hochuli, E. et al., (1988( Bio/Technology 6:1321-1325). 또한, 관련없는 서열이 없는 B 림프구 항원을 단리시키기 위해, 특이적 엔도프로테아제 절단 부위가 융합 부분 및 펩티드의 서열 사이에 도입될 수 있다. 기능성 기를 펩티드에 가하거나 펩티드의 소수성 부위를 제거함에 의해 펩티드의 가용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expression vector comprises a DNA encoding a peptide having B7 antigen activity and a DNA encoding a second polypeptide. It is preferred that the second polypeptide is not derived from a costimulatory molecule. Preferably, the B7 chimeric or fusion protein of the invention is produced by standard recombinant DNA methods. For example, DNA fragments for encoding other polypeptide sequences may be prepared by known methods such as blunt ends or stagger ends for ligation, restriction enzyme digestion to provide suitable ends, cohesive ends as suitable. It can be ligated in-frame by using peel-in, alkaline phosphatase treatment to avoid undesired binding, and enzymatic ligation. In other embodiments, the fusion gene can be synthesized by known techniques, including automated DNA synthesizers. In addition, PCR amplification of gene fragments can be performed using anchor primers that produce complementary entanglements between two consecutive gene fragments that can subsequently be reannealed and reamplified to generate chimeric gene sequences (see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eds.Ausuel ey al. John Wiley & Sons: 1992). In addition, many expression vectors encoding the fusion moiety are commercially available (eg, GST polypeptides). As the B7-encoding nucleic acid molecule is encoded with this expression vector, the fusion moiety binds to the B7 protein in frame. For example, hexa-histidine can be added to the peptide for purification by immobilized metal ion affinity chromatography (Hochuli, E. et al., (1988 (Bio / Technology 6: 1321-1325)). In addition, to isolate B lymphocyte antigens that have no extraneous sequence, specific endoprotease cleavage sites can be introduced between the fusion moiety and the sequence of the peptide Peptides by adding functional groups to the peptide or removing the hydrophobic sites of the peptide It may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일 구체예에서, B7 분자 또는 이것의 부분을 엔코딩하는 DNA가 면역반응이 요구되는 항원 예를 들어, 바이러스 항원 또는 종양세포 항원을 엔코딩하는 DNA와 프레임내에서 결합된다.In one embodiment, the DNA encoding the B7 molecule or portion thereof is bound in frame with the DNA encoding an immune response, eg, a viral antigen or a tumor cell antigen.
일 구체예에서, B7 항원의 세포외 도메인에 대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엔코딩하는 DNA가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불변영역과 대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엔코딩하는 DNA와 결합된다 (참고문헌: 미국특허 제 5,580,756호 또는 WO 제 97/28267호). 제 2 펩티드는 면역글로불린 불변영역 예를 들어, 사람 Cγ1 도메인 또는 Cγ4 도메인 또는 Cμ또는 이것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 사람 Cγ1 도메인 또는 Cγ4 도메인의 CH2 및 CH3 영역, 본원에 참고로서 통합된 문헌 카폰(Capon) 등의 미국 특허 제 5,116,964호 참조). 생성된 B7Ig 융합 단백질은 변경된 가용성, 결합 친화성, 안정성 및/또는 가 (즉, 분자당 가능한 결합 부위의 수)를 가질 수 있으며, 단백질 정제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NA encoding the amino acid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extracellular domain of the B7 antigen is combined with the DNA encoding the amino acid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constant region of an immunoglobulin molecule (see US Pat. No. 5,580,756 or WO). 97/28267). The second peptide may comprise immunoglobulin constant regions such as human Cγ1 domains or Cγ4 domains or Cμ or portions thereof (eg, CH2 and CH3 regions of hinges, human Cγ1 domains or Cγ4 domains, herein See US Pat. No. 5,116,964 to Capon et al., Incorporated by reference). The resulting B7Ig fusion protein may have altered solubility, binding affinity, stability and / or value (ie, the number of possible binding sites per molecule) and may increase the efficiency of protein purification.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에서의 시스테인 잔기는 보존되어 이황화 결합 및 가용성 이량체 B7Ig 단백질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B7 분자의 부분이 IgM 항체 또는 이것의 부분의 불변 영역으로 융합되어,B7Ig 단백질의 가용성 다량체 형성체를 형성시킬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ysteine residues in the immunoglobulin constant region can be conserved to form disulfide bonds and soluble dimer B7Ig proteins. In one embodiment, a portion of the B7 molecule can be fused to the constant region of an IgM antibody or portion thereof to form a soluble multimeric form of B7Ig protein.
특히 바람직한 B7Ig 융합 단백질은 면역글로불린 불변영역과 결합된 사람 B7-1 또는 B7-2의 세포외 도메인 부분 또는 가변 영역계열 도메인을 포함한다. 가용성 B7 분자중에 사용된 면역글로불린 불변 영역은 면역글로불린 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이펙터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유전적 변형을 함유할 수 있다. 에를 들어, B7-1 또는 B7-2의 세포외 부분을 엔코딩하는 DNA, 및 B7-1 또는 B7-2의 가변영역 계열 도메인을 엔코딩하는 DNA 또는 B7-1 또는 B7-2의 불변영역 계열 도메인을 엔코딩하는 DNA가 사이트 디렉티드 돌연변이에 의해 힌지, 사람 Cγ1 도메인 또는 Cγ4 도메인의 CH2 및 CH3 영역을 엔코딩하는 DNA와 결합될 수 있다.Particularly preferred B7Ig fusion proteins comprise an extracellular domain portion or variable region sequence domain of human B7-1 or B7-2 coupled with an immunoglobulin constant region. Immunoglobulin constant regions used in soluble B7 molecules may contain genetic modifications that reduce or eliminate effector activity determined by immunoglobulin structure. For example, DNA encoding the extracellular portion of B7-1 or B7-2, and DNA encoding the variable region family domain of B7-1 or B7-2 or the constant region family domain of B7-1 or B7-2 The encoding DNA can be joined with DNA encoding the CH2 and CH3 regions of the hinge, human Cγ1 domain or Cγ4 domain by site directed mutation.
비사람 면역글로불린 불변영역이 사용되는 경우, 불변역역은 인간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키메라 또는 인간화된 항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이다 (참고문헌: Morrison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1:6851 (1985); Takeda et al., Nature 314:452 (1985), Cabilly et al., U.S. Patent No. 4,816,567; Boss et al., U.S. Patent No. 4,816,397; Tanaguchi et al., European Patent Publication EP171496; European Patent Publication 0173494, United Kingdom Patent GB 2177096B, Teng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0: 7308-7312 (1983); Kozbor et al., Immunology Today, 4:7279 (1983); Olsson et al., Meth. Enzymol., 92:3-16 (1982); PCT publication WO92/06193 and EP 0239400).If a non-human immunoglobulin constant region is used, the constant region is preferably humanized. Methods for preparing chimeric or humanized antibodies are known in the art (Ref. Morrison et al., Proc. Natl. Acad. Sci. U, SA 81: 6851 (1985); Takeda et al., Nature 314 : 452 (1985), Cabilly et al., US Patent No. 4,816,567; Boss et al., US Patent No. 4,816,397; Tanaguchi et al., European Patent Publication EP171496; European Patent Publication 0173494, United Kingdom Patent GB 2177096B, Teng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0: 7308-7312 (1983); Kozbor et al., Immunology Today, 4: 7279 (1983); Olsson et al., Meth.Enzymol., 92: 3-16 (1982); PCT publication WO92 / 06193 and EP 0239400).
B7 항원 및 가용성 B7Ig 분자에 대응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엔코딩하는 DNA를어셈블링하고 발현시키는 방법 예를 들어, 올리고누클레오티드의 합성, PCR, 세포의 형질전화, 벡터의 구성, 발현 시스템 등은 당업계에 공지이다.Methods for Assembling and Expressing DNA Encoding Amino Acid Sequences Corresponding to B7 Antigen and Soluble B7Ig Molecules For example, synthesis of oligonucleotides, PCR, cell transformation, vector construction, expression systems, and the like are known in the art. to be.
재조합 기술에 의해 생성된 B7 융합 단백질 및 폴리펩티드는 단백질 또는 펩티드를 함유하는 세포 및 배지의 혼합물로부터 분비되고 단리될 수 있다. 또한, 단백질 또는 펩티드는 세포질에 보유되고 세포는 수거, 용해되어 단백질이 단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포 배양은 숙주 세포, 배지 및 다른 성분을 포함한다. 세포 배양에 적합한 배지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단백질 및 폴리펩티드는 세포배양 배지, 숙주세포, 또는 둘 모두로부터 당업계에 공지된 단백질 및 펩티드 정제 기술을 사용하여 단리시킬 수 있다. 숙주 세포를 트랜스펙션시키고 단백질 및 펩티드를 정제하기 위한 기술은 본원에 추가로 기술된다.B7 fusion proteins and polypeptides produced by recombinant techniques can be secreted and isolated from a mixture of cells and media containing the protein or peptide. In addition, proteins or peptides are retained in the cytoplasm and cells can be harvested and lysed to isolate proteins. Cell culture generally includes host cells, media and other components. Suitable media for cell culture are known in the art. Proteins and polypeptides can be isolated from cell culture media, host cells, or both using protein and peptide purification techniques known in the art. Techniques for transfecting host cells and purifying proteins and peptides are further described herein.
Ⅲ. 활성에 대해 구조적으로 관련된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의 스크리닝III. Screening of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Structurally Related to Activity
본원에 기술된 특징적 B 림프구 항원 활성을 보유하는 것에 대해 구조적으로 관련된 B7 분자의 스크리닝은 수개의 다른 분석법중 하나 이상을 사용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펩티드는 이들이 자연 발생 B7 분자와 결합하는 항-B7 모노클로날 항체와의 반응성을 유지함을 제시하도록 스크리닝될 수 있다. 특히, 적합한 세포 예컨데, COS 세포는 시험될 폴리펩티드를 엔코딩하는 DNA를 사용하여 트랜스펜션될 수 있다. B7의 분비된 형태의 생산은 면역침전검정에서 항-B7 모노클로날 항체 또는 CTLAIg 또는 CD28 융합 단백질을 사용하여 평가될 수 있다. 패닝법에 의해 혈소판상의 CTLA4 또는 CD28과 결합하는 관심있는 펩티드를 발현하는 세포의 능력이 시험될 수 있다. 또한, CD28 또는 CTLA4와 결합에 대한, 시험 펩티드의 자연발생 B7 분자와의 길항이 시험될 수 있다.Screening of B7 molecules that are structurally related to retaining the characteristic B lymphocyte antigen activity described herein can be accomplished by using one or more of several different assays. For example, peptides can be screened to suggest that they maintain reactivity with anti-B7 monoclonal antibodies that bind to naturally occurring B7 molecules. In particular, suitable cells, such as COS cells, can be transfected using DNA encoding the polypeptide to be tested. Production of the secreted form of B7 can be assessed using anti-B7 monoclonal antibodies or CTLAIg or CD28 fusion proteins in immunoprecipitation assays. The ability of cells to express peptides of interest to bind to CTLA4 or CD28 on platelets by panning can be tested. In addition, antagonism of the test peptide with naturally occurring B7 molecules for binding to CD28 or CTLA4 can be tested.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다른 분석법이 B7 항원의 기능적 특성을 시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이토카인을 합성하는 T 세포의 능력은 항원에 대한 T 세포 수용체의 점유 또는 가교결합 (예를 들어, 항-CD3 또는 "활성화된 T 세포"를 생산하기 위한 포르볼 에스테르 (phorbol ester)에 의해 제공된 "일차 활성화 시그널") 뿐만아니라, 본원의 경우 B 림프구 항원과의 상호작용 예를 들어, B7-1 또는 B7-2와 T 세포상의 CD28 및/또는 CTLA4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공된다. B7 분자와 T 세포 수용체를 통해 시그널을 수용한 T 세포상의 이들의 천연 리간드와의 결합은 사이토카인 특히 인터루킨-2의 수준의 증가를 유도하는 T 세포로의 시그널 전달의 효과를 가지며, 이는 또한 T 림프구의 증대를 유도한다. B7 융합에 대한 다른 분석법은 사이토카인 예컨데 인터루킨-2, 인터루킨-4 또는 다른 사이토카인의 합성에 대한 분석, 및/또는 일차 활성화 시그널을 수용한 CD28+ T 세포에 의한 T 세포 증대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다.Even more preferably, other assays test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B7 antigen. As noted above, the ability of T cells to synthesize cytokines may be attributed to the occupancy or crosslinking of T cell receptors for antigen (eg, anti-CD3 or “activated T cells”). as well as the "primary activation signal" provided by the ester), as herein provided by the interaction with B lymphocyte antigens, for example by the interaction of B7-1 or B7-2 with CD28 and / or CTLA4 on T cells. do. The binding of B7 molecules to their natural ligands on T cells that receive signals via T cell receptors has the effect of signal transduction to T cells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levels of cytokines, particularly interleukin-2, which is also T Induces an increase in lymphocytes. Other assays for B7 fusions include assays for the synthesis of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2, interleukin-4 or other cytokines, and / or assays for T cell augmentation by CD28 + T cells that have received a primary activation signal. .
시험관내에서, T 세포는 이들을 항-T3 모노클로날 항체 (예를 들어, 항-CD3) 또는 포르볼 에스테르와 접촉시킴에 의해, 제 1 또는 일차 활성화 시그널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일차 활성화 시그널을 수용한 T 세포는 본원에서 활성화된 T 세포로 언급된다. B7 기능은 B7의 기원 (예를 들어, B7 활성을 갖는 펩티드를 발현하는 세포 또는 B7의 분비된 형태) 및 일차 활성화 시그널 예컨데, MHC 클래스 Ⅰ 또는 Ⅱ와 결합된 항원을 T 세포 배양물에 가하고, 기능적 결과를 분석함 예를 들어, 인터루킨-2, 감마 인터페론, 또는 다른 공지의 또는 미지의 사이토카인에 대해상층액을 분석함에 의해 분석된다. 예를 들어, 인터루킨-2에 대한 수개의 통상적인 분석법의 어느 하나 예컨데, 관련 부분이 본원에 참고로서 통합된 문헌 (Proc. Natl. Acd. Sci. USA, 86:1333 (1989))에 기술된 분석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인터페론 생산에 대한 분석용 키트는 진자임 코포레이션 (Genzyme Corporation) (Cambridge, MA)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T 세포의 증대는 하기 실시예에 기술된 바와 같이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것으로서 B7 항원의 특성을 보유하는 펩티드가 T세포에 의한 하나의 세포당 증가된 사이토카인 예를 들어, IL-2의 생산을 초래할 수 있고, 공동자극 시그널이 결핍된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는 경우 증가된 T 세포의 증대를 초래할 수 있다.In vitro, T cells can be provided with a first or primary activation signal by contacting them with an anti-T3 monoclonal antibody (eg anti-CD3) or phorbol ester. T cells that receive the primary activation signal are referred to herein as activated T cells. B7 function adds the origin of B7 (eg, a cell expressing a peptide having B7 activity or a secreted form of B7) and a primary activation signal such as an antigen associated with MHC class I or II to the T cell culture, Analyzing Functional Results For example, it is analyzed by analyzing supernatants for interleukin-2, gamma interferon, or other known or unknown cytokines. For example, any one of several conventional assays for interleukin-2, such as described in Proc. Natl. Acd. Sci. USA, 86: 1333 (1989), the relevant part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ssays can be used. Analytical kits for interferon production are available from Genzyme Corporation (Cambridge, Mass.). Enhancement of T cells can be measured as described in the Examples below. Peptides possessing the properties of the B7 antigen as described herein can result in increased cytokine production, eg, IL-2, per cell by T cells, compared to negative controls lacking costimulatory signals. Can lead to an increase in T cells.
Ⅳ.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의 투여 방법Ⅳ. Method of Administration of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본원에 기술된 주제의 조성물 및/또는 제제가 면역반응을 증진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피험자에 투여된다. 일 구체예에서, 가용성 B7 분자는 예방학적으로 예를 들어, 병독소의 감염 이전 또는 암이 없는 피험자에 항원과 함께 투여된다. 다른 구체예에서, 주제의 가용성 B7 분자는 치료적으로 예를 들어, 증강된 공동자극으로부터 유리한 효과를 얻게되는 이미 발병된 질환을 지닌 피험자 예를 들어, 암이 존재하거나 병독소로 감염된 피험자에 투여될 수 있다.Compositions and / or formulation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are administered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to enhance an immune response. In one embodiment, the soluble B7 molecule is prophylactically administered with the antigen, eg, prior to infection of the toxin or to a subject without cancer. In another embodiment, the soluble B7 molecules of the subject are therapeutically administered to a subject with an already developed disease, eg, a subject having cancer or infected with a toxin, that is to obtain a beneficial effect from, for example, enhanced costimulation. Can be.
일 구체예에서, 주제의 공동자극 분자는 항원 제형물과 공동으로 투여된다. 항원은 단백질, 다당류, 지질단백질이거나,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원은 천연 단백질 또는 단백질 단편, 합성 단백질 또는 단백질 단편, 또는 펩티드를 포함하거나; 당단백질, 글리코펩티드, 지단백, 누클레오단백, 누클레오펩티드를 포함하거나; 펩티드-펩티드 컨쥬게이션을 포함하거나; 재조합 핵산 발현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bject's costimulatory molecules are administered co-administered with the antigen formulation. The antigen can be a protein, polysaccharide, lipoprotein, or any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the antigen comprises a natural protein or protein fragment, synthetic protein or protein fragment, or peptide; Glycoproteins, glycopeptides, lipoproteins, nucleoproteins, nucleopeptides; Peptide-peptide conjugation; Recombinant nucleic acid expression products.
일 구체예에서, 항원성 제조물은 항원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원은 조사된 세포 (예를 들어, 종양세포 또는 생감염된 세포), 바이러스 입자, 또는 조제의 균질화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다른 구체에에서, 항원성 펩티드의 정제된 제형 또는 항원성 펩티드의 재조합된 형태 예를 들어, 바이러스 펩티드 또는 종양 관련 항원이 피험자에 투여된다. 일 구체예에서, 항원 제조물은 MHC 클래스 I 제한 펩티드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항원 제조물은 MHC 클래스 Ⅱ 제한 펩티드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항원 제조물은 피험자에 대한 투여를 위해 클래스 I 제한 펩티드 및 클래스 Ⅱ 제한 펩티드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antigenic preparation may comprise a mixture of antigens. For example, the antigen can be administered in the form of irradiated cells (eg, tumor cells or live infected cells), viral particles, or preparation homogenates. In another embodiment, a purified formulation of an antigenic peptide or a recombinant form of an antigenic peptide, such as a viral peptide or tumor associated antigen, is administered to a subject. In one embodiment, the antigenic preparation comprises an MHC class I restriction peptide. In another embodiment, the antigen preparation comprises an MHC class II restriction peptide. In another embodiment, the antigen preparation comprises a class I restriction peptide and a class II restriction peptide for administration to a subject.
일 구체예에서, 항원은 "유전적 면역화"에 의해 투여된다. 일 구체예에서, 목적하는 펩티드를 엔코딩하는 DNA 발현 벡터가 숙주 동물내로 예를 들어, 피험자의 피부 또는 근육내로 주입된다. 유전자 생성물은 정확하게 합성되고 글리코실화되며, 폴딩되고, 피험자에 의해 발현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충분한 양 또는 순도로 수득하기 어려운 항원이 투여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DNA가 근육내로 주입되거나 입자 충격투여 장치 즉 "진건 (gene gun)"에 의해 금 입자상에 코팅되어 피부내로 전달된다. 유전적 면역화가 특이적 체액성 반응 및 세포성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 Mor et al., 1995. J. Immunol. 155:2039; Xu and Liew. 1995. Immunology. 84:173; Davis et al. 1994. Vaccine. 12:1503).In one embodiment, the antigen is administered by "genetic immunization." In one embodiment, a DNA expression vector encoding a peptide of interest is injected into a host animal, eg, into the subject's skin or muscle. The gene product is correctly synthesized, glycosylated, folded and expressed by the subject. Using this method, antigens that are difficult to obtain in sufficient quantity or purity can be administered. In one embodiment, DNA is injected intramuscularly or coated onto gold particles by a particle bombardment device, or "gene gun," and delivered into the skin. Genetic immunization has been shown to induce specific humoral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Mor et al., 1995. J. Immunol. 155: 2039; Xu and Liew. 1995. Immunology. 84: 173; Davis et al. 1994. Vaccine. 12: 1503).
가용성 B7 분자의 적정 투여 경로는 처리될 피험자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가용성 B7 분자는 항원과 함께 투여 및/또는 항원의 투여에 앞서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항원의 투여 후 수일동안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가용성 B7 분자는 가용성 B7 분자 또는 이것의 부분을 엔코딩하는 핵산 분자를 투여함에 의해 "유전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가용성 B7 분자 및 항원은 컨쥬게이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The proper route of administration of the soluble B7 molecule depends on the subject to be treated. For example, the soluble B7 molecule may be administered alone with the antigen and / or prior to administration of the antigen, or alone for several days after administration of the antigen. In one embodiment, the soluble B7 molecule may be administered “genetically” by administering a nucleic acid molecule that encodes a soluble B7 molecule or portion thereof. In other embodiments, soluble B7 molecules and antigens can be administered in a conjugated form.
가용성 B7 분자의 투여 용량 섭생법은 각각의 피험자에게 최적의 치료 반응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과도한 시험없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원에 대한 항체역가 또는 항원에 대한 세포성 면역반응 (예를 들어, DTH 반응 (참고문헌: Puccetti et al. 1994. Eur. J. Immunol. 24: 1446)은 피험자가 면역반응을 발생시키고 있는지의 여부 또는 항원에 대한 증강된 면역반응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측정될 수 있으며, 용량 섭생법은 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Dosage regimens of soluble B7 molecules can be adjusted without undue testing to provide the optimum therapeutic response for each subject. For example, antibody titers to antigens or cellular immune responses to antigens (e.g., DTH responses (Ref. Puccetti et al. 1994. Eur. J. Immunol. 24: 1446) may cause the subject to It may be measur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developing or exhibits an enhanced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and the dosage regimen may be adjusted accordingly.
활성제 및 조성물은 비경구적으로 또는 복강내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예를 들어, 비내, 구강내, 정맥내, 근육내, 피하 또는 점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분산물이 글리콜, 액상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것의 혼합물 및 오일내에서 제조될 수 있다. 통상의 저장 및 사용 조건에서, 이들 제형은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하기 위한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The active agents and compositions can be administered parenterally or intraperitoneally. The formulation can be administered, for example, intranasally, orally, intravenously, intramuscularly, subcutaneously or mucosally. Dispersions can be prepared in glycols, liquid polyethylene glycols, and mixtures thereof and in oils. Under ordinary conditions of storage and use, these formulations may contain a preservative to preven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주입에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멸균 수성 용액 (수가용성) 또는 멸균 주입 요액 또는 분산물의 일시적 제조를 위한 분산물 또는 멸균 분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특정 투여 경로에 적합하도록 제형될 수 있다. 예를들어, 많은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주입, 흡입 또는 통기법 (insufflation) (입 또는 코를 통해), 또는 비내, 점막, 구강, 협측, 비경구, 직장, 근내, 정맥내, 복강내, 및 피하 전달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Pharmaceutical compositions suitable for infus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water soluble) or dispersions or sterile powders for the temporary preparation of sterile infusion solutions or dispersion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to be suitable for a particular route of administration. For example, in many embodiment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may be infused, inhaled, or insufflation (through the mouth or nose), or intranasally, mucosa, oral cavity, buccal, parenteral, rectal, intramuscular, intravenous And intraperitoneal, and subcutaneous delivery.
제제 또는 조성물은 멸균된다. 또한, 이들은 제조 및 저장 조건에서 안정적이어야 하며, 미생물 예컨데 세균 및 곰팡이의 오염 작용에 대해 보존되어야 한다. 담체는 예를 들어, 물, 에탄올, 폴리올 (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상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함유하는 용매 또는 분산물, 및 이들의 적절한 혼합물일 수 있다. 적절한 유체특성은 예를 들어, 코팅 예컨데, 레시틴의 사용에 의해, 분산물의 경우 요구되는 입자 크기의 유지에 의해 및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미생물의 작용의 예방은 다양한 항균 및 항곰팡이제 예를 들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아소르브산, 티메로살 등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많은 경우, 조성물내에 등장제 예를 들어, 당, 폴리알코올 예컨데, 만니톨, 소르비톨, 염화나트륨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 조성물의 연장된 흡수는 조성물내에 흡수를 연장시키는 제제 예를 들어, 알루미늄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젤라틴을 포함시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formulation or composition is sterile. In addition, they must be stable under the conditions of manufacture and storage and must be preserved against the contaminating action of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and fungi. The carrier may be, for example, a solvent or dispersion containing water, ethanol, polyols (eg, glycerol, propylene glycol, liquid polyethylene glycols, and the like), and appropriate mixtures thereof. Appropriate fluid properties can be maintained, for example, by the use of coatings such as lecithin, by the maintenance of the required particle size in the case of dispersions and by the use of surfactants. Prevention of the action of microorganisms can be achieved by various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gents, for example, parabens, chlorobutanol, phenol, assorbic acid, thimerosal and the like. In many case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isotonic agents, for example, sugars, polyalcohols such as mannitol, sorbitol, sodium chloride in the composition. Prolonged absorption of the infusion composition can be achieved by including an agent in the composition that prolongs absorption, such as aluminum monostearate and gelatin.
멸균 주입 용액은 활성 조성물 또는 제제를 필요한 양만큼 적절한 용매중에, 상기 필요한 것으로서 열거된 성분의 하나 또는 조합물과 함께 통합시키고, 여과 멸균처리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분산물은 활성 화합물 (예를 들어, 공동자극 분자 및/또는 항원 및 임의의 첨가제)을 염기성 분산 배지 및 상기 열거된 것들 중의 필요한 다른 성분들을 함유하는 멸균 비히클내로 통합시킴에 의해 제조된다. 멸균 주입 용액의 제조를 위한 멸균 분말의 경우,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활성 성분의 분말 (예를 들어, 제제 또는 조성물)에 더하여 이것의 미리 멸균 여과시킨 용액으로부터의 임의의 부가의 목적하는 성분을 산출하는 진공 건조 및 동결건조방법이다. 상기 제제 또는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문헌 (Mol Med 1988). 4:109)에 기술된 바늘없는 주입 장치 (당업계에 공지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5,383,851호; 제 5,581,198호; 제 5,846,233호)와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Sterile infusion solutions can be prepared by integrating the active composition or formulation with the required amount in an appropriate solvent with one or a combination of ingredients enumerated above as required, followed by filtered sterilization. Generally, dispersions are prepared by incorporating the active compound (eg, a costimulatory molecule and / or antigen and any additives) into a sterile vehicle that contains a basic dispersion medium and the required other ingredients from those enumerated above. . In the case of sterile powders for the preparation of sterile infusion solutions, the preferred method of preparation is to add to the powder of the active ingredient (e.g., a formulation or composition) to yield any additional desired components from its presterile filtered solution. Vacuum drying and lyophilization. Such formulations or compositions are described, for example, in Mol Med 1988. 4: 109) in a form suitable for use with a needleless infusion device (as known in the art, eg, US Pat. Nos. 5,383,851; 5,581,198; 5,846,233).
활성제 또는 조성물이 상기한 바와 같이 적절히 보호되는 경우, 단백질이 구강으로 예를 들어, 불활성 희석제 또는 흡수성 식용 담체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임의의 및 모든 용액, 분산 매질, 코팅, 항균 및 항곰팡이제, 등장제 및 흡수 연기제 등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활성안 물질에 대한 이러한 매질 및 제제의 사용은 당업계에 공지이다. 임의의 통상적인 매질 또는 제제가 활성성분과 양립할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치료 조성물내에서의 이것의 사용이 고려된다. 부수적인 활성 화합물이 또한 조성물내로 통합될 수 있다.If the active agent or composition is properly protected as described above, the protein can be administered orally, eg with an inert diluent or an absorbent edible carrier. As used herei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ncludes any and all solutions, dispersion media, coatings,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gents, isotonic and absorption delaying agents, and the like. The use of such media and agents for pharmaceutically active agents is known in the art. Except insofar as any conventional media or agent is incompatible with the active ingredient, its use in the therapeutic compositions is contemplated. Ancillary active compounds can also be incorporated into the compositions.
투여를 용이하게하고 용량의 통일화를 위해 비경구적 조성물을 용량 유닛 형태로 제형화하는 것은 특히 유리하다. 본원에서 용량 유닛 형태는 처리될 표유동물 피험자에 대한 하나의 용량으로서 적합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유닛을 의미하며; 각각의 유닛은 필요한 약학적 담체와 함께 목적하는 치료효과를 생성시키도록 계산된 미리 결정된 활성 화합물의 양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용량 유닛 형태에대한 상세한 기술은 (a) 활성 화합물의 독창적인 특성 및 달성하고자 하는 특정 치료 효과, 및 (b) 개체의 치료를 위한 활성제 또는 조성물과 같은 화합물 제조분야에서의 내생적인 제한에 따라 규정되고 직접적으로 의존한다.It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to formulate parenteral compositions in dosage unit form to facilitate administration and to unify dosages. Dosage unit form herein refers to physically discrete units suited as one dose for the stray animal subject to be treated; Each unit contains a predetermined amount of active compound calculated to produce the desired therapeutic effect with the required pharmaceutical carrier.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dosage unit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endogenous limitations in the field of compound preparation such as (a)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active compound and the particular therapeutic effect to be achieved, and (b) the active agent or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the individual. It is regulated and directly depends on.
본원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예를 들어, 용매, 분산 매질, 코팅, 항균 및 항곰팡이제, 등장제 및 흡수 연기제 등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활성인 물질에 대한 이러한 매질 및 제제의 사용은 당업계에 공지이다. 추가의 제제가 혼입될 수 있다.As used herein,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ncludes, for example, solvents, dispersion media, coatings,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gents, isotonic and absorbing smokers, and the like. The use of such media and agents for pharmaceutically active substances is known in the art. Additional agents may be incorporated.
본 발명의 제제는 면역반응을 강화시키기 위해 생체내 투여에 적합한 생물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는 형태로 피험자에 투여될 수 있다. "생체내 투여에 적합한 생물학적으로 양립할 수 있는 형태"는 임의의 독성 효과가 제제의 치료 효과에 의해 제거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투여되는 단백질의 형태를 의미한다. 피험자는 면역반응이 개시될 수 있는 생존 유기체 예를 들어, 포유동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피험자의 예로는, 사람, 사람을 제외한 영장류, 개, 고양이, 마우스, 쥐, 및 이것의 유전자 전이종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술된 것으로서 B7 분자의 활성을 가진 펩티드의 투여는, 가용성 B7 펩티드 단독, 항원과 조합된 가용성 B7 펩티드,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된 가용성 B7 펩티드를 포함하는 임의의 약리학적 형태일 수 있다.The formul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to a subject in a biologically compatible form suitable for in vivo administration to enhance an immune response. "Biologically compatible form suitable for in vivo administration" means the form of protein to be administered when any toxic effect is eliminated by the therapeutic effect of the agent. Subjects are intended to include living organisms, for example mammals, in which an immune response can be initiated. Examples of subjects include humans, primates other than humans, dogs, cats, mice, mice, and genetically transcribed species thereof. Administration of a peptide with activity of a B7 molecule as described herein can be in any pharmacological form, including soluble B7 peptide alone, soluble B7 peptide in combination with an antigen, and soluble B7 peptide in combination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Can be.
본 발명의 조성물의 치료적 또는 예방적 활성양은 목적하는 결과를 달성하기에 필요한 용량 및 기간에서의 유효량으로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용성 B7 분자 (항원과 함께 또는 없이)의 투여가 항원 (예를 들어, 바이러스 또는 종양세포항원)에 대한 강화된 면역반응을 초래한다.A therapeutically or prophylactically active amount of a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as an effective amount at a dose and for a period necessary to achieve the desired result. Preferably, administration of soluble B7 molecules (with or without antigen) results in an enhanced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eg, viral or tumor cell antigen).
피험자에 의한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 (예를 들어, 세포성 및/또는 체액성 면역반응)은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Immune responses to antigens (eg, cellular and / or humoral immune responses) by the subject can be measured using techniques known in the art.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의 측정은 체내에서 이루어지거나 시험관내에서 분석될 수 있다. 예를들면, 종양세포에 대한 면역 세포의 반응성은 생검을 실행하고 세포 침윤물을 조사하여 측정될 수 있다. 현장 사이토카인 염색은 감염 부위에서, 종양 부위 근처에서, 또는 배농 (draining) 림프절에서 실행될 수 있다. 세포의 시험관내 배양은 항원(예컨대, 증식 및/또는 항원 존재하의 사이토카인 생성 및/또는 항원에 대한 세포독성 활성)에 대한 세포 반응성에 대해 시험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다. 예컨대, B7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치료학적 또는 예방학적 활성 양은 개인의 질병 상태, 나이, 성별 및 체중과 같은 요소, 및 개인에서 원하는 반응을 끌어내는 능력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투여량은 최적의 치료 또는 예방 반응을 제공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투여량이 하루에 여러번으로 분리되어 투여되거나, 사용량은 치료 상황이 요구함에 따라 비례하여 감소될 수 있다.Measurement of the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can be made in the body or analyzed in vitro. For example, the responsiveness of immune cells to tumor cells can be measured by running a biopsy and examining cell infiltrates. In situ cytokine staining can be performed at the site of infection, near the tumor site, or in draining lymph nodes. In vitro culture of cells can be performed to test for cellular responsiveness to the antigen (eg, proliferation and / or cytokine production in the presence of the antigen and / or cytotoxic activity against the antigen). For example, the therapeutic or prophylactically active amount of a polypeptide having B7 activity may vary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the disease state, age, gender and weight of the individual, and the ability to elicit the desired response in the individual. Dosages may be adjusted to provide the optimum therapeutic or prophylactic response. For example, the dosage may be administered separately several times a day, or the dosage may be proportionally reduced as the therapeutic situation requires.
활성 화합물은 주입 (피하, 정맥 등), 구강 투여, 흡입, 경피 도포 또는 직장 투여에 의한 종래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에 따라, 활성 화합물은 효소, 산의 활성 및 화합물을 불활성화시킬 수 있는 다른 천연적인 조건으로부터 화합물을 보호하는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The active compound can be administered in a conventional manner by infusion (subcutaneous, intravenous, etc.), oral administration, inhalation, transdermal application or rectal administration. Depending 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active compound may be coated with a substance that protects the compound from enzymes, acid activity, and other natural conditions that may inactivate the compound.
본 발명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 형태의 활성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활성 화합물은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ve compound in the form of a medicament for use in therapy as described herein. The active compound may also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medicament for use in therapy.
V. 추가 약제의 투여V. Administration of Additional Agents
피험자는 면역반응을 추가로 증강시키는 추가 약제를 투여하여 치료될 수 있다. 예컨대, 보조제 (adjuvant) 및/또는 사이토카인이 피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The subject can be treated by administering additional agents that further enhance the immune response. For example, an adjuvant and / or cytokine can be administered to the subject.
한 구체예에서, 사이토카인, 예컨대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 인터루킨 1, 인터루킨 2, 인터루킨 3, 인터루킨 4, 인터루킨 5, 인터루킨 6, 인터루킨 7, 인터루킨 10, 및/또는 인터루킨 12가 투여될 수 있다. 인터페론, 예컨대, α, β, 및/또는 감마 인터페론이 또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Th1 유형의 T 헬퍼 반응의 전개 및 세포성 면역의 전개를 지지하는 IL-12와 같은 사이토카인이 투여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공동자극 신호를 조절하는 추가 제제, 예컨대 항-CD28 항체가 피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cytokines such as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interleukin 1, interleukin 2, interleukin 3, interleukin 4, interleukin 5, interleukin 6, interleukin 7, interleukin 10, and / or interleukin 12 may be administered. Interferons such as α, β, and / or gamma interferon may also be administered. Preferably, cytokines such as IL-12 may be administered which support the development of T1 type T helper responses and the development of cellular immunity. In other embodiments, additional agents that modulate costimulatory signals, such as anti-CD28 antibodies, can be administered to the subject.
다른 구체예에서, 공지된 보조제인 제제가 투여될 수 있다. 이때, 사람에게 널리 사용되는 유일한 보조제는 백반 (allum)(알루미늄 포스페이트 또는 수산화 알루미늄)이다. 다른 보조제, 예컨대 사포닌 및 이의 정제된 성분 퀼 에이, 프룬트(Quil A, Freund)의 완전 보조제 및 조사 및 수의학 응용에 사용되는 다른 보조제가 인간 백신에서 잠재적인 용도를 갖는다. 그러나, 무라밀 디펩티드, 모노포스포릴 지질 A, 문헌 (Goodman-Snitkoff et al., J. Immunol. 147:410-415(1991) 레소르시놀)에 기재된 것과 같은 포스포리피드 컨쥬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및 n-헥사데실 폴리에틸렌 에테르와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판크레아틱 (pancreatic) 트립신 억제제를 포함하는 효소 억제제, 디이소프로필플루오로포스페이트 (DEP) 및 트라실롤 (trasylol)과 같은 신규한 화학적으로 규정된 제제물이 사용될 수 있다. 항원이 투여되는 구체예에서, 항원은 예컨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문헌 (Miller et al., J.Exp. Med. 176:1739-1744(1992))에 기재된 프로테오리포좀 내에서 또는 노바솜 TM 지질 소포 (문헌: Micro Vescular Systems, Inc., Nashua, N.H.)와 같은 지질 소포에서 캡슐화되어 추가로 면역반응을 증강시킬 수 있다.In other embodiments, agents that are known auxiliaries may be administered. At this time, the only adjuvant widely used in humans is allum (aluminum phosphate or aluminum hydroxide). Other adjuvants such as saponins and their purified components Quill A, Freund's complete adjuvant and other adjuvants used in research and veterinary applications have potential uses in human vaccines. However, phospholipid conjugates, polys as described in Muramil Dipeptide, Monophosphoryl Lipid A, Goodman-Snitkoff et al., J. Immunol. 147: 410-415 (1991) Resorcinol) Nonionic surfactants such as oxyethylene oleyl ether and n-hexadecyl polyethylene ether, enzyme inhibitors including pancreatic trypsin inhibitors, such as diisopropylfluorophosphate (DEP) and trasylol New chemically defined formulations may be used. In embodiments in which the antigen is administered, the antigen is contained in a proteoliposome or Novasome TM, eg, as described in Miller et al., J. Exp. Med. 176: 1739-1744 (1992). Encapsulated in lipid vesicles such as lipid vesicles (Micro Vescular Systems, Inc., Nashua, NH) can further enhance immune response.
본 발명은 다른 언급이 없다면 세포 생검, 세포 배양, 분자 생검, 미생물학, 재조합 DNA, 및 면역학의 종래 기술을 사용할 것이며, 이 기술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문헌에 완전하게 설명되어 있다. 예컨대, 문헌 [Genetics;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 ed. by Sambrook, J. et 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1989)); Shor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3rd Ed., ed. by Ausubel, F. et al. (Wiley, NY(1995)); DNA Cloning, Volumes I and II(D.N.Glover ed., 1985); Oligonucleotide Synthesis (M.J.Gait ed. (1984)); Mullis et al. U.S.Patent No: 4,683,195; Nucleic Acid Hybridization (B.D.Hames & S.J.Higgins eds. (1984)); the treatise, Methods In Enzymology(Academic Press, Inc., N.Y.); Immunochemical Methods In cell And Molecular Biology(Mayer and Walker, eds., Academic Press, London(1987)); Handbook Of Experimental Immunology, Volumes I-IV (D.M.Weir and C.C.Blackwell, eds. (1986)); and Miller, J.Experiments in Molecular Genetics(Cold Spring Harbor Press, Cold Spring Harbor, N.Y.(1972))] 참조.The present invention will use the prior art of cell biopsy, cell culture, molecular biopsy, microbiology, recombinant DNA, and immunology unless otherwise noted, these techniques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se techniques are explained fully in the literature. See, eg, Genetics;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nd Ed., Ed. by Sambrook, J. et al.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1989); Shor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3rd Ed., Ed. by Ausubel, F. et al. Wiley, NY (1995); DNA Cloning, Volumes I and II (D.N. Glover ed., 1985); Oligonucleotide Synthesis (M. J. Gait ed. (1984)); Mullis et al. U.S.Patent No: 4,683,195; Nucleic Acid Hybridization (B.D. Hames & S. J. Higgins eds. (1984)); the treatise, Methods In Enzymology (Academic Press, Inc., N.Y.); Immunochemical Methods In cell And Molecular Biology (Mayer and Walker, eds., Academic Press, London (1987)); Handbook Of Experimental Immunology, Volumes I-IV (D.M. Weir and C. C. Blackwell, eds. (1986)); and Miller, J. Experiments in Molecular Genetics (Cold Spring Harbor Press, Cold Spring Harbor, N.Y. (1972)).
본원에 인용된 모든 참고문헌, 계류중인 특허출원 및 공개된 특허의 내용은 명시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본원에 기재된 각각의 참고문헌은 완전하게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본 출원이 우선권을 주장하는 임의의 특허 출원이 완전하게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The contents of all references, pending patent applications, and published patents cited herein are expressly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Each reference described herein is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Any patent application to which 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is hereby fully incorporated by reference.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예시되며 추가 한정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The invention is further illustra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further limitations.
실시예Example
실시예 1.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의 CTL 반응의 증강Example 1 Enhancement of CTL Response of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최적의 T 세포 활성은 T 세포 수용체를 통한 시그널링 및 공동자극을 요구한다. B7-1 및 B7-2는 APCs의 표면에서 유력한 두개의 보조 자극 분자이다. 생체내 T 세포 반응에 대한 B7-2의 가용성 형태의 효과를 조사했다. 가용성 분자는 마우스 IgG2a의 Fc 영역에 융합된 B7-2의 세포외 도메인을 함유하는 키메라 단백질이다. B7-2Ig 융합 단백질을 클래스 II 제한 펩티드 면역의 경우 투여하는 것은 항원-특정 T 세포 증식 및 사이토카인 반응을 상당히 증강시켰다. B7-2Ig 투여는 클래스 I-제한 펩티드로의 면역에 대해 CTL 반응을 증강시켰다. B7-2Ig에 의한 CTl 반응의 증강은 클래스 II-제한 펩티드에 대한 T 헬퍼 세포 반응의 존재하에 상당히 증가되었다. 이러한 발견은 다중 T 세포 면역반응 변수에 대한 공동자극 분자, 예컨대 B7-2의 가용성 단백질 형태의 면역 자극 활성을 설명하고, 이러한 분자가 감염성 질환 및 백신 적용에서 임상적인 유용성을 가짐을 입증했다.Optimal T cell activity requires signaling and costimulation through T cell receptors. B7-1 and B7-2 are two potent auxiliary stimulatory molecules on the surface of APCs. The effect of soluble forms of B7-2 on T cell responses in vivo was investigated. Soluble molecules are chimeric proteins containing the extracellular domain of B7-2 fused to the Fc region of mouse IgG2a. Administration of the B7-2Ig fusion protein for class II restricted peptide immunity significantly enhanced antigen-specific T cell proliferation and cytokine response. B7-2Ig administration enhanced the CTL response to immunity with class I-restricted peptides. Enhancement of the CTl response by B7-2I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T helper cell responses to class II-restricted peptides. These findings illustrate the immune stimulatory activity of soluble protein forms of co-stimulatory molecules, such as B7-2, against multiple T cell immune response variables, and have demonstrated that these molecules have clinical utility in infectious diseases and vaccine applications.
실시예 1에서 사용된 물질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Used in Example 1
마우스mouse
7주 내지 10주령의 암컷 BALB/cJ 마우스 (Jackson Labs, Bar Harbor, ME)를 연구에 사용하였다.Female BALB / cJ mice (Jackson Labs, Bar Harbor, ME) between 7 and 10 weeks of age were used for the study.
펩티드 면역원의 제조Preparation of Peptide Immunogen
사용된 모든 펩티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PR18/34의 핵산단백질(NP)로부터 H-2d-제한된 면역지배적 에피토프였다. 클래스 I-제한 펩티드, 아미노산 147-155, TYQRTRALV, (참고문헌: Taylor, P.M., et al. 1987, Immunogenetics 26:267) 및 아미노산 206-229, FWRGENGRKTRIAYERMCNILKGK, (참고문헌: Brett, S.J. et al. 1991, Journal Immunology 147:1647)을 HOBT/DCC 아미노산 활성과 함께 표준 Fmoc/NMP 화학을 사용하여 PE 바이오시스템 430A 펩티드 합성기에서 합성하였다. 이들을 분석하고 베크만 HPLC 상에서 정제하고, 질량을 브루커 말디 (MALDI) 질량 스펙트로미터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All peptides used are influenza virus A / PR18 / 34 from the nucleic acid protein (NP) H-2 d - was restricted immune dominant epitopes. Class I-limiting peptides, amino acids 147-155, TYQRTRALV, (Ref .: Taylor, PM, et al. 1987, Immunogenetics 26: 267) and amino acids 206-229, FWRGENGRKTRIAYERMCNILKGK, (Ref .: Brett, SJ et al. 1991 Journal Immunology 147: 1647) was synthesized in a PE biosystem 430A peptide synthesizer using standard Fmoc / NMP chemistry with HOBT / DCC amino acid activity. These were analyzed and purified on Beckman HPLC, and the mass was confirmed using a Bruker Maldi (MALDI) mass spectrometer.
AIPR18/34 바이러스 스톡의 제조Preparation of AIPR18 / 34 Virus Stock
AIPR/8/34 인플루엔자 스톡을 제조하고 104의 희석시 10일 부화된 달걀에 종자 바이러스를 주입시켜 적정하였다. 인큐베이션 42시간 후, 감염된 달걀의 요막 체액을 개별적으로 회수하고 혈액 아가 플레이트에서 무균성을 확인하였다. 무균 체액을 모아서, 부분표본을 제조하고, -70℃에서 저장하여 신속히 냉동시켰다. 플라크 적정 (문헌: Bucher, D.J.et al. 1991, J Clin Microbiol 29:2484)을 실행한후 신속히 해동시키고 바이러스 희석 (요막 체액에서)을 수행했다.AIPR / 8/34 influenza stocks were prepared and titrated by injecting seed virus into 10-day hatched eggs at dilution of 104. After 42 hours of incubation, the ureteral fluids of the infected eggs were individually collected and aseptically confirmed on blood agar plates. Sterile body fluids were collected, aliquots were prepared, stored at -70 ° C and frozen quickly. Plaque titration (Bucher, D. J. et al. 1991, J Clin Microbiol 29: 2484) was performed and then thawed rapidly and virus dilution (in ureter body fluids) was performed.
B7-2Ig 융합 단백질B7-2Ig Fusion Protein
B7-2Ig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키고 이전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정제시켰다 (문헌: Fields, P.E., et al. 1998. J Immunol 161:5268). 요약하면, 발현 플라스미드 pED를 시그널을 엔코딩하는 cDNA 및 힌지, 마우스 IgG2a의 CH2 및 CH3를 엔코딩하는 지놈 DNA와 결합된 쥐과동물 B7-2의 세포외 도메인으로 구성시켰다.The B7-2Ig fusion protein was expressed and purified as previously disclosed (Fields, P.E., et al. 1998. J Immunol 161: 5268). In summary, the expression plasmid pED consisted of the extracellular domain of murine B7-2 coupled with cDNA and hinge encoding the signal, and genome DNA encoding CH2 and CH3 of mouse IgG2a.
발현 벡터를 CHO 세포주내로 트랜스펙션시키고 앞서 설명된 기술 (참고문헌: Kaufman, R. J., et al. 1988.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3:6352)에 의해 증폭시켰다. 농축된 세포 배양 상층액을 rProtein A Sepharose Fast Flow 컬럼 (파마시아 바이오테크 (Pharmacia Biotech))을 통해 통과시켰다. B7-2Ig를 20mM 시트레이트 pH 3.0을 사용하여 용리시키고, 1M 트리스 (Sigma) pH 8.0을 사용하여 중화시키고, 완충액 교환에 의해 PBS pH 7.2에서 제형화시켰다. 단백질 농도를 280nm에서의 흡광도를 사용하여 계산하였고 흡광 계수는 1.33 cm/mg/ml이었다. 내독소 수준은 젤 응고 검정 (케이프 코드 어소시에이츠(Cape Cod Associates))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0.25 EU/mg 미만이었다. 다량체로서 단백질의 백분율은 TSK 3000 SWXL 컬럼 (Toso Haas USA, Mongomeryville, PA)을 사용한 분석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1% 미만이었다. B7-2Ig의 시험관내 공동자극 활성이 증명되었다 (참고문헌: Fields, P.E., et al. 1998.J Immunol 161:5268). 본 실험을 3회 이상 수행하였으며 유사한 결과를 수득했다. 각각의 실험에 대해 1회 이상의 중복실험을, B7-2Ig 처리를 위한 대조로서 관련없는 사람 단백질 GDF-9 (GeneticsInstitute, Cambridge MA)에 대한 정제된 마우스 모노클로날 IgG2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Expression vectors were transfected into CHO cell lines and amplified by the techniques described above (Kaufman, RJ, et al. 1988.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63: 6352 ). The concentrated cell culture supernatant was passed through a rProtein A Sepharose Fast Flow column (Pharmacia Biotech). B7-2Ig was eluted using 20 mM citrate pH 3.0, neutralized using 1M Tris pH 8.0 and formulated at PBS pH 7.2 by buffer exchange. Protein concentration was calculated using absorbance at 280 nm and the absorbance coefficient was 1.33 cm / mg / ml. Endotoxin levels were less than 0.25 EU / mg as determined by gel coagulation assay (Cape Cod Associates). The percentage of protein as multimer was less than 1% as determined by analysis using TSK 3000 SWXL column (Toso Haas USA, Mongomeryville, Pa.). In vitro costimulatory activity of B7-2Ig has been demonstrated (Ref. Fields, PE, et al. 1998. J Immunol 161: 5268 ).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hree more times and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One or more replicate experiments for each experiment were performed using purified mouse monoclonal IgG2a against unrelated human protein GDF-9 (Genetics Institute, Cambridge MA) as a control for B7-2Ig treatment.
펩티드 면역화Peptide Immunization
지시된 펩티드 또는 펩티드 혼합물 100 ㎍을 IFA (시그마)와 함께 부피비 1:1로 혼합시키고 에멀젼화시켰다. 마우스를 100 ㎕중의 항원/IFA 에멀젼을 사용하여 꼬리 시작부에 피하 면역화시켰다. 100 ㎕중의 B7-2Ig를 펩티드 면역화 부위에 대한 인접 부위에 피하 투여하였다. 림프절 세포를 채취하는 실험에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꼬리의 시작부 및 목 뒤에 펩티드 및 B7-2Ig를 투여하였다. 치료 그룹을 각각 5마리의 마우스로 구성시켰다. B7-2Ig를 0.1% 수산화 알루미늄 (Rehydragel, Rehies, Dublin, Ireland)중에 투여하였다.100 μg of the indicated peptide or peptide mixture was mixed with IFA (Sigma) in volume ratio 1: 1 and emulsified. Mice were immunized subcutaneously at the beginning of the tail using an antigen / IFA emulsion in 100 μl. B7-2Ig in 100 μl was administered subcutaneously to the site adjacent to the peptide immunization site. In experiments harvesting lymph node cells, peptides and B7-2Ig were administered at the beginning of the tail and behind the neck as described above. The treatment group consisted of 5 mice each. B7-2Ig was administered in 0.1% aluminum hydroxide (Rehydragel, Rehies, Dublin, Ireland).
생바이러스 면역화 및 시험투여Live virus immunization and test administration
메타판 (Mallinckrodt Veterinary, Mundelein, IL)을 마우스가 환류 반응을 상실할 때까지 노즈콘 (nose cone)으로 투여하였다. PBS중에 희석시킨 생바이러스를 40 ㎕의 최종 부피로 비내 투여하였다. 치사량의 바이러스 (4,000 PFU/마우스)는 면역화되지 않은 마우스에서 100% 사망율을 초래하였다. 40 PFU/마우스의 면역화 용량은 어떠한 이환율도 일으키지 않았고, 마우스를 치사적 시험투여로부터 완전히 보호하였다.Metapan (Mallinckrodt Veterinary, Mundelein, IL) was administered as a nose cone until the mice lost reflux. Live virus diluted in PBS was administered intranasally in a final volume of 40 μl. Lethal dose of virus (4,000 PFU / mouse) resulted in 100% mortality in unimmunized mice. The immunization dose of 40 PFU / mouse did not cause any morbidity and the mice were completely protected from lethal challenge.
증식 검정Proliferation assay
림프절 (장간막 림프절 배제) 및 비장을 지시된 날짜에 채취하고, 단일 세포현탁액을 제조하여 5 x 10-5M 2ME, 2mM L-글루타민, 100 U/ml 페니실린 및 100 ㎍/ml 스트렙토마이신(기브코/비알엘(Gibco/BRL)), 10% FCS를 포함하도록 보충한 RPMI 1640(기브코/비알엘)중의 200 ㎕중에, 4 x 105세포/웰로 편평한 바닥 96 웰 플레이트에서 배양시켰다. 클래스 II-제한 펩티드를 배양의 시작시에 지시된 농도로 첨가하였다. 증식을, 3H 티미딘 혼입에 이어 1450 마이크로베타 플레이트 리더 (월락(Wallac))을 사용한 18시간 펄스(1μC/웰)에 의해 측정하였다. 일차 면역화시킨지 3, 5, 7 및 9일 후에 림프절 세포로부터의 증식 반응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이차 반응을 이차 면역화시킨지 3일 후에 수집한 비장으로부터 평가하였다.Lymph nodes (exclude mesenteric lymph nodes) and spleens are harvested on the indicated dates, and a single cell suspension is prepared to give 5 x 10 -5 M 2ME, 2 mM L-glutamine, 100 U / ml penicillin and 100 μg / ml streptomycin (gibco). In 200 μl in RPMI 1640 (Gibco / Biel) supplemented with 10% FCS, incubated in flat bottom 96 well plates at 4 × 10 5 cells / well. Class II-restricted peptides were added at the indicated concentrations at the start of the culture.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18 hour pulses (1 μC / well) using 3H thymidine incorporation followed by 1450 microbeta plate reader (Wallac). Comparison of proliferative responses from lymph node cells was performed 3, 5, 7 and 9 days after primary immunization. Secondary responses were evaluated from the spleen collected three days after the second immunization.
사이토카인 검정Cytokine black
세포를, 증식 검정을 위해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배양시켰다. 상층액을 제 3일째에 수집하고, IFN-γ, IL-5 및 IL-13의 수준을 시판용 키트 (Genzyme, Cambridge MA for IFN-γ, Endogen, Woburn MA for IL-5, and R&D Systems, Minneapolis, MN for IL-3)를 사용하는 ELISA로 결정하였다.Cells were cultured as described above for the proliferation assay. Supernatants were collected on day 3 and levels of IFN-γ, IL-5 and IL-13 were measured in commercial kits (Genzyme, Cambridge MA for IFN-γ, Endogen, Woburn MA for IL-5, and R & D Systems, Minneapolis , MN for IL-3) was determined by ELISA.
별도로 분획되지 않은 마우스 혈구 샘플에 대한 CTL 검정CTL Assay for Mouse Blood Cell Samples Not Separately Fractionated
일차 면역화시킨지 2 내지 3주 후에, 혈액 샘플 (각각 150 ㎕ 내지 200 ㎕)을 에어란 (Ohmeda Caribe, Inc, Guayama, PR)을 사용하여 마취시킨 마우스로부터 안와후방 채혈에 의해 수득하였다. 샘플을 50U 헤파린을 함유하는 100 ㎕ PBS를 사용하여 희석시켰다. 40 ㎕ 샘플을 백혈구 계수를 위해 제거하였다. 샘플상의 차별적인 계수는 통상 수행하지 않았다. 백혈구 분획중의 림프구의 백분율은 연구동안 다양한 시간에 취해진 100개의 샘플의 차별적인 계수에 의해 69%±8%였다. 세포를 세척하여 헤파린을 제거하였다. 8 x 105WBC/마우스 전체를 증식 검정을 위해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보충되고, 추가로 일차적인 시험관내 CTL 반응의 생성을 위한 보충물 (4㎍/ml 항-CD28(PV1.17) 및 10 U/ml 재조합 뮤린 IL-12 (rmIL-12, Genetics Institute, Cambridge, MA), 10 U/ml IL-2 및 200 U/ml IL-6, (Genzyme, Cambridge, MA), 0.1pM 클래스 I-제한 펩티드 (TYQRTRALV, 아미노산 147-155), 및 1 x 106/ml 조사된(2,000 rads) 동계의 비장세포 (Iyse RBC에 대해 0.017 M 트리스로 완충된 0.17 M NH4CL로 처리됨 (참조: Gajewski, T. F. 1996.J Immunol 156:465)))을 포함하는 RPMI 1640으로 구성된 배지 10 ml중에 재현탁시켰다.Two to three weeks after the first immunization, blood samples (150 μl to 200 μl each) were obtained by orbital posterior bleeding from mice anesthetized with Airan (Ohmeda Caribe, Inc, Guayama, PR). Samples were diluted using 100 μl PBS containing 50 U heparin. 40 μl samples were removed for leukocyte counting. Differential counts on samples were not usually performed. The percentage of lymphocytes in the leukocyte fraction was 69% ± 8% by the differential count of 100 samples taken at various times during the study. The cells were washed to remove heparin. 8 × 10 5 WBC / mouse as a whole were supplemented as described above for the proliferation assay, further supplements for the production of primary in vitro CTL responses (4 μg / ml anti-CD28 (PV1.17) and 10 U / ml recombinant murine IL-12 (rmIL-12, Genetics Institute, Cambridge, MA), 10 U / ml IL-2 and 200 U / ml IL-6, (Genzyme, Cambridge, MA), 0.1 pM Class I Treated with restriction peptides (TYQRTRALV, amino acids 147-155), and 1 x 10 6 / ml irradiated (2,000 rads) syngeneic splenocytes (0.17 M NH4CL buffered with 0.017 M Tris for Iyse RBC) (Gajewski, TF 1996. J Immunol 156: 465 ))) and resuspended in 10 ml of medium consisting of RPMI 1640.
세포를 웰당 8 x 103백혈구 전체에 대해 100 ㎕ 부피로 96 웰 둥근 바닥 코스타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였다. 80개 웰 전부를 각각의 혈액 샘플을 위해 플레이팅하였다. 16개 웰은 각각의 플레이트상에 조사된 비장세포와 함께 배지만을 첨가하였다. 배양 7일 째에, 상층액을 플레이트를 뒤집어 제거하고 세포 펠렛을 플레이트 교반에 의해 현탁시켰다. 항원-양성(Ag-양성) 표적을 클래스 I-제한 펩티드 10 ug/ml과 함께 P815 세포의 하룻밤 펄스에 의해 제조하였다. 1 x 103Ag-양성,51Cr 표지된, P815 표적을 50% 웰에 100 ㎕ 배양 배지중에 가하고, 1 x 103Ag-음성,51Cr 표지된, 대조 P815 표적을 나머지 50%에 가하였다. 이펙터 세포를 포함하지 않는 플레이트당 16개 웰중에서, 8개를 자발적인 방출로 표시하고 8개 웰을 최대 방출 측정으로 표시하였다. 전체 방출을 10% 트리톤 X100 20 ㎕의 첨가에 의해 달성하였다. 4시간 배양시킨 후에, 50 ㎕ 상층액/웰을 월락 96 웰 플레이트 (1450-401)내로 수집하고, 125 ㎕ 섬광제 (OptiPhase SuperMix, Wallac, Turku, Finland)를 가하고, 플레이트를 월락 마이크로베타 1450으로 계수하였다.Cells were plated in 96 well round bottom Costa plates at a volume of 100 μl for all 8 × 10 3 leukocytes per well. All 80 wells were plated for each blood sample. Sixteen wells were added with medium only with splenocytes irradiated on each plate. On day 7 of culture, the supernatant was removed by inverting the plate and the cell pellet was suspended by plate agitation. Antigen-positive (Ag-positive) targets were prepared by overnight pulses of P815 cells with 10 ug / ml of class I-restricted peptide. 1 × 10 3 Ag-positive, 51 Cr labeled, P815 target was added to 50% wells in 100 μl culture medium and 1 × 10 3 Ag-negative, 51 Cr labeled, control P815 target was added to the remaining 50%. . Of the 16 wells per plate without effector cells, eight were marked as spontaneous release and eight wells as maximum release measurements. Total release was achieved by the addition of 20 μl of 10% Triton X100. After 4 hours of incubation, 50 μl supernatant / well was collected into Wallac 96 well plate (1450-401), 125 μl scintillant (OptiPhase SuperMix, Wallac, Turku, Finland) was added, and the plate was transferred to Wallac microbeta 1450. Counted.
평균 특정 용해의 계산Calculation of Mean Specific Dissolution
각각의 웰에 대한 용해 백분율을 표준식에 따라 계산하였다:The percent dissolution for each well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formula:
실험적 방출 - 배지 방출X 100 Experimental Release-Medium Release X 100
전체 방출 - 배지 방출Total Release-Medium Release
상기 식에서, 전체 방출은 표적 및 트리톤-X-100이 첨가된 모든 웰의 평균 cpm이고, 배지 방출은 평균 cpm + 표적 및 배지만이 첨가된 모든 웰의 SD였다. 웰당 평균 특정 용해 백분율을 하기식에 따라 계산하였다:In the above formula, total release was the mean cpm of all wells to which target and Triton-X-100 was added, and media release was SD of all wells to which only average cpm plus target and medium were added. The average specific percent dissolution per well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Ag(Ag ++ 표적을 가진 40개 웰의 용해 ∑%)-(대조 표적을 가진 40개 웰의 용해 ∑%)Dissolution ∑% of 40 Wells with Target)-(Dissolution ∑% of 40 Wells with Control Target)
4040
데이터를 그룹내에 5마리 마우스 각각으로부터 얻어진 웰당 평균 특정 용해값의 평균에 의해 계산된 평균 특정 용해±S.D로서 표현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을 테일드 스튜던트 테스트 (two tailed Stuent's test)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Data is expressed as mean specific dissolution ± S.D calculated by the average of the mean specific dissolution values per well obtained from each of 5 mice in the group.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using the two tailed Stuent's test.
결과:result:
B7-2Ig는 클래스 II-제한 펩티드를 사용한 면역화에 대한 일차적인 CD4+ T 세포 증식 반응을 향상시킨다B7-2Ig Enhances Primary CD4 + T Cell Proliferative Response to Immunization with Class II-Restricted Peptides
B7-2Ig가 펩티드 면역화에 대한 일차적인 T 세포를 향상시키는지 억제시키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마우스를 B7-2Ig 투여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펩티드를 사용하여 면역화시켰다. A/PR/8/34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NP로부터의 클래스 II-제한 펩티드 아미노산 55-77 및 아미노산 206-229를 IFA중의 혼합물로서 피하 전달시켰다. 이들 펩티드는 면역지배적 CD4+ Th 세포 에피토프인 것으로 밝혀졌다 (참조: Brett, S. J., et al. 1991.Journal Immunology147:1647, Brett, S. J., and J. P. Tite. 1996). H-2-결합된 유전자 및 H-2-비결합된 유전자는 CD4+ T 세포에 의한 인플루엔자 핵단백질 에피토프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 (참조:Immunology 87:42). B7-2Ig (0.1% 백반 중의)를 인접 부위에 투여하였다. 예비 연구에서, 펩티드-특이적 증식 반응을 면역화시킨지 3, 5, 7 및 9일 후에 림프절 세포로부터 측정하였다. 반응 역학은 B7-2Ig의 투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최적의 증식 반응은 면역화시킨지 7 및 9일 후에 B7-2Ig 및 대조 처리된 마우스 둘 모두에서 관찰되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펩티드 면역화시에 B7-2Ig로 처리하는 것은 면역화시킨지 9일 후에 수집된 림프절 세포로부터 항원-특이적인 증식 반응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50㎍/ml 펩티드를 사용한 시험관내 재자극의 경우, p=0.014).To determine whether B7-2Ig enhances or inhibits primary T cells for peptide immunization, mice were immunized with peptide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B7-2Ig administration. Class II-restricted peptides amino acids 55-77 and amino acids 206-229 from NP of A / PR / 8/34 influenza virus were delivered subcutaneously as a mixture in IFA. These peptides were found to be immunodominant CD4 + Th cell epitopes (Brett, SJ, et al. 1991. Journal Immunology 147: 1647, Brett, SJ, and JP Tite. 1996). H-2-linked and H-2-unbound genes affect influenza nucleoprotein epitope recognition by CD4 + T cells ( Immunology 87:42 ). B7-2Ig (in 0.1% alum) was administered to adjacent sites. In preliminary studies, peptide-specific proliferative responses were measured from lymph node cells 3, 5, 7 and 9 days after immunization. Response kinetics were not affected by administration of B7-2Ig. Optimal proliferative responses were observed in both B7-2Ig and control mice 7 and 9 days after immunization. As shown in FIG. 1, treatment with B7-2Ig upon peptide immuniz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antigen-specific proliferative responses from lymph node cells collected 9 days after immunization (test with 50 μg / ml peptide). P = 0.014) in case of intubation restimulation.
도 1에서, 그룹 당 5마리의 마우스를, 2개의 클래스 II 제한 펩티드 또는 PBS를 주입할 때 마다 100 ㎍을 함유하는 IFA 에멀션으로 2개의 피하 부위에서 면역화시켰다. 0.1% 백반중의 B7-2IgG2a 100 ㎍ 또는 0.1% 백반만을 면역처리 부위에 인접하는 부위에 투여하였다. 펩티드만으로 면역화시킨 마우스로부터의 림프절 세포 (-O-), B7-2Ig만으로 처리한 마우스로부터의 림프절 세포 (-△-), 또는 B7-2Ig로 처리한 마우스로부터의 림프절 세포 (-■-)를 면역처리 후 9일 째에 채취하고, 면역에 사용된 지시 농도의 2개의 펩티드로 시험관내에서 재자극시켰다. B7-2Ig를 주입하지 않은 펩티드 면역화시킨 마우스를 대조군으로서 백반을 수용케 하였다.3H-티미딘을 혼입시킴으로써 증식을 평가하였다. 데이터는 그룹당 5마리의 마우스의 평균 cpm/웰±SD로 표현하였다. 마우스 IgG2a mAb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도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데이터는 3가지 대표적인 실험중의 하나의 실험으로부터의 데이터이다. 면역없이 수행된 B7-2Ig의 투여는 증식성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는데, 이는 B7-2Ig의 항원 의존성이 일차 면역후에 발생함을 입증한다. 이들 결과는 B7-2Ig의 생체내 투여가 펩티드 면역에 대한 CD4+Th 세포 반응을 증대시킨다는 것을 입증한다.In FIG. 1, five mice per group were immunized at two subcutaneous sites with an IFA emulsion containing 100 μg per injection of two Class II restriction peptides or PBS. Only 100 μg of B7-2IgG2a or 0.1% alum in 0.1% alum were administered to the site adjacent to the immunization site. Lymph node cells (-O-) from mice immunized with peptide alone, lymph node cells from mice treated with B7-2Ig only (-Δ-), or lymph node cells from mice treated with B7-2Ig (-■-) Nine days after the immunizations were taken and re-stimulated in vitro with two peptides of the indicated concentrations used for immunization. Peptide immunized mice not injected with B7-2Ig were allowed to receive alum as a control. Proliferation was assessed by incorporation of 3 H-thymidine. Data is expressed as mean cpm / well ± SD of 5 mice per group.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when mouse IgG2a mAb was used as a control. The data is from one of three representative experiments. Administration of B7-2Ig performed without immunity showed no proliferative response, demonstrating that antigen dependence of B7-2Ig occurs after primary immunit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n vivo administration of B7-2Ig enhances CD4 + Th cell response to peptide immunity.
B7-2Ig는 회상 반응을 증대시킨다B7-2Ig Increases Recall
일차 항원 특이적 증식 반응의 B7-2Ig 의존성 증강이, 증강된 기억 반응을 유발시키는지를 시험하기 위해, 마우스를 B7-2Ig로 처리하거나 처리하지 않으면서 펩티드로 면역화시키고, 추가의 B7-2Ig를 투여하지 않고서 45일 후에 추가로 투여하였다. 이차 면역화시킨 3일 후에 비장세포를 취하고 펩티드 특이적 증식 반응을 측정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차 면역화시에 단일 B7-2Ig 처리를 수용한 마우스는 B7-2Ig를 전혀 수용하지 않은 마우스 (p=0.0006, 100 pg/ml 펩티드로시험관내 재자극) 보다 이차 면역화시킨 후에 보다 더 큰 증식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그룹 당 5마리의 마우스를 펩티드만으로 면역화시키고 (-O-) B7-2Ig만으로 처리하거나 (-△-), 펩티드로 면역화시키고 B7-2Ig로 처리하였다 (-■-). 일차 면역화시킨 후 46일 째에, 펩티드로 면역화시킨 마우스 그룹 둘 모두 B7-2Ig 동시투여 없이 펩티드로 재면역화시켰다. 비면역화시킨 마우스는 IFA 만을 투여했다. 재면역화시킨 후 3일 후에, 비장세포를 면역에 사용된 지시 농도의 2개 펩티드로 각각 시험관내에서 재자극시켰다.3H-티미딘을 혼입시켜 증식을 평가하였다. 데이터는 그룹당 5마리의 마우스의 평균 cpm/웰±SD로 표현하였다. 데이터는 2가지의 반복 실험중의 하나의 실험으로부터의 테이터이다. 이들 데이터는 B7-2Ig가, 일차 T 세포 반응에 대한 보조제로서 사용될 때, 회상 반응을 증대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To test whether B7-2Ig dependent enhancement of the primary antigen specific proliferative response triggers an enhanced memory response, mice are immunized with peptide with or without B7-2Ig and additional B7-2Ig is administered. Additional administration was 45 days later without. Splenocytes were taken 3 days after the second immunization and peptide specific proliferative responses were measured. As shown in FIG. 2, mice that received a single B7-2Ig treatment at the first immunization were secondary immunized than mice that received no B7-2Ig at all (p = 0.0006, in vitro restimulation with 100 pg / ml peptide). Greater proliferative response after the test. Five mice per group were immunized with peptide only and treated with (-O-) B7-2Ig only (-Δ-), immunized with peptide and treated with B7-2Ig (-■-). At 46 days after primary immunization, both groups of mice immunized with peptides were reimmunized with peptides without B7-2Ig coadministration. Non-immunized mice received only IFA. Three days after re-immunization, splenocytes were restimulated in vitro, respectively, with two peptides at the indicated concentrations used for immunization. Proliferation was assessed by incorporation of 3 H-thymidine. Data is expressed as mean cpm / well ± SD of 5 mice per group. Data is data from one of two replicate experiments. These data show that B7-2Ig augments recall responses when used as an adjuvant to primary T cell responses.
B7-2Ig는 Th1 및 Th2 의존성 일차 사이토카인 반응을 증대시킨다.B7-2Ig augments Th1 and Th2 dependent primary cytokine responses.
면역 보조제로서의 B7-2Ig가, Th1 또는 Th2 반응의 전개를 차별적으로 촉진시키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일차 면역화 후에 펩티드 특이적 사이토카인 반응을 면역후 3, 5, 7 및 9일 째에 면역화시킨 마우스의 림프절 세포로부터 분석하였다. 증식 반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최적의 사이토카인 반응을 9일 째에 관찰하였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펩티드에 의한 면역화의 경우 B7-2Ig의 투여는 Th1 결합된 사이토카인 IFN-γ(p=0.017) 및 Th2 결합된 사이토카인 IL-5(p=0.011), 및 IL-13(p=0.002)의 생성 수준을 상당히 증가시켰다. 항원 특이적 사이토카인 생성은 B7-2Ig으로 처리된 면역화된 마우스로부터의 배양물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들결과는 B7-2Ig가 Th1 및 Th2 표현형 둘 모두의 일차적인 T 세포 반응을 증대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To determine if B7-2Ig as an immunoadjuvant differentiall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a Th1 or Th2 response, the mice immunized peptide specific cytokine responses after 3, 5, 7 and 9 post immunization following primary immunization. Analysis from lymph node cells. As in the case of the proliferative response, an optimal cytokine response was observed on day 9. As shown in Table 2, administration of B7-2Ig for immunization with peptides resulted in Th1-bound cytokine IFN-γ (p = 0.017) and Th2-bound cytokine IL-5 (p = 0.011), and IL- The production level of 13 (p = 0.002)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tigen specific cytokine production was not observed in cultures from immunized mice treated with B7-2Ig. These results show that B7-2Ig augments the primary T cell response of both the Th1 and Th2 phenotypes.
B7-2Ig는 클래스 I 제한 펩티드에 대한 반응을 증강시킨다.B7-2Ig enhances the response to class I restriction peptides.
CD28과 막 결합된 B7의 상호작용은 CD4+ 세포의 부재하에 시험관내 CTL 반응이 유도되게 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참고문헌: Harding, F.A. et al., 1993,J Exp Med 177:1791). 일차적인 CTL 반응에 대한 B7-2Ig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마우스를 동시적으로 B7-2Ig를 투여하거나 투여하지 않으면서 IFA의 면역지배적 클래스 I 제한 펩티드로 면역화시켰다. 펩티드 특이적 CTL 반응은 물질 및 방법에 기술된 바와 같은 CTL 검정과 같이, 작은 혈액 샘플을 사용하여 비분별된 말초 혈액 세포로부터 측정하였다. 이러한 검정은 단일 실험으로 다수의 마우스의 분석, 그룹들간의 차이의 통계적인 의미의 평가, 면역 반응의 과정 동안에 개개의 마우스로부터의 반복된 CTL 검정, 및 CTL 반응 및 생체내 결과간의 상관관계의 조사를 가능하게 하였다.The interaction of CD7 with membrane bound B7 has been demonstrated to induce a CTL response in vitro in the absence of CD4 + cells (Harding, FA et al., 1993, J Exp Med 177: 1791) . To test the effect of B7-2Ig on the primary CTL response, mice were immunized with immunodominant Class I restriction peptides of IFA with or without B7-2Ig concurrently. Peptide specific CTL responses were measured from undifferentiated peripheral blood cells using small blood samples, such as the CTL assay as described in Materials and Methods. This assay is a single experiment that analyzes multiple mice, assess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repeated CTL assays from individual mice during the course of the immune response, and investigates the correlation between CTL responses and in vivo results. Made possible.
데이터는 마우스당 하나의 값 (평균적인 특이적 용해)으로 표현하였다 (도 3). 펩티드 (100 ㎍/마우스)는 IFA로 제공하였다. B7-2Ig (0.1% 백반중의 100 ㎍/마우스)을 피하 동시투여하였다. 면역 3주일 후에 수집된 비분별된 혈액으로부터 CTL을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평균적인 특이적 용해 ±SD로 표현하였다. 생바이러스 면역화시킨 그룹에 대한 값은 2마리 마우스의 단일 푸울로부터의 것이며, 9가지의 별도의 실험에서 시험된 18마리의 마우스로부터 얻은 이러한 그룹의 평균적인 특이적 용해는 52±12였다. 그 밖의 모든 그룹에는 그룹당 5마리의 마우스가존재했다. 제시된 데이터는 3회 반복 실험중의 하나의 실험이다. IFA에서 클래스 I 제한된 펩티드에 대한 반응은 기준 수준 이상으로 현저하지 않았다. 이러한 발견은 T 세포 헬프의 부재하에 IFA에서의 클래스 I 제한된 펩티드에 대한 CTL 반응이 기준 수준에 근접한 것을 보여준 문헌 (Fayolle et al. 1991Journal Immunology147:406)의 결과와 일치했다. B7-2Ig를 IFA의 클래스 I 제한 펩티드에 의한 면역화에 투여하였을 경우, 반응에서 작지만 통계학적 유의성(p=0.013)이 있는 증가가 관찰되었다 (도 3). 그러나, 펩티드로 면역화시키고 B7-2Ig를 동시쿠여한 마우스의 펩티드 특이적 CTL 반응의 크기는, 생바이러스로 면역화시킨 마우스의 펩티드 특이적 반응에 비하여 작았다. 따라서, 100㎍ 용량의 B7-2Ig의 동시투여는 클래스 I 제한 펩티드에 의한 면역에 대한 반응을 생바이러스 면역 방법으로 달성된 최대 수준으로 상승시키지 못했다.Data was expressed as one value per mouse (average specific lysis) (FIG. 3). Peptides (100 μg / mouse) served as IFA. B7-2Ig (100 μg / mouse in 0.1% alum) was subcutaneously co-administered. CTLs were determined from unsorted blood collected three weeks after immunization. Data is expressed as mean specific lysis ± SD. The values for the live virus immunized group were from a single pool of two mice, and the average specific lysis of this group from 18 mice tested in nine separate experiments was 52 ± 12. All other groups had 5 mice per group. Data presented is one of three replicates. The response to class I restricted peptides in IFA was not significant above the reference level. This finding was consistent with results from Fayolle et al. 1991 Journal Immunology 147: 406, which showed that the CTL response to class I restricted peptides in IFA in the absence of T cell help. When B7-2Ig was administered for immunization with class I restriction peptides of IFA, a small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response (p = 0.013) was observed (FIG. 3). However, the magnitude of peptide specific CTL response in mice immunized with peptide and co-administered B7-2Ig was smaller than that of mice immunized with live virus. Thus, coadministration of 100 μg doses of B7-2Ig did not elevate the response to immunity by class I restriction peptides to the maximum level achieved by the live viral immunity method.
CTL 반응에서의 최적 B7-2Ig 증대는 T 세포 헬프를 필요로 한다.Optimal B7-2Ig augmentation in the CTL response requires T cell help.
최적의 CTL 반응이 Th 세포에 의존하므로 (참고문헌: Fayolle, C. et al. 1991,Journal Immunology147:4069; Keene, J.A. et al. 1982,J Exp Med155:768; Von Herrath, M.G. et al. 1996J Virol70:1072 and Ossendorp, F. et al. 1998,Journal Experimental Medicine187:693), CTL 반응에 대한 B7-2Ig의 효과는 마우스가 Th 세포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펩티드에 의해 동시 면역화된 조건하에 시험하였다. 마우스를 클래스 I 제한 펩티드만을 함유하거나 도 1 및 2 및 상기 표 1에 제시된 2개의 클래스 II 제한 펩티드와 클래스 I 제한 펩티드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IFA 에멀션으로 면역화시켰다. CTL 반응은 비분획된말초 혈액 세포로부터 측정하였다 (도 4). 펩티드 면역은 IFA내의 단일 에멀션으로서 수행하였다. 마우스를 지시된 바와 같이 면역화시키고 시험하였다. 3주 후, CTL 반응을 말초 혈액으로부터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평균 특이적 용해 ±SD로서 표현하였다. 생바이러스 면역화시킨 그룹에 대한 값은, 2마리 마우스의 단일 푸울로부터의 것이며, 9가지의 별도의 실험에서 시험된 18마리의 마우스로부터 얻은 이러한 그룹의 평균적인 특이적 용해는 52 ±12였다. 그 밖의 모든 그룹에는 그룹당 5마리의 마우스가 존재했다. 백반중의 조절 Ig 및 IFA내의 클래스 II 제한 펩티드를 수용한 그룹의 평균 특이적 용해는, 조절 Ig를 수용한 마우스로부터 공제되었다. 백반중의 B7-2Ig 및 IFA내의 클래스 II 제한 펩티드를 수용한 그룹의 평균 특이적 용해는, B7-2Ig를 수용한 그룹으로 공제되었다. 제시된 데이터는 4회의 반복 실험중의 하나의 실험으로부터의 데이터이다.Since the optimal CTL response depends on Th cells (Ref .: Fayolle, C. et al. 1991, Journal Immunology 147: 4069; Keene, JA et al. 1982, J Exp Med 155: 768; Von Herrath, MG et al 1996 J Virol 70: 1072 and Ossendorp, F. et al. 1998, Journal Experimental Medicine 187: 693), the effect of B7-2Ig on the CTL response was induced by peptides in which mice are known to induce Th cell responses. Tested under concurrent immunized conditions. Mice were immunized with IFA emulsions containing only class I restriction peptides or a mixture of two class II restriction peptides and class I restriction peptides shown in FIGS. 1 and 2 and Table 1 above. CTL response was measured from unfractionated peripheral blood cells (FIG. 4). Peptide immunization was performed as a single emulsion in IFA. Mice were immunized and tested as indicated. After 3 weeks, the CTL response was measured from peripheral blood. Data are expressed as mean specific lysis ± SD. The values for the live virus immunized groups were from a single pool of two mice and the average specific lysis of this group from 18 mice tested in nine separate experiments was 52 ± 12. All other groups had 5 mice per group. Mean specific lysis of the group that received the regulatory Ig and the class II restriction peptides in the IFA in the alum were subtracted from the mice that received the regulatory Ig. Mean specific lysis of the group containing B7-2Ig and class II restriction peptides in IFA in the alum were subtracted from the group containing B7-2Ig. Data presented are data from one of four replicate experiments.
클래스 I 및 클래스 II 제한 펩티드의 혼합물로 면역화시킨 마우스로부터의 세포의 평균 특이적 용해는, 클래스 I 제한 펩티드 단독으로 면역화시킨 마우스로부터의 세포의 용해 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제시된 실험에서 p=0.046 및 반복 실험에서 0.004). 클래스 I 제한 펩티드와 클래스 II 제한 펩티드의 혼합물에 의한 면역 및 100 ㎍의 B7-2Ig에 의한 처리는, B7-2Ig를 수용하지 않은 펩티드 면역화시킨 마우스로부터의 평균 특이적 용해 보다 현저하게 큰 평균 특이적 용해를 나타냈다 (4회의 반복 실험에서 p=0.003, p=0.0001, p=0.045 및 p=0.0012). 이러한 반응은, B7-2Ig의 용량이 200 ㎍/마우스로 2배 증가되었을 때는 증가되지 않았는데, 이는 100 ㎍ 용량이 최대 B7-2Ig 의존성 증대를 야기시킴을 나타냈다.Mean specific lysis of cells from mice immunized with a mixture of class I and class II restriction peptid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ysis of cells from mice immunized with class I restriction peptides alone (p = 0.046 and repetition in the experiments presented). 0.004 in the experiment). Immunization with a mixture of class I restriction peptides and class II restriction peptides and treatment with 100 μg of B7-2Ig resulted in significantly greater mean specificity than average specific lysis from peptide immunized mice that did not receive B7-2Ig. Dissolution was shown (p = 0.003, p = 0.0001, p = 0.045 and p = 0.0012 in 4 replicate experiments). This response did not increase when the dose of B7-2Ig was doubled to 200 μg / mouse, indicating that the 100 μg dose caused a maximum increase in B7-2Ig dependency.
B7-2Ig 처리와 함께 상기 펩티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면역화의 조합은, 생바이러스로의 면역화 후에 유도된 것과 유사한 정도로 펩티드-특이적 CTL 반응을 초래하였다. 평균 특이적 용해 값인 52±12는, 9개의 개별적인 실험에서 18마리의 생바이러스 면역화시킨 마우스로부터 얻은 값을 평균하여 수득한 것으로서, 이는 소량의 말초혈 샘플 CTL 검정의 재현성과, T 세포 헬프 (help) 및 B7-2Ig의 존재하에서의 펩티드 면역화가 효율적인 생바이러스 면역화법에 의해 유도된 것과 필적할만한 반응을 유도한다는 결론의 타당성을 입증한다. 말초혈 세포로부터 검출된 CTL 반응은 생바이러스로 면역화된 마우스 및 펩티드로 면역화되고 B7-2Ig로 처리된 마우스 모두에서 2 내지 3주에 최고였고, 5주 경과후 약해졌다. 이는 다시 한번 이들 반응의 유사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하기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펩티드 혼합물로 면역화되고 B7-2Ig로 처리된 마우스는 치명적인 바이러스 시험감염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하였다.The combination of immunizations using a mixture of these peptides with B7-2Ig treatment resulted in a peptide-specific CTL response to a similar extent as induced after immunization with live virus. The mean specific lysis value, 52 ± 12, was obtained by averaging the values obtained from 18 live virus immunized mice in 9 separate experiments, which is a reproducibility of a small amount of peripheral blood sample CTL assay and the T cell help (help ) And the conclusion that the peptide immunization in the presence of B7-2Ig elicits a response comparable to that induced by efficient live viral immunization. CTL responses detected from peripheral blood cells were highest at 2-3 weeks in both mice immunized with live virus and mice treated with B7-2Ig and weakened after 5 weeks. This again suggests the similarity of these reactions. However, as discussed below, mice immunized with peptide mixtures and treated with B7-2Ig were not protected from lethal viral challenge.
도 3 및 4의 데이타는, 그 자체로 임상적으로 인정된 면역 보조제 (참고문헌: Aprile, M.A. et al., 1966,Can J Public Health 57:343)인 0.1% 백반중에서 제형된 B7-2Ig을 사용하여 나타난 것이다. 백반 단독 또는 백반 중의 조절 Ig의 투여는 항 펩티드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백반 중의 제형은 B7-2Ig 의존성 면역 증강에 요구되지 않았다. 백반 중의 B7-2Ig의 효과를 PBS 중의 B7-2Ig의 효과와 직접 비교한 경우, CTL 반응의 큰 증강이, B7-2Ig이 백반 중에 투여되었을 때 관찰되었다 (38 ±12와 비교하여, 백반을 사용한 평균 특이적 용해 값은 72 ±13임, p=0.007).The data in FIGS. 3 and 4 show B7-2Ig formulated in 0.1% alum, which is itself a clinically recognized immune adjuvant (April, MA et al., 1966, Can J Public Health 57: 343 ). Will appear. Administration of alum alone or control Ig in alum did not affect the anti-peptide response, and formulation in alum was not required for B7-2Ig dependent immune boosting. When comparing the effects of B7-2Ig in alum directly with the effect of B7-2Ig in PBS, a large enhancement of the CTL response was observed when B7-2Ig was administered in alum (compared to 38 ± 12 Mean specific dissolution value is 72 ± 13, p = 0.007).
최적 항원 특이적 활성화 및 T 세포 조절은 APC 표면 상의 B7 분자로부터 T 세포 표면 상의 CD28 및 CTLA-4로의 공동자극 신호의 전달을 필요로 한다 (참조: Boussiotis, V.A., et al., 1996,Immunol Rev 153:5; Lenschow, D.J. et al. 1996,Annual Review Immunology 14:233; Green, J. M. Et al. 1994.Immunity 1:501; Tivol, E.A. et al. 1995,Immunity3:541 and Waterhouse, P., 1995,Sceience270:985). 다수의 마우스 모델 시험으로, 면역 반응이 B7의 증가된 세포 표면 발현에 의해 증강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에서, B7 발현에서의 증가는 종양세포 형질도입 (참고문헌: Basker, S. et al. 1993;Proc Natl Acad Sci USA 90:5687; Cavallo, F. et al. 1995, EurJ Immunol 25:1154; Coughlin, C. M. et al. 1995,Cancer Research 55:4980; Chen, L., et al. 1992,Cell 71:1093;Chen, L. et al. 1994,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179:523; Gajewski, T.F. et al. 1996,J Immunol 8:2909; Yang, G. et al. 1995,Journal of Immunology 154:279and Dunussi-Joannopoulos K, et al. 1996,Blood 87:2938), cDNA 주입(Kim, J. J. et al. 1997,Nat Biotechnol 15: 641; Kim, J.J. et al. 1998,Vaccine Nov; 16:1828and Horspool, J.H. et al. 1998,J Immunol 160:2706), 또는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한 감염 (참고문헌: Chamberlain, R.S. et al. 1996,Cancer Res 56:2832; Emtage, P.C. et al. 1998,J Immunol 160:2531; Hodge, J.W. et al. 1994,Cancer Res 54:5552and Putzer, B. M. et al. 1997,Proc Natl Acad Sci USA 94:10889)에 의해 유도되었다. 생체내 B7의 수준을 증가시키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각각의 Ig 사슬에 결합된 B7-2의 세포외 부분과 융합된 마우스 IgG2a의 Fx로 이루어진, B7-2, B7-2Ig의 가용성 단백질 형태가 개발되었다. B8-2Ig의 생체내 투여는 항원 특이적 Th 세포 및 CTL 반응을 증강시킨다. 따라서, B7-2Ig의 생체내 투여는 종양세포의 생시험관내 B7 형질도입 또는 B7-2 매개된 공동자극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바이러스 또는 DNA 벡터의 사용에 대한 간단한 대안을 제공한다.Optimal antigen specific activation and T cell regulation require the transmission of costimulatory signals from B7 molecules on the APC surface to CD28 and CTLA-4 on the T cell surface (B Boussiotis, VA, et al., 1996, Immunol Rev 153: 5 ; Lenschow, DJ et al. 1996, Annual Review Immunology 14: 233 ; Green, JM et al. 1994. Immunity 1: 501 ; Tivol, EA et al. 1995, Immunity 3: 541 and Waterhouse, P., 1995, Sceience 270: 985). Numerous mouse model tests have shown that immune responses can be enhanced by increased cell surface expression of B7. In these studies, an increase in B7 expression was observed in tumor cell transduction (Bassker, S. et al. 1993; Proc Natl Acad Sci USA 90: 5687 ; Cavallo, F. et al. 1995, Eur J Immunol 25: 1154 ; Coughlin, CM et al. 1995, Cancer Research 55: 4980 ; Chen, L., et al. 1992, Cell 71: 1093; Chen, L. et al. 1994,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179: 523 ; Gajewski, TF et al. 1996, J Immunol 8: 2909 ; Yang, G. et al. 1995, Journal of Immunology 154: 279 and Dunussi-Joannopoulos K, et al. 1996, Blood 87: 2938 ), cDNA injection (Kim, JJ et al. 1997, Nat Biotechnol 15: 641 ; Kim, JJ et al. 1998, Vaccine Nov; 16: 1828 and Horspool, JH et al. 1998, J Immunol 160: 2706 ), or infection with a viral vector (Ref. : Chamberlain, RS et al. 1996, Cancer Res 56: 2832 ; Emtage, PC et al. 1998, J Immunol 160: 2531 ; Hodge, JW et al. 1994, Cancer Res 54: 5552 and Putzer, BM et al. 1997 , Proc Natl Acad Sci USA 94: 10889 ). Using another method to increase the level of B7 in vivo, the solubility of B7-2, B7-2Ig, consisting of the Fx of mouse IgG2a fused with the extracellular portion of B7-2 bound to each Ig chain Protein forms have been developed. In vivo administration of B8-2Ig enhances antigen specific Th cells and CTL responses. Thus, in vivo administration of B7-2Ig provides a simple alternative to the use of viral or DNA vectors to optimize B7 transduction or B7-2 mediated costimulation in vivo of tumor cells.
감염 및 자가면역 질환의 발병은 Th 세포를 반응시키므로써 생성된 사이토카인의 패턴에 의해 크게 영향 받을 수 있기 때문에, B7 경로가 Th1 또는 Th2 타입 사이토카인 반응중 어느 하나쪽으로 스큐잉(skewing)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지를 결정하는데 가치가 있다 (참조: Kuchroo, V.K. et al. 1995,Cell 80:10; Lenschow, D.J. et al. 1995,J Exp Med 181:1145; Corry,, D.B. et al 1994,J Immunol 153:4142; Freeman, G.J. et al. 1995,Immunity 2:523; Schweitzer, A.N. et al. 1997,J Immunol 2 158:713; Rulifson, I.C. et al. 1997,J Immunol 158:658and McAdam, A. J. et al. 1998Immunol Rev 165:231). 많은 실험적 시스템은, Th2 분화가 Th1 분화보다 B7 공동자극에 보다 의존적임을 시사한다 (참조: Lenschow, D.J. et al. 1995,J Exp Med 181:1145; Corry, D.B. et al. 1994,J Immunol 153:4142; Freeman, G.J. et al. 1995,Immunity 2:523and Rulifson, I.C., A. et al. 1997,J Immunol 158:658). 항-B7 mAb은 생체내 T 세포 분화를 조작하는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B7-1의 mAb로의 차단은 Th2 분화를 유리하게 하는 반면, B7-2의 차단은 Th1분화를 유리하게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참조: Kuchroo, V.K. et al. 1995,Cell 80:Mar 10(5):; Lenschow, D.J. et al. 1995,JExp Med 181:1145; Corry, D.B. et al. 1994,J Immunol 152:4142; Freeman, G.J. et al. 1995,Immunity 2:523and Rulifson, I.c. et al. 1997,J Immunol 158:658). 대조적으로, B7 유전자파괴 마우스로부터 APC를 사용하여, 슈바이처 등은 B7-1과 B7-2 어느 것도 시험관내 Th1 또는 Th2 분화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을 발견하였다 (참조: Schweitzer, A. N. et al. 1997,J. Immunol 2 158:713). 이러한 실시예로부터의 데이타는 B7-2Ig의 시험관내 투여가 Th1 및 Th2 타입 모두의 항원 특이적 사이토카인 반응을 증강시킴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치료적 효능이 있는 B7-2Ig는 스큐잉이 아닌 반응의 상승이 목표인 상황에서 최대가 될 것이다.Since the development of infections and autoimmune diseases can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pattern of cytokines produced by reacting Th cells, the B7 pathway can be used to skew towards either a Th1 or Th2 type cytokine response. It is worth deciding whether it can be used (Kuchroo, VK et al. 1995, Cell 80:10 ; Lenschow, DJ et al. 1995, J Exp Med 181: 1145 ; Corry ,, DB et al 1994, J Immunol 153 : 4142 ; Freeman, GJ et al. 1995, Immunity 2: 523 ; Schweitzer, AN et al. 1997, J Immunol 2 158: 713 ; Rulifson, IC et al. 1997, J Immunol 158: 658 and McAdam, AJ et al 1998 Immunol Rev 165: 231) . Many experimental systems suggest that Th2 differentiation is more dependent on B7 costimulation than Th1 differentiation (Lenschow, DJ et al. 1995, J Exp Med 181: 1145 ; Corry, DB et al. 1994, J Immunol 153: 4142 ; Freeman, GJ et al. 1995, Immunity 2: 523 and Rulifson, IC, A. et al. 1997, J Immunol 158: 658) . Anti-B7 mAbs have been used successfully to manipulate T cell differentiation in vivo. Blocking of B7-1 to mAb favors Th2 differentiation, while blocking of B7-2 has been reported to favor Th1 differentiation (Kuchroo, VK et al. 1995, Cell 80: Mar 10 (5) Lenschow, DJ et al. 1995, JExp Med 181: 1145 ; Corry, DB et al. 1994, J Immunol 152: 4142 ; Freeman, GJ et al. 1995, Immunity 2: 523 and Rulifson, Ic et al. 1997 , J Immunol 158: 658) . In contrast, using APC from B7 transgenic mice, Schweitzer et al. Found that neither B7-1 nor B7-2 appears to selectively regulate Th1 or Th2 differentiation in vitro (see Schweitzer, AN et al. 1997, J. Immunol 2 158: 713) . Data from this example showed that in vitro administration of B7-2Ig augmented antigen specific cytokine responses of both Th1 and Th2 types. Therefore, therapeutically effective B7-2Ig will be maximal in situations where the goal is to raise response rather than skew.
CTL 반응에 대한 B7-2Ig의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생바이러스로 면역화된 마우스로부터의 동일한 펩티드로 도출된 반응에 대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PR/8/34의 NP로부터의 펩티드로 도출된 펩티드 특이적 CTL 반응을 비교하였다. B7 2Ig 처리는 IFA에서의 제 1류 제한된 펩티드에 대한 반응의 작으나 뚜렷한 증강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데이타는 외인성 헬프의 부재하에서, B7으로 트랜스펙션된 종양세포가 시험관내 CTL 반응의 생성에 충분함을 입증하는 데이터와 일치한다 (참조: Harding, F.A. et al. 1993,J Exp Med 177:1791).To test the effect of B7-2Ig on the CTL response, peptide specific derived with peptide from NP of influenza virus A / PR / 8/34 for the response derived with the same peptide from live virus immunized mice CTL reactions were compared. B7 2Ig treatment resulted in a small but marked enhancement of the response to class 1 restricted peptides in IFA. These data are consistent with data demonstrating that in the absence of exogenous help, tumor cells transfected with B7 are sufficient for the generation of in vitro CTL responses (Harding, FA et al. 1993, J Exp Med 177: 1791) .
그러나, B7-2Ig 증강된 반응은 생바이러스로 면역화된 마우스의 동일 펩티드에 대한 CTL 반응보다 현저히 낮았다. 이러한 데이타는 이들 마우스가 제 I류 제한된 펩티드 면역화 및 B7-2Ig동시 투여에 의해 유도된 반응보다 훨씬 더 큰 항 펩티드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However, the B7-2Ig enhanced respons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TL response to the same peptide in mice immunized with live virus. These data show that these mice can induce a much larger anti-peptide response than the response induced by class I restricted peptide immunization and B7-2Ig simultaneous administration.
클래스 I 제한 펩티드에 대한 반응을 추가로 증강시키기 위한 시도에서, 클래스 I 제한 CTL 펩티드 항원을 함유하는 IFA 에멀션에 T 세포, 클래스 II 제한 펩티드 항원의 첨가 효과를 조사하였다. 최적 CTL 반응이 Th 세포에 의존하는 것은 이미 보고된 바 있다 (참조: Fayolle, c. et al. 1991,Journal Immunology 147:4069; Keene, J.A. et al. 1982,J Exp Med 155:768; von Herrath, M.G. 1996,J Virol 70:1072and Ossendorp, F. et al. 1998Journal Experimental Medicine 187:693). CTL 반응은 클래스 I 및 클래스 II 제한 펩티드 둘 모두로 면역화시킨 마우스에 현저히 상승하였다. 이들 데이터는 펩티드 항원에 대한 CTL 반응의 헬프가 Th 세포 항원으로의 동시 면역화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CTL과 Th 펩티드 에피토프 간의 공유 결합은 요구되지 않는데, 이는 어떠한 면역원성 단백질도 공동 면역원으로서 사용되어 CTL 반응을 위한 헬프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론은 추가로 제 I류 제한된 펩티드를 함유하는 IFA 에멀션으로의 KLH의 첨가가 펩티드 특이적 CTL 반응의 현저한 증강을 초래한다는 본 발명자들의 발견에 의해 지지된다.In an attempt to further enhance the response to class I restricted peptides,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T cells, class II restricted peptide antigens to IFA emulsions containing class I restricted CTL peptide antigens was investigated. It has already been reported that the optimal CTL response depends on Th cells (Fayolle, c. Et al. 1991, Journal Immunology 147: 4069 ; Keene, JA et al. 1982, J Exp Med 155: 768 ; von Herrath) , MG 1996, J Virol 70: 1072 and Ossendorp, F. et al. 1998 Journal Experimental Medicine 187: 693 ). CTL responses were markedly elevated in mice immunized with both class I and class II restriction peptides. These data indicate that help of CTL responses to peptide antigens can be provided by simultaneous immunization with Th cell antigens. Covalent linkages between CTL and Th peptide epitopes are not required, suggesting that any immunogenic protein can be used as a co-immunogen to provide help for the CTL response. This conclusion is further supported by the inventors' finding that the addition of KLH to IFA emulsions containing class I restricted peptides resulted in a significant enhancement of peptide specific CTL responses.
증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클래스 I 및 클래스 Ⅱ 제한 펩티드로 면역화시킨 마우스의 펩티드 특이적 CTL 반응은, 생바이러스로 면역화시킨 마우스의 것보다 덜하다. 상기 프로토콜에 B7-2Ig의 첨가는, 펩티드의 혼합물로 면역화된 마우스의 CTL 반응을 생바이러스로 면역화된 마우스의 수준으로 증가시켰다. 이들 두 그룹의 반응은 필적할 만하나, 전자의 그룹은 바이러스 치명적인 바이러스 시험접종으로부터 보호받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로손 등의 결과와 일치하는데 (참조:Lawson, c.M. et al. 1994,Journal Virology 68:3505), 로손 등은 펩티드를 발현시키는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투여함에 의해 본 연구에 사용된 동일 펩티드에 대해 왕성한 CTL 반응을 유도하였다. 현 시점에 따르면, 이러한 펩티드 단독에 대한 왕성한 CTL 반응은, BALB/c 마우스에 보호성 명역원성을 부여하는데 충분하지 않았다.Despite enhanced, the peptide specific CTL response of mice immunized with class I and class II restriction peptides is less than that of mice immunized with live virus. The addition of B7-2Ig to the protocol increased the CTL response of mice immunized with a mixture of peptides to the level of mice immunized with live virus. The response of these two groups is comparable, but the former group was not protected from viral lethal viral challenge.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Lawson et al. (Lawson, cM et al. 1994, Journal Virology 68: 3505 ), Lawson et al. Used the same peptide used in this study by administering a recombinant vaccinia virus expressing the peptide. Vigorous CTL response was in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point, a strong CTL response to this peptide alone was not sufficient to confer protective immunogenicity to BALB / c mice.
B7-2Ig의 면역 증강 효과에 요구되지 않지만, 백반 중의 제형은 PBS 중의 제형보다는 더 크게 증강시킨다. 백반 중의 대조군 Ig의 투여는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이는 백반 단독으로는 반응을 증강시키지 않음을 시사한다.Although not required for the immune enhancing effect of B7-2Ig, the formulation in alum is significantly enhanced than that in PBS. Administration of control Ig in alum did not affect the response, suggesting that alum alone did not enhance the response.
생바이러스로의 감염은, 클래스 I 제한 반응의 활성화를 위한 자연적이고 효과적인 경로이다 (참조: Zinkernagel, R.M. et al. 1979,Adv Immunol 27:51). 그러므로, 필적할만한 항펩티드 반응이 생바이러스로 면역화시킨 마우스 및 클래스 I 및 클래스 II 제한 펩티드의 혼합된 에멀션으로 면역화시킨 B7-2Ig 처리 마우스로부터 수득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본원에 제시된 데이타는, 후자의 면역화 프로토콜의 효능을 확증시킨다. 최근에는, 클래스 I 제한 펩티드에 대한 CTL 반응의 유도가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Infection with live viruses is a natural and effective route for the activation of class I restriction responses (Zinkernagel, RM et al. 1979, Adv Immunol 27:51) . Therefore, the data presented herein showing that comparable antipeptide responses can be obtained from mice immunized with live virus and from B7-2Ig treated mice immunized with a mixed emulsion of class I and class II restriction peptides, the latter immunization Confirm the efficacy of the protocol. In recent years, induction of CTL responses to class I restriction peptides has been of great interest.
사람 CTL이 마우스 CTL과 유사하게 클래스 I 제한 종양관련 펩티드를 인식한다는 최근의 증거들은, 이들 펩티드에 대한 CTL 반응이 사람의 종양에 대해 유효한 것으로 입증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참조: van der Bruggen, P. et al., 1991, Science 254: 1643; Wolfel, T. et al., 1993, Int. J Cancer 55: 237; Mauerer, M.. J. 1996, Melanoma Res 6: 11; Cormier, J. N. et al., 1997, Cancer J Sci Am3: 37; Apostolopoulos, V. et al., 1997, J. Immunology 159: 5211; Rosenberg, S. A. 1998, Nature Medicine 4: 321 및 Nestle, F. O. et al., 1998, Nature Medicine 4: 328). 이러한 가능성은 클래스 I 제한 펩티드 백신에 대한 반응을 최적화하는 면역접종 프로토콜을 고안하기 위한 강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였다. 재조합 바이러스 및 세균에 미니유전자의 삽입, 펩티드 올리고머화, 지질 변형, cDNA 면역접종, 보조제로서 독소 및 사이토카인의 사용, 및 항원 펄스화된 수지상 세포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다양한 방법에서 성공이 보고되었다 (참조: Allsopp, C. E. et al., 1996, European Journal of Immunology 26: 1951; Rotzschke, O et al., 1997, Proc Natl Acad Sci USA 94: 14642; Alving, C. A. et al., 1995, Immunological Reviews 145: 1; Ciernik, I. F. et al., 1996, J Immunol 156:2369; Porgador, A. et al., 1997, Journal of Immunology 158: 834; Noguchi Y. et al. 1995,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USA 92: 2219 및 Takahashi H. et al. 1992, International Immunology 5: 849). 본원에서 보고된 방법의 장점은, 추가 변형의 필요 없이 임의의 펩티드에 일률적으로 적용가능하고 클래스 I 및 클래스 I 제한 반응 모두에 유효하다는 것이다.Recent evidence that human CTLs recognize class I restricted tumor-associated peptides similarly to mouse CTLs suggested that CTL responses to these peptides could be demonstrated to be effective against human tumors (see van der Bruggen, P. et al., 1991, Science 254: 1643; Wolfel, T. et al., 1993, Int. J Cancer 55: 237; Mauerer, M. J. 1996, Melanoma Res 6: 11; Cormier, JN et al., 1997, Cancer J Sci Am 3: 37; Apostolopoulos, V. et al., 1997, J. Immunology 159: 5211; Rosenberg, SA 1998, Nature Medicine 4: 321 and Nestle, FO et al., 1998, Nature Medicine 4: 328). This possibility has spurred a strong effort to devise an immunization protocol that optimizes the response to class I restricted peptide vaccines. Success has been reported in a wide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insertion of minigenes into recombinant viruses and bacteria, peptide oligomerization, lipid modification, cDNA immunization, use of toxins and cytokines as adjuvants, and antigen pulsed dendritic cells (see : Allsopp, CE et al., 1996, European Journal of Immunology 26: 1951; Rotzschke, O et al., 1997, Proc Natl Acad Sci USA 94: 14642; Alving, CA et al., 1995, Immunological Reviews 145: 1 ; Ciernik, IF et al., 1996, J Immunol 156: 2369; Porgador, A. et al., 1997, Journal of Immunology 158: 834; Noguchi Y. et al. 1995,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USA 92: 2219 and Takahashi H. et al. 1992, International Immunology 5: 849). An advantage of the methods reported herein is that they are uniformly applicable to any peptide without the need for further modifications and are effective for both class I and class I restriction reactions.
펩티드 면역화와 함께 B7-2Ig의 공동투여는 비교적 불량한 클래스 I 제한 펩티드 반응을, 생바이러스 면역접종으로부터 얻어진 반응과 대등한 수준으로 상승시켜 가용성 형태의 B7-2 단백질이 다른 불량한 면역원에 대한 반응을 증강시킬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발견은 가용성 단백질 형태의 B7-2가, 면역계가 비효과적으로 반응하는 암 또는 염증성 질환 치료에서 항원 특이적 면역 반응을 증강시킬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Coadministration of B7-2Ig with peptide immunization raises relatively poor class I restriction peptide responses to levels comparable to those obtained from live viral immunization, enhancing the response of soluble forms of B7-2 protein to other poor immunogens Suggests that you can. This finding indicates that soluble protein form B7-2 can enhance antigen specific immune responses in the treatment of cancer or inflammatory diseases in which the immune system responds ineffectively.
표 I. Th 사이토카인 반응의 B7-2Ig 의존적 증강a Table I. B7-2Ig dependent enhancement of Th cytokine response a
시험관내 재자극시 사이토카인의 발현Expression of Cytokines During In Vitro Restimulation
a그룹 당 5마리 마우스를 클래스 II 제한 2개의 펩티드 각각을 주사액당 100 ㎍ 함유하거나 PBS를 함유하는 IFA 에멀션으로 2개 피하 부위에 면역화시켰다. 0.1% 백반중 B7-2IgG2a 100 ㎍ 또는 0.1% 백반 단독을 면역화 부위에 인접한 부위에 투여하였다. 9일 후에, 림프절 세포를 수집하여 각 펩티드 5 ㎍/ml로 3일간 배양시 재자극하였다. 각 마우스에 대한 값은 3배수의 웰로부터의 결과를 평균하여 수득했다. 데이터는 군±SD내의 마우스 사이토카인 평균 농도로 나타냈다. 결과는 대조 마우스 IgG2a mAb를 대조로서 사용한 경우에 얻어진 것과 유사했다. 제시된 데이터는 3회 반복 실험중 하나로부터 얻은 것이다.b검정의 검출 한계 미만.5 mice per group for a class II restriction 2 were immunized with each of the peptides in two subcutaneous sites with IFA emulsion contains an ㎍ 100 PBS per injection. 100 μg of B7-2IgG2a in 0.1% alum or 0.1% alum alone was administered to the site adjacent to the immunization site. After 9 days, lymph node cells were collected and restimulated upon incubation for 3 days with 5 μg / ml of each peptide. Values for each mouse were obtained by averaging the results from triplicate wells. Data are expressed as mean mouse cytokine concentrations in group ± SD. Th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btained when the control mouse IgG2a mAb was used as a control. Data presented are from one of three replicates. b Below detection limit of the test.
실시예 2. B7-IgG 융합 단백질은 항종양 면역 반응을 증강시키고 유발된 종양의 회복을 유도한다.Example 2 B7-IgG Fusion Proteins Enhance Anti-tumor Immune Responses and Induce Recovery of Induced Tumors
B7-1 또는 B7-2의 세포외 영역과 IgG.2a간의 융합 단백질을, 불량한 면역원성 흑색종 B16/F10을 포함하는 4개의 상이한 쥐과동물 종양 모델에서 항종양 반응을 증강시키는 능력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B7-1 또는 B7-2-IgG와 혼합시 조사된종양세포를 사용한 단일 면역화는 활발한 종양 공격에 대해 마우스를 보호하였다. 보다 현저하게, 7일 유발된 종양은 B7-IgG와 혼합된 조사된 종양세포로 백신화 후에 회복되었다. 심지어 B7-IgG 단독의 치료적 투여가, 종양의 유사한 경감을 달성하였다. 확립된 종양을 거부한 동물들은, 재유발에 대해 내성이었으며, 이는 B7-IgG의 항종양 효과가 종양 특이적 면역 메카니즘에 의해 매개됨을 시사했다. 또한, B7-1 또는 B7-2-IgG와 혼합시킨 조사된 종양세포를 사용한 단일 백신화가, 종양 관련 항원에 대한 CD8 반응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B7-IgG는 외인성으로 전달된 항원 및 내인성 항원과 배합하여 강력한 보조제 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발견은 항종양 및 항바이러스 반응을 증강시키는 B7-IgG에 대한 임상적 가치를 제시한다.Fusion proteins between the extracellular region of B7-1 or B7-2 and IgG.2a were evaluated for their ability to enhance antitumor response in four different murine tumor models, including poor immunogenic melanoma B16 / F10. . Single immunization with irradiated tumor cells in combination with B7-1 or B7-2-IgG protected mice against active tumor attack. More significantly, the 7-day induced tumors recovered after vaccination with irradiated tumor cells mixed with B7-IgG. Even therapeutic administration of B7-IgG alone achieved similar relief of tumors. Animals that rejected established tumors were resistant to recurrence, suggesting that the antitumor effect of B7-IgG is mediated by tumor specific immune mechanisms. In addition, single vaccination with irradiated tumor cells mixed with B7-1 or B7-2-IgG resulted in a CD8 response to tumor associated antigens. Thus, B7-IgG showed potent adjuvant activity in combination with exogenously delivered antigens and endogenous antigens. This finding suggests clinical value for B7-IgG that enhances antitumor and antiviral responses.
실시예 2에 사용된 재료 및 방법Materials and Methods Used in Example 2
쥐과동물 B7-1-IgGIgG 및 B7-2-IgG2a 융합 단백질용 발현 플라스미드는, 시그널 및 쥐과동물 B7-1 또는 B7-2의 세포외 도메인을 엔코딩하는 DNA를, 쥐과 동물 IgG2a 항체로부터 유래하는 힌지-CH2-CH3 도메인을 엔코딩하는 DNA와 결합시킴으로써 제작하였다. 항체 힌지 영역내에 잔류하는 시스테인 잔기는 제조된 B7-1-IgGIgG2a 또는 mB7-2-IgG2a가 이량체이고 2가가 되도록 보존되었다. 고친화성 Fc 수용체에 의한 결합 및 보체 활성화를 방지하도록 IgG2a 영역이 돌연변이된 융합 단백질이 생성되었다(B7-IgG2mut로 지정). CH2 도메인의 하기 아미노산 잔기는 알라닌에 의해 치환되었다: #235 위치의 류신, #318 위치의 글루탐산, #320 위치의 리신, #322 위치의 리신. B7-IgG 단백질의 제조를 위해, 플라스미드를 CHO 세포주에서 발현시키고 단백질을 분리하였다.Expression plasmids for the murine B7-1-IgGIgG and B7-2-IgG2a fusion proteins are hinges derived from murine IgG2a antibodies for DNA encoding signals and extracellular domains of murine B7-1 or B7-2. It was constructed by binding the CH2-CH3 domain with DNA encoding. Cysteine residues remaining in the antibody hinge region were preserved such that the prepared B7-1-IgGIgG2a or mB7-2-IgG2a is dimer and divalent. Fusion proteins with mutated IgG2a regions were generated (designated B7-IgG2mut) to prevent binding and complement activation by high affinity Fc receptors. The following amino acid residues in the CH2 domain were substituted by alanine: leucine at position # 235, glutamic acid at position # 318, lysine at position # 320, lysine at position # 322. For the preparation of B7-IgG protein, the plasmid was expressed in CHO cell line and the protein was isolated.
P815는 DBA/2 마우스(잭슨 라보라토리스(Jackson Laboratories))에 5X104개 세포를 피내(i.d.) 주사한 후 고형 종양으로 성장하는 비만세포종 유래의 종양세포주이다. 이 실험에 사용된 클론은 i.d. 주사후에 자연적으로 전이하여 25 내지 35일 후에 마우스의 사망을 초래한다. Balb/C 마우스의 육종에서 유래하는 종양세포주인 메트 A(Meth A)는 5X105개 세포를 피내(i.d.) 주사한 후 고형 종양으로 성장한다(타코닉(Taconic)사의 Balb/C 마우스). C57BL/6 마우스(타코닉)의 흑색종에서 유래하는 비면역원성 종양주인 B16/F10은 5X105개 세포를 피내(i.d.) 주사한 후 고형 종양으로 성장하고 25 내지 35일 후에 전이로 인해 사망을 초래한다. 방광 암종 MB49도 C57BL/6 마우스로부터 유래되며 5X105개 세포를 피내 주사하여 5 내지 7일 후에 100%의 마우스에서 고형 종양을 유발시켰다.P815 is a tumor cell line derived from mastocytoma growing into a solid tumor after intradermal (id) injection of 5 × 10 4 cells into a DBA / 2 mouse (Jackson Laboratories). The clones used in this experiment naturally metastasized after id injection resulting in death of mice 25 to 35 days later. Meth A, a tumor cell line derived from sarcoma of Balb / C mice, grows into solid tumors after intradermal (id) injection of 5 × 10 5 cells (Taconic Balb / C mice). B16 / F10, a non-immunogenic tumor line derived from melanoma of C57BL / 6 mice (Taconic), grows into solid tumors after intradermal (id) injection of 5X10 5 cells and dies due to metastasis 25 to 35 days later Cause. Bladder carcinoma MB49 is also derived from C57BL / 6 mice and induced solid tumors in 100% of mice 5-7 days after intradermal injection of 5 × 10 5 cells.
시험관내 공동자극 검정In vitro co-stimulation test
2X105개의 비처리 (naive) 쥐과동물 비장세포를 저농도의 항-CD3 mAb (0 내지 500ng-ml의 -2C11, 파밍겐 (Pharmingen))이 코팅된 96-웰 플레이트에 3배수로 플레이팅하였다. 공동자극을 위해 필요한 시그널을 제공하기 위하여 플레이트를 양성 대조로서 항-CD28 mAb (0 내지 1㎍/ml)로 공동코팅하거나, B7-1-IgG 또는 B7-2-IgG (0 내지 9㎍/ml)로 공동코팅하였다. 또한, B7-IgG는 가용성 형태로 첨가되거나 2차 항-마우스 IgG2a Ab에 의해 가교되었다. 비장세포를 72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IFN-γ분석을 위해 분취량의 상층액을 제거하였고 세포를 H3-티미딘으로 8시간 동안 펄스화하였다. IFN-γ분석은 포획 Ab R46A4 및 비오틴화된 XGM1.2을 검출 Ab로서 사용하여 표준 ELISA로 수행하였다.2 × 10 5 naive murine spleen cells were plated in triplicate in 96-well plates coated with low concentrations of anti-CD3 mAb (0-500 ng-ml −2C11, Pharmingen). Plates were co-coated with anti-CD28 mAb (0-1 μg / ml) as a positive control to provide the signals needed for costimulation, or B7-1-IgG or B7-2-IgG (0-9 μg / ml). Co-coated). In addition, B7-IgG was added in soluble form or crosslinked by secondary anti-mouse IgG2a Ab. Splenocytes were stimulated for 72 hours. Aliquots of supernatants were removed for IFN- [gamma] analysis and cells were pulsed with H 3 -thymidine for 8 hours. IFN- [gamma] analysis was performed by standard ELISA using capture Ab R46A4 and biotinylated XGM1.2 as detection Abs.
백신화 프로토콜:Vaccination Protocol:
예방적 종양 백신 모델에서, 마우스를 0일째에 백신화시켰고, 동시에 종양세포로 시험접종하였다. 마우스를, 75 내지 100 ㎍의 mB7-1-IgG, B7-2-IgG, 쥐과동물 IgG와 혼합되거나 아무것도 혼합되지 않은, PBS중의 조사된 종양세포 (1X107세포)로 면역화시켰다. 양 뒷다리의 족저내 (i.fp.)에 주입하였다. B7-IgG의 주사는 3일 또는 5일째에 1회 반복하였다. 7일 째에, 동물들을 오른쪽 측복부에 규정된 용량의 생종양세포로 50 ㎕ 피내 주입하여 시험접종하였다. 1차 종양의 성장 및 동물의 생존을 40 내지 60일에 걸쳐 모니터링하였다.In a prophylactic tumor vaccine model, mice were vaccinated on day 0 and simultaneously challenged with tumor cells. Mice were immunized with irradiated tumor cells (1 × 10 7 cells) in PBS, either mixed with 75-100 μg mB7-1-IgG, B7-2-IgG, murine IgG, or nothing mixed. Injected into the plantar (i.fp.) of both hind legs. Injection of B7-IgG was repeated once on day 3 or day 5. On day 7, animals were challenged by injecting 50 μl intradermal into defined tumor cells of the right flank. Primary tumor growth and animal survival were monitored over 40-60 days.
치료적 종양 백신 모델에서, 규정된 수의 종양세포로 i.d. 접종하여 1차 종양을 유발시켰다. 5 내지 7일 째에 (종양이 명백히 촉진된 때), 마우스를 100 ㎍의 B7-1-IgG, B7-2-IgG와 혼합되거나 아무것도 혼합되지 않은 조사된 1X107개의 종양세포로 족저내 백신화시켰다. 3일 후에 100 ㎍의 B7-IgG를 족저내로 재주입하였다. 이러한 백신화 투여법을 2 또는 3주 동안 반복하였다. 일차 종양의 성장 및 마우스의 생존을 7일부터 40 내지 70일까지 모니터링하였다.In therapeutic tumor vaccine models, primary tumors were induced by id inoculation with a defined number of tumor cells. On days 5-7 (when tumor is clearly promoted), mice are vaccinated plantarized with irradiated 1 × 10 7 tumor cells mixed with or without 100 μg B7-1-IgG, B7-2-IgG I was. After 3 days 100 μg of B7-IgG was reinjected into the plantar. This vaccination regimen was repeated for 2 or 3 weeks. Primary tumor growth and mouse survival were monitored from 7 to 40 to 70 days.
치료 방법에서, 종양을 가진 마우스 B7-IgG는 융합 단백질로만 처리했다. 50-100㎍의 B7-1-IgG 또는 B7-2-IgG만이 3주 동안 일주일에 2회씩 족저내 (i.fp.)주입하였다. 종양 성장 및 생존을 40일 동안 모니터링하였다.In the method of treatment, tumor-bearing mouse B7-IgG was treated only with fusion proteins. Only 50-100 μg of B7-1-IgG or B7-2-IgG was injected intraplantarly (i.fp.) twice a week for 3 weeks. Tumor growth and survival were monitored for 40 days.
PIA-특이적 CTL 반응의 측정:Measurement of PIA-specific CTL Response:
B7-1-IgG 또는 B7-2-IgG와 혼합되거나 혼합되지 않은 조사된 P815 세포로 단일 면역화시킨 후 10-14일에 DBA/2 마우스로부터 비장을 채취하였다. 적혈구 20×106을 용해한 후, 비장세포(splenocyte)를 0.1 ng/ml의 P1A 펩티드 및 5 U/ml의 IL-2 (파민겐: pharmingen)를 가진 T25 플라스크 내에서 6일 동안 재자극시켰다. 다음, 표적으로서 P1A 펩티드로 펄스되거나 펩티드로 펄스되지 않은 A20 세포로 표준 5h Cr51-방출 검정을 수행하였다. P1A-펩티드 특이적 용해의 비율은, 펩티드 펄스된 표적의 용해율과 펄스되지 않은 표적의 용해율의 차이로서 표현했다.Spleens were harvested from DBA / 2 mice 10-14 days after single immunization with irradiated P815 cells with or without B7-1-IgG or B7-2-IgG. After lysing 20 × 10 6 , the splenocytes were restimulated for 6 days in a T25 flask with 0.1 ng / ml of P1A peptide and 5 U / ml of IL-2 (paminegen: pharmingen). Next, a standard 5h Cr 51 -release assay was performed with A20 cells pulsed with P1A peptide as a target or not pulsed with peptide. The ratio of P1A-peptide specific dissolution was express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solution rate of the peptide pulsed target and the dissolution rate of the unpulsed target.
결과:result:
고정화되거나 가교된 B7-IgG는 시험관 내에서 최적이하로 자극된 쥐과동물 비장세포에 대해 공동자극 신호를 제공한다.Immobilized or crosslinked B7-IgG provides costimulatory signals for suboptimally stimulated murine spleen cells in vitro.
FACS(등록상표) 또는 Biocore(등록상표) 분석은, B7-1-IgG 및 B7-2-IgG 융합 단백질이 쥐과동물의 CD28 및 CTLA-4에 결합한다는 것을 결정하였다. B7-IgG 융합 단백질이 T 세포의 활성을 증가 또는 억제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쥐의 비장세포가 플레이트 상에 고정화된 B7-IgG와 조합하여 플레이트에 결속된 항-CD3 mAb와 함께 시험관 내에서 배양되어 자극되었다. 양성 대조군 B7-1-IgG 및 B7-2-IgG로서 제공된 플레이트에 결속된 항-CD28 mAb에 의한 상호자극은, 증식 및 IFN-γ 분비 작용에서 투여량 의존적 증가를 유도하였다 (도 5). 2×105의 비처리 비장세포를50 ng/ml의 항-CD3 모노클로날 항체 및 증가된 양의 고정된 항-CD28 항체, 또는 B7-1 또는 B7-2 IgG로 72시간 동안에 3회 자극하였다. 증식 반응을 3H-티미딘을 혼입하여 6h 펄스 후에 측정했다. 패널 B 및 C는 50 ng/ml의 항-CD3 항체 및 지시된 양의 고정화된 B7-2-IgG로 72시간 동안 자극한 후 방출된 IFN-γ또는 IL2의 각각의 양을 나타냈다. 표준 ELISA로 사이토카인을 측정하였다. 항-CD3 자극의 부재하에, B7-IgG는 증식을 유도하지 않았다. 가용성 B7-IgG 단백질이 증식 또는 IFN-γ생산을 강화하지 않으므로, 이차 항-쥐과동물 IgG mAb에 의한 B7-IgG 분자의 고정화 및 가교는 효율적 공동자극을 위하여 필수적이다. Fc 결합 영역에서 돌연변이된 B7-IgG 단백질 (B7-1-IgG 및 B7-2-IgGmut)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경우의 공동자극 비장세포내에서 효과적이다.FACS® or Biocore® analysis determined that B7-1-IgG and B7-2-IgG fusion proteins bind to murine CD28 and CTLA-4. To determine whether the B7-IgG fusion protein increases or inhibits T cell activity, mouse splenocytes are cultured in vitro with anti-CD3 mAb bound to the plate in combination with B7-IgG immobilized on the plate. Stimulated. Interstimulation with anti-CD28 mAb bound to plates provided as positive controls B7-1-IgG and B7-2-IgG induced a dose dependent increase in proliferation and IFN-γ secretion action (FIG. 5). 2 × 10 5 untreated splenocytes were stimulated three times for 72 hours with 50 ng / ml of anti-CD3 monoclonal antibody and increased amount of immobilized anti-CD28 antibody, or B7-1 or B7-2 IgG It was. The proliferative response was measured after 6 h pulses incorporating 3H-thymidine. Panels B and C show the respective amounts of IFN-γ or IL2 released after stimulation for 72 hours with 50 ng / ml of anti-CD3 antibody and the indicated amount of immobilized B7-2-IgG. Cytokines were measured by standard ELISA. In the absence of anti-CD3 stimulation, B7-IgG did not induce proliferation. Since soluble B7-IgG proteins do not enhance proliferation or IFN- [gamma] production, immobilization and crosslinking of B7-IgG molecules by secondary anti-murine IgG mAbs is essential for efficient costimulation. B7-IgG proteins (B7-1-IgG and B7-2-IgGmut) mutated in the Fc binding region are effective in costimulatory splenocytes when immobilized on the plate.
B7-1-IgG 또는 B7-2-IgG는 조사된 종양세포 백신의 보호 효과를 강화한다.B7-1-IgG or B7-2-IgG enhances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investigated tumor cell vaccines.
B7-1-IgG 융합 단백질은 예방성 종양 백신 모델 내에서 보조제로 평가되었다. 5×104의 생 P815 종양세포의 접종은, 100% 비처리 DBA/2 마우스 내에서 5-7일 후에 충실성 종양을 발생시켰다. 한 그룹 당 10 DBA/2 마우스를 한 번에 1×107의 조사된 P815 종양세포로 복강내로 면역화시켰다. 세포 백신이 100㎍의 B7-1-IgG, B7-2-IgG, 또는 B7-1-IgG, B7-1-IgG 돌연변이 단백질과 혼합되거나 단독으로 주어졌다. 대조군의 경우, 100㎍의 B7-1-IgG 또는 B7-2-IgG를 단독으로 제 0일 및 제 5일에 복강내로 투여하였다. 마우스에, 제 7일째에 5×104의 생 P815 종양세포를 시험접종 하였다. 시험접종에 대한 보호는, 24일 후에 분명한 종양의 부재에 따라결정했다. 도 6은 5개 대표적 시험 중 하나로부터 획득된 결과를 나타낸다. 생 종양의 시험접종 전 일주일 동안, 조사된 P815 종양세포에 의한 마우스의 시험접종은 종양 성장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지 못했다. 그러나, B7-1-IgG 또는 B7-2-IgG와 혼합된 조사된 종양세포에 의한 단일 시험접종은, 60-70% 보호를 유도하였다 (도 6, 표 2). 대조적으로, B7-1-IgG 또는 B7-2-IgG만에 의한 면역화는 보호를 전혀 제공하지 않았다 (도 6). 보호여부는, 14-24일 후 및/또는 60일 이상의 생존 후에 충실성 종양의 부재에 의해 결정했다. 후자는 전이성 질환의 부재를 나타내었다.The B7-1-IgG fusion protein was evaluated as an adjuvant within the prophylactic tumor vaccine model. Inoculation of 5 × 10 4 live P815 tumor cells developed solid tumors after 5-7 days in 100% untreated DBA / 2 mice. Ten DBA / 2 mice per group were immunized intraperitoneally with 1 × 10 7 irradiated P815 tumor cells at one time. Cell vaccines were mixed or given alone with 100 μg of B7-1-IgG, B7-2-IgG, or B7-1-IgG, B7-1-IgG mutant proteins. For the control group, 100 μg of B7-1-IgG or B7-2-IgG alone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on days 0 and 5. Mice were challenged with 5 × 10 4 live P815 tumor cells on day 7. Protection against vaccination was determined 24 days later with no apparent tumor. 6 shows the results obtained from one of five representative tests. During the week prior to vaccination of live tumors, vaccination of mice with the investigated P815 tumor cells did not provide protection against tumor growth. However, single challenge with irradiated tumor cells mixed with B7-1-IgG or B7-2-IgG induced 60-70% protection (FIG. 6, Table 2). In contrast, immunization with B7-1-IgG or B7-2-IgG alone provided no protection at all (FIG. 6). Protection was determined by the absence of solid tumors after 14-24 days and / or survival of at least 60 days. The latter indicated the absence of metastatic disease.
융합 단백질의 기능에 대한 IgG 도메인의 역할을 평가하기 위하여, Fc-수용체와 결합하지 않고 보체를 활성시키지 않는 돌연변이된 단백질, B7-1-IgGmut와 혼합된 조사된 P815 세포로 면역시켰다. 돌연변이된 분자는 B7-1-IgG 분자의 Fc 결합을 위한 역할을 제공하는 야생형보다 덜 효과적이다 (도 6, 표 2).To assess the role of the IgG domain on the function of the fusion protein, immunized with irradiated P815 cells mixed with B7-1-IgGmut, a mutated protein that did not bind Fc-receptor and did not activate complement. The mutated molecule is less effective than the wild type, which provides a role for Fc binding of the B7-1-IgG molecule (FIG. 6, Table 2).
B7-1-IgG'와 혼합된 조사된 종양세포의 효과와 B7-1 또는 B7-2로 트랜스펙션시킨 종양세포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B7-트랜스펙턴트에 의한 백신 처리는, 상당히 낮은 항-종양 면역을 유도하였고, 마우스의 30%만을 보호하였다. 이것은 B7-IgG와 혼합된 조사된 야생형 P815 세포에 의한 면역처리 후 60%인 것에 비교된다 (표 2). 이러한 발견은, B7-1-IgG'이 항-종양 보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보조제이고, B7-트랜스펙션된 종양세포보다 효과적임을 나타내었다.The effect of irradiated tumor cells mixed with B7-1-IgG 'and the effect of tumor cells transfected with B7-1 or B7-2 were compared. Vaccination with B7-transfectant induced significantly lower anti-tumor immunity and protected only 30% of mice. This compares to 60% after immunization with irradiated wild type P815 cells mixed with B7-IgG (Table 2). This finding indicated that B7-1-IgG 'is an effective adjuvant for generating anti-tumor protection and is more effective than B7-transfected tumor cells.
B7-1-IgG 또는 B7-2-IgG와 혼합된 조사된 P815 종양세포에 의한 백신화는 P815 종양이 확립된 마우스를 치료하였다.Vaccination with irradiated P815 tumor cells mixed with B7-1-IgG or B7-2-IgG treated mice in which P815 tumors were established.
치료적인 종양 백신 모델내의 B7-1-IgG의 보조제 활성을 시험하기 위하여,DBA/2 마우스에 P815 종양세포를 5-7일 후에 촉진성 충실성 종양을 발생시킬 투여량으로 피내 (i.d.) 주입하였다. 충실성 P815 종양은 제 0일 째에 5×104의 P815 세포를 피내 주입하여 도입하였다. 촉지성 종양이 전개된 후 제 7일 째에 백신 처리를 하였다. 도 7은 족저내로 대조군 (A, E)으로서 PBS가 주입되거나, P815 종양세포가 단독으로(B) 또는 관련없는 마우스 IgG2a Ab와 혼합되어(F) 주사되거나, 조사된 P815 세포가 B7-1-IgG(C) 또는 B7-2-IgG(G)와 혼합되어 주사된 마우스의 결과를 나타낸다. 면역화는 제 7일, 제 14일, 제 21일에 반복하였다. PBS, 관련없는 Ab, 또는 B7-IgG는 각각 3일 후에 다시 투여하였다. 종양 성장을 40일 동안 모니터링하였다. 25-30일 후, 대조군 내의 동물들이 자발적 전이로 죽음을 직시하였다. 패널 D 및 H는 다른 처리 그룹의 생존 시간을 나타낸다. 데이터는 4개의 독립적 실험에 대한 대표값이다. 백신 처리 후 종양 성장 및 생존의 동역학은 도 7에 도시했으며, 4개의 독립적 실험의 대표값이다. 최초 면역화 후 약 일주일부터 시작하여, B7-IgG와 혼합된 종양세포로 면역화시킨 마우스 집단내에서 종양 퇴행으로 감소된 종양 성장이 관찰되었다. 종양 성장은 조사된 종양세포가 단독으로 또는 관련없는 마우스 B7-IgG2a Ab와 혼합 처리한 그룹에서는 감소하지 않았다. B7-IgG와 혼합된 조사된 P815 종양세포를 사용하여 면역화시킨 3회 주기 후에, 일차 종양이 60-80%의 마우스에서 사라졌다. 일차 종양의 퇴행은 마우스의 장기간 생존과 관련된다. B7-1-IgG 또는 B7-2-IgG와 혼합된 조사된 P815 세포에 의한 면역화는 장기간 생존율을 약 80% 증가시켰다 (도 7, D, H). 처리되지 않거나 조사된 종양 백신 처리된 대조군내의 대수의 마우스는, 분명히 간, 비장 및 림프절내에서의 자발적 변형에 기인하여 25 내지 35일 사이에 사멸하였다.To test the adjuvant activity of B7-1-IgG in a therapeutic tumor vaccine model, DB2 / 2 mice were injected with P815 tumor cells 5 days after administration at doses that would produce palpable solid tumors. . Solid P815 tumors were introduced on day 0 by intradermal injection of 5 × 10 4 P815 cells. Vaccination was performed on day 7 after palpable tumors developed. Figure 7 shows injection of PBS into the plantar as control (A, E), P815 tumor cells alone (B) or mixed with irrelevant mouse IgG2a Ab (F), or irradiated P815 cells B7-1- Results of mice injected mixed with IgG (C) or B7-2-IgG (G) are shown. Immunization was repeated on days 7, 14 and 21. PBS, unrelated Ab, or B7-IgG were each administered again after 3 days. Tumor growth was monitored for 40 days. After 25-30 days, animals in the control group died of spontaneous metastasis. Panels D and H show the survival time of different treatment groups. Data is representative of four independent experiments. The kinetics of tumor growth and survival after vaccination are shown in FIG. 7 and are representative of four independent experiments. Starting from about a week after the first immunization, reduced tumor growth was observed with tumor regression in the population of mice immunized with tumor cells mixed with B7-IgG. Tumor growth did not decrease in the group of irradiated tumor cell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unrelated mouse B7-IgG2a Ab. After three cycles of immunization with irradiated P815 tumor cells mixed with B7-IgG, primary tumors disappeared in 60-80% of mice. Regression of primary tumors is associated with long-term survival of mice. Immunization with irradiated P815 cells mixed with B7-1-IgG or B7-2-IgG increased long-term survival by about 80% (FIG. 7, D, H). The large number of mice in untreated or irradiated tumor vaccine treated controls apparently died between 25 and 35 days due to spontaneous modifications in the liver, spleen and lymph nodes.
다른 종양 모델내의 치료적 종양 백신 보조제로서의 B7-IgGsB7-IgGs as Therapeutic Tumor Vaccine Adjuvant in Other Tumor Models
B7-IgG의 결과가 P815 종양 또는 DBA/2 마우스계에 독특한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2종의 상이한 마우스계내의 3종의 추가적인 종양 모델에 대해 보조제로서의 B7-IgG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유사한 긍정적 효과가 모든 모델에 대하여 수득되었다.To determine if the results of B7-IgG were unique to the P815 tumor or DBA / 2 mouse system, the effect of B7-IgG as an adjuvant was tested on three additional tumor models in two different mouse systems. Similar positive effects were obtained for all models.
MethA 암종이 확입된 생후 7일 된 Balb/c 마우스를, PBS, 조사된 MethA 단독, 또는 B7-1-IgG 또는 B7-2-IgG와 혼합된 조사된 MethA 세포로 면역화시켰다. 충실성 MethA 또는 B16/F10 종양이 Balb/c 또는 C57BL/6 마우스에 각각 확립되었다. 도 8은 그룹 당 10마리의 마우스가, 조사된 종양세포가 단독으로(B, E), 또는 25㎍(C, D) 또는 100㎍(F, G)의 B7-1-IgG 또는 B7-2-IgG와 각각 혼합되어 족저내로 면역화됨을 도시한다. PBS, 또는 B7-1-IgG 또는 B7-2-IgG 각각을 3-4일 후에 주입했다. 하나의 그룹은 PBS 단독으로 처리했다 (A, B16/F10에 대해 미도시). 종양 성장을 35일 동안 모니터링했다. 마우스는, MethA 종양이 일단 300mm2의 크기에 도달하면 안락사시켰다. B16/F10 종양을 가진 마우스는, 종양이 일단 400 mm2의 크기에 도달되면 안락사시키거나, 자발적 전이로 사멸하였다. 생존 동물의 백분율을 패널 H에 나타내었다. 실험을 3회 이상 반복하였다. B7-IgG와 혼합된 조사된 MethA 세포에 의한 2회의 면역화는, 100%의 마우스를 치료하였고, 이것은 대조군의자발적 치료율 10-15%와 비교된다 (도 8). 방광 암종 MB49를 가진 C57BL/6 마우스에서 유사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C57BL/6 마우스에서, 매우 전이성이 높고 면역원성이 부실한 흑색종 B16/F10의 반응이 연구되었다. B7-IgG 단백질 중 어느 하나와 혼합된 조사된 B16 종양세포에 의한 3회의 면역 처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종양 성장을 감소시키고 장기간 생존을 개선하였다 (도 8). 대조군내의 동물 모두는 35-40일 내에 사멸하였지만, B7-IgG 백신으로 처리된 마우스의 40-80% 이상이 60일 이상을 생존하였다 (도 8). 이러한 결과는 P815 종양 모델에서의 관찰을 지지하고, 치료적 종양 백신을 위한 보조제로서의 B7-IgG의 유효한 활성을 증명한다.Seven-day-old Balb / c mice with MethA carcinoma identified were immunized with PBS, irradiated MethA alone, or irradiated MethA cells mixed with B7-1-IgG or B7-2-IgG. Faithful MethA or B16 / F10 tumors were established in Balb / c or C57BL / 6 mice, respectively. FIG. 8 shows 10 mice per group, irradiated tumor cells alone (B, E), or 25 μg (C, D) or 100 μg (F, G) of B7-1-IgG or B7-2 It is shown to be immunized into plantar, respectively mixed with -IgG. PBS, or B7-1-IgG or B7-2-IgG, respectively, was injected after 3-4 days. One group was treated with PBS alone (not shown for A, B16 / F10). Tumor growth was monitored for 35 days. Mice were euthanized once MethA tumors reached 300 mm 2 in size. Mice with B16 / F10 tumors were euthanized once the tumors reached a size of 400 mm 2 or died of spontaneous metastasis. The percentage of surviving animals is shown in panel H. The experiment was repeated three more times. Two immunizations with irradiated MethA cells mixed with B7-IgG treated 100% of the mice, compared to 10-15% of the spontaneous treatment of the control group (FIG. 8).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C57BL / 6 mice with bladder carcinoma MB49. In C57BL / 6 mice, the response of melanoma B16 / F10, which is highly metastatic and poorly immunogenic, was studied. Three immunizations with irradiated B16 tumor cells mixed with either of the B7-IgG proteins reduced tumor growth and improved long term survival compared to the control (FIG. 8). All of the animals in the control group died within 35-40 days, but at least 40-80% of mice treated with the B7-IgG vaccine survived at least 60 days (FIG. 8). These results support the observations in the P815 tumor model and demonstrate the effective activity of B7-IgG as adjuvant for therapeutic tumor vaccines.
항-종양 반응을 유도시키는 B7-IgG 단독의 치료학적 투여:Therapeutic administration of B7-IgG alone to induce anti-tumor response:
상기한 바와 같이, 조사된 종양세포의 부재하에서 비처리 마우스를 B7-IgG로 예방 면역시키면, 종양 시험접종에 대해 마우스를 방어하지 못했다. 그러나, 모든 4가지 치료학적 종양 모델의 경우, B7-1-IgG 또는 B7-2-IgG 단독으로 종양 함유 마우스를 처리하면 종양 성장이 감소되었고, 생존율이 증가되었다 (도 9). 마우스를 0일째에 살아있는 P815 (A), MethA (B), MB49 (C) 또는 C57BL/6 (D)종양세포로 접종시켰다. 면역은 기술된 바와 같이 6 내지 8일째에 일어났다. 마우스를 PBS ( □), 조사된 종양세포 단독 (◇), B7-1-IgG와 혼합된 조사된 종양세포 (△), 또는 B7-2-IgG (O), 또는 B7-1-IgG (*) 또는 B7-2-IgG 단독 (+)으로 처리하였다. 7 내지 10마리의 마우스로 된 그룹에 대한 종양 크기의 평균값을 플로팅하였다. 마우스는 종양의 크기가 400㎟에 이르면 안락사시키거나 이들이 전이성 질병으로 치사하는 경우 이 값으로 할당되었다. 시험된 모든 모델의 경우, B7-IgG 단독으로 종양 함유 마우스를 치료학적으로 처리하면 종양 성장이 늦추어졌고, 종양 퇴행이 유도되었으며,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B16/F10 종양 모델로부터의 데이터는 조사된 종양세포 + B7-IgG로 백신접종시키는 것은 적어도 불량하게 면역원성인 종양에 대해서는 B7-IgG 단독에 의한 치료 보다 더욱 강력한 항-종양 치료법임을 암시한다.As noted above, prophylactic immunization of untreated mice with B7-IgG in the absence of irradiated tumor cells failed to defend mice against tumor challenge. However, for all four therapeutic tumor models, treatment of tumor containing mice with B7-1-IgG or B7-2-IgG alone reduced tumor growth and increased survival (FIG. 9). Mice were inoculated with live P815 (A), MethA (B), MB49 (C) or C57BL / 6 (D) tumor cells on day 0. Immunization occurred on days 6-8 as described. Mice were treated with PBS (□), irradiated tumor cells alone (◇), irradiated tumor cells mixed with B7-1-IgG (Δ), or B7-2-IgG (O), or B7-1-IgG (* ) Or B7-2-IgG alone (+). The mean value of tumor size for a group of 7 to 10 mice was plotted. Mice were euthanized when tumors reached 400 mm 2 or assigned to this value when they died of metastatic disease. For all models tested, therapeutic treatment of tumor containing mice with B7-IgG alone slowed tumor growth, induced tumor regression, and increased survival. However, data from the B16 / F10 tumor model suggests that vaccination with irradiated tumor cells + B7-IgG is a more potent anti-tumor therapy than treatment with B7-IgG alone for tumors that are at least poorly immunogenic.
가용성 B7-IgG와 관련된 이러한 결과는 세포의 표면에 제공되는 공동자극 분자 (고체상 공동자극)를 사용하여 수득한 결과로 볼때 의외이다. 이러한 모델 중 3가지 모두에서의 B7 트랜스펙션된 종양세포에 의한 치료학적 백신접종이 평가되었고, 종양 성장 및 생존율에 대해 적당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약 1016B7 분자는 107트랜스펙션된 종양세포의 표면상의 전체 약 1010내지 1011B7 분자와 비교하여, B7-IgG 100㎍을 백신과 혼합함으로써 제공된다. 이러한 정량적 차이는 조사된 B7-트랜스펙턴트에 의한 백신접종이 생세포가 증식하여 이용가능한 B7 분자의 갯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살아있는 B7-트랜스펙턴트에 의한 경우 보다 훨씬 덜 효율적인 이유를 설명해줄 수 있다. 그 밖의 설명은 조사된 종양세포의 표면상에서 발현되는 B7 분자와 비교하여 B7-IgG 분자의 확장된 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용성 분자는 체내에서 상이하게 분포할 수 있으며, 면역 자극의 더욱 적합한 부위에 도달할 수 있다.These results associated with soluble B7-IgG are surprising given the results obtained using costimulatory molecules (solid costimulator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ell. Therapeutic vaccination with B7 transfected tumor cells in all three of these models was evaluated and did not show a modest effect on tumor growth and survival. About 10 16 B7 molecules are provided by mixing 100 μg of B7-IgG with the vaccine compared to the total about 10 10 to 10 11 B7 molecules on the surface of 10 7 transfected tumor cells. This quantitative difference may explain why vaccination with investigated B7-transfectants is much less efficient than with live B7-transfectants, where live cells can proliferate and increase the number of available B7 molecules. . Other explanations may include the expanded presence of B7-IgG molecules as compared to B7 molecules ex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tumor cells investigated. In addition, soluble molecules can be distributed differently in the body and reach more suitable sites of immune stimulation.
CD8 T 세포 의존성이지만 IFN-γ비의존성인 B7-IgG 매개성 종양 치료법B7-IgG Mediated Tumor Therapy That is CD8 T Cell Dependent but Not IFN-γ Independent
B7-IgG 매개성 면역 자극에의 적응성 면역 반응의 관여를 추가로 특징화하기위해, 성숙한 T 및 B 세포가 결여된 SCID 마우스 중의 B7-IgG를 평가하였다. 고형 종양을 SCID 마우스에 확립시킨 후, 이러한 종양을 B7-IgG 단독 또는 조사된 세포 백신 + B7-IgG로 처리하였다. 둘 모두의 처리는 종양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는 B7-IgG 매개성 종양 반응이 T 또는 B 세포에 의존성임을 입증해준다 (도 10). 종양 함유 마우스를 또한 CD8 또는 CD4 T 세포를 제거한 후에 처리하였다. 항체 주입에 의한 CD8 또는 CD4 T 세포의 제거는 B7-IgG 치료를 시작하기 하루 전에 개시하였다. 성공적인 제거는 28일째에 PBL의 FACS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CD4 제거된 마우스의 경우, B7-IgG는 종양 퇴행을 유도시켰고 치료는 정상 마우스와 구별할 수 없었지만 (도 11), CD8 제거는 B7-IgG 매개성 항-종양 활성을 상실시켰다. 종양은 CD8 제거된 처리되지 않은 마우스의 경우 보다 느리게 성장하였지만, 종양 치료는 관찰되지 않았다 (도 11).To further characterize the involvement of the adaptive immune response to B7-IgG mediated immune stimulation, B7-IgG in SCID mice lacking mature T and B cells was evaluated. After solid tumors were established in SCID mice, these tumors were treated with B7-IgG alone or irradiated cell vaccine + B7-IgG. Both treatments did not affect tumor growth, demonstrating that B7-IgG mediated tumor response is dependent on T or B cells (FIG. 10). Tumor-containing mice were also treated after removal of CD8 or CD4 T cells. Removal of CD8 or CD4 T cells by antibody injection was initiated one day before starting B7-IgG treatment. Successful clearance was confirmed by FACS analysis of PBL on day 28. For CD4-removed mice, B7-IgG induced tumor regression and treatment was indistinguishable from normal mice (FIG. 11), but CD8 clearance lost B7-IgG mediated anti-tumor activity. Tumors grew more slowly than untreated mice removed with CD8, but no tumor treatment was observed (FIG. 11).
IFN-γ이 항-종양 면역 감시 및 항-종양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B7-IgG가 IFN-γ와 무관하게 확립된 종양을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고형 종양을 IFN-γ 녹아웃 마우스에서 확립시켰고, B7-IgG 또는 B7-IgG와 혼합된 조사된 종양세포 백신으로 처리하였다. 둘 모두의 처리는 종양 퇴행을 유도시켰고 약 28일째의 치료는 야생형 마우스에 필적하였는데, 이는 B7-IgG 종양 치료의 IFN-γ비의존성을 입증해준다 (도 12). 또한, IFN-γ의 돌연변이로 인해 IFN-γ에 반응성이지 않은 종양은 B7-IgG로 처리하면 여전히 치료되었다.Despite the fact that IFN-γ plays an important role in anti-tumor immune surveillance and anti-tumor response, it has been determined that B7-IgG can treat tumors established independently of IFN-γ. Solid tumors were established in IFN-γ knockout mice and treated with irradiated tumor cell vaccines mixed with B7-IgG or B7-IgG. Both treatments induced tumor regression and treatment at about 28 days was comparable to wild type mice, demonstrating the IFN-γ independence of B7-IgG tumor treatment (FIG. 12). In addition, tumors that were not reactive to IFN-γ due to mutations in IFN-γ were still treated with B7-IgG.
항-종양 치료에서 또는 백신 애주번트로서의 B7-IgG는 CTLA4에 대한 블록킹 항체 보다 강력한 것으로 또한 결정되었다. 3가지 상이한 종양 모델의 경우, B7-IgG 치료는 항-CTLA4 항체가 CTLA4에 대한 이의 훨씬 큰 친화성 및 이의 블록킹 활성의 과거의 보고에도 불구하고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종양 시험감염에 대해 방어를 제공하거나 종양을 치료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는 B7-IgG가 면역 반응을 증강시키는 메카니즘이 CTLA4에 의해 매개된 네거티브 신호의 블록킹에 의존성이지만 이것에만 제한되지 않음을 나타내준다.It has also been determined that B7-IgG in anti-tumor treatment or as a vaccine adjuvant is more potent than blocking antibody to CTLA4. For three different tumor models, B7-IgG treatment provides protection against tumor challenge where the anti-CTLA4 antibody has no effect despite past reports of its much greater affinity for CTLA4 and its blocking activity or Tumors were treated. These data indicate that the mechanism by which B7-IgG enhances the immune response is dependent on, but not limited to, blocking of negative signals mediated by CTLA4.
표 2. 방어 면역을 제공하는 조사된 종양세포와 혼합된 B7-IgG2aTable 2. B7-IgG2a Mixed with Irradiated Tumor Cells Providing Protective Immunity
등가물Equivalent
당업자라면 단지 일상적인 실험을 사용하여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특정한 구체예에 대한 다수의 등가물을 인식하거나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등가물은 하기 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or be able to ascertain, many equivalents to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using only routine experimentation. Such equivalent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배경기술Background
외래 단백질에 대한 T 세포 반응을 위해서는, 두개의 시그널이 항원발현세포 (APCs)에 의해 T 림프구로 제공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Jenkins, M. and Schwartz, R. (1987) J. Exp. Med. 165, 302-319; Mueller, D.L., et al. (1990) J. Immunol. 144, 3701-3709). 제 1 시그널은 면역반응에 특이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체 (MHC)의 콘텍스트내에 발현되는 외래 항원성 펩티드의 인식에 후속하는 T 세포 수용체 (TCR)를 통해 유도된다. 제 2 시그널은 공동자극으로 명명되는 것으로서, T 세포가 증식되고 기능적이 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Lenschow et al. 1996. Annu. Rev. Immunol. 14:233). 공동자극은 항원특이적이거나 MHC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APCs에 의해 발현되는 하나 이상의 독특한 세포 표면 단백질에 의해 제공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참고문헌: Jenkins, M.K., et al. 1988 J. Immunol. 140, 3324-3330; Linsley, P.S., et al. 1991 J. Exp. Med. 173, 721-730; Gimmi, C.D., et al., 1991 Proc. Natl. Acad. Sci. USA. 88, 6575-6579; Young, J.W., et al. 1992 J. Clin. Invest. 90, 229-237; Koulova, L., et al. 1991 J. Exp. Med. 173, 759-762; Reiser, H., et al. 1992 Proc. Natl. Acad.Sci. USA. 89, 271-275; van-Seventer, G.A., et al. (1990) J. Immunol. 144, 4579-4586; LaSalle, J.M., et al., 1991 J. Immunol. 147, 774-80; Dustin, M.I., et al., 1989 J. Exp. Med. 169, 503; Armitage, R.J. et al. 1992 Nature 357, 80-82; Liu, Y., et al. 1992 J. Exp. Med. 175, 437-445). 만약, T 세포가 추가의 공동자극 시그널 없이 T 세포 수용체를 통해서만 자극을 받는 경우, 이들은 비반응성, 무기력, 또는 사멸하여 면역반응을 하향 조절할 것이다.For T cell response to foreign proteins, two signals must be provided to T lymphocytes by antigen expressing cells (APCs) (Ref. Jenkins, M. and Schwartz, R. (1987) J. Exp. Med. 165, 302-319; Mueller, DL, et al. (1990) J. Immunol. 144, 3701-3709). The first signal imparts specificity to the immune response and is induced through the T cell receptor (TCR) following the recognition of the foreign antigenic peptide expressed in the context of the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The second signal, termed co-stimulation, is intended to induce T cells to proliferate and be functional (Ref. Lenschow et al. 1996. Annu. Rev. Immunol. 14: 233). Co-stimulation is not antigen specific or MHC limited and is considered to be provided by one or more unique cell surface proteins expressed by APCs (Ref. Jenkins, MK, et al. 1988 J. Immunol. 140, 3324 -3330; Linsley, PS, et al. 1991 J. Exp. Med. 173, 721-730; Gimmi, CD, et al., 1991 Proc. Natl. Acad. Sci. USA. 88, 6575-6579; Young, JW, et al. 1992 J. Clin. Invest. 90, 229-237; Koulova, L., et al. 1991 J. Exp. Med. 173, 759-762; Reiser, H., et al. 1992 Proc. Natl.Acad. Sci. USA.89, 271-275; van-Seventer, GA, et al. (1990) J. Immunol. 144, 4579-4586; LaSalle, JM, et al., 1991 J. Immunol.147 , 774-80; Dustin, MI, et al., 1989 J. Exp. Med. 169, 503; Armitage, RJ et al. 1992 Nature 357, 80-82; Liu, Y., et al. 1992 J. Exp Med. 175, 437-445). If T cells are stimulated only through T cell receptors without additional costimulatory signals, they will downregulate the immune response by being nonreactive, lethargic, or killed.
APCs 상에 발현되는 CD80 (B7-1) 및 CD86 (B7-2) 단백질은 매우 중요한 공동자극 분자이다 (참고문헌: Freeman et al. 1991. J. Exp. Med. 174:625; Freeman et al. 1989 J. Immunol. 143:2714; Azuma et al, 1993 Nature 366: 76; Freeman et al. 1993. Science 262:909). B7-2는 일차 면역반응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에, 면역반응의 과정의 후기에 상향 조절되는 B7-1은 일차 T 세포 반응을 연장시키거나, 이차 T 세포 반응을 공동자극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Bluestone. 1995. Immunity. 2:555).CD80 (B7-1) and CD86 (B7-2) proteins expressed on APCs are very important costimulatory molecules (Ref. Freeman et al. 1991. J. Exp. Med. 174: 625; Freeman et al. 1989 J. Immunol. 143: 2714; Azuma et al, 1993 Nature 366: 76; Freeman et al. 1993. Science 262: 909. B7-2 plays a dominant role in the primary immune response, whereas B7-1, upregulated later in the course of the immune response, appears to be important for prolonging primary T cell responses or costimulating secondary T cell responses. (Reference: Bluestone. 1995. Immunity. 2: 555).
B7-1 및 B7-2에 결합하는 리간드인 CD28은 휴지중인 T 세포상에 구성적으로 발현되고 활성화 후에 발현이 증가한다. T 세포 수용체를 통한 시그널링 후, CD28의 결합 및 공동자극 시그널의 유또는, T 세포가 증식하고 IL-2를 분비하는 것을 유도한다 (참고문헌: Linsley, P.S., et al. 1991 J. Exp. Med. 173, 721-730; Gimmi, C.D., et al. 1991 Proc. Natl. Acad. Sci. USA. 88, 6575-6579; June, C.H., et al. 1990 Immunol. Today. 11, 211-6; Harding, F.A., et al. 1992 Nature. 356, 607-609). CTLA4 (CD152)로 명명된 제 2 리간드는 CD28과 상동성이나 휴지 T 세포상에서는 발현되지 않고 T 세포 활성화에 후속하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Brunet, J.F., et al., 1987 Nature 328, 267-270). CD28과 대조적으로, CTLA4는 T 세포 반응의 음성 조절에 매우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Waterhouse et al. 1995. Science 270:985). CTLA4의 봉쇄는 억제 시그널을 제거하는 것으로 발견된 반면에, CTLA4의 어셈블리는 T 세포 반응을 하향 조절하는 억제 시그널을 제공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참고문헌: Allison and Krummel. 1995. Science 270:932).CD28, a ligand that binds B7-1 and B7-2, is constitutively expressed on resting T cells and increases expression after activation. After signaling through the T cell receptor, the binding of CD28 and costimulatory signals, or induces T cells to proliferate and secrete IL-2 (Ref. Linsley, PS, et al. 1991 J. Exp. Med 173, 721-730; Gimmi, CD, et al. 1991 Proc. Natl. Acad. Sci. USA. 88, 6575-6579; June, CH, et al. 1990 Immunol.Today 11, 211-6; Harding , FA, et al. 1992 Nature. 356, 607-609). The second ligand, named CTLA4 (CD152), is homologous to CD28 but is not expressed on resting T cells and appears to follow T cell activation (Ref. Brunet, JF, et al., 1987 Nature 328, 267-270 ). In contrast to CD28, CTLA4 appears to be very important for the negative regulation of T cell responses (Waterhouse et al. 1995. Science 270: 985). Blockade of CTLA4 was found to eliminate the inhibitory signal, whereas assembly of CTLA4 was found to provide an inhibitory signal that downregulates T cell responses (Allison and Krummel. 1995. Science 270: 932).
면역반응을 강화시키는 방법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장기간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현재까지 특정 바이러스 및 종양세포에 대한 면역반응을 종래 기술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여 강화시키는 것은 곤란하였다. 일반적으로, 면역반응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법, 및 특히 종양 항원 및 감염성 항원 (예를 들어, 바이러스성, 세균성, 및/또는 기생성 항원)에 대한 반응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법은 매유 유용할 것이다.There has been a long need for the development of methods to enhance immune responses. For example, to date, it has been difficult to enhance the immune response to specific viruses and tumor cells using method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general, methods for enhancing the immune response, and in particular for enhancing the response to tumor antigens and infectious antigens (eg viral, bacterial, and / or parasitic antigens) will be very useful.
발명의 개요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공동자극 경로를 조작하여 면역반응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특히 종양 항원 및 감염성 제제로부터의 항원에 대한 반응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공동자극 분자의 가용성 형태가 예방적 및 치료적으로 면역반응을 증강시킬 수 있다는 발견에 일부 이상 기초한다. 이러한 증강은, 본 발명의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가 고체상에 투여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세포상에 투여되지 않으며), 가교제의 부재하에 투여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관찰된다. 이러한 발견은, 특히 B7-1 및 B7-2 분자의 가용성 형태가 공동자극 반응을 일으키지 못한다는 교시 (참고문헌: Hayden et al. 1996. Tissue Antigens, 48:242; U.S. patent 5,580,756)의 관점에서 보면 매우 놀라운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nhancing an immune response by manipulating costimulatory pathways. The method of the invention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increasing the response to tumor antigens and antigens from infectious ag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discovery that soluble forms of costimulatory molecules can enhance immune responses prophylactically and therapeutically. This enhancement is observed despite the fact that the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administered to the solid phase (eg, not to the cells) and in the absence of crosslinking agents. This finding, in particular in view of the teaching that soluble forms of B7-1 and B7-2 molecules do not cause co-stimulatory reactions (see Hayden et al. 1996. Tissue Antigens, 48: 242; US patent 5,580,756) It is very amazing.
따라서, 일면에서, 본 발명은 공동자극 분자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는 가용성 조성물을 투여함에 의해 항원에 대한 피험자의 면역반응을 예방적으로 증강시켜, 피험자의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이 증강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Thus,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phylactically enhancing the subject's immune response to an antigen by administering a soluble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ellular domain of the costimulatory molecule, such that the subject's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is enhanced. To provide.
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공동자극 분자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는 가용성 조성물을 투여함에 의해 항원에 대한 피험자에 의한 면역반응을 치료적으로 증강시켜, 피험자의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이 증강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therapeutically enhancing an immune response by a subject to an antigen by administering a soluble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ellular domain of a costimulatory molecule, such that the immune response to the antigen of the subject is enhanced. To provide.
일 구체예에서, 공동자극 분자는 B7-1 및 B7-2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In one embodiment, the costimulatory molecul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7-1 and B7-2.
다른 면에서, 클래스 I 제한 항원 또는 이것의 단편 및 B7 분자의 세포외 도메인을 포함하는 제 1 제제를 투여함에 의해 피험자에서 클래스 I 제한 항원에 대한 CD8+ T 세포 반응을 증강시켜, 피험자에 투여시 클래스 I 제한 항원에 대한 CD8+ T 세포 반응이 증강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administering a first agent comprising a class I restriction antigen or fragment thereof and an extracellular domain of a B7 molecule enhances CD8 + T cell response to a class I restricted antigen in a subject, thereby administering the class to a subject when administered to the subject. Provided are methods for allowing CD8 + T cell responses to I restriction antigens to be enhanced.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피험자에 클래스 Ⅱ 제한 항원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 administering a class II restriction antigen to the subject.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피험자에 보조제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 administering an adjuvant to the subject.
일 구체예에서, B7 분자는 B7-1 분자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B7 분자는 B7-2 분자이다.In one embodiment, the B7 molecule is a B7-1 molecule. In another embodiment, the B7 molecule is a B7-2 molecule.
일 구체예에서, 공동자극 분자는 단일특이성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공동자극 분자는 이량체 및 이가이다. 일 구체예에서, 가용성 공동자극 분자는 단일특이성 및 이량체 및 이가이다.In one embodiment, the costimulatory molecule is monospecific. In other embodiments, the costimulatory molecules are dimers and divalents. In one embodiment, the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are monospecific and dimers and divalents.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B7 분자의 세포외 부분이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부분을 포함하는 제 2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와 융합된다. 일 구체예에서,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부분은 시스테인 잔기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부분은 사람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힌지, CH2 및 CH3 영역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부분은 사람 면역글로불린 분자의 힌지, CH1, CH2 및 CH3 영역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면역글로불린 분자는 보체 (complement) 고정화 및/또는 Fc 수용체 결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변형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xtracellular portion of the B7 molecule is fused with a second protein or polypeptide comprising a portion of an immunoglobulin molecule. In one embodiment, the portion of the immunoglobulin molecule comprises a cysteine residue. In one embodiment, the portion of the immunoglobulin molecule comprises the hinge, CH2 and CH3 regions of the human immunoglobulin molecule. In other embodiments, the portion of the immunoglobulin molecule comprises the hinge, CH1, CH2 and CH3 regions of the human immunoglobulin molecule. In one embodiment, the immunoglobulin molecule is modified to reduce complement fixation and / or Fc receptor binding.
일 구체예에서, 항원은 종양세포 항원이다.In one embodiment, the antigen is a tumor cell antigen.
다른 구체예에서, 피험자는 결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신세포암, 백혈병, 림프종, 흑색종, 비만세포종, 육종, 및 방광암종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형의 암을 포함한다.In other embodiments, the subject comprises a cancer of a typ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olon cancer, breast cancer, prostate cancer, renal cell cancer, leukemia, lymphoma, melanoma, mastocytoma, sarcoma, and bladder carcinoma.
일 구체예에서, 면역반응은 세포성 면역반응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면역반응은 체액성 면역반응이다.In one embodiment, the immune response is a cellular immune response. In another embodiment, the immune response is a humoral immune response.
Claims (2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3294499P | 1999-05-06 | 1999-05-06 | |
US60/132,944 | 1999-05-06 | ||
PCT/US2000/012435 WO2000067788A2 (en) | 1999-05-06 | 2000-05-05 | Use of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to enhance immune respons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01865A true KR20020001865A (en) | 2002-01-09 |
Family
ID=2245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7014170A Ceased KR20020001865A (en) | 1999-05-06 | 2000-05-05 | Use of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to enhance immune responses |
Country Status (15)
Country | Link |
---|---|
EP (1) | EP1181053A2 (en) |
JP (1) | JP2002544170A (en) |
KR (1) | KR20020001865A (en) |
CN (1) | CN1377279A (en) |
AU (1) | AU4825700A (en) |
BR (1) | BR0010711A (en) |
CA (1) | CA2373256A1 (en) |
CZ (1) | CZ20013964A3 (en) |
HK (1) | HK1041810A1 (en) |
HU (1) | HUP0201222A3 (en) |
IL (1) | IL146106A0 (en) |
NO (1) | NO20015396L (en) |
PL (1) | PL360915A1 (en) |
WO (1) | WO2000067788A2 (en) |
ZA (1) | ZA200109376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21382B2 (en) | 1997-02-27 | 2004-04-19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Cell surface molecules that mediate cell-cell adhesion and signal transduction |
US7112655B1 (en) | 1997-02-27 | 2006-09-26 | Japan Tobacco, Inc. | JTT-1 protein and methods of inhibiting lymphocyte activation |
JP3871503B2 (en) | 1999-08-30 | 2007-01-24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Immune disease treatment |
JP4210454B2 (en) | 2001-03-27 | 2009-01-21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Inflammatory bowel disease treatment |
JP3597140B2 (en) | 2000-05-18 | 2004-12-02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Human monoclonal antibody against costimulatory molecule AILIM and pharmaceutical use thereof |
JP4212278B2 (en) | 2001-03-01 | 2009-01-21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Graft rejection inhibitor |
WO2007005583A1 (en) * | 2005-06-30 | 2007-01-11 | Eisai Co., Ltd. | Compounds for preparing immunological adjuvant |
US20070172504A1 (en) | 2005-12-08 | 2007-07-26 | University Of Lou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 In vivo cell surface engineering |
WO2007067683A2 (en) | 2005-12-08 | 2007-06-14 |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expanding t regulatory cells |
US9511151B2 (en) * | 2010-11-12 | 2016-12-06 | Uti Limited Partnership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ncer |
US20130039954A1 (en) * | 2011-07-29 | 2013-02-14 | Selecta Biosciences, Inc. | Control of antibody responses to synthetic nanocarriers |
US10988516B2 (en) | 2012-03-26 | 2021-04-27 | Uti Limited Partnership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inflammation |
US20150056232A1 (en) * | 2012-04-02 | 2015-02-26 | The Arizona Board Of Regents For And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 Recombinant bacterium for induction of cellular immune response |
US9603948B2 (en) | 2012-10-11 | 2017-03-28 | Uti Limited Partnership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multiple sclerosis and related disorders |
EP3065771B1 (en) | 2013-11-04 | 2019-03-20 | UTI Limited Partnership |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sustained immunotherapy |
MX388693B (en) | 2015-05-06 | 2025-03-20 | Uti Lp | NANOPARTICLE COMPOSITIONS FOR SUSTAINED THERAPY. |
CN110743006B (en) * | 2019-11-22 | 2020-08-25 | 北京启辰生生物科技有限公司 | Composition for synergistically relieving immune cell failure and applicatio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9911793T2 (en) * | 1998-07-28 | 2004-08-12 | Micromet Ag | HETERO MINI BODY |
-
2000
- 2000-05-05 WO PCT/US2000/012435 patent/WO2000067788A2/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05-05 CN CN00810038A patent/CN1377279A/en active Pending
- 2000-05-05 BR BR0010711-5A patent/BR0010711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05-05 HU HU0201222A patent/HUP0201222A3/en unknown
- 2000-05-05 AU AU48257/00A patent/AU4825700A/en not_active Abandoned
- 2000-05-05 JP JP2000616813A patent/JP2002544170A/en not_active Withdrawn
- 2000-05-05 CA CA002373256A patent/CA2373256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0-05-05 IL IL14610600A patent/IL146106A0/en unknown
- 2000-05-05 EP EP00930437A patent/EP1181053A2/en not_active Withdrawn
- 2000-05-05 PL PL36091500A patent/PL360915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05-05 CZ CZ20013964A patent/CZ20013964A3/en unknown
- 2000-05-05 KR KR1020017014170A patent/KR20020001865A/en not_active Ceased
- 2000-05-05 HK HK02102335.8A patent/HK1041810A1/en unknown
-
2001
- 2001-11-05 NO NO20015396A patent/NO20015396L/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1-11-14 ZA ZA200109376A patent/ZA200109376B/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181053A2 (en) | 2002-02-27 |
WO2000067788A2 (en) | 2000-11-16 |
BR0010711A (en) | 2002-02-13 |
IL146106A0 (en) | 2002-07-25 |
PL360915A1 (en) | 2004-09-20 |
HUP0201222A3 (en) | 2004-07-28 |
AU4825700A (en) | 2000-11-21 |
HK1041810A1 (en) | 2002-07-26 |
NO20015396L (en) | 2002-01-02 |
HUP0201222A2 (en) | 2002-08-28 |
NO20015396D0 (en) | 2001-11-05 |
WO2000067788A3 (en) | 2001-04-05 |
CN1377279A (en) | 2002-10-30 |
CA2373256A1 (en) | 2000-11-16 |
JP2002544170A (en) | 2002-12-24 |
CZ20013964A3 (en) | 2002-06-12 |
ZA200109376B (en) | 2003-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89739B1 (en) | Fc fusion protein enhances immunogenicity of protein and peptide antigens | |
EP1060247B1 (en) | Compositions containing an ox-40 receptor binding agent or a nucleic acid encoding the same and methods for enhancing antigen-specific immune response | |
Corr et al. | Costimulation provided by DNA immunization enhances antitumor immunity | |
CA2480162C (en) | Induction of anti-tumor ctl immunity through in vivo triggering of 4-1bb and/or cd40 | |
JP2022115876A (en) | Fusion protein including il-2 protein and cd80 protein, and use of the same | |
KR20020001865A (en) | Use of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to enhance immune responses | |
Sotomayor et al. | Tolerance and cancer: a critical issue in tumor immunology | |
CZ2001789A3 (en) | A method for in vivo inhibition of ligand activity for osteoprotegerin | |
KR20200142600A (en) | Combinations of modalitie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 |
CA2912736A1 (en) | Gastrin peptide immunogenic composition | |
Huang et al. | Improved immunogenicity of a self tumor antigen by covalent linkage to CD40 ligand | |
US7011833B1 (en) | Enhancing immune responses with B7-1 or B7-2 in the absence of a crosslinking agent | |
EP3800199B1 (en) | H3.3 ctl peptides and uses thereof | |
EP1496937B1 (en) | Dna vaccine combined with an inducer of tumor cell apoptosis | |
JP7585480B2 (en) | Chimeric antigen containing the extracellular domain of PD-L1 | |
MXPA01011130A (en) | Use of soluble costimulatory molecules to enhance immune responses | |
US20050214311A1 (en) | Novel complexes for inducing an immune response | |
US20050255106A1 (en) | Induction of anti-tumor ctl immunity through in vivo triggering of 4-1bb and/or cd40 | |
CA2682774A1 (en) | Ig-pconsensus gene vaccination protects from antibody-dependent immune pathology in autoimmune disease | |
US20020102232A1 (en)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duction of active autoimmunity | |
WO2024052542A2 (en) | A peptide cocktail | |
BERGER et al. | o. 3 Vaccination strategy to treat persistent viral infections | |
WO2006089251A2 (en) | SYNERGISTIC EFFECT OF TGF-β BLOCKADE AND IMMUNOGENIC AGENTS ON TUMORS | |
MXPA00008176A (en) | Compositions containing an ox-40 receptor binding agent or a nucleic acid encoding the same and methods for enhancing antigen-specific immune response | |
HK1126246A (en) | Compositions containing an ox-40 receptor binding agent or a nucleic acid encoding the same and methods for enhancing antigen-specific immune respon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111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5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6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83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