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8677Y1 - 상향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상향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677Y1
KR200198677Y1 KR2020000011383U KR20000011383U KR200198677Y1 KR 200198677 Y1 KR200198677 Y1 KR 200198677Y1 KR 2020000011383 U KR2020000011383 U KR 2020000011383U KR 20000011383 U KR20000011383 U KR 20000011383U KR 200198677 Y1 KR200198677 Y1 KR 200198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ed water
filter
filter bed
cone
filtration ta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3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천 엔바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천 엔바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천 엔바이로
Priority to KR20200000113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6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67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6Upward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4Sand or gravel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개시된 샹향류 여과장치는,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콘부와, 콘부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원통부를 가지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의 내부에서 콘부와 원통부 사이에 마련되는 필터베드와, 상기 필터베드의 하측에 마련되는 모래 분배기와, 상기 여과조의 콘부 하단에 마련되어 모래가 모집되는 집사박스와; 상기 집사박스와 여과조 상부에 연결되는 양사관을 포함하는 상향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의 원통부 하단에 피여과수가 유입되어 순환되는 순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유로와 원통부의 외주에는 상기 필터베드로 피여과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부가 소정각도의 간격으로 연결되며, 상기 순환유로의 일측에 피여과수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유입부로 유입된 피여과수가 순환부를 따라 순환부에 연결된 복수의 분배부를 통하여 필터베드의 둘레로 일정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필터베드에 공급된 피여과수에 있는 부유물을 용이하게 필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향류 여과장치 {Filtering Device of upward fluid}
본 고안은 상향류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관으로 유입된 피여과수를 필터베드의 주위로 일정하게 분배하여 피여과수가 필터베드의 둘레에 일정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한 상향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여과방식으로는 여과층의 상부에서 하부로 원수를 통과시키면서 정수시키는 하향류 여과방식과, 이와는 반대로 여과층의 하부에서 상부로 원수를 통과시키면서 정수시키는 상향류 여과방식이 있다.
상기 상향류 여과방식을 사용하는 종래의 상향류 여과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상향류 여과장치는, 수평단면이 원형인 여과조(10)와, 여과조(10)의 하측 내부에 설치되는 모래분배기(20)와, 모래분배기(20)의 상측으로 여과조(10)의 외측에 설치되며 피여과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0)과, 여과조(10)의 하단에 마련되며 모래를 모집하기 위한 집사박스(40)와, 유입관(30)의 하부에 마련되며 피여과수가 흐르는 환형수로(32)를 포함하고 있다.
여과조(10)는 복수의 지지대(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콘부(12)와, 상기 콘부(12)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부가 개구된 원통부(1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래 분배기(20)는 주판알 형상으로 된 것으로 그 상부에는 필터베드(2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집사박스(40)와 여과조(10) 상부까지 양사관(42)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양사관(42)의 일 지점에는 도시하지 않은 양사펌프가 설치된다.
여과조(10)의 상부에는 양사관(42)과 연결되어 양사관(42)에서 이송되는 모래가 부딪쳐 모래에 포집된 부유물질을 이탈시키는 분리기(44)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상향류 여과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피여과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0)이 여과조(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피여과수가 필터베드(2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급된 후에 필터베드(22)를 통과하게 되므로 피여과수의 부유물이 일정하게 여과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피여과수가 여과조(10)의 일측에 마련된 유입관(30)의 일측을 통하여 필터베드(22)로 공급됨으로, 피여과수가 유입되는 곳의 일측에 많은 수압이 걸이게 되어, 필터베드(22)의 일측에 많은 양의 피여과수가 공급되므로 피여과수의 부유물이 여과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여과조의 외주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공급파이프를 연결하여 피여과수를 필터베드로 일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상향류 여과장치의 피여과수 유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상향류 여과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류 여과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측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여과조 101; 지지대
110; 콘부 112; 원통부
120; 필터베드 122; 모래 분배기
124; 집사박스 126; 양사관
128; 분리기 130; 순환유로
131; 유입부 132; 분배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상향류 여과장치는,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콘부와, 콘부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원통부를 가지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의 내부에서 콘부와 원통부 사이에 마련되는 필터베드와, 상기 필터베드의 하측에 마련되는 모래 분배기와, 상기 여과조의 콘부 하단에 마련되어 모래가 모집되는 집사박스와; 상기 집사박스와 여과조 상부에 연결되는 양사관을 포함하는 상향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의 원통부 하단에 피여과수가 유입되어 순환되는 순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유로와 원통부의 외주에는 상기 필터베드로 피여과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부가 소정각도의 간격으로 연결되며, 상기 순환유로의 일측에 피여과수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여과조의 원통부 가장자리 하단이 연장형성되고, 연장된 하단이 밀폐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상햐유 여과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향류 여과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그 측면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0은 여과조를 보인 것으로, 여과조(100)는 바닥에 수직으로 세워진 복수의 지지대(101)에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지지대(101)에 지지되고 콘 형상으로 된 콘부(110)와, 상기 콘부(110)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원통부(11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여과조(100)의 내부 중앙에는 필터베드(120)가 마련되고, 이 필터베드(120)의 하측에는 모래분리기(122)가 마련된다. 그리고, 여과조(100)의 하단에는 모래를 모집하기 위한 집사박스(124)가 마련되고, 집사박스(124)에는 여과조(100)의 상부에 까지 연결되는 양사관(126)이 연결된다.
그리고, 여과조(100)의 원통부(112) 상부에는 양사관(126)과 연결되어 양사관(126)에서 이송되는 모래가 부딪쳐 모래에 포집된 부유물질을 이탈시키는 분리기(128)가 형성된다.
상기 콘부(110)의 상단에 연결되는 원통부(112) 하단에는 피여과수가 유입되어 순환되는 순환유로(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순환유로(130)는 원통부(112)의 하단이 연장되고 밀폐되어 피여과수가 유도되도록 된 단면이 삼각 형상의 파이프로 된 것이다. 그리고, 순환유로(130)의 일측에는 피여과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순환유로(130)에는 필터베드(120)로 피여과수의 공급을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부(132)의 일단이 소정각도의 간격으로 연결되고, 상기 분배부(132)의 타단은 필터베드(120)가 마련된 여과조(100)의 원통부(112)의 외측에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입부로 유입된 피여과수가 여과조의 원통부 하단이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순환유로를 따라 복수의 분배부를 통하여 상기 필터베드의 둘레로 일정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피여과수의 부유물을 여과하는 필터베드의 여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피여과수가 순환유로를 따라 복수의 분배부로 일정하게 공급되므로, 종래와 같이 어느 일측으로 피여과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는 콘부와, 콘부의 상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원통부를 가지는 여과조와; 상기 여과조의 내부에서 콘부와 원통부 사이에 마련되는 필터베드와, 상기 필터베드의 하측에 마련되는 모래 분배기와, 상기 여과조의 콘부 하단에 마련되어 모래가 모집되는 집사박스와; 상기 집사박스와 여과조 상부에 연결되는 양사관을 포함하는 상향류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의 원통부 하단에 피여과수가 유입되어 순환되는 순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유로와 원통부의 외주에는 상기 필터베드로 피여과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분배부가 소정각도의 간격으로 연결되며, 상기 순환유로의 일측에 피여과수가 유입되는 유입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류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는 상기 여과조의 원통부 가장자리 하단이 연장형성되고, 연장된 하단이 밀폐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향류 여과장치.
KR2020000011383U 2000-04-21 2000-04-21 상향류 여과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198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383U KR200198677Y1 (ko) 2000-04-21 2000-04-21 상향류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383U KR200198677Y1 (ko) 2000-04-21 2000-04-21 상향류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677Y1 true KR200198677Y1 (ko) 2000-10-02

Family

ID=1965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383U Expired - Fee Related KR200198677Y1 (ko) 2000-04-21 2000-04-21 상향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6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8143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구조
RU2001111216A (ru) Барабанный фильтр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жидкости, такой, как содержащий осадок раствор
TWI535666B (zh) 離子交換裝置
US9072989B2 (en) Underdrain for a filter system for filtering water or wastewater
CN105126412B (zh) 一种低温堆水处理系统可拆卸式过滤器
KR200198677Y1 (ko) 상향류 여과장치
CN106390567A (zh) 一种模块化污水紊流过滤设备
US6966987B1 (en) Tangentially fed media filter method and apparatus
CN210419580U (zh) 一种废水处理超滤装置
CN205874148U (zh) 水污染治理循环净化装置
CN204752394U (zh) 一种砂滤装置
JP4044697B2 (ja) 液体処理塔
KR20060106069A (ko) 상향류식 다단 여과장치
CN209081627U (zh) 一种洗瓶机用供水系统
JP5896681B2 (ja) サイクロン式濾過装置
JP4593086B2 (ja) 濾過装置
CN109626664B (zh) 一体化叠式净水装置
CN209934160U (zh) 一种多滤料过滤器
CN214512972U (zh) 一种方便过滤芯更换的废水净化设备
CN207401198U (zh) 一种防跑料的无阀过滤器
KR101563888B1 (ko) 필터링된 해수를 이용한 필터 세척 시스템
CN211946427U (zh) 气水分布底盘装置
CN221370667U (zh) 一种除盐水罐装置
KR20030091132A (ko) 하부집수장치의 보수구조 및 보수방법
CN210505798U (zh) 一种节能环保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42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7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4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1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1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26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