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8617Y1 - 금고 - Google Patents

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617Y1
KR200198617Y1 KR2020000014043U KR20000014043U KR200198617Y1 KR 200198617 Y1 KR200198617 Y1 KR 200198617Y1 KR 2020000014043 U KR2020000014043 U KR 2020000014043U KR 20000014043 U KR20000014043 U KR 20000014043U KR 200198617 Y1 KR200198617 Y1 KR 200198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afe
compartment
lower plate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0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박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범 filed Critical 박기범
Priority to KR20200000140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6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61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1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with alarm, signal or indicat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2700/00Safes or accessories thereof
    • E05G2700/04Alarm devices, trapping mechanisms or similar devices for safes or the li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4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xplosives

Landscapes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돈이나 귀중품을 보관하는 금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바닥에 금고를 분리가능하게 고정시켜 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금고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상기 금고 내부의 하판을 실내의 바닥면에 다수의 볼트로서 체결시키므로서 금고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단열부재와 외벽의 사이에 소정크기의 격실을 조밀하게 형성한 다음 상기 격실에 소정량의 폭음(爆音)부재를 내장하여 용접절단시 용접불꽃에 의해 폭음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금고의 불안전한 상태를 외부에 경고하여 귀중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금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 단열부재가 충입되고, 개구된 전방에 도어가 설치되는 금고에 있어서, 상기금고 내부의 하판에 실내바닥면의 체결공과 연통되게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한 다음, 상기 관통공과 체결공을 다수의 볼트로서 체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며,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단열부재와 외벽 사이의 여러 개소에 소정크기의 격실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격실에 소정량의 폭음부재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고{A money box}
본 고안은 돈이나 귀중품을 보관하는 금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바닥에 금고를 분리가능하게 고정시켜 이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금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금고는 도 1과 같이 상,하,좌,우, 그리고 후방이 강철재질의 내벽(1)과 외벽(2)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벽(1)과 외벽(2)의 사이에는 콘크리트와 같은 단열부재(3)가 충입되고, 개구된 전방에는 도어(4)가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4) 역시 단열부재(3)가 충입된 내벽(1)과 외벽(2)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금고는 그 크기가 다소 작을 시에는 금고 전체를 도난당 할 우려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상기 금고가 이동이 용이하지 않을 만큼 클 경우에는 용접기를 이용하여 내벽(1)과 외벽(2)을 절단한 다음 그 내부의 귀금속이나 돈을 강탈해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금고 내부의 하판을 실내의 바닥면에 다수의 볼트로서 체결시키므로서 금고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단열부재와 외벽의 사이에 소정크기의 격실을 조밀하게 형성한 다음 상기 격실에 소정량의 폭음(爆音)부재를 내장하여 용접절단시 용접불꽃에 의해 폭음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금고의 불안전한 상태를 외부에 경고하여 귀중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금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금고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금고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금고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내벽 12:외벽
13:단열부재 15:하판
15a:관통공 15b:볼트
16:실내바닥 16a:체결공
17:격판 17a:격실
18:폭음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 단열부재가 충입되고, 개구된 전방에 도어가 설치되는 금고에 있어서, 상기 금고 내부의 하판에 실내 바닥면의 체결공과 연통되게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한 다음, 상기 관통공과체결공을 볼트로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 금고의 하판을 사방 내벽으르부터 독립적으로 분리시킨 다음, 상기 하판에 내벽의 걸림턱과 대응되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하판에 볼트가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단열부재와 외벽 사이의 여러 개소에 소정크기의 격실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격실에 소정량의 폭음부재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 격실에 폭음부재를 내장하되, 상기 폭음부재를 우레탄, 스치로폴과 같은 단열케이스에 밀봉시킨 다음, 상기 단열케이스를 격실에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격실내에 초강력 접착제를 내장시켜 외벽의 용접절단시 외벽과 격실이 접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금고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금고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내벽(11)과 외벽(12)의 사이에 콘크리트와 같은 단열부재(13)가 충입되고, 개구된 전방에 도어(14)가 설치되는 금고에 있어서, 상기 금고의 하판(15)을 독립적으로 분리시킨 다음, 상기 하판(15)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내벽(11) 사방의 걸림턱(11a)과 대응되는 걸림홈(15c)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금고 내부의 하판(15)에 복수의 관통공(15a)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관통시키는 한편, 실내 바닥면(16)적소에 관통공(15a)과 대응되는 다수의 체결공(16a)을 형성한 다음, 상기 관통공(15a)과 체결공(16a)을 다수의 볼트(15b)로서 각각 체결시킨다.
이때, 상기 실내 바닥면(16)에 체결공(16a)을 형성하되, 상기 체결공(16a)에 슬리브너트와 같은 고정너트(16b)를 박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하판(15)의 관통공(15a)을 관통한 볼트(15b)를 너트로서 체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외벽(12)의 사방 하단부가 실내 바닥면과 거의 밀착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금고의 양측벽부와 후벽, 그리고 상벽이 각각 분리,조합되게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16b)에 체결된 하나의 볼트(15b) 인장력이 약 500ton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함이 중요하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13)와 외벽(12)의 사이에 소정 두께의 격판(17)을 설치하되, 상기 격판(17)에 소정크기의 격실(17a)을 조밀하게 형성한 다음, 상기 격실(17a)의 개구부가 외벽(12)을 향하도록 격판(17)을 설치하는데, 상기 격실(17a)에 소정량의 폭음부재(18)를 내장한다.
이때, 상기 격실(17a)내의 폭음부재(18)는 외벽(12)을 절단하는 용접기의 불꽃에 의해 폭발하면서 큰 폭음이 발생하도록 한 것인데, 상기 폭음부재(18)의 폭발시 그 폭발력에 의해 격실(17a)과 단열부재(13)가 손상되지 않고 용접에 의해 절단된 외벽(12)으로 폭발력이 방출되도록 폭음부재(18)의 량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상기 격실(17a)에 폭음부재(18)를 내장하되, 상기 폭음부재(18)가 용접열에 의해 폭발될 수 있으므로 우레탄이나 스치로폴과 같은 단열케이스(18a)에 밀봉시킨 다음, 상기 단열케이스(18a)를 격실(17a)에 내장시킨다. 즉, 용접초기시 외벽(13)에 전달되는 고열을 단열케이스(18a)로 차단하므로서 밀폐된 격실(17a)내에서 폭음부재(18)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외벽(13)이 용접에 의해 절단된 상태가 되었을 때 용접불꽃에 의해 단열케이스(18a)가 녹으면서 그 내부의 폭음부재(18)가 폭발하게 한다.
또한, 상기 격실(17a)내에 고형화된 초강력 접착제를 내장시켜 외벽(13)의 용접절단시 외벽(13)과 격실(17a)이 접합되게 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외벽(13)을 용접불꽃으로 가열하였을 때 격실(17a)내의 고형화된 초강력 접착제가 녹아 외벽(13)과 격실(17a)사이에 침투되며, 이때 접착제로 인하여 외벽(13)과 격실(17a)이 순간적으로 접합되어 격실(17a)로부터 외벽(13)이 탈락되지 않음은 물론, 절단된 용접홈을 따라 접착제가 서서히 흘러 그 용접홈을 막아버리므로서 외벽(13)의 절단시간을 최대한 지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금고의 설치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드릴과 같은 실내 바닥면(16) 적소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다수의 체결공(16a)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한 다음, 상기 체결공(16a)에 고정너트(16b)를 박아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상부에 하부가 개구된 금고를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금고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하판(15)을 설치하는데, 이때 내벽(11) 사방의 걸림턱(11a)에 하판(15)의 걸림홈(15c)이 걸려 고정됨과 동시에 실내바닥(16)면의 고정너트(16b)와 하판(15)의 관통공(15a)이 일치되며, 상호 일치된 고정너트(16b)와 관통공(15a)을 다수의 볼트(15b)로서 각각 체결시켜 금고를 실내바닥(16)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단열부재(13)와 외벽(12)의 사이에 소정 두께의 격판(17)이 설치된 다음, 상기 격판(17)에 소정크기의 격실(17a)이 조밀하게 형성되며, 상기 격실(17a)에 소정량의 폭음부재(18)가 각각 내장된다.
즉, 상기 금고의 외벽(12)을 용접기로 절단할 경우 외벽(12)이 절단되면서 용접불꽃에 의해 격실(17a)내의 폭음부재(18)가 발화되어 폭음이 외부로 방출되게 하므로서 그 주변의 경비원들에게 경보를 주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격실(17a)내에 폭음부재(18)를 대신하여 고형화된 초강력 접착제를 내장시키므로서 외벽(13)의 용접절단시 외벽(13)과 격실(17a)이 접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외벽(13)을 용접불꽃으로 가열하였을 때 격실(17a)내의 고형화된 초강력 접착제가 용융되어 외벽(13)과 격실(17a)사이에 침투되며, 이때 접착제로 인하여 외벽(13)과 격실(17a)이 순간적으로 접합되어 격실(17a)로부터 외벽(13)이 탈락되지 않음은 물론, 절단된 용접홈을 따라 접착제가 서서히 흘러 그 용접홈을 막아버리므로서 외벽(13)의 절단시간을 최대한 지연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금고 내부의 하판(15)을 실내의 바닥(16)면에 다수의 볼트(15b)로서 체결시키므로서 금고의 이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한편, 상기 단열부재(13)와 외벽(12)의 사이에 소정크기의 격실(17a)을 조밀하게 형성한 다음 상기 격실(17a)에 소정량의 폭음부재(18)를 내장하여 용접절단시 용접불꽃에 의해 폭음이 발생되도록 하므로서 금고의 불안전한 상태를 외부에 경고하여 귀중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5)

  1. 내벽과 외벽으로 구성되고, 개구된 전방에 도어가 설치되는 금고에 있어서,
    상기 금고 내부의 하판에 실내 바닥면의 체결공과 연통되게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한 다음, 상기 관통공과 체결공에 다수의 볼트로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고의 하판을 사방 내벽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시킨 다음, 상기 하판에 내벽의 걸림턱과 대응되는 걸림홈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하판에 볼트가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와 외벽의 사이에 소정크기의 격실을 조밀하게 형성한 다음, 상기 격실에 소정량의 폭음부재를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에 폭음부재를 내장하되, 상기 폭음부재를 우레탄, 스치로폴과 같은 단열케이스에 밀봉시킨 다음, 상기 단열케이스를 격실에 내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내에 초강력 접착제를 내장시켜 외벽의 용접절단시 외벽과 격실이 접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
KR2020000014043U 2000-05-17 2000-05-17 금고 Expired - Fee Related KR2001986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043U KR200198617Y1 (ko) 2000-05-17 2000-05-17 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043U KR200198617Y1 (ko) 2000-05-17 2000-05-17 금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617Y1 true KR200198617Y1 (ko) 2000-10-02

Family

ID=1965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043U Expired - Fee Related KR200198617Y1 (ko) 2000-05-17 2000-05-17 금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61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0000940A8 (en) Currency anti-theft device
US6240858B1 (en) Penetration resistant panel
KR200198617Y1 (ko) 금고
US6247415B1 (en) Device for protecting securities
CN205825828U (zh) 一种用于防盗门破锁的爆炸装置
KR20010103362A (ko) 금고
CA2390681A1 (en) Break away barrier and method for using same
US2086019A (en) Refrigerator safe
USD488910S1 (en) Door for security safes and gun cabinets
CA2536974A1 (en) Detonator arming
DK165915B (da) Apparat til spredning af farvestof over vaerdipapirer i et lukket rum ved forsoeg paa tyveri
ATE226715T1 (de) In einem raum anbringbarer detonator und ein damit versehenener sicherheitsbehälter
CN209942633U (zh) 一种防撬防盗门
WO1985005651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le blocage permanent d'un organe mobile dans un bati, en particulier pour coffre-fort et coffre-fort resultant
JP2000073658A (ja) 防盗型金庫
CN101446167A (zh) 高保险防盗门及其锁
JP4481296B2 (ja) 緊急脱出装置
CN211060756U (zh) 一种水力聚能破拆装置
KR102108135B1 (ko) 도로 및 터널 거부시설용 전색형 폭파킷
KR100279088B1 (ko) 책상을 겸한 도난 방지용 금고
BG97819A (en) Alarm signal device
GB2253734A (en) Alarm container
JP2506176Y2 (ja) コントロ―ルボックスの構造
SU1157208A1 (ru) Бескорпусный кумул тивный перфоратор
KR20160003647U (ko) 방범 기능이 있는 비상대피통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51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7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5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115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