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8022Y1 -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 - Google Patents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022Y1
KR200198022Y1 KR2020000002630U KR20000002630U KR200198022Y1 KR 200198022 Y1 KR200198022 Y1 KR 200198022Y1 KR 2020000002630 U KR2020000002630 U KR 2020000002630U KR 20000002630 U KR20000002630 U KR 20000002630U KR 200198022 Y1 KR200198022 Y1 KR 200198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unit
ring main
socket
inspection apparatus
bus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6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원
조상순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26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02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켓 방식을 이용하여 링 메인 유닛의 활선 상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는 일 소켓은 부싱과 연결되고, 다른 소켓은 전선을 통해 접지와 연결되며, 상기 일 소켓과 다른 소켓 사이에 콘덴서를 구성한 R, S, T 3상의 세쌍의 소켓과, 상기 R, S, T 세쌍의 소켓중 한쌍의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부싱의 콘덴서 특성에 의해 전압이 검출되면 램프를 온오프하는 포터블(portable) 검상 장치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Signal Lamp Socket of Ring Main Unit}
본 고안은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켓 방식을 이용하여 링 메인 유닛의 활선 상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약 20,000V 정도의 전압으로 만들어진 전기는 송전에 적합한 초 고압으로 승압되어 1차 변전소로 송전된다. 그러면 1차 변전소에서는 공급받은 전력을 강하시켜 2차 변전소 또는 각 수용가로 공급한다.
1차 변전소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가공 배전선과 지중 배전선으로 구성된 배전 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설비로 공급되어지며, 특고 수용가, 고압 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저압 수용가까지 공급된다.
이때 지중 배전선로의 선로구분, 분기 및 변압기 1차측 보호를 목적으로 링 메인 유닛(Ring Main Unit)이 사용되며 현재는 SF6가스를 절연소재로 사용한 SF6가스 절연 링 메인 유닛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링 메인 유닛의 활선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검상 장치를 사용하는데 사용방법에 따라 램프 방식과 소켓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링 메인 유닛의 활선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검상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램프 방식 검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램프 방식 검상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부싱의 외형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링 메인 유닛의 활선 유무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종래 기술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R, S, T상에 해당되는 3개의 단자와, 각 상에 해당하는 검상 램프로 구성된 램프 검상 장치(1)는 접지를 위한 1개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부싱(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력 로(電力 路)인 부싱 도체(22)와, 부싱 도체(22)의 보호와 접속재 취부 부분인 부싱 애폭시(21)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싱(2)의 콘덴서 특성에 의해 전압을 감지하는 부싱 전압 검출 장치(23)로 구성된다.
종래 검상 장치인 램프방식 검상 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R, S, T 상 각각의 부싱전압검출장치(23)로부터 각 상에 해당하는 램프검상 장치(1)의 단자로 전선(3)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검상 장치는 링 메인 유닛 사용시 부싱도체(22)를 통해 정격 전류가 흐를 때, 부싱(2)의 콘덴서 특성에 의해 부싱전압검출장치(23)에는 보통 교류 20V의 전압이 검출된다. 또한 도 2와 같이 전선(3)을 통해 각 부싱(2)에 해당하는 단자에 연결되어 부싱전압검출장치(23)에서 검출된 전압은 램프검상 장치(1)의 배전압 정류장치(11)를 통해 교류 70V로 승압 및 정류된다.
그리고 검상 장치는 일정 이상의 전압이 인입되면 램프가 켜지는 방전관(12)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전압 정류장치(11)를 통과한 승압 및 정류된 전압에 의해 램프가 켜지게 된다. 이때 배전압 정류장치는 PCB 상에 다이오드, 콘덴서등 다량의 전기부품으로 회로가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는 배전선로에 설치되면 15년 정도의 수명을 요구하는데 램프방식의 검상 장치는 방전관의 수명이 10,000시간으로 한정되어 있어 링 메인 유닛을 사용하는 기간동안 계속해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램프가 꺼져 있을 경우 램프의 수명 때문인지 배전선로상의 문제인지 구분이 안될 수 있어 작업자의 사고를 유발할 수까지 있었다.
그리고 일정 전압 이상 되어야 켜지는 방전관을 사용하기 때문에 승압 및 정류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다이오드, 콘덴서등 다량의 전기부품으로 회로를 구성하고 있어 제작 및 가격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으며 회로를 위한 PCB의 제작이 불가피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콘덴서로만 이루어진 검상 장치를 이용하여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하여 링 메인 유닛을 사용하는 동안 유지보수 문제 및 안전사고 문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램프 방식 검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램프 방식 검상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부싱의 외형도 및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 방식 검상 장치의 사용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 방식 검상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소켓 방식 검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소켓방식 검상 장치 32 : 포터블 검상램프
33 : 부싱 34 : 전선
41 : 소켓 42 : 콘덴서
43 : 지지대
본 고안의 특징은 일 소켓은 부싱과 연결되고, 다른 소켓은 전선을 통해 접지와 연결되며, 상기 일 소켓과 다른 소켓 사이에 콘덴서를 구성한 R, S, T 3상의 세쌍의 소켓과, 상기 R, S, T 세쌍의 소켓중 한쌍의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부싱의 콘덴서 특성에 의해 전압이 검출되면 램프를 온오프하는 포터블(portable) 검상 장치로 구성됨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서지 방지 회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 방식 검상 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 방식 검상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소켓 방식 검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소켓 방식 검상 장치(31)는 부싱(33)에서 소켓 방식 검상 장치(31)전까지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링 메인 유닛의 활선 유무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종래에 사용하던 램프방식 검상 장치와는 다르게 포터블(Portable) 검상 램프(32)를 소켓(41)에 삽입하여 램프의 동작 상태로서 확인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소켓 방식 검상 장치(31)의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R, S, T 각 상에 각각 한쌍의 소켓(도 6의 41참조)이 있으며, 각 상의 두 소켓(41)은 이미 설정된 콘덴서(42)로 연결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상의 두 소켓(41)중 하나는 부싱(33)으로 연결되며 각 상의 나머지 소켓(41)은 서로 전선으로 연결하여 링 메인 유닛의 본체에 접지로 연결한다.
또한, 6개의 소켓(41)들을 링 메인 유닛에 지지해주는 지지대(4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는 링 메인 유닛 사용 시 부싱도체(도 3의 22)를 통해 정격 전류가 흐를 때 도싱(33)의 콘덴서 특성에 의해 부싱전압검출장치(도 3의 23)에 전압이 검출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34)을 통해 각 부싱(33)에 해당하는 단자에 연결되며, 링 메인 유닛의 활선 유무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터블 검상램프(32)를 소켓(41)에 삽입하여 램프의 동작상태로서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소켓 방식 검상 장치(31)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우선 포터블 검상 램프 사용시는 램프방식 검상 장치(도 1의 1)에서 배전압 검상 장치의 회로에는 도 2와 같이 분압을 위한 콘덴서가 구성되어 있는데, 본 고안의 소켓 방식은 부싱(33)으로부터 인입되는 교류전압을 콘덴서(42)로 분압한다.
즉 도 5의 콘덴서(42)는 도 2의 콘덴서와 같은 역할을 하며 도 2의 콘덴서를 제외한 나머지 회로 및 램프는 포터블 검상램프에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링 메인 유닛에 부착된 검상 장치는 콘덴서(42)가 허용하는 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포터블 검상 램프(32)도 활선유무 확인작업시에만 사용하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소켓 자체로 존재할 때는 부싱(33)으로부터 인입된 전압은 콘덴서(43)를 통해 링 메인 유닛의 본체 접지로 흐르도록 회로가 구성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소켓(41)에 도체를 삽입할 경우에는 인체에 상해가 흐르지 않을 정도의 특정 값을 갖는 콘덴서(43)를 사용함으로써 교류전압이 콘덴서(42)로 흐르게 하여 작업자가 상해를 입는 경우를 피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콘덴서만으로 구성된 소켓 방식 검상 장치를 이용하여 램프방식 검상 장치의 가장 큰 문제인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역시 거의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1개의 콘덴서만으로 검상 장치를 구성함으로서 PCB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가 거의 들지 않는다. 그리고 작업자가 소켓에 도체를 삽입할 경우 인체에 해가 없을 정도의 콘덴서를 사용하면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가능성도 없앨 수 있다. 즉 유지보수시 작업자의 안전적인 측면에서도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 소켓은 부싱과 연결되고, 다른 소켓은 전선을 통해 접지와 연결되며, 상기 일 소켓과 다른 소켓 사이에 콘덴서를 구성한 R, S, T 3상의 세쌍의 소켓과;
    상기 R, S, T 세쌍의 소켓중 한쌍의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부싱의 콘덴서 특성에 의해 전압이 검출되면 램프를 온오프하는 포터블 검상 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
KR2020000002630U 2000-01-31 2000-01-31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198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630U KR200198022Y1 (ko) 2000-01-31 2000-01-31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630U KR200198022Y1 (ko) 2000-01-31 2000-01-31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022Y1 true KR200198022Y1 (ko) 2000-10-02

Family

ID=19639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630U Expired - Lifetime KR200198022Y1 (ko) 2000-01-31 2000-01-31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0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9860B1 (en) Electrical wiring device
CN100391072C (zh) 监控中性线和地线的装置,以及包括该装置的电开关装置
US20130193991A1 (en) High Voltage Sensing Capacitor and Indicator Device
RO118502B1 (ro) Detector pentru monitorizarea integrităţii unei conexiuni de împământare a unui aparat electric
US5065142A (en) Voltage pickup circuit and flashing display for high voltage indicator device, and input electrode therefor
US20130229733A1 (en) Lightening Protection Apparatus Using TN-C Common Ground
Shipp et 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ower systems grounding techniques: Fact and fiction
KR200198022Y1 (ko) 링 메인 유닛 검상 장치
KR20090096689A (ko) 보조 보호 회로를 구비한 전원 및 전자식 안정기
ES1027218U (es) Modulo perfeccionado para conexion y prueba de lineas telefonicas.
US8058879B1 (en) Voltage indicating coupling for metal conduit systems
KR100415908B1 (ko) 저압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KR100717272B1 (ko) 서어지 보호장치를 가지는 조명기구
KR102332571B1 (ko) 지상 개폐기 및 차단기의 제어회로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방법
CN202815071U (zh) 一种高压带电检测指示系统
CN106452111B (zh) 一种本安电源的供电方法及本安电源系统
SK58197A3 (en) Decoupling element for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and elements arrangement in switch cabinet, for overvoltage protection
CN210119536U (zh) Gis同频同相高压试验电压互感器二次取样隔离装置
EP0370828B1 (en) Electric pow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office furniture
WO1993009584A1 (en) Open circuit monitor
KR200260979Y1 (ko) 변류기부 전력량계의 ttb 단자판 구조
KR100325322B1 (ko) 3상 주상변압기의 결선구조 및 무정전 바이패스 결선방법
CN2559151Y (zh) 用电器的保护接地监控装置
KR200147073Y1 (ko) 개스절연 개폐장치의 선로전압 감지기
JPH024582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13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7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2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2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10621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4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0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