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7854Y1 -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854Y1
KR200197854Y1 KR2020000013553U KR20000013553U KR200197854Y1 KR 200197854 Y1 KR200197854 Y1 KR 200197854Y1 KR 2020000013553 U KR2020000013553 U KR 2020000013553U KR 20000013553 U KR20000013553 U KR 20000013553U KR 200197854 Y1 KR200197854 Y1 KR 200197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mputer
integrated
distributo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제옥
김광남
황윤찬
Original Assignee
나제옥
김광남
황윤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제옥, 김광남, 황윤찬 filed Critical 나제옥
Priority to KR2020000013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8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8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컴퓨터 본체에 주변기기들의 다수의 케이블들을 용이하게 접속 및 분리시킬수 있는 주변기기의 연결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연결장치는 컴퓨터 주변기기와 접속되는 분배기, 분배기의 일측에 여러 주변기기들의 커넥터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다수의 커넥터들로 구성되는 제1 연결부재 및 분배기와 컴퓨터 본체를 연결하기 위해 다수의 케이블들이 일체화된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다수의 컴퓨터 주변기기의 커넥터들을 수용할 수 있는 분배기를 통하여 주변기기의 커넥터들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들의 커넥터를 일일이 본체에 연결하는 데 따른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컴퓨터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본체로부터 주변기기를 분리하기도 매우 용이하다. 또한, 상기 분배기와 컴퓨터 본체를 연결함에 있어서 다수의 케이블을 일체화한 일체형 케이블을 통하여 컴퓨터 주위의 배선들을 보다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peripheral equipment to a computer}
본 고안은 컴퓨터 주변기기와 본체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주변기기에 구비된 각각의 케이블을 컴퓨터 본체에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일체형 케이블 및 분배기를 구비하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에서 필수적인 컴퓨터는 최근 소비자들의 욕구가 다양화됨에 따라서 입출력 기능들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그 주변기기의 종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즉 주변기기로서 키보드, 마우스 등은 기본적으로 구비되어야 하고 그 외에 마이크, 스피커, 스캐너, 프린터 및 PC 카메라 등 컴퓨터 본체와 연결되는 많은 주변기기들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주변기기의 다양화로 인해서 컴퓨터 본체의 일측에는 다양한 주변기기가 접속될 수 있도록 많은 접속포트(커넥터)가 구비되어야 한다.
도 1은 주변기기를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가 구비된 통상적인 컴퓨터 본체의 배면도를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컴퓨터 본체(1)의 후면에는 키보드 접속 커넥터(10), 마우스 접속 커넥터(12), 프린트 접속 커넥터(14), 모니터 접속 커넥터(16), 스피커 접속 커넥터(18) 및 마이크 접속 커넥터(20)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의 후면에 키보드 접속 커넥터, 마우스 접속 커넥터, 프린트 접속 커넥터 및 모니터 커넥터 등을 통하여 각종의 주변기기들을 직접 접속시키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에는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여러 주변기기를 본체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그 주변기기에 구비된 각각의 케이블을 본체에 구비된 커넥터에 일일이 삽입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주변기기 연결 후에도 각종 배선들이 어지럽게 널려 있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를 사용하는 작업의 수행 시에도 여러가지 불편함이 뒤따랐다.
또한, 통상적인 컴퓨터의 본체에 마련되는 주변기기 연결용 커넥터는 본체의 후면에 마련되므로 상기와 같이 각각의 주변기기 케이블들을 본체에 접속시킬 때의 불편함은 더욱 가중된다.
더욱이, 컴퓨터의 설치위치 등을 변경하고자 할 때 다수의 주변기기의 케이블들을 일일이 본체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본체와 주변기기를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데 따른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컴퓨터 본체와 주변기기를 용이하게 접속 및 분리시킬수 있는 본체와 주변기기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주변기기를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가 구비된 통상적인 컴퓨터 본체의 배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케이블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분배기 103;제1 연결부재
106;제2 연결부재 110;프린터 접속 커넥터
120;모니터 접속 커넥터 130;키보드 접속 커넥터
140;마우스 접속 커넥터 150;스피커 접속 커넥터
160;마이크 접속 커넥터 170;전원 연결부
174;전원 연결부 케이블
190;일체형 커넥터 연결부
200;일체형 케이블 210;일체형 커넥터
220;본체연결용 커넥터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컴퓨터 본체와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컴퓨터 주변기기와 접속되는 분배기 및 상기 분배기의 일측에 마련된 제1 연결수단 그리고 상기 분배기와 컴퓨터 본체를 연결하는 제2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연결수단은 복수 개의 주변기기들이 접속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를 구비한다. 프린터,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주변기기들이 직접 컴퓨터 본체의 후면에 접속되던 종래 방법과는 달리 본 고안에 따르면 컴퓨터 주변기기의 커넥터들은 상기 제1 연결수단의 복수의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일체화된 복수 개의 케이블들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린터 커넥터, 모니터 커넥터, 키보드 커넥터 그리고 마우스 커넥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 일체형 케이블 및 스피커 커넥터, 마이크 커넥터, 조이스틱 커넥터, 스캐너 커넥터 그리고 PC 카메라 커넥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 일체형 케이블을 구비한다.
상기 제2 연결수단의 일단에는 상기 컴퓨터 본체의 커넥터들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커넥터들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일체화된 케이블들을 상기 분배기에 접속하는 일체형 커넥터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분배기는 상기 일체형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일체형 커넥터 연결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들을 위한 전원 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배기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분배기의 바람직한 설치위치는 모니터와 키보드 등이 위치하는 책상의 직하부면 또는 책상 가장자리 중 일측을 절개하여 마련된 위치에 책상 상부면과 상기 분배기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에 상기 분배기가 설치됨으로써 주로 책상 위에 배치되는 여러 주변기기의 케이블을 손쉽게 상기 분배기에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 컴퓨터 설치시나 위치이동시에 매우 편리하다.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배기와 컴퓨터 본체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컴퓨터 본체와 본 고안에 따른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장치의 연결 구조를 정리해보면, 여러 주변기기의 케이블은 상기 제1연결수단을 통해서 분배기에 접속되어지고, 분배기는 상기 제2 연결수단을 통해서 컴퓨터 본체로 연결된다.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주변기기들과 본체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복수의 케이블이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분배기를 책상근처로 배치시킬 경우, 종래의 어지럽게 널려져 있던 컴퓨터 본체 근처의 주변기기의 케이블들이 일체화된 케이블로 간단히 정리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수단의 일단에는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의 커넥터와 동일한 형상의 복수 개의 커넥터가 분기되어 구비되어 본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타단에는 상기 일체화된 복수의 케이블을 상기 분배기에 접속할 수 있는 일체형 커넥터가 구비되어진다. 상기 일체형 커넥터는 상기 분배기의 소정의 위치에 마련된 일체형 커넥터 연결부에서 접속된다.
상기 제2 연결수단을 통해서 사용자는 여러 주변기기를 일일이 본체 후면에 접속시키는 불편을 없앨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여러 주변기기의 각 케이블들이 길이가 상이함으로 인해서 컴퓨터 본체의 후면에 마련된 커넥터로 연결시킬 때는 큰 불편이 있었으나,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2 연결수단을 사용할 경우, 주변기기의 케이블과는 상관없이 단지 상기 분배기와 상기 본체만을 제2 연결수단으로서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케이블 연결 혹은 분리에 따른 불편은 거의 없어진다.
한편, 상기 분배기에 형성된 전원 연결부를 통하여 주변기기 중 전원이 필요한 모니터 등을 설치할 때 매우 유용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본체와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배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케이블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본체와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연결장치는, 컴퓨터 주변기기와 접속되는 분배기(100), 상기 분배기(10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연결부재(103) 및 상기 분배기(100)와 컴퓨터 본체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10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부재(103)는 복수 개의 주변기기의 커넥터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분배기(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복수의 커넥터(110, 120, 130, 140, 150, 160)이다. 즉, 프린터, 모니터,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의 주변기기는 컴퓨터 본체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던 종래 방법과는 달리 상기 주변기기의 커넥터들은 분배기(100)에 마련된 복수의 커넥터(110, 120, 130, 140, 150, 160)에 삽입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커넥터(110, 120, 130, 140, 150, 160)는 프린터 접속 커넥터(110), 모니터 접속 커넥터(120), 키보드 접속 커넥터(130), 마우스 접속 커넥터(140), 스피커 접속 커넥터(150) 및 마이크 접속 커넥터(160)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러한 커넥터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주변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분배기(10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분배기(100)가 위치하는 장소나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분배기(100)의 바람직한 설치위치는 모니터와 키보드 등이 위치하는 책상의 직하부면 또는 책상 가장자리 중 일측을 절개하여 마련된 위치에 책상 상부면과 상기 분배기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에 분배기(100)가 설치됨으로써 주로 책상 위에 배치되는 여러 주변기기의 케이블을 손쉽게 분배기(100)에 접속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 컴퓨터 설치시나 위치 이동시에 매우 용이하다.
제2 연결부재(106)는 상술된 바와 같이 분배기(100)와 컴퓨터 본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 마련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들이 평탄하게 엮여진 형태로 구비된다. 즉, 주변기기와 컴퓨터 본체를 연결하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장치의 연결구조를 정리하면, 여러 주변기기의 케이블은 도 2에 도시된 복수의 커넥터(110, 120, 130, 140, 150, 160)인 제1 연결부재를 통해서 분배기(100)에 모두 접속되고, 또한 분배기(100)는 제2 연결부재(106)를 통해서 컴퓨터 본체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106)는 주변기기들과 컴퓨터 본체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복수의 케이블이 일체화된 일체형 케이블(200)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분배기(100)를 책상 근처로 배치시킬 경우, 종래의 어지럽게 널려져 있던 주변기기의 케이블들이 하나로 일체화된 케이블로 간단히 정리된다.
일체형 케이블(200)의 일단에는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의 커넥터와 동일한 형상의 복수 개의 커넥터인 본체연결용 커넥터(220)가 분기되어 형성되며, 타단에는 일체형 케이블(200)을 분배기(100)에 접속할 수 있는 일체형 커넥터(210)가 마련된다.
본체연결용 커넥터(220)는 여러 주변기기의 각각의 케이블 단부에 구비된 커넥터들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즉, 프린터용 커넥터(222), 모니터용 커넥터(224), 키보드용 커넥터(226) 그리고 마우스용 커넥터(228)가 일체형 케이블(200)의 단부에 분기된 형태로 마련된다.
일체형 커넥터(210)는 분배기(100)의 소정의 위치에 마련된 일체형 커넥터 연결부(180)에서 접속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추가적인 일체형 커넥터 연결부(185)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추가되는 주변기기를 본체에 접속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케이블(200)에는 가장 기본적이고도 보편화된 주변장치인 프린터,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접속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고,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또는 스캐너 등 사용자의 추가적인 필요에 따른 주변기기의 접속을 위해서 상기 일체형 케이블(200) 이외에도 또 다른 일체형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추가적인 일체형 케이블은 상기 일체형 커넥터 연결부(185)에 접속될 수 있다.
일체형 케이블(200), 일체형 커넥터(210) 그리고 본체연결용 커넥터(220)를 통해서 사용자는 여러 주변기기를 일일이 본체 후면에 접속시키는 불편을 없앨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여러 주변기기의 각 케이블들이 길이가 상이함으로 인해서 컴퓨터 본체의 후면에 마련된 커넥터로 연결시킬 때는 큰 불편이 수반되었으나,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2 연결부재인 일체형 케이블(200), 일체형 커넥터(210) 그리고 본체연결용 커넥터(220)를 사용할 경우, 주변기기의 케이블과는 상관없이 단지 상기 분배기(100)와 컴퓨터 본체만을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케이블 연결 혹은 분리에 따른 불편은 거의 없어진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분배기(100)는 그 일측에 전원 연결부(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연결부(170)를 마련함으로써, 전원 공급이 필요한 주변기기 등을 설치할 때, 주변기기의 플러그를 통상의 책상하부에 위치한 전원 연결부 등에 꽂아야 하는 불편 없이 책상 근처에 설치될 수 있는 분배기(100)상의 전원 연결부 소켓(172)에 주변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주변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수의 컴퓨터 주변기기의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분배기를 통하여 상기 주변기기의 커넥터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어서 상기 주변기기들의 커넥터를 일일이 본체에 연결하는 데 따른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컴퓨터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본체로부터 주변기기를 분리하기도 매우 용이하다.
또한, 상기 분배기와 컴퓨터 본체를 연결함에 있어서 다수의 케이블을 일체화한 일체형 케이블을 통하여 컴퓨터 주위의 배선들을 보다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에 대해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컴퓨터 주변기기들이 접속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연결수단; 및
    상기 분배기와 컴퓨터 본체를 연결하는 제2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수단은 복수 개의 주변기기들이 접속되는 복수 개의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일체화된 복수 개의 케이블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수단은,
    프린터 커넥터, 모니터 커넥터, 키보드 커넥터 그리고 마우스 커넥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 일체형 케이블; 및
    스피커 커넥터, 마이크 커넥터, 조이스틱 커넥터, 스캐너 커넥터 그리고 PC 카메라 커넥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2 일체형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수단은, 일단에 상기 컴퓨터 본체의 커넥터들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커넥터들; 및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일체화된 케이블들을 상기 분배기에 접속하는 일체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일체형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는 일체형 커넥터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컴퓨터 주변기기들을 위한 전원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KR2020000013553U 2000-05-13 2000-05-13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KR200197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553U KR200197854Y1 (ko) 2000-05-13 2000-05-13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553U KR200197854Y1 (ko) 2000-05-13 2000-05-13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854Y1 true KR200197854Y1 (ko) 2000-09-15

Family

ID=1965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553U KR200197854Y1 (ko) 2000-05-13 2000-05-13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85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102A (ko) * 2000-07-15 2002-01-26 김문철 모니터의 하측에 형성된 신호선제어장치
KR20020007549A (ko) * 2000-07-15 2002-01-29 김문철 이동가능한 신호장치
KR20030017446A (ko) * 2002-11-20 2003-03-03 이종문 컴퓨터용 주변기기의 통합 연결장치
KR100553034B1 (ko) * 2002-08-22 2006-02-24 주식회사 유포시스 컴퓨터용 주변기기의 통합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102A (ko) * 2000-07-15 2002-01-26 김문철 모니터의 하측에 형성된 신호선제어장치
KR20020007549A (ko) * 2000-07-15 2002-01-29 김문철 이동가능한 신호장치
KR100553034B1 (ko) * 2002-08-22 2006-02-24 주식회사 유포시스 컴퓨터용 주변기기의 통합 연결장치
KR20030017446A (ko) * 2002-11-20 2003-03-03 이종문 컴퓨터용 주변기기의 통합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0922B2 (en) Multi-outlet AC/DC adapter
US6560102B1 (en) Universal serial bus docking station
US5876218A (en) Piggy back PC card
US5841424A (en) USB to multiple connect and support bays for peripheral devices
US5857875A (en) Multi-outlet electrical adapter
US20030186582A1 (en) Worksurface power module with built in USB hub
US6561845B2 (en) Distributed connector system for wearable computers
US5627728A (en) Expansion box for notebook computers
KR200197854Y1 (ko) 컴퓨터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US7425154B2 (en) Break apart power connector
US20070072491A1 (en) Integrated signal connecting port
WO2006026443A3 (en) Dynamic physical interface between computer module and computer accessory and methods
US6662259B1 (en) Modularized universal serial bus hub
US20020057206A1 (en) Method and appparatus for an improved remotely switchable power supply
KR100553034B1 (ko) 컴퓨터용 주변기기의 통합 연결장치
JP2000231969A (ja) Usbハブ
US11742603B2 (en) Input/output transmission interface assembly and motherboard module including thereof
US6250940B1 (en) Computer connector that can provide both signal and power connection or only a signal connection
KR200364075Y1 (ko) 통합 접속구조가 구비된 컴퓨터장치
KR20030017447A (ko) 컴퓨터용 주변기기의 통합 접속장치가 구비된 모니터
JPH11154570A (ja) 複数種配線混合プラグ、コンセン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ップ
KR200208167Y1 (ko) Usb장치용 수납케이스를 갖는 모니터용 스탠드
JP2001306181A (ja) Usbハブの増設構造及びusbハブ
KR20030017446A (ko) 컴퓨터용 주변기기의 통합 연결장치
CN217978119U (zh) 安装装置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5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7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51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20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