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661Y1 - 곡물 세척기 - Google Patents
곡물 세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7661Y1 KR200197661Y1 KR2020000008897U KR20000008897U KR200197661Y1 KR 200197661 Y1 KR200197661 Y1 KR 200197661Y1 KR 2020000008897 U KR2020000008897 U KR 2020000008897U KR 20000008897 U KR20000008897 U KR 20000008897U KR 200197661 Y1 KR200197661 Y1 KR 2001976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in
- outer cylinder
- washing
- install
- feed scre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group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체 하부에 배출구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세척 이송 스크류를 설치하여 모우터와 연결시키고, 세척 이송 스크류의 외주에는 일정간격을 유지시켜 다공 원통 또는 금망통을 설치하며, 그 외주에 밀폐 외통을 설치하여 상단에 하향으로 만곡된 배출유도구를 설치하여 세척된 곡물이 낙하되게 하고, 외통의 하단 상부에 금망통까지 연통되게 곡물 공급호퍼를 설치하여 세척 이송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곡물이 자동으로 공급되게 하며, 외통의 상부에는 급수관을 여러곳에서 연통되게 설치하여 세척 이송 스크류에 의하여 이송되는 곡물을 점차적으로 청결하게 세척케하고, 외통의 하부에는 배수관을 설치하여 곡물 세척수를 배출케 하므로서 곡물을 필요한 양만큼 연속적으로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각종 곡물을 필요한 양만큼 연속적으로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게한 곡물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좀더 자세하게는 동체 하부에 배출구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세척 이송 스크류를 설치하여 모우터와 연결시키고, 세척 이송 스크류의 외주에는 일정간격을 유지시켜 다공 원통 또는 금망통을 설치하며, 그 외주에 밀폐 외통을 설치하여 상단에 하향으로 만곡된 배출유도구를 설치하여 세척된 곡물이 낙하되게 하고, 외통의 하단 상부에 금망통까지 연통되게 곡물 공급호퍼를 설치하여 세척 이송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곡물이 자동으로 공급되게 하며, 외통의 상부에는 급수관을 여러곳에서 연통되게 설치하여 세척 이송 스크류에 의하여 이송되는 곡물을 점차적으로 청결하게 세척케하고, 외통의 하부에는 배수관을 설치하여 곡물 세척수를 배출케 하므로서 곡물을 필요한 양만큼 연속적으로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종래에 본 출원인이 선등록 받은 실용신안등록 제 104286호 '곡물 세척기'는 상부동체 내에서 급수관에 설치한 분사노즐로 분사되는 물이 역유형 회전유도관 단부에 형성한 나팔부에 공급되어 상승유도될 때 동체내에 들어 있는 곡물이 벤튜리형상으로 물과 같이 흡인되어 동체 상부에서 분출될 때 역유형 회전유도관의 단부에 설치한 분출방향 및 각도 조절관에 의하여 동체 내에서 일정각도로 분출시키면 분출되는 수압에 의하여 역유형 회전유도관이 회전하면서 역유형 회전유도관에 흡인된곡물과 동시에 분출시켜 곡물을 세척하게 구성된 것이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상에 정밀설을 요할 뿐 아니라 상부 동체에 공급된 곡물을 한정적으로 세척하게되어 많은 양의 곡물을 연속적으로 세척할 수 없고, 세척수가 다량으로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동체 하부에 배출구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세척 이송 스크류를 설치하여 모우터와 연결시키고, 세척 이송 스크류의 외주에는 일정간격을 유지시켜 다공 원통 또는 금망통을 설치하며, 그 외주에 밀폐 외통을 설치하여 상단에 하향으로 만곡된 배출유도구를 설치하여 세척된 곡물이 낙하되게 하고, 외통의 하단 상부에 금망통까지 연통되게 곡물 공급호퍼를 설치하여 세척 이송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곡물이 자동으로 공급되게 하며, 외통의 상부에는 급수관을 여러곳에서 연통되게 설치하여 세척 이송 스크류에 의하여 이송되는 곡물을 점차적으로 청결하게 세척케하고, 외통의 하부에는 배수관을 설치하여 곡물 세척수를 배출케 하므로서 곡물을 필요한 양만큼 연속적으로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요부 종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 동체 2 : 배출구 3 : 스크류 4 : 모우터
5 : 금망통 6 : 외통 7 : 배출유도구 8 : 호퍼
9 : 급수관 10 : 배수관
동체(1) 하부에 배출구(2)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세척 이송 스크류(3)를 설치하여 모우터(4)와 연결시켜 곡물을 상향으로 이송되게 하고, 세척 이송 스크류(3)의 외주에는 일정간격을 유지시켜 다공 원통 또는 금망통(5)을 설치하여 곡물이 상부로 이송중에 금망통(5)에 의하여 마찰되어 세척이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게 하고, 그 외주에 밀폐 외통(6)을 설치하여 상단에 하향으로 만곡된 배출유도구(7)를 설치하여 세척된 곡물이 낙하되게 하고, 외통(6)의 하단 상부에 금망통까지 연통되게 곡물 공급호퍼(8)를 설치하여 세척 이송 스크류(3)의 회전에 따라 곡물이 자동으로 공급되게 하며, 외통(6)의 상부에는 급수관(9)을 여러곳에서 연통되게 설치하여 세척 이송 스크류(3)와 금망통(5)내에서 이송되는 곡물을 점차적으로 청결하게 세척케 하고, 외통(6)의 하부에는 배수관(10)을 설치하여 곡물 세척수를 배출케 하므로서 곡물을 필요한 양만큼 연속적으로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동체(1) 하부에 배출구(2)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세척 이송스크류 (3)를 설치하여 모우터(4)와 연결시켜 곡물을 상향으로 이송되게 하고, 세척 이송 스크류(4)의 외주에는 일정간격을 유지시켜 다공 원통 또는 금망통(5)을 설치하여 곡물이 세척 이송 스크류(3)에 의하여 상부로 이송중에 금망통(5)에 의하여 마찰되어 세척이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게 하고, 여기에서 금망통(5)의 외주에 밀폐외통 (6)을 설치하여 상부에 급수관(9)을 연관시켜 항상일정량의 물을 공급시켜 주므로서 세척 이송 스크류(3)와 금망통(5)에 의하여 세척되는 곡물은 상부로 상승되고 세척수는 외통(6)의 하부에 설치된 배수관(10)으로 배수되므로 곡물을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으며, 외통(6)의 상단에 하향으로 만곡된 배출유도구(7)를 설치하여 세척된 곡물이 낙하되게 하였다. 그리고 외통(6)의 하단 상부에 금망통까지 연통되게 곡물 공급호퍼(8)를 설치하여 세척 이송 스크류(3)의 회전에 따라 곡물이 자동으로 공급되게 하므로서 곡물을 필요한 양만큼 연속적으로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 동체(1) 하부에 배출구(2)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세척 이송 스크류(3)를 설치하여 모우터(4)와 연결시켜 곡물을 상향으로 이송되게 하고, 세척 이송 스크류(4)의 외주에는 일정간격을 유지시켜 금망통(5)을 설치한 다음 금망통(5)의 외주에 외통(6)을 설치하여 상단에 하향으로 만곡된 배출유도구(7)를 설치하고, 외통(6)의 하단 상부에 금망통까지 연통되게 곡물 공급호퍼(8)를 설치하여 세척 이송스크류 (3)의 회전에 따라 곡물이 자동으로 공급되게 하며, 외통(6)의 상부에는 급수관(9)을 여러곳에서 연통되게 설치하고 외통(6)의 하부에는 배수관(10)을 설치하여서 된 곡물 세척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8897U KR200197661Y1 (ko) | 2000-03-29 | 2000-03-29 | 곡물 세척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8897U KR200197661Y1 (ko) | 2000-03-29 | 2000-03-29 | 곡물 세척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97661Y1 true KR200197661Y1 (ko) | 2000-09-15 |
Family
ID=1964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8897U Expired - Fee Related KR200197661Y1 (ko) | 2000-03-29 | 2000-03-29 | 곡물 세척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9766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46186A (ko) * | 2012-08-27 | 2015-04-29 | 오토텍 (핀랜드) 오와이 |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
KR101880186B1 (ko) * | 2017-01-10 | 2018-07-19 | 하경훈 |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 |
-
2000
- 2000-03-29 KR KR2020000008897U patent/KR200197661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46186A (ko) * | 2012-08-27 | 2015-04-29 | 오토텍 (핀랜드) 오와이 |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
KR102048112B1 (ko) * | 2012-08-27 | 2019-11-22 | 오토텍 (핀랜드) 오와이 |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
KR101880186B1 (ko) * | 2017-01-10 | 2018-07-19 | 하경훈 |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27805A4 (en) | FILTER DEVICE | |
CN105642000A (zh) | 一种圆筒网式过滤器 | |
KR200197661Y1 (ko) | 곡물 세척기 | |
CN1300892A (zh) | 洗衣机漂洗衣物的方法 | |
KR101457112B1 (ko) | 콩나물 세척 장치 | |
CN118558643A (zh) | 一种大麦加工用洗麦去石甩干机 | |
CN211197937U (zh) | 一种集成式螺旋格栅机 | |
CN209611049U (zh) | 洗碗机及喷洗组件 | |
CN209076152U (zh) | 一种栅渣脱水压榨机 | |
CN219126122U (zh) | 一种使用方便的食品加工机 | |
CN213835009U (zh) | 一种污泥脱水装置 | |
CN213855905U (zh) | 一种洗药装置 | |
CN211322970U (zh) | 气泡清洗机 | |
CN208679976U (zh) | 一种药材清洗烘干机 | |
CN2318244Y (zh) | 节水洗衣机缸体 | |
KR20070041020A (ko) | 고추 세척기 | |
KR200312533Y1 (ko) | 곡물 세척기 | |
DE502004008931D1 (de) | Programmgesteuerte Spülmaschine mit einem Sicherheitsüberlauf | |
CN215429581U (zh) | 一种污水反流式螺旋洗砂机 | |
KR950006602Y1 (ko) | 자동 쌀 세척장치 | |
CN2383860Y (zh) | 雨淋式洗衣机 | |
CN211635493U (zh) | 带式过滤机返转清洗装置 | |
CN205270127U (zh) | 具有自洁功能的小麦洗涤机 | |
CN211104804U (zh) | 一种加气混凝土砌块的打浆机 | |
CN2925104Y (zh) | 一种洗肉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329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007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33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