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7416Y1 - 옷걸이용 행거부재 연결구 - Google Patents

옷걸이용 행거부재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416Y1
KR200197416Y1 KR2019980011318U KR19980011318U KR200197416Y1 KR 200197416 Y1 KR200197416 Y1 KR 200197416Y1 KR 2019980011318 U KR2019980011318 U KR 2019980011318U KR 19980011318 U KR19980011318 U KR 19980011318U KR 200197416 Y1 KR200197416 Y1 KR 200197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frame
hanger
connector
leg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6035U (ko
Inventor
김상도
Original Assignee
김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도 filed Critical 김상도
Priority to KR2019980011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416Y1/ko
Publication of KR19980056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0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41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행거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기둥과 연결바와 푸트프레임을 견고하게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옷걸이용 행거부재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푸트프레임(40)의 중간에 수평으로 끼워지는 다리부(230)를 몸통부(220)의 단면적과 푸트프레임(40)의 폭보다 작게 사각기둥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암나사산(231)을 형성하고, 푸트프레임(40)의 중간에는 사각구멍(41)을 형성하여, 다리부(230)를 사각구멍(41)에 끼운 후 푸트프레임(40)의 저부에서 암나사산(231)에 볼트(240)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푸트프레임(40)과 결합되는 하단부의 강성을 증대되고 푸트프레임(40)과의 결합시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다.

Description

옷걸이용 행거부재 연결구
본 고안은 조립식 옷걸이용 행거의 조립에 사용되는 행거부재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행거부재를 구성하고 있는 기둥과 연결바와 푸트프레임을 견고하게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옷걸이용 행거부재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입식 옷걸이용 행거를 예시한 것으로, 이러한 입식 행거는 기본적으로 행거부재로써 2개의 기둥(10)과 하나의 진열바(20)와 하나의 연결바(30)와 2개의 푸트프레임(40)을 구비하고 있으며, 기타 행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개(4개)의 바퀴(50)와 상기한 연결부재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알루미늄으로 주조한 2개의 연결구(10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에 옷걸이용 행거에 사용되는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연결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결구(100)는 세 부분, 즉 머리부(110)와 몸통부(120)와 다리부(230)로 대별되며, 머리부(110)에는 원통파이프를 사용한 기둥(10)의 하단이 수직으로 끼워지며 몸통부(120)에는 사각파이프를 사용한 연결바(30)의 일단이 수평으로 끼워지고 다리부(230)는 사각파이프를 사용한 푸트프레임(40)의 중간이 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둥(10)의 하단부와 연결바(30)의 양단부와 푸트프레임(40)의 중앙부에 각각 나사공을 형성한 상태에서, 2개의 연결구(100)를 이용하여 기둥(10)과 연결바(30)와 푸트프레임(40)이 입체적으로 교차되도록 결합한 다음, 푸트프레임(40)의 하부에서 나사공을 통하여 볼트(140)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행거를 조립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연결구(100)의 하단부, 즉 다리부(230)는 몸통부(120)의 하단 양쪽에서 하방으로 일정 두께로 연장된 형태로써 행거의 사용중에 파손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기둥(10)이 좌우로 흔들릴 경우에 다리부(230)에 굽힘모멘트가 작용하고, 이때 다리부(230)의 코너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이 코너부위에서 크랙발생이 많았다.
또한, 종래의 연결구(100)는 푸트프레임(40)과의 결합시 연결구(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다리부(230)가 푸트프레임(40)의 양면으로 노출되는 상태로 결합되므로 외관이 불량해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부(230)의 파손방지를 위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다리부(230)의 두께를 증대시킬수록 그 외관이 더욱 불량해지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행거의 조립시 기둥과 연결바와 푸트프레임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푸트프레임과 결합되는 하단부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푸트프레임과의 결합시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식 옷걸이용 행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에 옷걸이용 행거에 사용되는 연결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연결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용 행거에 사용되는 연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연결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둥 20; 진열대 30; 연결바
40; 푸트프레임 41; 사각 구멍 50; 바퀴
20; 연결구 210; 머리부 220; 몸통부
230; 다리부 231; 암나사산 240; 볼트
250; 너트
본 고안은, 원통파이프를 사용한 기둥(10)의 하단이 수직으로 끼워지는 머리부(210)와 사각파이프를 사용한 연결바(30)의 일단이 수평으로 끼워지는 몸통부(220)와 사각프레임을 사용한 푸트프레임(40)의 중간에 수평으로 끼워지는 다리부(230)로 이루어진 옷걸이용 행거부재 연결구(200)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230)는 상기 몸통부(220)의 단면적과 상기 푸트프레임(40)의 폭보다 작게 각기둥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암나사산(231)을 형성하고, 상기 푸트프레임(40)의 중간에는 각형구멍(41)을 형성하여, 상기 다리부(230)를 상기 각형구멍(41)에 끼운 후 상기 푸트프레임(40)의 저부에서 상기 암나사산(231)에 볼트(240)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옷걸이용 행거에 사용되는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연결구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200)는 알루미늄으로 주조한 제품으로서 머리부(210)와 몸통부(220)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다리부(230)는 사각기둥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머리부(210)는 종래와 같이 원통파이프로 된 기둥(10)을 끼우기 위하여 연결구(200)의 상단에서 소정 깊이로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한 몸통부(220)는 종래와 같이 사각파이프로 된 연결바(30)를 끼우기 위하여 연결구(200)의 외주면에서 소정 깊이로 개구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부인 다리부(230)는 사각기둥형태로써 푸트프레임(40)의 높이와 상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이 다리부(230)의 폭은 푸트프레임(40)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 다리부(230)는 단면을 사각형뿐만 아니라 삼각형, 오각형 등으로 형성하는것도 가능하며, 단면을 다각형으로 하는 이유는 결합된 푸트프레임(40)이 수평방향으로 유동(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리부(230)에 있는 암나사산(231)은 연결구(200)의 주조과정에서 원형구멍을 형성시킨 후 이 구멍에 나사가공을 한다.
각형구멍(41)은 다리부(230)의 단면형태에 따라 푸트프레임(40)의 중간을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하여 연결구(200)의 다리부(230)와 끼워 맞출 수 있도록 하며, 볼트(240)는 푸트프레임(40)의 저면에서 연결구(200)의 암나사산(231)에 체결하기 위하여 마련한다.
한편, 푸트프레임(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구(200)에 볼트(240)를 체결할 때 사용하기 위하여 너트(250)를 구비하고 있다. 만약, 볼트(240) 대용으로 와셔를 구비하거나 사용되는 볼트(240)의 머리가 각형구멍(41)의 직경보다 클때에는 별도로 너트(250)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나, 연결구(200)와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예시한 바와같이 납짝한 너트(2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예시한 행거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푸트프레임(40)의 저면 양쪽에 바퀴(50)가 부착되며, 행거부재로는 진열바(20) 1개와 기둥(10) 2개와 연결바(30) 1개와 푸트프레임(40) 2개를 1조로 구비하며, 이들 행거부재를 조립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200) 2개와 각 연결구(200) 마다 볼트(240)와 너트(250)를 1개씩 마련한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기둥(10)의 하단부와 연결바(30)의 양단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된다.
연결구(200)를 이용한 행거의 조립은,도 5 및 도6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둥(10)의 하단을 머리부(210)에 수직으로 끼우고 연결바(30)의 일단을 몸통부(220)에 수평으로 끼우고 푸트프레임(40)의 각형구멍(41)에 연결구(200)의 다리부(230)를 끼운다. 이때 연결구(200)의 다리부(230)는 푸트프레임(40)의 각형구멍(41)에 내장되므로 외부로 나타나지 않게 되고 연결구(200)의 저면은 푸트프레임(40)의 저면과 일치한다. 이후, 너트(250)를 볼트(240)에 체결한 상태에서 이 볼트(240)로 푸트프레임(40)의 저면에서 연결구(200)의 암나사산(231)에 체결함과 동시에 연결바(30) 및 기둥(10)의 나사공과도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2개의 연결구(200)는 연결바(30)의 양단에 위치하면서 푸트프레임(40)에 의하여 양쪽 기둥(10)이 지지되며, 양쪽 기둥(40)에는 옷걸이가 매달리는 진열바(20)를 결합함으로서 행거부재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200)는 푸트프레임(40)과 결합되는 다리부(230)가 기둥형태로써 이 다리부(230)의 단면 2차모멘트가 증대되었으며 몸통부(220)와의 연결부위에 대한 취약성이 보완되었으므로 기둥(10)이 좌우로 흔들리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행거의 조립시 연결구(200)의 다리부(23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푸트프레임(40)의 각형구멍(41)에 내장되므로 연결구(200)로 조립된 행거의 외관이 양호해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원통파이프를 사용한 기둥(10)의 하단이 수직으로 끼워지는 머리부(210)와 사각파이프를 사용한 연결바(30)의 일단이 수평으로 끼워지는 몸통부(220)와 사각프레임을 사용한 푸트프레임(40)의 중간에 수평으로 끼워지는 다리부(230)로 이루어진 옷걸이용 행거부재 연결구(200)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230)는 상기 몸통부(220)의 단면적과 상기 푸트프레임(40)의 폭보다 작게 각기둥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암나사산(231)을 형성하고, 상기 푸트프레임(40)의 중간에는 각형구멍(41)을 형성하여, 상기 다리부(230)를 상기 각형구멍(41)에 끼운 후 상기 푸트프레임(40)의 저부에서 상기 암나사산(231)에 볼트(240)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용 행거부재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트프레임(40)의 저면에서 상기 볼트(240)와 체결되는 너트(2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옷걸이용 행거부재 연결구.
KR2019980011318U 1998-06-27 1998-06-27 옷걸이용 행거부재 연결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197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318U KR200197416Y1 (ko) 1998-06-27 1998-06-27 옷걸이용 행거부재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318U KR200197416Y1 (ko) 1998-06-27 1998-06-27 옷걸이용 행거부재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035U KR19980056035U (ko) 1998-10-07
KR200197416Y1 true KR200197416Y1 (ko) 2000-10-02

Family

ID=1953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318U Expired - Fee Related KR200197416Y1 (ko) 1998-06-27 1998-06-27 옷걸이용 행거부재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4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46092A1 (en) * 2002-07-26 2004-02-16 M080.Com Movable multiple-step receiving device
KR102158837B1 (ko) * 2019-05-30 2021-03-23 구순자 조립식 헹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035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828U (ko) 장식커버가 구비된 조립식 앵글
KR200197416Y1 (ko) 옷걸이용 행거부재 연결구
JPS5847056Y2 (ja) 道路用防護柵
KR200405041Y1 (ko) 조립식 다각 정자 기둥
KR200246158Y1 (ko) 장난감 정리함
JPH0712517U (ja) 防護柵のガードパイプ取付金具
JP4445639B2 (ja) 書架への防振杆の取付構造
JPS6140854Y2 (ko)
JP3010085U (ja) 道路用安全柵支柱
JPH0745731Y2 (ja) 格子柵における柵体と笠木の連結構造
JPS5914491Y2 (ja) 防護柵
CN208219668U (zh) 基坑施工中基坑外已有建筑结构的换撑体系
JPH0342839Y2 (ko)
KR960007162Y1 (ko) 식탁자 다리부착구의 구조
JPS5923773Y2 (ja) 防護柵
JPH04214Y2 (ko)
JPH03108167U (ko)
JPH0384371U (ko)
JPH0227796Y2 (ko)
JPH0321403Y2 (ko)
JPH0344892Y2 (ko)
JPH0612124Y2 (ja) 柱首型枠装置
JPS5826311Y2 (ja) 建具用格子体
KR200145988Y1 (ko) 조립식 옷장의 개량구조
KR200175287Y1 (ko) 옷걸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6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6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7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7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7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6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