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4927Y1 - 단열벽의 간격유지구 - Google Patents

단열벽의 간격유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927Y1
KR200194927Y1 KR2019980007586U KR19980007586U KR200194927Y1 KR 200194927 Y1 KR200194927 Y1 KR 200194927Y1 KR 2019980007586 U KR2019980007586 U KR 2019980007586U KR 19980007586 U KR19980007586 U KR 19980007586U KR 200194927 Y1 KR200194927 Y1 KR 200194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wall
space
insertion groove
mainten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7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847U (ko
Inventor
김계수
Original Assignee
김계수
신성건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수, 신성건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계수
Priority to KR2019980007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92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8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8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92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0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 prefabricated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other layers or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등에 시공되는 단열벽의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격 유지구에 의해 콘트리트 벽체와 벽면보드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그 시공의 편리함과 단열의 효과를 높힌 단열벽의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접착판의 일측에 나사축을 일체로 형성된 지지구에, 내측에 나사공을 구비하고 외측에는 삽입홈이 형성된 원형상의 회전체를 나삽하여, 전기한 삽입홈에는 고정바의 양단부를 삽입하여 구성하고, 시공이 매우 용이하며 숙련자의 기술이 필요없이도 수평조절이 가능하고 외부의 충격에도 파손의 우려가 없으면서도 불필요한 공간을 제거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유리섬유 단열재의 사용이 가능하여 화재시에도 단열재가 인화되지 않아 유독성 가스에 의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단열벽의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벽의 간격유지구
본 고안은 아파트등에 시공되는 단열벽의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격 유지구에 의해 콘트리트 벽체와 벽면보드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그 시공의 편리함과 단열의 효과를 높힌 단열벽의 간격유지구에 관한 것이다.
단열벽은 통상적으로 아파트나 가옥등의 주거 환경에서 외기의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그 실내의 온도를 유지하거나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므로서, 연료비의 절감 효과와 급격한 온도변화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단열벽 시공 방법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00)의 일측면에 접착제(200)를 도포한후, 그 위에 스치로폼 단열재(300)를 부착하고, 부착된 스치로폼 단열재(300)의 이면에 다시 석고본드(400)를 일정 부분에 도포하여 벽면보드(500)를 부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단열벽에 사용되는 접착제 및 석고본드는 매우 고가이어서 벽체 및 단열재의 전면에 도포하지 못하므로서 벽체와 단열재 사이, 단열재와 벽면보드 사이에 접착제 및 석고본드 두께 만큼의 이격된 공간이 생겨 단열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고, 석고본드의 부분 도포시에도 그 두께가 일정치 않으므로 벽면보드를 부착한 후에도 고무망치등으로 두드려서 수평을 잡아주는등 숙련자의 기술을 요하는 2차 작업이 필요하며, 특히 동절기에는 석고본드가 얼어버리므로 그 접착성이 현저히 감소하여 시공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화재시 스치로폼 단열재가 연소되며 맹독성 가스를 내뿜어 미쳐 피하지 못한 인명이 질식하는등의 피해를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스치로폼 단열재 이외에 유리섬유등의 불연성 단열재가 있으나 시공 방법상 쿠션이 좋은 유리섬유를 사용하게 되면 미약한 충격에도 벽면보드가 뒤로 밀려 깨지거나 각각 분리되는등 그 사용자체가 불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져 간격유지구와 고정바를 구성하므로서 그 시공이 매우 용이하여 숙련자의 기술이 필요없이도 수평조절이 가능하고 외부의 충격에도 파손의 우려가 없으면서도 불필요한 공간을 제거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유리섬유 단열재의 사용이 가능하여 화재시에도 단열재가 인화되지 않아 유독성 가스에 의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단열벽의 간격유지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을 일부 절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시공상태 단면 설명도
도 3 는 종래의 단열벽 시공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착판 2 : 나사축
3 : 지지구 4 : 나사공
5 : 삽입홈 6 : 회전체
7,7' : 단부 8 : 콘크리트 벽체
9 : 단열재 10 : 접착제
11 : 나사못 12 : 벽면보드
13 : 고정바 14 : 회전 요홈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을 일부 절개한 사시도로서, 접착판(1)의 일측에 나사축(2)을 일체로 형성된 지지구(3)에, 내측에 나사공(4)을 구비하고 외주면에는 삽입홈(5)과 다수의 회전요홈(14)이 형성된 원형상의 회전체(6)를 나삽하여, 전기한 삽입홈(5)에는 고정바(13)의 양단부(7)(7')를 삽입하여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8은 콘크리트 벽체, 9는 단열재이며, 10은 접착제, 11은 나사못이며, 12는 벽면보드이다.
이하, 본 고안 간격유지구의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의 시공상태의 단면 설명도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8)의 일측에 본고안 간격유지구를 부착하되, 지지구(3)의 접착판(1)에 접착제(10)를 도포하고 이를 콘크리트 벽체(8)에 부착하여 견고히 고착한후, 유리섬유재의 단열재(9)를 콘크리트 벽체(8)에 부착하며 회전체(6)를 지지구(3)에 나삽하면 유리섬유재의 단열재(9)는 지지구(3)와 회전체(6)에 의해 벽체(8)에 부착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나삽된 회전체(6)를 정,역회전하여 일정하게 간격을 유지시키고, 이 회전체(6)의 삽입홈(5)에 고정바(13)의 양 단부(7)(7')를 삽입하여, 그 고정바(13)에 두 개의 벽면보드(12)의 일단을 위치시킨 후 나사못(11)에 의해 결합하면 시공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체(6)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회전 요홈(14)에 의해 그 회전체(6)의 전후 회전이 매우 용이하여 지지구(3)에 조립 할 때, 또는 고정바(13)의 간격 조절시에도 매우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시공된 단열벽은 종래 시공방법중 반드시 필요하던 석고본드의 사용이 필요없게 되므로 동절기에도 그 시공이 자유로우며, 석고본드의 두께에 의해 발생하던 이격 공간이 없어지므로 그 단열 효과가 증대되며, 고정바(13)에 벽면보드(12)를 부착한후 나사못(11)으로 고정하게 되면 별도의 조정 없이도 그 수평이 이루어지므로 비숙련자도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하며, 화재시에도 불연성인 유리섬유재의 단열재(9)의 사용으로 맹독성 가스가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그 회전체(6)와 고정바(13)에 의해서 벽면보드(12)를 견고히 지지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벽면보드(12)가 파손되거나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단열벽의 간격유지구는 시공이 매우 용이하며 숙련자의 기술이 필요없이도 수평조절이 가능하고 외부의 충격에도 파손의 우려가 없으면서도 불필요한 공간을 제거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유리섬유 단열재의 사용이 가능하여 화재시에도 단열재가 인화되지 않아 유독성 가스에 의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접착판(1)의 일측에 나사축(2)을 일체로 형성된 지지구(3)에, 내측에 나사공(4)을 구비하고 외주면에는 삽입홈(5)과 다수의 회전요홈(14)이 형성된 원형상의 회전체(6)를 나삽하여, 전기한 삽입홈(5)에는 고정바(13)의 양단부(7)(7')를 삽입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벽의 간격유지구.
KR2019980007586U 1998-05-11 1998-05-11 단열벽의 간격유지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194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586U KR200194927Y1 (ko) 1998-05-11 1998-05-11 단열벽의 간격유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7586U KR200194927Y1 (ko) 1998-05-11 1998-05-11 단열벽의 간격유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847U KR19990003847U (ko) 1999-01-25
KR200194927Y1 true KR200194927Y1 (ko) 2000-09-01

Family

ID=1953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7586U Expired - Fee Related KR200194927Y1 (ko) 1998-05-11 1998-05-11 단열벽의 간격유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9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56B1 (ko) * 2006-07-07 2007-11-16 조신복 내장재 설치용 결착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4190A (ko) * 2000-04-04 2001-10-31 조민호 단열재의 시공방법
KR102305452B1 (ko) * 2021-05-21 2021-09-27 주식회사 광진 발전소 덕트용 단열 케이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56B1 (ko) * 2006-07-07 2007-11-16 조신복 내장재 설치용 결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847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9993C (en) Low cost prefabricated fireplace with fiber insulation firebox
KR200194927Y1 (ko) 단열벽의 간격유지구
CN210685038U (zh) 便于安装的复合保温板
NO20052754L (no) Kaminovn, samt anvendelse av denne.
PT957216E (pt) Conjunto para montar paineis de revestimento sobre meios de suporte presos as fachadas e/ou lajes de chao de edificios
KR200262513Y1 (ko) 단열벽의 간격유지구
JP2002348981A (ja) 外断熱形外壁構造、外断熱形外壁パネル及び外断熱材
DE50309441D1 (de) Gebäudeumhüllungselement
KR200241661Y1 (ko) 전열교환기 시스템의 급기그릴 연결구
CN219411385U (zh) 一种隔热保温墙体
CN211597130U (zh) 一种应用于内墙的建筑保温板
KR200332029Y1 (ko) 경량 칸막이용 고정핀 일체형 스터드
CN217601773U (zh) 一种建筑节能保温墙体结构
KR200183493Y1 (ko) 방화기능을 갖는 실내도어
JP2010091224A (ja) 換気扇取付用ダクト及び換気扇取付装置
KR100516833B1 (ko) 건축물 내벽 마감용 결로방지 조립식 벽체구조
ES1066338U (es) Dispositivo de agarre de aparatos energeticos en fachadas de edificaciones.
JP4022252B2 (ja) 厨房装置
CN219973558U (zh) 一种建筑工程隔热板组件
KR200355453Y1 (ko) 조립식 벽면 장치용 칸막이 판넬
NO953616L (no) Bygningselement, anvendelse av samme og gjennomföringskanal for rökrör
CN219491355U (zh) 一种用于建筑外保温的憎水性玻璃棉板
CN221168361U (zh) 一种外墙保温复合板
JP3551276B2 (ja) 給排水竪管ユニット
CN211774704U (zh) 一种用于近零耗建筑的复合外墙保温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51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1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Laying-Open of Early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10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6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62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4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