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4839Y1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839Y1
KR200194839Y1 KR2019980005542U KR19980005542U KR200194839Y1 KR 200194839 Y1 KR200194839 Y1 KR 200194839Y1 KR 2019980005542 U KR2019980005542 U KR 2019980005542U KR 19980005542 U KR19980005542 U KR 19980005542U KR 200194839 Y1 KR200194839 Y1 KR 200194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toothbrush
hinge
bag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355U (ko
Inventor
이운
Original Assignee
이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 filed Critical 이운
Priority to KR2019980005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83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93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3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8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6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in the form of tapes, chains, flexible shafts, springs, mats or the like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칫솔모가 심어진 머리부 방향을 돌려서 사용할 수 있는 칫솔을 개시하며, 이것은 치아의 위치에 따라서 편한 자세를 취하여 솔질할 수 있고 또 칫솔모 전부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된 칫솔은 칫솔모(11)가 있는 머리부(10)와 손잡이용 자루(20)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부재(30)를 구비한다. 연결부재(30)는 머리부(1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31)를 가지고 있으며, 나사환(40)과 함께 자루(20)에 굴곡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즉, 머리부(10)를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 돌릴 수 있어서 상치열 앞니의 안쪽을 닦을 때 편리하고, 또한 나사환(40)을 풀고 굴곡시킨 후 다시 죄면 칫솔모가 아래로 향하도록 굴곡시킬 수 있어서 하치열 앞니 안쪽도 편리하게 닦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를 제공하고 아울러 치아를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칫솔
본 고안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아의 위치에 따라 칫솔모가 심어져 있는 머리부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
잘 알다시피 치아의 결(結)은 세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닦을 때는 치아의 결이 손상되지 않도록 칫솔을 세로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치근(齒根)에서부터 치단(齒端)을 향해 하듯이 닦는 것이 올바른 칫솔 사용법이다. 그런데, 전형적인 종래의 칫솔로는 상치열(上齒列)과 하치열(下齒列), 앞니와 어금니, 그리고 치아의 안쪽과 바깥쪽 등 그 위치에 따라 전체 치아를 동일한 방법으로 솔질하면서 닦는데 불편이 따른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면을 참조하면, 전형적인 종래의 칫솔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칫솔모(3)가 심어져 있는 머리부(1)와 자루(2)가 일체로 되어 있고, 특히 머리부(1)는 세로방향의 길이가 가로방향의 폭에 비해 긴 대체로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칫솔을 가지고 이를 닦는 경우, 어금니에 대해서는 그다지 불편이 없으나, 앞니를 닦을 때 다소 불편이 따른다. 즉,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앞니(4)의 바깥쪽을 닦는 경우에는 머리부(1)가 치열방향으로 향하도록 옆으로 뉘운채 자루를 잡고 위아래로 솔질하게 되는데, 그러나 자세가 부자연스럽고 힘있게 닦기가 쉽지 않은 것이다. 한편, 앞니(4)의 안쪽(4b)을 닦는 경우에는 칫솔을 옆으로 뉘우기 곤란하기 때문에 도 2에 함께 나타낸 바와 같이 칫솔을 수직으로 세워서 닦는데, 솔질하는 자세에 큰 불편은 없지만 칫솔모(3)의 끝부분만 이용하게 되므로 효과적으로 닦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하치열 앞니의 안쪽을 닦을 때 자루를 거꾸로 잡고 솔질하는 등 두드러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치아의 위치에 따라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자루에 대해 칫솔모가 심어져 있는 머리부의 방향을 바꾸면서 사용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치아의 위치에 따라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자루에 대해 칫솔모가 심어져 있는 머리부의 방향을 바꿀 수 있고 또한 자루를 굴곡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칫솔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칫솔을 가지고 상치열의 앞니 바깥쪽과 안쪽을 닦는 상태를 함께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주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자루가 굴곡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가지고 상치열의 앞니 바깥쪽과 안쪽을 닦는 상태를 함께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을 가지고 하치열 앞니 안쪽을 닦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머리부 11 : 칫솔모
114 : 힌지수용홈 15,16 : 스토퍼돌기
17 : 힌지축 20 : 자루
21,32 : 힌지연결부 30 : 연결부재
31 : 힌지부 40 : 나사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칫솔모가 가로방향의 폭과 세로방향의 길이가 다른 면적을 차지하도록 심어진 머리부와, 손잡이용 자루, 그리고 머리부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그 머리부와 자루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칫솔을 구성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연결수단으로서, 상기한 머리부의 가로방향에 있는 한쪽 측면부에서 세로방향에 있는 다른쪽 측면부로 이어지고 그 측면에 개구되는 힌지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한 자루에는 그 힌지수용홈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게 힌지결합되는 힌지부를 형성하여, 머리부와 자루를 상호 적어도 90°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한 머리부의 칫솔모를 아래를 향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한 연결수단에 의해 머리부와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자루의 일부를 전방으로 굴곡시킬 수 있는 굴곡수단을 더 구비하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굴곡수단은 상기한 연결수단으로서 구비되는 연결부재와 자루의 끝에 힌지핀을 끼워서 상호 굴곡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힌지연결부를 형성하고, 그 힌지연결부 주위에 나사부를 형성하며, 그 나사부에 나사환을 결합시켜 그 연결부재와 자루를 굴곡 또는 전개된 각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하는 것으로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자루에 대에 머리부를 세로방향에서 가로방향으로 돌려놓으면 상치열 앞니의 안쪽에 칫솔모 전체를 이용하여 닦는 동시에 편한 자세로 그리고 보다 힘있게 닦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그러한 상태에서 자루를 굴곡시켜서 칫솔모의 방향을 아래로 하면 하치열 앞니의 안쪽도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있고 또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어금니쪽을 닦는 경우에는 머리부와 자루 모두 전형적인 형태로 되돌려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칫솔은 가장 바람직한 예로서 그 외관이 도시된 도 3 및 주요부 단면도가 도시된 도 4에 보여진 바와 같이 전면에 칫솔모(11)가 심어져 있는 머리부(10)와, 손잡이용 자루(20), 그리고 그 머리부(10)와 자루(20) 사이에 연결된 연결부재(30)로 구성된다.
머리부(10)에는 그 가로방향에 있는 한쪽 측면부(12)와 세로방향에 있는 다른쪽 측면부(13)로 이어지고 그 측면부(12,13)에 개구된 힌지수용홈(14)이 형성되고, 측면부(12,13)측 개구 가장자리에 연결부재(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돌기(15,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힌지수용홈(14) 내부에는 힌지축(17)이 있다.
자루(20)는 그 상단에 가운데가 절결되고 주위에 나사부(22)가 형성된 힌지연결부(21)를 가진다.
연결부재(30)는 머리부(10)의 힌지수용홈(14)으로 삽입되어 상기한 힌지축(1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 및 지지되도록 그 일단부에 형성된 힌지부(31), 그리고 자루(20) 상단의 힌지연결부(21)의 절결된 부분에 끼워지고 힌지핀(23)으로 굴곡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연결부(3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자루(20)와 연결부재(30)의 힌지연결부(21,32) 주위에 형성된 나사부(22)에는 나사환(40)이 결합되어 있다.
도 3은 자루(20)와 연결부재(30)가 곧게 펼쳐져 있고, 칫솔모(11)가 심어져 있는 머리부(10)가 세로방향으로 놓이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의 스토퍼돌기(15)에 의해 그 세로방향에 고정된 상태로서 칫솔의 전형적인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로는 통상과 같이 어금니를 닦는데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머리부(10)를 대략 90°회전시켜서 연결부재(30)를 반대편 스토퍼돌기(16) 안쪽에 옮겨 두면, 머리부(10)는 도 3의 경와는 달리, 자루(20)에 대해 가로방향에 고정된다. 이같은 형태는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상치열 앞니 바깥쪽과 안쪽 모두에 칫솔모(11) 전부를 사용할 수 있고, 자루(20)가 수직으로 뻗게 되어 편한 자세로 솔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자루(20)와 연결부재(30)의 힌지연결부(21,32)는 그 주위에 형성된 나사부(22)에 형성된 나사환(40)에 구속되어 있는데, 이 나사환(40)을 풀어서 나사부(22) 하단으로 이동시키면 자루(20)와 연결부재(30)의 힌지연결부(21,32)가 돌출되어 힌지핀(23)을 중심으로 굴곡시킬 수 있는데,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칫솔모(11)가 아래로 향하도록 굴곡시킨 후 나사환(40)을 죄면 그러한 그 굴절된 상태로 고정된다. 칫솔을 도 5와 같이 하여 두면,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하치열 앞니(60)의 안쪽을 닦을 때 칫솔모(11) 전부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자루(20)를 거꾸로 잡지 않아도 되므로 이 역시 편한 자세로 잘 닦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머리부의 회전각도나 자루의 굴곡 각도를 한정하지 아니하며, 그 각각의 연결구조에 대해서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조로 실시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머리부를 회전시키지 아니하고, 머리부의 두 측면부에 자루(또는 연결부재) 끝을 직접 끼우는 형식으로 그 방향을 바꿀 수 있게 구성할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면으로는 예시하지 않았지만 전술한 굴곡수단을 없애고 자루와 연결부재를 일체로 형성하여 간단히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머리부를 회전시켜 그 방향을 바꿀 수 있고 또 손잡이용 자루를 굴곡시켜서 사용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로 하여금, 치아의 위치에 따라 머리부 방향을 돌리거나 자루를 굴곡시켜서 사용케 함으로써 어떤 위치의 치아에 대해서도 칫솔모 전부를 사용할 수 있고 또 편한 자세로 솔질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칫솔을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하는 동시에 치아를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칫솔모가 가로방향의 폭과 세로방향의 길이가 다른 면적을 차지하도록 심어진 머리부와, 손잡이용 자루, 그리고 머리부의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그 머리부와 자루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머리부의 칫솔모가 아래를 향하도록 상기한 연결수단에 의해 머리부와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자루의 일부를 전방으로 굴곡시킬 수 있는 굴곡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수단이 상기한 머리부의 가로방향에 있는 한쪽 측면부에서 세로방향에 있는 다른쪽 측면부로 이어지고 그 측면부에 개구되는 힌지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한 자루에는 그 힌지수용홈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게 힌지결합되는 힌지부를 형성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연결수단이 상기한 머리부의 가로방향에 있는 한쪽 측면부에서 세로방향에 있는 다른쪽 측면부로 이어지고 그 측면에 개구되는 힌지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힌지수용홈에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게 힌지결합되는 힌지부를 가지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되고,
    상기한 굴곡수단이 상기한 연결부재와 자루의 끝에 힌지핀으로 굴곡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연결부가 형성하고, 그 힌지연결부 주위에 나사부를 형성하며, 그 힌지연결부를 굴곡 및 전개한 상태로 각각 구속시킬 수 있도록 그 나사부에 결합되는 나사환을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머리부가 그 회전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한 연결수단을 규제하는 스토퍼돌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2019980005542U 1998-04-09 1998-04-09 칫솔 KR200194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542U KR200194839Y1 (ko) 1998-04-09 1998-04-09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542U KR200194839Y1 (ko) 1998-04-09 1998-04-09 칫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355U KR19990039355U (ko) 1999-11-05
KR200194839Y1 true KR200194839Y1 (ko) 2000-10-02

Family

ID=19533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542U KR200194839Y1 (ko) 1998-04-09 1998-04-09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8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0784A3 (ko) * 2009-06-03 2011-03-24 Woo Jung Wan 회전 칫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0784A3 (ko) * 2009-06-03 2011-03-24 Woo Jung Wan 회전 칫솔
US8813300B2 (en) 2009-06-03 2014-08-26 Jung Wan Woo Rotary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355U (ko)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328B1 (ko) 칫솔
EP0669091B1 (en) Toothbrush and electric toothbrush
US4463470A (en) Toothbrush
BRPI0411539B1 (pt) escova de dentes
US4306327A (en) Toothbrush
KR200194839Y1 (ko) 칫솔
KR101284574B1 (ko) 트위스트 칫솔
KR20060086318A (ko) 다면 세정 칫솔
KR200426835Y1 (ko) 머리부가 회전되는 칫솔
KR200427311Y1 (ko) 브러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치간 브러쉬
KR200433060Y1 (ko) 45도 각도 회전 치솔
KR200205473Y1 (ko) 치간솔이 부착된 치솔
KR200321486Y1 (ko) 칫솔
JPH1033262A (ja) 歯間ブラシ
KR200287495Y1 (ko) 상하좌우 치솔
KR20100055844A (ko) 칫솔
KR200391922Y1 (ko) 다면 세정 칫솔
KR102337467B1 (ko) 칫솔
KR200302942Y1 (ko) 앞니 안쪽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고안된경사모 칫솔
KR200337910Y1 (ko) 상하 이동식 다목적 치솔
KR200424441Y1 (ko) 45도각도 치솔
FR2621792A1 (fr) Dispositif permettant le lavage et brossage des dents et des parois buccales
KR200444502Y1 (ko) 칫솔
KR200271098Y1 (ko) 육각 헤드 칫솔
KR200273488Y1 (ko) 상하 칫솔질이 용이한 티자형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4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0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103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6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62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