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796Y1 - 두건형 수영모자 - Google Patents
두건형 수영모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4796Y1 KR200194796Y1 KR2020000010147U KR20000010147U KR200194796Y1 KR 200194796 Y1 KR200194796 Y1 KR 200194796Y1 KR 2020000010147 U KR2020000010147 U KR 2020000010147U KR 20000010147 U KR20000010147 U KR 20000010147U KR 200194796 Y1 KR200194796 Y1 KR 2001947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branch
- swimming cap
- head
- wear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334 Spand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78 picn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35 prolong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9 spand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3/00—Swimming equipment attachable to the head, e.g. swim caps or gogg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 1 분기부(11)와, 상기 본체(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분기부(12)와, 상기 본체(10)의 전방에서 보다 신축성과 강도가 향상되도록 부착되는 밴드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획일화된 모양을 탈피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면서 머리의 크기에 관계없이 가장 편안한 상태로 착용감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두건형 수영모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획일화된 모양을 탈피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면서 머리의 크기에 관계없이 가장 편안한 상태로 착용감을 조절할 수 있는 두건형 수영모자에 관한 것이다.
경제성장과 발맞추어 대도시를 중심으로 실내외 수영장 시설이 늘어나고 일반인들의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남녀노소, 연령층을 불문하고 수영 인구가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청결하고 위생적인 수질관리가 과거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적어도 풀에 있는 동안은 수영모를 착용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의식이 이미 일반화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수영모는 남녀노소에 따라 세분화되고 다양한 색상, 디자인, 사이즈를 구비하면서도 전체적으로 볼 때 반구(半球) 형태의 단순한 기본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수영을 위한 목적으로만 용도가 제한된다.
또한 대부분의 수영모가 어느 정도 신축성을 지닌 원단으로 제작되기는 하지만 성인이 아동용을 착용할 수 있을 정도가 아닐 뿐 아니라 그렇다고 성인용을 아동이 착용할 수도 없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획일화된 모양을 탈피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면서 머리의 크기에 관계없이 가장 편안한 상태로 착용감을 조절할 수 있는 두건형 수영모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영모자를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영모자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영모자를 착용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본체 10a, 13a: 재봉선
11: 제 1 분기부 12: 제 2 분기부
13: 밴드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 1 분기부(11)와, 상기 본체(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분기부(12)와, 상기 본체(10)의 전방에서 보다 신축성과 강도가 향상되도록 부착되는 밴드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분기부(11)는 좌우측 부분을 착용자 머리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상호 결속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로부터 연장되는 밴드부(13)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영모자를 입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영모자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영모자는 본체(10), 제 1 분기부(11), 제 2 분기부(12), 밴드부(13)가 일체로 접합되는 구성이며 본체(1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제 2 분기부(12)는 상기 본체(10)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제 2 분기부(12)는 상기 본체(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도시에서 부호 10a는 제 1 분기부(11)와 제 2 분기부(12)를 접합하는 부분의 재봉선을 의미한다. 즉, 제 2 분기부(12)의 측면에 제 1 분기부(11)가 부착되어 자연스럽게 본체(10)가 형성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그러나 사용 원단의 종류를 고려한 재단 방식에 따라서는 본체(10)를 먼저 형성하고 제 1 분기부(11) 및 제 2 분기부(12)를 부착하는 형태도 가능하며 이 경우 재봉선(10a)의 위치도 도 1 및 도 2와 달라진다.
제 1 분기부(11) 및 제 2 분기부(12)는 도시하는 것처럼 각각의 단부를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제 2 분기부(12)는 착용자 머리의 후방을 미화하는 장식 기능성이 강하므로 제 1 분기부(11)보다 사각형, 마름모형, 별형 등 다양한 모양을 적용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전방에서 보다 신축성과 강도가 향상되도록 부착되는 밴드부(13)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전방은 착용자의 안면이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적절한 탄성으로 밀착되어 머리카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밴드부(13)는 다른 부분보다 좀더 신축성있는 원단 또는 고무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시에서 부호 13a로 나타내는 것처럼 재봉하여 부착한다.
수영모자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으로, 신축성을 지닌 스판덱스(SPAN DEX) 원단 등을 소정의 형상으로 재단하고, 반구 형태로 재봉하여 성형하고, 그 내면으로 방수성을 지닌 소재를 가온 및 가압하에서 접착하거나 재봉하여 완성한다. 이때 방수성 소재로는 실리콘 고무나 폴리우레탄 수지가 사용되는데, 이는 접착성이 양호한 반면 신축성이 결여되어 파손되기 쉽다.
상기한 방식으로 본 고안에 따른 수영모자를 제조하는 경우 제 1 분기부(11) 및 제 2 분기부(12)에는 방수성 소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분기부(12)는 좌우측 부분을 착용자 머리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상호 결속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로부터 연장되는 밴드부(13)를 포함한다. 밴드부(13)가 본체(10) 및 제 1 분기부(11)의 전면으로 부착되면 착용시 머리카락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거나 결속력을 오래 유지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이 부분은 수영모자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 다른 부분에 비하여 충격이나 하중이 크게 작용하므로 밴드부(13)를 부착하여 강도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장기간 사용에 따라 늘어나 처지기 쉽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2 분기부(12)가 제 1 분기부(11)보다 길이가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제 1 분기부(11)는 결속을 위한 길이가 보장되어야 하지만 제 2 분기부(12)는 길이의 제한이 없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영모자를 착용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3은 제 1 분기부(11)를 머리 후방에서 결속하고 제 2 분기부(12)는 그 결속된 내측으로 보낸 경우이다. 착용자는 제 1 분기부(11)를 결속하는 힘을 조절하면서 가장 편안한 상태로 착용하게 된다. 제 2 분기부(12)는 복수로 하거나 아예 생략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이때 제 1 분기부(11)를 머리 후방에서 교차시켜 전방으로 보낸 후 전방에서 결속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 2 분기부(12)를 제 1 분기부(11)의 결속된 부분 외측으로 보내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에는 없으나, 제 1 분기부(11)를 직접 묶어서 결속하는 방식 외에 일명 매직테이프 등 별도의 결속수단을 제 1 분기부(11)의 일정한 위치에 부착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속 동작이 미숙하거나 아예 불가능한 착용자도 혼자 또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착용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의 수영모자는 성인이 착용하다가 아동이 착용하는 경우나 그 반대의 경우에도 착용에 따른 불편이나 착용감의 차이가 없다.
이러한 방식의 수영모자는 단지 수영을 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등산, 야유회, 운동회 등 각종 야외활동이나 기타 작업을 할 때 착용하여도 손색이 없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획일화된 모양을 탈피하여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면서 머리의 크기에 관계없이 가장 편안한 상태로 착용감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양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 1 분기부(11)와, 상기 본체(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분기부(12)와, 상기 본체(10)의 전방에서 보다 신축성과 강도가 향상되도록 부착되는 밴드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건형 수영모자.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분기부(11)는 좌우측 부분을 착용자 머리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상호 결속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10)로부터 연장되는 밴드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건형 수영모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0147U KR200194796Y1 (ko) | 2000-04-10 | 2000-04-10 | 두건형 수영모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0147U KR200194796Y1 (ko) | 2000-04-10 | 2000-04-10 | 두건형 수영모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94796Y1 true KR200194796Y1 (ko) | 2000-09-01 |
Family
ID=1965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0147U KR200194796Y1 (ko) | 2000-04-10 | 2000-04-10 | 두건형 수영모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9479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8209A (ko) * | 2000-11-15 | 2001-02-05 | 성운기 | 수영두건모 |
KR100793013B1 (ko) | 2006-09-20 | 2008-01-08 | 손대업 | 두건 |
-
2000
- 2000-04-10 KR KR2020000010147U patent/KR20019479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8209A (ko) * | 2000-11-15 | 2001-02-05 | 성운기 | 수영두건모 |
KR100793013B1 (ko) | 2006-09-20 | 2008-01-08 | 손대업 | 두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91985A (en) | Head covering for women with hair loss | |
US4394781A (en) | Swimsuit | |
US6490732B1 (en) | Spreader means garment | |
US9179721B2 (en) | Press and go wig and lace wig snap cap and kit | |
TWM351722U (en) | Swimming goggles | |
JP2006161214A (ja) | 頭被覆体およびゴーグル | |
US3556107A (en) | Self-supporting garment | |
JP3107761U (ja) | 粘着式で貼る布質のブラジャー | |
US20070245457A1 (en) | Headwear systems | |
KR200490048Y1 (ko) | 겨울 스포츠용 2-way 방한 마스크 | |
KR200194796Y1 (ko) | 두건형 수영모자 | |
KR200326295Y1 (ko) | 브라컵 | |
KR100819426B1 (ko) | 팔 햇빛가리개 | |
KR200486661Y1 (ko) |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여성용 팬티 | |
KR200440784Y1 (ko) | 공간부가 형성된 양면모자 | |
CN203860478U (zh) | 一种塑身运动背心 | |
CN201192416Y (zh) | 一种眼罩 | |
CN214759204U (zh) | 一种易清洗的吸湿排汗t恤 | |
KR200463379Y1 (ko) | 일체형 팔 햇빛 가리개 | |
CN2860146Y (zh) | 固定式t形颈巾 | |
CN210611131U (zh) | 一种可拆卸吸汗空顶帽 | |
JP3207837U (ja) | 水中ウォーキング用帽子 | |
CN213128033U (zh) | 一种舒适型连体衣 | |
KR200465991Y1 (ko) | 팔 햇빛 가리개 | |
CN202009707U (zh) | 一种尼克服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410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0062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41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