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3652Y1 - 현관문의 방범보완 장치 및 방범보완 투시창 - Google Patents

현관문의 방범보완 장치 및 방범보완 투시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652Y1
KR200193652Y1 KR2020000007249U KR20000007249U KR200193652Y1 KR 200193652 Y1 KR200193652 Y1 KR 200193652Y1 KR 2020000007249 U KR2020000007249 U KR 2020000007249U KR 20000007249 U KR20000007249 U KR 20000007249U KR 200193652 Y1 KR200193652 Y1 KR 2001936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security
door
window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건호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건호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건호유리
Priority to KR2020000007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6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6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6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현관문의 방범에 관한 것으로, 기존 현관문에서 취약시된 부분을 개선하여, 도난방지와 각종 범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현관문은 일반적으로 철재나 알루미늄을 절단 절곡 용접 또는 내부 볼트로 접합하여 제작하므로 기본적인 방범문으로는 이상이 없을수 있으나, 부분적인 취약점을 개선하여 안전을 강화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현관문(14)의 방풍용 돌출부(15)가 기존 현관문 문틀(17)과 같이 돌출되어 있으나, 새로운 형태의 현관문 문틀(16)로 개선하였다.
현관문(11)의 중앙부 상단에 외부인을 확인할수 있는 투시창(13)을 확보하여, 외부인을 쉽고 안전하게 확인함과 동시에, 투시창(13)의 파손을 방지할수 있도록 안전장치인 강화유리(18)와 스프링(19)장치를 설치하여, 도난방지와 안전을 확보할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현관문의 방범보완 장치 및 방범보완 투시창{.}
본 고안은 현관문 문틀의 보완으로 파손의 위험을 줄이며, 방범성이 강화된 투시창을 설치하여, 개방적이면서 안전을 강화 하는데 있다.
아파트나 주택의 현관문을 만들 때, 방풍용으로 돌출되게 하여 털이나 고무를 끼워서 바람을 차단되게 제작 되었다.
그러나, 그 돌출부위에 지렛대 역할을 하는 기구로 휘거나 강한힘을 주어 장금장치를 쉽게 훼손할수 있으며, 외부인의 침입을 당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기존 투시경은 너무작고 방문자를 확인하기에도 불편하며, 아파트와 같은 주거문화에서는 폐쇠성이 더욱 늘어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현관문 문틀의 형태를 변형하여, 방풍용 돌출부위를 감추어 틈새를 줄여 강한힘을 가할수 있는 기구가 들어가지 않게 하는데 있다.
기존 투시경을 소형의 투시창 형태로 하여, 일정한 강도에 파손되지 않는 강화유리를 설치하고, 안쪽에는 보이지 않는 스크린을 여닫이 형태로 설치하여 방문자를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대화를 할 수 있고, 침입자가 내부를 볼수 없도록 하여 개방성과 방범성을 동시에 해결하는 새로운 방범문을 안출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의 입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존 형태의 현관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변형된 형태의 현관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 투시창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 투시창 스크린 입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현관문 12 : 현관문 문틀 13 : 현관문 투시창
14 : 현관문 단면 15 : 방풍용 돌출부 16 : 고안된 문틀
17 : 고안 되기전 문틀 18 : 강화유리 19 : 스프링
20 : 스크린 21 : 호수표기 팻말 22 : 스크린 장금장치
23 : 스크린 경첩 24 : 손잡이
본 고안은 현관문 문틀(17)의 형태를 변형하여, 현관문(14)의 방풍용 돌출부(15)를 새형태의 현관문 문틀(16)과 같이 방풍용 돌출부(15)를 감추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현관문(11)의 중간 윗쪽에 투시창(13)을 설치하는 것이다.
도1의 투시창(13)은 강화유리(18)로 설치하고, 외부에서 충격을 주었을 때 완충작용을 하는 스프링(19)을 설치하여 파손되는 것을 최대한 줄이고, 내부에서 열고 닫을수 있는 스크린(20)을 설치 개방성과 방범성을 동시에 누릴수 있다.
강화유리(18)는 일반판유리를 열처리하여 유리강도를 상승시킨 제품이고, 스프링(19)은 인력으로 누르면 밀리지 않고, 망치나 기타 무거운 물체로 충격을 주었을때만 수축되는 스프링(19)을 장착한다.
또한, 스크린(20)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호수표시 팻말(21)을 설치, 현관문(11) 외부에 별도의 표지(21)를 설치하지 않도록 하였다.
스크린(20)은 경첩(23)과 손잡이(24)를 설치하여 쉽게 여닫을수 있게 하였고, 평상시에는 열리지 않게 하기위해 잠금장치(22)를 장착하였다.
본 고안은 현관문 문틀의 형태를 바꾸어, 큰소리가 날정도에 힘을 가할 때도 파손되지 않게 하여, 집을 장시간 비우거나 할 때 주위에서 인지하여 대처할수 있는 효과를 볼수 있다.
문이란 고도의 기술이 있는 침입자에겐 쉽게 열릴수 있으나, 이런 침입자는 극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충동적이고 기술이 부족한 침입자 이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고 소음이 크게 날수 있어 침입자를 쉽게 막을수 있다.
기존에 투시경은 사실상 사용을 거의 하지 않는 제품으로 전락하였고, 이에 대치되는 인터폰이나 비디어폰이 있으나, 이것 또한 주인의 일방적인 관찰형태여서 방문자에게는 불퀘한 인상을 주게된다. 요사이 아파트처럼 인성이 결여된 환경에 개방적이면서도 방범이 보완된 시스템으로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현관문(11)의 방풍용 돌출부(15)를 돌출되지 않게하고, 투시창(13)에 강화유리(18)와 스프링(19)을 결합하여 여닫이 스크린(20)을 장착한 방범문.
  2. 제1항에 있어서 투시창(13) 강화유리(18) 뒷부분에 호수표지 팻말(21)을 여닫이 스프린(20)에 장착한 방범문,
KR2020000007249U 2000-03-14 2000-03-14 현관문의 방범보완 장치 및 방범보완 투시창 KR2001936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249U KR200193652Y1 (ko) 2000-03-14 2000-03-14 현관문의 방범보완 장치 및 방범보완 투시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249U KR200193652Y1 (ko) 2000-03-14 2000-03-14 현관문의 방범보완 장치 및 방범보완 투시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652Y1 true KR200193652Y1 (ko) 2000-08-16

Family

ID=1964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249U KR200193652Y1 (ko) 2000-03-14 2000-03-14 현관문의 방범보완 장치 및 방범보완 투시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65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97B1 (ko) 2007-01-03 2008-11-05 배종식 건물용 현관문
KR20220021426A (ko) 2020-08-13 2022-02-22 손라성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및 이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97B1 (ko) 2007-01-03 2008-11-05 배종식 건물용 현관문
KR20220021426A (ko) 2020-08-13 2022-02-22 손라성 비대면 물품수령이 가능한 현관문 및 이 현관문을 이용한 비대면 물품배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5321A (en) Security door system for sliding screen doors
US9482044B2 (en) Forced entry resistance system for wooden doo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oors with such system
CA2181906A1 (en) Alarm-triggering locking device for the catch and/or hinge region of a door or window to be protected
KR200193652Y1 (ko) 현관문의 방범보완 장치 및 방범보완 투시창
KR100629275B1 (ko) 건축용 방범창틀 설치구조
EP1795690A1 (en) Crime prevention structure of steel door
US20030041410A1 (en) Security storm door
KR200294880Y1 (ko)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WO2005028793A1 (en) Window or door structure with a locking tap
CN2203343Y (zh) 全方位多功能防盗门
KR200306007Y1 (ko) 복합기능 현관문이 설치된 현관 이중문
KR20050094727A (ko)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KR200355513Y1 (ko) 화재시 실내에서 개폐가 가능한 방범창 구조
JP2024124279A (ja) 防犯網戸システム
KR200340547Y1 (ko) 일방경을 활용한 방문자 확인창이 출입문 손잡이측 부문에 구비된 출입문
JPH10280820A (ja) 副扉が組み込まれた建物の出入口戸
KR200349128Y1 (ko) 방충망과 방범창
KR200400287Y1 (ko) 도어 파손 방지 방화문
KR20250033125A (ko) 도둑 침입 방지를 위해 세세히 막아야 할 빈틈 관리 방법
CN2253771Y (zh) 闭缝防撬防盗门
CN2184071Y (zh) 钢木通风型安全户门
JP3080673U (ja) ドアー、窓、引き戸とう総合防犯装置
AU2015303829B2 (en) A closure assembly
AU2024204562A1 (en) Barrier door
LT5451B (lt) Užrakto mechanizmo apsaug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31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6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3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