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1861Y1 - 계량기함의 스위치고정 브래킷 - Google Patents

계량기함의 스위치고정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861Y1
KR200191861Y1 KR2020000003710U KR20000003710U KR200191861Y1 KR 200191861 Y1 KR200191861 Y1 KR 200191861Y1 KR 2020000003710 U KR2020000003710 U KR 2020000003710U KR 20000003710 U KR20000003710 U KR 20000003710U KR 200191861 Y1 KR200191861 Y1 KR 200191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main body
bracket
prese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술
Original Assignee
남양전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전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전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37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량기함의 내측에 장착되는 스위치고정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나사못이나 다른 결합요소없이 돌기와 홈에 의하여 끼워맞춤식의 결합을 이루게 하는 구조로써, 기존의 스위치 및 차단기와 서로 호환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이들을 견고하게 부착시킬수 있고, 작업을 간단하게하여 계량기함내의 복잡한구조를 개선시키며,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하기위해 고안된 것이다.

Description

계량기함의 스위치고정 브래킷{The switch fixation bracket}
본 고안은 계량기함 내부에서 각종 차단기 및 스위치를 부착하기 위한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던 브래킷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있다. 종래의 브래킷은 계량기함에 부착시킨 상태로 사용하였으며 이런형태의 브래킷에 스위치를 고정시켜 사용하였다. 브래킷에는 스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형성되어있다. 스위치는 규격품이며 하단으로는 브래킷과 결합하기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결합상태에서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고정편을 이용하여 브래킷에 고정하고 고정편의 일측 끝단이 스위치의 하단에 형성된 홈으로 삽입된후 나사못등을 이용하여 조인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조일경우 스위치 한개당 상부 2개 하부 2개씩의 고정편이 필요하게되며 그에따른 나사못의 수가 증가하게된다. 따라서 이들을 설치 및 수리하는데 있어서 이들을 모두 풀고 다시 조이는작업이 필수적이었고, 그에 따르는 많은 불편함이 따르게 되어 작업의 효율이 낮았고 작업자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었다. 또한 이렇게 부착시킬경우 스위치의 전면이 노출되어있을 뿐만아니라 하단의 전기배선도 노출되어 있으므로 계량기함내의 배선이 복잡해지고 불량해 질수도 있고, 수리 및 교체시에 작업자에게 감전사고등의 위험요소를 가져다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순화된 구조와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는 고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본 고안에 사용되는 모든 스위치류와 차단기등은 규격품으로써 외형이 동일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기존의 브래킷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중 스위치와 고정하려할때 고정되는 부분이 많게되어 작업이 불편했던 것을 개선시킨 것이다.
본 고안은 브래킷에 스위치와 차단기등을 끼워맞춤식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브래킷에 돌기부분을 일체형으로 형성시켰다. 또한 스위치류와 차단기의 하단에 형성되어있던 홈으로 돌기부분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종래의 고정편과 나사못등으로 고정시켰던 부분으로 돌기가 삽입되어 쉽게 결합이 이루어 지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복잡했던 브래킷과 스위치의 조립구조를 단순화시키도록 하였다.
브래킷의 측면으로 고정벽을 일체로 형성하여 스위치등을 지지하게되어 더욱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고정벽의 위쪽으로 커버를 부착시켜 스위치가 완전히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작업시 발생하게 될 수 있는 전선의 접촉을 방지시켜 감전사고를 막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상태의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브래킷 사시도
도 5는 종래고안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고정구
3. 커버고정구
4a. 고정벽 4b. 고정벽
5. 결합돌기 6. 스위치
7. 결합홈 8. 커버
9. 브래킷
10a. 고정구 10b. 고정구
11. 고정나사 12. 고정편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체(1)는 브래킷 형태로 구성되어있으며 양측하단에는 계량기함과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구를 구성하였다. 본체(1)는 내측으로 돌기(5)를 본체와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스위치(6)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홈(7)과 결합할 수 있도록 동일한 갯수와 위치에 맞게 형성하였다. 본체에 결합되는 스위치류와 차단기는 모두 규격품이므로 이들의 외형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에 고정편(12)에 의해 고정되었던 결합홈(7)은 본체(1)에 형성된 결합홈(7)에 결합된다.
본체에 스위치(6)을 결합할때 위쪽방향에서 아래로 눌러주면 끼워맞춤식으로 서로 결합되므로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체(1)의 양쪽측면으로는 스위치(6)와 동일한 높이로 고정벽(4a)(4b)를 구성하여 본체(1)내측에 결합되어있는 스위치(6)를 지지하고 서로 밀착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수 있도록 하였다. 양쪽의 고정벽(4a)(4b)의 상단에는 커버를 부착할 수 있도록 커버고정구(3)가 설치되어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스위치(6)의 삽입장착이 끝난이후에 커버(8)를 스위치(6)의 위쪽으로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상태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체(1)의 하단에 대칭으로 형성된 돌기(5)에 의하여 삽입된 스위치(6)가 견고하게 장착된것을 나타낸다. 스위치(6)에 형성된 결합홈(7)에 돌기(5)가 삽입된것을 나타내며 종래와 동일한 견고한 결합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본체(1)내부로 스위치가 장착되고 본체(1)위쪽으로 커버(8)가 부착된 상태의 편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체(1)에 스위치(6)가 결합되었을때 본체(1)의 측면에 본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있는 고정벽(4a)(4b)에의해 스위치가 본체(1) 내에서 더욱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커버(8)를 부착시킬경우 스위치(6)를 앞쪽에서 더욱 밀착시키게되어 보다 견고한 결합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부착시킨 커버(8)에 의하여 스위치(6) 하단의 노출된 접속단자와 전선부분이 가려지게 되므로 작업시 부주의에의한 접촉을 막을 수 있게되어 작업자를 위험요소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계량기함내의 브래킷에 스위치 및 차단기를 나사못과 같은 결합요소의 사용없이 끼워맞춤의 방법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것으로, 계량기함내의 결합구조를 단순화시켜 장착및 해체 작업의 편의성이 이룰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보다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접속단자와 전선을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이룰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1)는 길이방향의 내측에 좌우대칭으로 돌기(5)를 본체와 일체가 되도록 다수 형성하며, 돌기는(5) 상응하는 스위치 하단의 결합홈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양쪽 측면으로 커버를 부착하기위한 수직형태의 고정벽(4a)(4b)을 본체(1)와 일체로 형성한것을 특징으로하는 계량기함의 스위치고정 브래킷.
KR2020000003710U 2000-02-12 2000-02-12 계량기함의 스위치고정 브래킷 KR200191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710U KR200191861Y1 (ko) 2000-02-12 2000-02-12 계량기함의 스위치고정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710U KR200191861Y1 (ko) 2000-02-12 2000-02-12 계량기함의 스위치고정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861Y1 true KR200191861Y1 (ko) 2000-08-16

Family

ID=19641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710U KR200191861Y1 (ko) 2000-02-12 2000-02-12 계량기함의 스위치고정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8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392B1 (ko) 분전반용 부스바 고정홀더
JP2007213963A (ja) 電気器具の端子装置
CA2157952C (en) Connector attachment component
KR200191861Y1 (ko) 계량기함의 스위치고정 브래킷
KR200431266Y1 (ko) 배전반의 모선부스바
KR20080062659A (ko) 안정장치
KR100711102B1 (ko) 측면 결선형 배선용 차단기
KR101161714B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차단기 받침대
JPH08249919A (ja) 灯具装着装置
KR200465241Y1 (ko) 안전커버가 구비된 차단기
JP4575863B2 (ja) 分電盤
KR200146682Y1 (ko) 콘센트형 누전차단기의 케이스 어셈블리 결합 구조
KR101447117B1 (ko) 클립타입의 부스바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JP2012181923A (ja) 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
KR20110107169A (ko) 멀티퓨즈
JPH11341646A (ja) 電気接続箱
KR970003742Y1 (ko) 배선용 차단기의 인출부 단자 커버
JP2005135654A (ja) 端子変換アダプタおよびこの端子変換アダプタを用いた盤
KR200198502Y1 (ko) 전기접속구의 전선연결구조
JP7401580B2 (ja) 端子台、電気機器
JP3622604B2 (ja) 接続変換装置
JP3160506B2 (ja) 分電盤
KR20050041387A (ko) 전선 보호구
KR19980062575U (ko) 배선박스용 연결박스
KR101126493B1 (ko) 분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21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5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2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19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24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