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1024Y1 -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 Google Patents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024Y1
KR200191024Y1 KR2020000001620U KR20000001620U KR200191024Y1 KR 200191024 Y1 KR200191024 Y1 KR 200191024Y1 KR 2020000001620 U KR2020000001620 U KR 2020000001620U KR 20000001620 U KR20000001620 U KR 20000001620U KR 200191024 Y1 KR200191024 Y1 KR 200191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main
hoist
mot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근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현대호이스트
Priority to KR2020000001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0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0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 B66D5/1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embodying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3Mechanisms with latches or braking devices in general for capstans, hoists or similar devices as well as braking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or by fluid und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면의 화물을 와이어드럼의 회전에 의해 원주면에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면서 와이어 로프 일단에 장착된 후크로 인양하여 운반하는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10)는 고속으로 회전하여 다단의 기어 감속으로 와이어드럼(100)의 외주면에 와이어 로프(101)가 권취되며 감겨 화물을 인양시키도록 하는 메인모터(200)와, 그 메인모터(200)의 주축(202)과 모터축(201)의 회전과 동시에 마찰디스크(404)와 멀어지도록 압축스프링(505)을 구속시키는 전자석(405)과,
상기 메인모터(200)의 주축(202)과 모터축(201)이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석(405)의 전원이 끊기며 상기 압축스프링(505)의 압축력으로 마찰디스크(404)를 압축하는 제동력으로 정지하도록 하는 주 브레이크(400)와;
상기 주 브레이크(400)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모터축(201)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타이머(T)에 의해 상기 주 브레이크(400)가 작동됨과 동시에 일정간격을 두고 제동되도록 하여 이중 안전장치 역할을 하는 비상브레이크(5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Hoist Equipped with Dual Brake}
본 고안은 호이스트의 권상용 모터를 정지, 작동할 때 정확한 제동을 하도록 하는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기 주 브레이크의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메인모터의 모터축 후단에 장착되어 상기 주 브레이크의 보조 역할을 하며 전기적 또는 물리적인 부하에 의한 주 브레이크의 파손이나 고장에 의해 제동력을 상실할 것을 대비하여 순간적인 시차(時差)를 두고 작동하여 제동이 걸림으로써 정지하도록 하는 이중 브레이크가 장착된 호이스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브레이크가 싱글로 설치된 호이스트는 경제적인 측면, 즉, 제조원가는 다소 절감할 수 있으나, 모터의 용량이 과대하게 설계가 되었거나 브레이크의 설계가 최적으로 되어있지 않는 문제, 즉, 토르크(Torque)가 부족할 경우 브레이크의 고장과 더불어 호이스트 모터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브레이크의 제동을 제어하는 정류기(Rectifier)의 고장으로 인하여 브레이크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호이스트의 작동 즉, 모터가 동작을 하기 때문에 과부하, 과전류로 인하여 모터 고정자부에서 화재 또는 모터의 손상으로 이어져 일반적인 공장에서 호이스트에 의존하는 물류의 이송방법에서 호이스트의 고장은 막대한 작업손실로 이어지는 치명적인 생산성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가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호이스트를 작동하면 모터의 주축이 뒤틀리는 변형의 원인이 되어 브레이크 하나로 인하여 모터까지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브레이크의 파손으로 인하여 호이스트의 하강시 정지가 되지 않는다면 이송물 자중에 의해 지면으로 추락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호이스트 하부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사고를 당해 안전사고를 내는 경우가 있고, 공장내 설비의 파손으로까지 이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이송물 취급에 특히 주의를 요하는 장소인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상기와 같은 경우는 대형참사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것은 종래 호이스트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와 일측면도로써, 저속모터(300)가 일측 수평으로 호이스트 본체보다 더 길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주행시 주위의 다른 설비와 간섭에 따른 문제가 있었고 일반적으로 호이스트를 다수설치하여 이송하는 공장에서는 상기와 같이 돌출되어 있는 저속모터로 인해 설치작업시 간섭을 고려하여 필요 이상으로 간격을 띄어서 설치를 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순차적인 브레이크의 제동으로 브레이크에 전달되는 제동부하의 양을 감소시켜 브레이크 정류기 파손으로 인한 모터의 과부하 운전을 방지하여 호이스트의 하강시 정지가 되지 않아 발생하는 안전사고 및 대형사고를 예방하여 안전한 이송작업을 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저속모터를 하부로 향하도록 장착하여 주위의 다른 이송설비 및 기타설비와의 간섭을 없애 설비의 운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호이스트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와 일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호이스트의 평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호이스트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와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호이스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외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이스트 100: 와이어 드럼 101: 와이어 로프 102:와이어 안내홈 103: 후크 200: 메인 모터 201:모터축 202:주축 300: 저속모터
400:주 브레이크 404:마찰디스크 500: 비상 브레이크 501: 브레이크 허브
502: 브레이크 휠 503: 브레이크 판 504:스프링지지구 505: 압축 스프링
본 고안은 지면의 화물을 와이어드럼의 회전에 의해 원주면에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면서 와이어 로프 일단에 장착된 후크로 인양하여 운반하는 호이스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호이스트는 고속으로 회전하여 다단의 기어 감속으로 와이어드럼의 외주면에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며 감겨 화물을 인양시키도록 하는 메인모터와, 그 메인모터의 주축과 모터축의 회전과 동시에 마찰디스크와 멀어지도록 압축스프링을 구속시키는 전자석과,
상기 메인모터의 주축과 모터축이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석의 전원이 끊기며 상기 압축스프링의 압축력으로 마찰디스크를 압축하는 제동력으로 정지하도록 하는 주 브레이크와;
상기 주 브레이크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모터축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타이머에 의해 상기 주 브레이크가 작동됨과 동시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동되도록 하여 이중의 안전장치 역할을 하는 비상 브레이크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호이스트의 평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호이스트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와 일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호이스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외관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이스트(10)본체의 좌측에 메인모터(200)가 구비되고 메인모터(200)의 모터축(201)이 회동하며 호이스트(10)본체의 내부로 관통된 주축(202)이 회동되며 선단인 우측단에 스플라인(203)과 주축기어(204)가 연이어 회동되는데, 주축기어(204)에는 제1 유성기어(205)가 3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유성기어(205)와 일체이면서 그 외경이 작은 유성피니언(205a)이 호이스트(10)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래크기어(206)와 치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또한 각 제1 유성기어(205)는 기어핀(207)을 통하여 제1 커플링(208)과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1 커플링(208)은 중앙에 형성된 구멍이 주축(202)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제1 커플링(208)의 일측에 형성된 커플링기어(209)에 제2 유성기어(210)가 다수 치합되어 회동하고, 상기의 제2 유성기어(210)는 호이스트(10)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래크기어(211)와 각각 치합되어 제2 래크기어(211)의 면을 따라 자전, 공전을 거듭하게된다.
또한, 상기의 자전, 공전을 거듭하며 회동하는 각 제2 유성기어(210)는 커플링핀(212)을 통하여 제2 커플링(213)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커플링(213)은 호이스트(10)의 내주면에 구비된 와이어드럼(100)과 볼트로 체결되어 서로 연결되어 회동하고. 와이어드럼(100)은 외주면에 와이어로프(101)가 권회되도록 와이어안내홈(102)이 다수개 형성되고, 메인모터(200)보다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드럼(100)을 저속으로 회전시키는 저속모터(300)가 호이스트(10)본체의 우측에 구비된다.
저속모터(300)는 선단에 모터축기어(301)가 구비되며 모터축기어(301)와 치합되는 구동기어(302)와 종동기어(303)가 호이스트(10)본체의 내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종동기어(303)는 저속커플링(402)과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저속커플링(402)의 일측에 마련된 가이드핀(403)을 통하여 마찰디스크(404)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의 마찰디스크(404)는 주축(202) 선단에 형성된 스플라인(203)과 체결되어 인양이 완료되어 정지하는 과정에서 상기의 마찰디스크(404)가 전자석(405)에 의해 좌측에 구비된 저속커플링(402)쪽으로 가이드핀(403)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저속커플링(402)의 표면에 밀착되어 일차적으로 주 브레이크(400)에 의해 메인모터(200)의 회전이 멈춘다.
이때, 상술한 마찰디스크(404)와 대향하는 위치, 즉, 메인모터(200)의 좌측인 후단부에 비상브레이크(500)를 장착하여 상기의 마찰디스크(404)의 이동으로 제동되도록 하는 주 브레이크(400)와 일정소망하는 시차를 두고 주축(202)에 제동을 가하여 보다 견고하고 확실하게 제동되도록 하는 비상 브레이크(5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의 주 브레이크(400)의 제동과 동시에 호이스트(10)의 배전반에 구비된 타이머(T)에 의해 일정시차를 두고 비상 브레이크(500)가 작동하는데, 모터축(201)을 후단으로 길게 형성하여 브레이크 허브(501)와 체결하고, 일측에는 일체로 형성되고 외경이 큰 브레이크 휠(502)이 구비된다. 상기의 브레이크 허브(501)의 외주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된 브레이크 판(503)이 구비되어 비상브레이크(500) 본체에 형성된 스프링지지구(504)에 삽입되어 있는 압축스프링(505) 그 압축스프링(505)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스프링지지핀(506)과 상기의 브레이크 휠(50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구비된 전자석(405)의 작동과 압축스프링(505)의 압축력에 의해 브레이크 판(503)이 이동하며 브레이크 휠(502)의 표면으로 밀착하며 비상 브레이크(500)도 작동하게 되어 메인모터(200)의 회전이 멈춤과 동시에 미속회전하는 저속모터(300)가 회전한다.
저속모터(300)가 회전하면 이의 회전력이 모터축기어(300)를 통하여 구동기어(302)와 종동기어(303)로 전달되고, 종동기어(303) 내부에 결합된 저속커플링(410)과 표면이 밀착된 마찰디스크(404)와 일체화되고, 종동기어(303)의 회전력이 저속커플링(402)쪽으로 전달되면 저속커플링(402)의 회전력에 의해 마찰디스크(404)와 체결되어 있는 스플라인(203)을 통해 주축(202)으로 전달된다. 또한, 주축(202)이 회전되면 주축기어(204)를 통해 제1 유성기어(205)가 회전되고, 각 제1 유성기어(205)는 기어핀(207)을 통하여 제1 커플링(208)과 연결되어 중앙에 형성된 구멍이 주축(202)을 관통하도록 구성되고, 제1 커플링(208)의 일측에 형성된 커플링기어(209)에 제2 유성기어(210)가 다수 치합되어 회동하고, 상기의 제2 유성기어(210)는 호이스트(10)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래크기어(211)와 각각 치합되어 제2 래크기어(211)의 면을 따라 자전, 공전을 거듭하게된다.
또한, 상기의 자전, 공전을 거듭하며 회동하는 각 제2 유성기어(210)는 커플링핀(212)을 통하여 제2 커플링(213)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커플링(213)은 호이스트(10)의 내부에 구비된 와이어드럼(100)과 볼트로 체결되어 회동하며 와이어로프(101)를 권취하여 화물을 승하강시킨다.
또한, 저속모터(300)의 회전에 의해 주축(201)이 회전되는 것이므로 와이어드럼(100)이 저속으로 회전되어 와이어로프(101)와 그 일단에 연결된 후크(103)가 서서히 승하강되고, 저속모터(300)의 후단과 선단에 장착된 주 브레이크(400)와 비상 브레이크(5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동이 걸리며 정지하게 되어 안정감 있는 이송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호이스트(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된 저속모터(300)는 돌출된 방향이 45°경사의 하부로 향하고 있으므로 호이스트의 주행시 주위의 다른 설비와의 간섭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므로 주위의 다른 방향의 이송주행설비를 배치하기가 용이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순차적인 브레이크의 제동으로 브레이크에 전달되는 제동부하의 양을 감소시켜 파손과 고장을 방지하여 호이스트의 하강시 정지가 되지 않아 발생하는 안전사고 및 대형사고를 예방하여 안전한 이송작업을 함으로써 안전한 작업장을 조성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저속모터를 하부로 향하도록 장착하여 주위의 다른 이송설비 및 기타설비와의 간섭을 없애 설비의 운용을 용이하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지면의 화물을 와이어드럼의 회전에 의해 원주면에 와이어 로프가 권취되면서 와이어 로프 일단에 장착된 후크로 인양하여 운반하는 호이스트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10)는 고속으로 회전하여 다단의 기어 감속으로 와이어드럼(100)의 외주면에 와이어 로프(101)가 권취되며 감겨 화물을 인양시키도록 하는 메인모터(200)와, 그 메인모터(200)의 주축(202)과 모터축(201)의 회전과 동시에 마찰디스크(404)와 멀어지도록 압축스프링(505)을 구속시키는 전자석(405)과,
    상기 메인모터(200)의 주축(202)과 모터축(201)이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석(405)의 전원이 끊기며 상기 압축스프링(505)의 압축력으로 마찰디스크(404)를 압축하는 제동력으로 정지하도록 하는 주 브레이크(400)와;
    상기 주 브레이크(400)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비된 모터축(201)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타이머(T)에 의해 상기 주 브레이크(400)가 작동됨과 동시에 일정간격을 두고 제동되도록 하여 이중의 안전장치 역할을 하는 비상 브레이크(5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브레이크(500)는 모터축(201) 후단에 체결되는 브레이크 허브(501)와, 그 브레이크 허브(50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외경이 큰 브레이크 휠(502)과, 그 브레이크 휠(502)의 일측에 구비되고 브레이크 본체에 형성된 스프링지지구(504)에 삽입된 압축스프링(505)의 압축력으로 상기 브레이크 휠(502)의 표면에 밀착되어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 판(50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브레이크(500)는 메인모터(200)와 저속모터(300)의 각 주 브레이크(400)에 대향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이중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4. 제 1항 또는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10)에 장착되어 미속으로 승, 하강 하는 기능을 가진 저속모터(300)는 하향하는 경사로 설치되어 호이스트(10)본체보다 돌출되지 않아 다른 설비와의 간섭을 없앤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KR2020000001620U 2000-01-21 2000-01-21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KR2001910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20U KR200191024Y1 (ko) 2000-01-21 2000-01-21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1620U KR200191024Y1 (ko) 2000-01-21 2000-01-21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024Y1 true KR200191024Y1 (ko) 2000-08-16

Family

ID=1963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1620U KR200191024Y1 (ko) 2000-01-21 2000-01-21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0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18B1 (ko) 2010-02-25 2014-02-25 코네크레인스 피엘씨 비상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로프 호이스트
KR20150017660A (ko) * 2013-08-07 2015-02-17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호이스팅 드럼장치
KR20210002777U (ko) 2020-06-04 2021-12-13 김제덕 호이스트 구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518B1 (ko) 2010-02-25 2014-02-25 코네크레인스 피엘씨 비상 제동 장치를 포함하는 로프 호이스트
KR20150017660A (ko) * 2013-08-07 2015-02-17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호이스팅 드럼장치
KR101716812B1 (ko) 2013-08-07 2017-03-15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호이스팅 드럼장치
KR20210002777U (ko) 2020-06-04 2021-12-13 김제덕 호이스트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58544A (zh) 升降机构的系统结构和操作所述系统结构的方法
EP0018127B1 (en) Hoist
CA2084242C (en) Disc brake for elevator drive sheave
CN113682987B (zh) 一种起重机作业安全监测装置
US4508318A (en) Electric hoist
KR101131914B1 (ko) 다수의 모터가 구비된 선박 인양용 윈치
JPH0525800B2 (ko)
US4502667A (en) Electric hoist
US5201821A (en) Disc brake elevator drive sheave
CN102050400B (zh) 一种起重机起升卷筒用非能动的超速保护装置
KR200191024Y1 (ko)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US4653653A (en) Hoisting systems
US4496136A (en) Hoist
KR100738941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승강장치
KR101085827B1 (ko) 자유낙하 기능이 구비된 마찰차 호이스트
KR102199659B1 (ko) 전자브레이크가 없는 무대장치용 리프트 구동장치
US20180346298A1 (en) Mute hand winch
KR20020062284A (ko) 지지대에 부착된 승강실이 구비된 승강기
CN111732017A (zh) 斜坡卷扬机安全保护装置及斜坡卷扬机
CN202030471U (zh) 一种起重机起升卷筒用非能动的超速保护装置
CN217323205U (zh) 一种用于气动平衡吊的制动装置
CN206955517U (zh) 小制动力矩电磁插销式防坠落单支座驱动装置及起升机构
CN116119559A (zh) 一种桥吊起升两级减速装置
KR20010102058A (ko) 리프팅 잭
JP2024504670A (ja) 巻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12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5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12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10224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1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3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