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0465Y1 - 전기집진장치(Electric Dust Collector)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Electric Dust Coll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465Y1
KR200190465Y1 KR2019970041654U KR19970041654U KR200190465Y1 KR 200190465 Y1 KR200190465 Y1 KR 200190465Y1 KR 2019970041654 U KR2019970041654 U KR 2019970041654U KR 19970041654 U KR19970041654 U KR 19970041654U KR 200190465 Y1 KR200190465 Y1 KR 200190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hole
electrostatic precipitator
reticular
electrostatic
safety n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1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014U (ko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41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465Y1/ko
Publication of KR19990029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0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46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03C3/361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static mechanical means, e.g. deflector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집진부와, 상기 전기집진부를 수용하며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전기집진부의 유입측에 부착되며, 유동공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유동공내에 설치되는 망상부가 형성된 안전망을 갖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망상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판면을 따라 상기 유동공을 가로질러 마련되어 상기 망상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짐방지용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유동공내에 설치된 망상부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집진장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
본 고안은, 안전망을 갖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집진부와, 상기 전기집진부를 수용하며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전기집진부의 유입측에 부착되며, 유동공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유동공내에 설치되는 망상부가 형성된 안전망을 갖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장치는, 공기청정기 또는 공기조화기에 장착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부유입자를 고압의 전기를 이용하여 이온화시킨 후, 이 이온화된 부유입자를 집진하므로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기집진장치는, 전기집진부와, 공기의 유입구가 형성된 전면 케이싱 및 공기의 유출구가 배면케이싱으로 구성된다. 이 전기집진부는,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내의 부유입자를 이온화하는 이온화부재와, 이온화된 부유입자를 집진하는 집진부재로 구성되며, 이온화부재와 집진부재의 사이에는 집진부재로부터의 전류가 골고루 분포하도록 알루미늄 망상체로 형성된 스크린을 설치한다.
여기서, 이온화부재는, 전면케이싱내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텅스텐선과, 각 인접한 텡슨텐선들 사이에 개재되는 접지판이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기립 설치되어 있다. 집진부재는, 알루미늄판으로 형성된 제1집진판과,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코팅된 알루미늄판으로 형성된 제2집진판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면케이싱내에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전기집진부의 유입측에는, 안전망이 설치되어 전기집진장치로 유입되는 부유물 중 소정 큰 부유입자를 걸러주고, 고압전류가 흐르는 전기집진부에 외부기기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3도는 종래의 안전망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안전망(145)은, 유동공(146)이 형성된 지지부(147)와, 유동공(146)내에 설치되는 망상부(148)로 구성된다. 안전망(145)은, 전기집진부의 유입측에 부착되는 것으로, 지지부(147)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스크류체결공(149)에 의해 체결고정된다.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큰 부유입자는, 망상부(148)에 의하여 1차적으로 걸러지므로 전기집진부내부로 큰 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망상부(148)는 외부기기가 고압전류를 흐르는 전기집진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안전망은, 고압전류가 흐르는 전기집진부의 유입측에 부착되므로 전기집진부의 사용시 고온에 의하여 휨 등과 같은 형상변형을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유동공내에 설치된 망상부가 유동공에서 벗어나거나 하부로 처진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동공에 설치되어 있는 안전망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기집진장치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의 횡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안전망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집진장치 5 : 전기집진부
10 : 이온화부재 12 : 텅스텐선
14 : 접지판 20 : 집진부재
30 : 스크린 34 : 유입구
35 : 전면케이싱 37 : 체결보스
39 : 유출구 40 : 배면케이싱
45 : 안전망 46 : 유동공
47 : 지지부 48 : 망상부
49 : 고정리브 50 : 스크류체결공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전기집진부와, 상기 전기집진부를 수용하며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전기집진부의 유입측에에 부착되며, 유동공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유동공내에 설치되는 망상부가 형성된 안전망을 갖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상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판면을 따라 상기 유동공을 가로질러 마련되어 상기 망상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짐방지용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리브는 한 쌍이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분해사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망의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전기집진장치(1)는, 전기집진부(5)와, 공기의 유입구(34)가 형성된 전면케이싱(35) 및 공기의 유출구(39)가 형성된 배면케이싱(40)으로 구성된다. 이 전기집진부(5)는, 유입구(34)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내의 부유입자를 이온화하는 이온화부재(10)와, 이온화부재(10)에 의해 이온화된 부유입자를 집진하는 집진부재(20)를 갖는다. 이온화부재(10)와 집진부재(20) 사이에는 집진부재(2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골고루 분포하도록 알루미늄 망상체로 형성된 스크린판(3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이온화부재(10)는, 전면케이싱(35)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의 텅스텐선(12)과, 각 인접한 텅스텐선(12)들 사이에 개재되는 접지판(14)이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기립 설치되어 있다. 집진부재(20)는, 알루미늄판으로 형성된 도시 않은 제1집진판과,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코팅된 알루미늄판으로 형성된 도시 않은 제2집진판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면케이싱(40)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전기집진부(5)의 유입측, 즉, 전면케이싱(35)의 전방영역에는 후술할 안전망(45)이 설치되어 있다. 본 안전망(45)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공(47)이 형성된 지지부(47)와, 유동공(46)내에 설치되는 망상부(48), 및 유동공(46)내에 설치되는 고정리브(49)를 갖는다. 망상부(49)는 막대형상의 물건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유동공(46)내에 설치되는 고정리브(49)는 지지부(47)의 판면을 따라 유동공(46)을 가로질러 한 쌍이 상호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기집진부(5)의 유입측에 부착되는 안전망(45)은, 지지부(47)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50)과 전면케이싱(35)에 형성된 체결보스(37)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유동공(46)내에 설치된 망상부(48)는, 1차적으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정 큰 부유입자를 걸러주어 전기집진부(5)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집진부(5)로 막대형상의 외부기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고정리브(49)는, 지지부(47)의 판면을 따라 유동공(46)내에 상호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동공(46)내에 설치된 망상부(48)가 처지는 형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망상부(48)의 둘레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고정리브(49)를 설치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수의 고정리브를 설치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의해, 망상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판면을 따라 유동공을 가로질러 마련되어 상기 망상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짐방지용 고정리브를 마련함으로서, 유동공에 설치된 망상부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 집진장치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리브를 마련하여 망상부의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어린이들의 장난이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전기집진부로 외부기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고장을 줄이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

  1. 전기집진부와, 상기 전기집진부를 수용하며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전기집진부의 유입측에 부착되며, 유동공이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유동공내에 설치되는 망상부가 형성된 안전망을 갖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상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지지부의 판면을 따라 상기 유동공을 가로질러 마련되어 상기 망상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처짐방지용 고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리브는 한 쌍이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KR2019970041654U 1997-12-27 1997-12-27 전기집진장치(Electric Dust Collector) Expired - Fee Related KR2001904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654U KR200190465Y1 (ko) 1997-12-27 1997-12-27 전기집진장치(Electric Dust Coll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1654U KR200190465Y1 (ko) 1997-12-27 1997-12-27 전기집진장치(Electric Dust Coll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014U KR19990029014U (ko) 1999-07-15
KR200190465Y1 true KR200190465Y1 (ko) 2000-08-01

Family

ID=1951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1654U Expired - Fee Related KR200190465Y1 (ko) 1997-12-27 1997-12-27 전기집진장치(Electric Dust Coll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046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014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1218B1 (ko) 공기조화장치
US5993521A (en) Two-stage electrostatic filter
US4133653A (en) Air filtration assembly
US7267712B2 (en) Planar electric precipitator
US20200370768A1 (en) Air treatment device for a ventilation air inlet
US7141098B2 (en) Air filtration system using point ionization sources
KR101003919B1 (ko) 포인트 이온화 소스를 이용한 공기 여과 장치
EP1324830B1 (en) Electrostatically enhanced media air filtration system
CN211678243U (zh) 电集尘过滤器
US4440553A (en) Air-filtration module with ionization for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KR200190465Y1 (ko) 전기집진장치(Electric Dust Collector)
JP4347837B2 (ja) 電気集塵デバイス及び該電気集塵デバイスを搭載した空気処理装置
US3495381A (en) Air filtering apparatus
CN210089086U (zh) 风道结构和空气处理装置
KR100234070B1 (ko) 전기집진장치
KR19990055594A (ko) 전기집진용 이온화장치
KR200175878Y1 (ko) 전기집진장치
KR19990055597A (ko)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장치
KR200162325Y1 (ko) 전기집진기
JP2000070760A (ja) 空気清浄器
KR19990029016U (ko)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장치
KR102266444B1 (ko) 공기조화장치
CN109028383B (zh) 高压包组件及空气处理装置
GB2265558A (en) Electrostatic air cleaner
JP3552448B2 (ja) 空気清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22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831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991130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103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30

Appeal identifier: 2000101000009

Request date: 20000103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00407

U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UB09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UB09011R02I

Patent event date: 19991028

Comment text: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B701 Decision to grant
U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00407

Patent event code: UB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09

Patent event code: UB07011S01I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5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5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8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304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