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8223Y1 - 온풍기 - Google Patents

온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223Y1
KR200188223Y1 KR2020000003236U KR20000003236U KR200188223Y1 KR 200188223 Y1 KR200188223 Y1 KR 200188223Y1 KR 2020000003236 U KR2020000003236 U KR 2020000003236U KR 20000003236 U KR20000003236 U KR 20000003236U KR 200188223 Y1 KR200188223 Y1 KR 200188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outer circumferential
hot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선
Original Assignee
박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선 filed Critical 박재선
Priority to KR2020000003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2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22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 F24H3/081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by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3/085The tubes containing an electrically heated intermediate fluid, e.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5/00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 F28D15/02Heat-exchange apparatus with the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in closed tubes passing into or through the conduit walls ; Heat-exchange apparatus employing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ies in which the medium condenses and evaporates, e.g. heat pipes
    • F28D15/0275Arrangements for coupling heat-pipes together or with other structures, e.g. with base blocks; Heat pipe c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attachable to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ome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히트파이프 외주면 전체에 걸쳐 방열부재를 구성하는 한 쌍의 몸체를 신속간편하게 접면시킨 상태에서 볼트로서 용이하게 장착함으로서 방열부재 조립공정을 단축하고 히트파이프 교체작업을 신속간편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트파이프 내부에 흐르는 열원에 있어 잠열의 움직임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넓은 면적으로 열을 방출토록 함으로서 열효율을 증진시키고, 유리관체로 이루어진 히트파이프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온풍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양측 단부의 플랜지상에 볼트체결공을 적어도 2개 이상 천공하고 외주면에 반달형의 방열핀이 일정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히트파이프 외주면에 각각 면접하여 볼트로서 체결고정되는 한 쌍의 몸체를 구성하여서 된 것과, 상기 한 쌍의 몸체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방열핀을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진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온풍기{Hot air furnace}
본 고안은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간접가열식 온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히트파이프에 방열부재를 장착하여 방열면적 증대에 따른 난반효율을 일층 높이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풍기라 함은 동절기와 같은 추운 계절에 실내의 공기를 따뜻하게 데어 난방을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열원으로부터 발생되어진 열기를 실내에 직 접 방출토록 하는 직접가열식 온풍기와, 열원으로부터 발생되어진 열기를 소정의 구간을 갖는 히트파이프를 거쳐 넓은 면적으로 열기를 확산시킨후 송풍팬을 가동하여 방출토록 하는 간접가열식 온풍기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다.
주지한 바와 같은 온풍기에 있어 본 고안과 관련한 간접가열식 온풍기의 구성을 도 1을 토대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예컨데, 폭이 좁고 상,하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상의 케이스(2) 전면과 후면에 각각 열기 토출구(2a)(2b)를 형성하고, 특수 액체로 된 열매체를 넣고 밀봉하여 이루어진 히트파이프(3)를 다수의 브래킷(도시는 생략함.)을 이용하여 케이스 내부에 지그재그로 일정구간 설치하는 한편, 히트파이프 일단에 위치해서는 발열히터(4)를 설치하여 구성되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간접가열식 온풍기(1)는 케이스 소정위치에 설치되어진 제어부(5)상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발열히터(4)에 전원을 인가시켜주면, 발열히터로부터 발생되어진 열이 히트파이프(3) 일단에 전열되면서 히트파이프 내부에 충진되어있던 열매체가 순간적으로 기화됨과 동시에 초전도 원리에 의해 파이프 내로 확산되어 다량의 열기가 케이스 전,후면의 열기 토출구(2a)(2b)로 방출하면서 실내를 난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온풍기에 있어 히트파이프 중심을 흐르는 열원은 잠열 상태를 유지하려는 특성이 있어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잠열의 생성을 억제하여 열효율을 높이고자 히트파이프 외주면에 방열수단을 간구하기도 하나, 이는 유리관체로 되어진 히트파이프 외주면에 다수의 방열수단을 설치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설치비 또한 가중하여 전체적인 온풍기의 생산원가를 상승시키는 한편, 유리관체로 되어진 히트파이프에 충격이 가해질때 쉽게 깨진다는 제반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히트파이프 외주면 전체에 면접하는 방열부재를 신속간편하게 장착하도록 하여 관체 내부에 흐르는 열원에 있어 잠열의 움직임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넓은 면적으로 열을 방출토록 함으로서 열효율을 증진시키고, 유리관체로 이루어진 히트파이프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2b는 동 실시예의 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b는 동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20 - 몸체, 11,21 - 플랜지,
13 - 볼트, 12,22,12a,22a - 방열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은, 폭이 좁고 상,하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상의 케이스 전면과 후면에 각각 열기 토출구를 형성하고, 특수 액체로 된 열매체를 넣고 밀봉하여 이루어진 히트파이프를 케이스 내부에 지그재그로 일정구간 설치하며, 히트파이프 일단에 열을 가하는 발열히터로 구성되어진 간접가열식 온풍기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 외주면 전체에 걸쳐 방열부재를 탈부착이 자유롭게 장착하여 히트파이프 내부의 잠열(움직임이 정지중에 있는 열) 움직임을 활성화시켜 열효율을 높이고, 가해진 충격으로부터 유리관체로 구성된 히트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토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적 구성으로서, 상기 방열부재는 양측 단부의 플랜지상에 볼트체결공을 적어도 2개 이상 천공하고 외주면에 반달형의 방열핀이 일정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히트파이프 외주면에 각각 면접하여 볼트로서 체결고정되는 한 쌍의 몸체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은 또, 한 쌍의 몸체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방열핀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b는 동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부호 1 은 온풍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온풍기는 폭이 좁고 상,하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상의 케이스(2)를 구성하고, 이러한 케이스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열기 토출구(2a)(2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특수 액체로 된 열매체를 넣고 밀봉하여 이루어진 유리관체형의 히트파이프(3)를 케이스 내부에 지그재그로 일정구간 설치하는 한편, 히트파이프 일단에 위치해서는 발열히터(4)를 설치하여 구성되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은 통상의 간접가열식 온풍기(1)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다만 상기한 상기 히트파이프 외주면 전체에 걸쳐 방열부재(A)를 탈부착이 자유롭게 장착하여 히트파이프 내부의 잠열(움직임이 정지중에 있는 열) 움직임을 활성화시켜 열효율을 높이고, 가해진 충격으로부터 유리관체로 구성된 히트파이프(3)의 파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의 상기 방열부재는 양측 단부의 플랜지(11)(21)상에 볼트체결공(11a)(21a)을 적어도 2개 이상 천공하고 외주면에 반달형의 방열핀(12)(22)이 일정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히트파이프 외주면에 각각 면접하여 볼트(13)로서 체결고정되는 한 쌍의 몸체(10)(20)를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방열부재는 알루미늄과 같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을 이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이고, 도 3b는 동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도시된 본 고안은 또, 한 쌍의 몸체(10)(20) 외주면에 형성되어진 방열핀(12a)(22a)을 몸체 외주면 길이방향에서 방사상으로 형성하기도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되어진 본 고안은 한 쌍의 몸체(10)(20)를 히트파이프(3)에 접면하도록 포갠후 각각의 몸체 플랜지(11)(21)상에 형성되어진 볼트체결공(11a)(21a)으로 볼트(13)를 체결하여 상기한 방열부재의 몸체를 히트파이프(3) 외주면에 신속 용이하게 장착시킨다.
이후 소망하는 온풍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케이스(2) 소정위치에 설치되어진 제어부(5)상의 스위치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발열히터에 전원을 인가시켜주면, 발열히터(4)로부터 발생되어진 열이 히트파이프(3) 일단에 전열되면서 히트파이프 내부에 충진되어있던 열매체가 순간적으로 기화됨과 동시에 초전도 원리에 의해 파이프 내로 확산되어 다량의 열기가 케이스 전,후면의 열기 토출구로 방출하면서 실내를 난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히트파이프로부터 발산하는 열기가 실내로 방출됨과 동시에 히트파이프 외주면에 장착되어진 방열부재의 몸체(10)(20)가 히트파이프로 부터 뜨거워지면서 보다 넓은 면적으로 열기를 방출하게 되며, 히트파이프 내부에 정지하고 있는 잠열이 히트파이프 외주면에 장착되어진 방열부재의 복사열에 의해 활성화되면서 히트파이프 내에 머물러 있던 잠열까지도 전량 열기로 발산시킴으로서 온풍기의 열효율을 가일층 높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방열부재의 몸체 외주면에 형성되어진 방사상의 방열핀(12a)(22a)이나 반달형의 방열핀(12)(22)에 의해 방열부재의 방열효율이 가일층 증진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되어진 본 고안은 히트파이프 외주면 전체에 걸쳐 방열부재를 구성하는 한 쌍의 몸체를 신속간편하게 접면시킨 상태에서 볼트로서 용이하게 장착함으로서 방열부재 조립공정을 단축하고 히트파이프 교체작업을 신속간편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트파이프 내부에 흐르는 열원에 있어 잠열의 움직임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넓은 면적으로 열을 방출토록 함으로서 열효율을 증진시키고, 유리관체로 이루어진 히트파이프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다양한 효과를 얻는 것이다.
이상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그 구성요지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3)

  1. 폭이 좁고 상,하의 길이가 긴 직사각형상의 케이스 전면과 후면에 각각 열기 토출구를 형성하고, 특수 액체로 된 열매체를 넣고 밀봉하여 이루어진 히트파이프를 케이스 내부에 지그재그로 일정구간 설치하며, 히트파이프 일단에 열을 가하는 발열히터로 구성되어진 간접가열식 온풍기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 외주면 전체에 걸쳐 방열부재를 탈부착이 자유롭게 장착하여 히트파이프 내부의 잠열(움직임이 정지중에 있는 열) 움직임을 활성화시켜 열효율을 높이고, 가해진 충격으로부터 유리관체로 구성된 히트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양측 단부의 플랜지상에 볼트체결공을 적어도 2개 이상 천공하고 외주면에 반달형의 방열핀이 일정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히트파이프 외주면에 각각 면접하여 볼트로서 체결고정되는 한 쌍의 몸체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몸체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방열핀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풍기.
KR2020000003236U 2000-02-08 2000-02-08 온풍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1882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236U KR200188223Y1 (ko) 2000-02-08 2000-02-08 온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236U KR200188223Y1 (ko) 2000-02-08 2000-02-08 온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223Y1 true KR200188223Y1 (ko) 2000-07-15

Family

ID=1964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236U Expired - Fee Related KR200188223Y1 (ko) 2000-02-08 2000-02-08 온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2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89672B2 (ja) 支持体を加熱するための放射アセンブリ及び加熱装置
EP1096217A3 (en) Evaporative cooling device
IT1303113B1 (it) Ventola assiale, particolarmente per il raffreddamento di unoscambiatore di calore in un autoveicolo.
KR101039612B1 (ko)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온풍 난방기
KR200188223Y1 (ko) 온풍기
KR20080006979A (ko) 방열장치가 설치된 가로등 등기구
US20040194919A1 (en) Air hypocaust structure for cooling and/or heating
JP2003130378A (ja) 暖房装置
JP2008261589A (ja) ヒートパイプ式暖房装置
KR200352828Y1 (ko) 전기 난방기
KR200291964Y1 (ko) 온풍기용 전열장치
KR100371388B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유니트 난방기
KR102230541B1 (ko) 난방용 벽판넬
JPH09210577A (ja) 流体の温度制御装置
KR20110040799A (ko) 길이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단위발열관 및 상기 발열관을 이용한 광역난방장치
KR200302341Y1 (ko) 히트파이프를이용한냉온풍기
KR200162872Y1 (ko) 난방용 히트 파이프식 라디에이터
KR200252832Y1 (ko) 히트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에어콘디셔너
KR100630330B1 (ko) 전기 히터
KR200259102Y1 (ko) 방열기
CN222941094U (zh) 一种用于排污监控系统的电源控制装置
JP2001263823A (ja) 温風暖房機
KR100664712B1 (ko) 냉난방장치
KR200280127Y1 (ko) 히트파이프가 내장된 팬히터
CN210399132U (zh) 一种高性能和轻量化的暖风散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20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4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2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