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7269Y1 -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269Y1
KR200187269Y1 KR2020000001203U KR20000001203U KR200187269Y1 KR 200187269 Y1 KR200187269 Y1 KR 200187269Y1 KR 2020000001203 U KR2020000001203 U KR 2020000001203U KR 20000001203 U KR20000001203 U KR 20000001203U KR 200187269 Y1 KR200187269 Y1 KR 2001872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witch
circuit board
elevator
terminal
pres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1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백
Original Assignee
김정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백 filed Critical 김정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2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Elevator

Landscapes

  • Elevator Control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는 양극, 음극을 모두 가지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단자부의 양극과 음극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도체로 형성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와 연결되어 외부의 신호를 상기 접속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이 눌려진 후 누름판을 제자리로 다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과, 상기 누름판의 둘레에서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스위치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부는 양극와 음극의 단자가 하나는 중앙에 다른하나는 상기 단자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로 기판 뒷면에는 상기 단자부의 양단의 단자를 이어주기 위한 이음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는 동작이 반복되더라도 접속부재가 단자부에 늘러붙을 염려가 없어 고장률을 감소시켜 스위치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Button Switch for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극과 음극을 모두 포함하는 단자부를 갖는 하나의 회로 기판을 구비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버튼 스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음극의 두개의 단자중 하나는 중앙부(3)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가장자리의 일부(4)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 기판(1)과, 상기 회로 기판(1)의 가장자리 일부(4)에 형성된 단자에 접촉되고 중앙부(3)에는 접촉되지 않도록 굽은 도체로 형성되는 접촉판(5)과, 휘어지도록 설치되는 상기 접촉판(5)을 외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회로 기판(1)의 중앙부(3)에 접촉시키기 위한 가동자(7)와, 외부의 신호를 상기 가동자(7)에 전달하기 위한 누름판(8)과 버튼의 외곽을 이루는 스위치 본체(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에서는 먼저 사용자가 스위치의 누름판(8)을 누르게 되면, 상기 누름판(8)과 함께 상기 가동자(7)가 작동하여 상기 회로 기판(1)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단자(4)와 접촉되어 있는 상기 접촉판(5)을 눌러 회로 기판(1)의 중앙부(3)와 접촉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체로 형성되는 상기 접촉판(5)에 의하여 회로 기판(1)의 양극와 음극이 연결되어 엘리베이터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접촉판의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되는데, 이러한 접촉판의 복원력은 접촉판이 기판에 대하여 휘어지게 설치되어 자체적으로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는 제작 과정에서 납땜시 열에 의해 늘러붙거나 작동 동작의 반복에 따라 상기 접촉판(5)이 쉽게 회손되어 접축 불량이나 오작동의 원인이 되어 고장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엘리베이터 작동시 접촉 불량이나 오작동 발생의 원인이 되는 접촉판을 사용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는 양극, 음극을 모두 가지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접속부의 양극과 음극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도체로 형성되는 접속부재와, 외부의 누름신호를 상기 접속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이 눌려진 후 누름판을 제자리로 다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과, 상기 누름판의 둘레에서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스위치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부는 양극와 음극의 단자가 하나는 중앙에 다른하나는 상기 단자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로 기판 뒷면에는 상기 단자부의 양단의 단자를 이어주기 위한 이음부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는 동작이 반복되더라도 접속부재가 단자부에 늘러붙을 염려가 없어 고장률을 감소시켜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낸 내부 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의 회로 기판의 정면도,
도 2b는 도 2a의 회로 기판의 배면도,
도 3a는 도 2a의 회로 기판을 사용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의 내부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버튼 스위치의 ON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버튼 스위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회로 기판 13: 단자부
13a,13b: 양극,음극 단자 13c: 이음부
15: 접속부재 17: 누름판
19: 복귀 스프링 21: 스위치 본체
23: 고정 수단 25: 보강 부재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에 사용되는 회로 기판의 정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상기 회로 기판의 배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위치에 사용되는 회로 기판(11)은 양극과 음극(13a,13b)을 모두 가지는 단자부(1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단자부(13)는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양극과 음극의 단자는 가지를 가지는 미로형태로 중앙(13a)과 양측부(13b)로 나뉘어져 있다. 그리고, 양측부(13b)에 나누어져 배치되어 있는 단자는 뒷면의 이음부(13c)에 의해 이어져 하나의 단자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도 3a는 상기 회로 기판을 사용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3b는 상기 버튼 스위치가 ON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상기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가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11)과, 상기 회로 기판(11)의 단자부(13)의 양극과 음극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도체로 형성되는 접속부재(15)와, 상기 접속부재(15)와 연결되어 외부의 신호를 상기 접속부재(15)에 전달하기 위한 누름판(17)과, 상기 누름판(17)이 눌려진 후 누름판(17)을 제자리로 다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19)과, 상기 누름판(17)의 둘레에서 버튼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스위치 본체(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누름판(17)과 접속부재(15) 사이에는 상기 접속부재(15)를 고정하고 누름판(17)을 누르는 힘의 전달을 위한 고정 수단(2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귀 스프링(19)은 사각형태의 스위치의 경우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누름판(17)을 지지해 줌이 바람직하며, 누름판(17)에 직접 닿아 지지해 주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부재(25)가 구비되고 이에 의하여 스프링(19)의 복귀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외부에서 상기 버튼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 스위치에 연결된 고정 수단(23)과 보강 부재(25)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수단(23)의 일단에 설치된 접속부재(15)가 함께 이동하여 상기 단자부(13)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단자부(13)에 구비된 양극과 음극이 도체로 형성된 접속부재(15)에 의하여 접속되어 스위치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 스위치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복귀 스프링(19)이 회복되면서 함께 상기 보강 부재(25)와 누름판(17)을 복귀시키게 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접속부재(15)가 단자부(13)에서 떨어져서 스위치의 작동 동작을 마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재(15)와 회로 기판(11)의 단자부(13)가 평면적으로 접촉, 분리하면서 스위치가 작동하게 되므로 동작이 반복되어도 접속부재(15)가 변형되지 않아 오작동률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는 양극와 음극을 모두 포함하는 단자부와 이 단자부와 접속단자가 접속하여 스위치가 작동하게 되므로 제작과정에서 납땜시 열에 의하여 늘러붙거나 작동이 반복됨에 따라 접속부재가 변형될 염려가 없어 고장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복귀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어 작동시 소음을 줄이고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

  1. 양극, 음극을 모두 가지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의 단자부의 양극과 음극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도체로 형성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와 연결되어 외부의 신호를 상기 접속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이 눌려진 후 누름판을 제자리로 다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과;
    상기 누름판의 둘레에서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스위치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양극와 음극의 단자가 하나는 중앙에 다른하나는 상기 단자부의 양단에 형성되고, 상기 회로 기판 뒷면에는 상기 단자부의 양단의 단자를 이어주기 위한 이음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KR2020000001203U 2000-01-17 2000-01-17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KR20018726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2034A KR20010080840A (ko) 2000-01-17 2000-01-17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034A Division KR20010080840A (ko) 2000-01-17 2000-01-17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269Y1 true KR200187269Y1 (ko) 2000-07-01

Family

ID=196390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034A KR20010080840A (ko) 2000-01-17 2000-01-17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KR2020000001203U KR200187269Y1 (ko) 2000-01-17 2000-01-17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034A KR20010080840A (ko) 2000-01-17 2000-01-17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8084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392B1 (ko) 2018-10-19 2019-09-27 주식회사 금강엔지니어링 엘리베이터 플렛벨트 이탈 및 파손 안전 감지 장치
KR20200044377A (ko)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금강엔지니어링 엘리베이터 벨트철심파단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840A (ko) 200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35844B2 (ja) 移動通信端末機のサイドキーモジュール
US6257899B1 (en) Soft internal touch contact for IC socket
KR20010076393A (ko) 푸시온 스위치, 그것을 장착한 전자기기 및 그 장착 방법
US6756554B1 (en) Tact switch
US20050001822A1 (en) Resilient switch contact for a key switch device
US6133536A (en) Key switch assembly
KR200187269Y1 (ko)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JP2002246119A (ja) 電気コネクタ
JP5038254B2 (ja) スイッチ装置
JPH11126542A (ja) 電子機器のシーソーボタン装置
KR100426695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장치
KR1010973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CN215118711U (zh) 按压开关
EP1039588A3 (en) PCB-mounted switch
JP2001069212A (ja) 携帯型電子機器
KR10043490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장치
US20040238341A1 (en) Tact switch
JPS5849546Y2 (ja) プッシュオン式スイッチ
CN217386949U (zh) 一种预压式高寿命按键开关
KR100774924B1 (ko)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CN220106937U (zh) 鱼眼端子及其装配系统
JP297664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CN220895380U (zh) 一种直插式按钮开关
JP3121518U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121591B1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17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4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1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1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0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