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7155Y1 -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 Google Patents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155Y1
KR200187155Y1 KR2019970024552U KR19970024552U KR200187155Y1 KR 200187155 Y1 KR200187155 Y1 KR 200187155Y1 KR 2019970024552 U KR2019970024552 U KR 2019970024552U KR 19970024552 U KR19970024552 U KR 19970024552U KR 200187155 Y1 KR200187155 Y1 KR 200187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belt
electrostatic latent
roller
latent image
electrophotographic prin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208U (ko
Inventor
방정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4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155Y1/ko
Priority to CNB981062229A priority patent/CN1144105C/zh
Publication of KR19990011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2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15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관해 개시된다. 개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무한 궤도상의 감광벨트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정전잠상형성부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현상액을 부착시키는 현상부와, 감광벨트에 잔류하는 현상액을 건조시켜 토너상을 형성시키는 건조부와, 토너상을 기록지에 전사시키는 전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건조부는 그 외주면에 브러쉬가 부착된 드라이롤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감광벨트에 잔류하는 현상액이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Wet electrophotographic printer}
본 고안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광벨트에 잔류된 액상케리어가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건조부의 구조가 개선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컴퓨터용 레이저 프린터 및 복사기 등에 적용되는데, 이것은 현상방식으로 분말 토너가 사용되는 건식과, 액체 케리어에 혼합된 토너분말이 사용되는 습식이 있다. 이 두가지 방식은 모두 정전잠상이 현상되어 있는 감광매체에 대전상태의 토너 및 액체 토너를 전사시킨 후, 그 감광매체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전사 매체 사이로 용지를 통과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용지에 인쇄시킬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감광벨트(11)가 구동롤러(12)와 백업롤러(13) 및 조향롤러(1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감광벨트(11)의 회전경로상에는 감광벨트(11)에 레이저를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정전잠상형성부(15) 및 감광벨트(11) 상에 토너 이미지를 형성하는 현상부(16)가 복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감광벨트(11)의 표면에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주대전기(17)가 감광벨트(11)의 회전 경로상에 설치된다. 감광벨트(11)를 사이에 두고 전사롤러(3)와 백업롤러(2)가 접하며, 전사롤러(3)에는 가압롤러(2)가 접촉되는 이들 사이에 기록지(1)가 진입된다. 이밖에, 감광벨트(11)를 사이에 두고 구동롤러(12)와 대응되게 건조부(18)가 설치된다.
상술한 구성의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있어서, 감광벨트(11)는 그 표면이 대전가능하고 빛의 조사에 의해 전위가 제어될 수 있는 것으로서, 구동롤러(12)와 백업롤러(13) 및 조향롤러(14)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궤도를 순환하게 된다. 감광벨트(11)는 주대전기(17)에 의해 표면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후, 정전잠상형성부(15)에 의해 그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정전잠상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벨트(11)의 표면에 정전잠상형성부로부터의 레이저가 선택적으로 주사되면 해당부위만 전위가 강하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벨트(11)의 부위에는 현상부(16)에 의해 소정의 토너가 부착되어 토너이미지가 형성된다. 이때, 감광벨트에 남아있는 액상의 케리어는 건조부(18)에 포집되어 회수된다.
도 2는 도 1의 건조부를 부분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건조부(18)는 감광벨트(11)를 사이에 두고 구동롤러(12)와 대응되게 설치된 드라이롤러(18b)와, 상기 드라이롤러(18b)와 접하도록 설치된 히트롤러(18a)로 대별된다. 상기 드라이롤러(18b)는 그 외주면이 친유성인 재질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는 반유성인 재질로 되어 있다. 따라서, 드라이롤러(18b))의 외주면에 흡수된 액상의 케리어는 드라이롤러 내부에까지 침투되지 못한다. 드라이롤러(18b)와 접하고 있는 상기 히트롤러(18a)는 다수개이며, 그 내부에 각각 할로겐램프가 내장된다.
상술한 건조부의 구성에 의하면, 감광벨트(11)에 잔류하고 있는 액상의 케리어는 드라이롤러(18b)의 외주면에 흡수되고, 드라이롤러의 외주면에 흡수된 액상의 케리어는 히트롤러(18a)로부터 전달된 열에 의하여 기화된다. 기화된 케리어는 포집된 후, 응축된 상태로 회수되어 다시 사용될 수 있도록 저장된다.
그러나, 상기한 건조부의 드라이롤러는 그 외주면에 형성된 친유성재질의 흡수층에 의해 흡수된 액상 케리어의 양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감광벨트로부터 액상케리어를 전부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감광벨트에 묻어있는 미세한 케리어는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계속해서 쌓여 감광벨트의 제기능을 가로막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건조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감광벨트에 잔류하는 액상의 케리어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건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건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기록지 2...가압롤러
3...전사롤러 18...건조부
11...감광벨트 12...구동롤러
13...백업롤러 14...조향롤러
15...정전잠상현상부 16...현상부
17...주대전기 18a...히트롤러
18b...드라이롤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무한 궤도상의 감광벨트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정전잠상형성부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현상액을 부착시키는 현상부와, 감광벨트에 잔류하는 현상액을 건조시켜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건조부와, 토너화상을 기록지에 전사시키는 전사부를 구비하여 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그 외주면에 브러쉬가 부착된 드라이롤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감광벨트(31)가 구동롤러(32), 백업롤러(33) 및 조향롤러(3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감광벨트(31)의 회전경로상에는 각각 정전잠상형성부(36)와 현상부(35)와 건조부(40)와 전사부가 위치한다.
상기 정전잠상현상부(36)는 감광벨트(31)에 레이저를 주사하여 감광벨트내의 전위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이 전위차에 의해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레이저주사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현상부는 감광벨트상에 토너 이미지를 형성하며 상기 정전잠상현상부와 더불어 복수개 설치된다. 또한, 감광벨트의 표면에 균일한 전위로 대전시키는 주대전기(37)가 감광벨트의 회전경로상에 설치되고, 백업롤러(33)의 상방으로 전사부가 설치된다.
상기 전사부는 감광벨트(31)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백업롤러(33)와 대응되게 설치된 전사롤러(23)와, 기록지(21)에 화사을 전사하는 것으로 상기 전사롤러(23)에 접하도록 설치된 가압롤러(22)를 구비한다.
구동롤러(32) 상방에 위치한 건조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브러쉬(42)가 부착된 드라이롤러(41)와, 드라이롤러(41) 하방으로 설치된 진동발생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점유면적과 케리어의 크기를 고려하여 초음파발생기(43)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42)는 드라이롤러 외주면에 복수개 부착되며 감광벨트의 재질을 고려하여 감광벨트(31)가 손상되지 않으면서 효율적으로 케리어를 털어낼 수 있는 탄성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감광벨트(31)에 접하게 되는 것은 드라이롤러(41)가 아니라 드라이롤러(41) 외주면에 부착된 브러쉬(42)이므로 감광벨트와의 회전속도차를 둬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드라이롤러(41)의 회전속도가 감광벨트의 회전속도보다 커야한다.
감광벨트(31)는 그 표면이 대전가능하고 빛의 조사에 의해 전위가 제어될 수 있는 것으로서, 구동롤러(32)와 백업롤러(33) 및 조향롤러(34)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궤도를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감광벨트(31)는 주대전기(37)에 의해 표면이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후, 정전잠상형성부(36)의 레이저주사수단에 의해 감광벨트의 표면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정전잠상은 균일한 전위로 대전된 감광벨트(31)의 표면에 레이저가 선택적으로 조사되면 해당부위만 전위가 강하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벨트(31)의 정전잠상 부위에는 현상부(35)에 의해 소정의 토너가 부착되어 토너이미지가 형성된다. 이때, 감광벨트(31)에 부착된 토너는 액상의 케리어와 혼합된 것이므로 건조부(40)에 의해 액상의 케리어는 제거된다. 건조부내에 설치된 드라이롤러(41)의 브러쉬(42)가 감광벨트(31)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회전되면서 감광벨트(31)의 액상케리어를 털어낸다. 털어낸 액상케리어는 미도시된 응축장치에 의해 응축된 후 저장되어 재사용된다. 그리고 브러쉬에 묻어있는 케리어는 초음파발생기(43)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과정으로 액상의 케리어가 제거된 상기 토너 이미지는 감광벨트(31)를 사이에 두고 백업롤러(33)와 평행하게 설치된 전사롤러(23)에 의해 기록지(21)에 전사된다. 상기 기록지(21)는 상기 전사롤러(23)와 소정간격을 두고 그와 평행하게 설치된 가압롤러(22)의 사이를 통해 공급되고 기록지(21)에 전사된 토너이미지는 별도의 정착장치(미도시)에 의해 정착되어 최종적으로 원하는 화상을 얻게 된다.
상술한 특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수반된다.
첫째, 감광벨트내의 잔류하고 있는 액상의 케리어가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즉, 상기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건조부는 드라이롤러의 외주면에 브러쉬가 구비되므로, 드라이롤러의 회전시 브러쉬의 몸체가 감광벨트에 부딪혀 감광벨트내에 잔류된 미세한 액상의 케리어까지도 효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둘째, 드라이롤러의 브러쉬내에 잔류하고 있는 케리어가 효율적으로 제거된다.
즉, 감광벨트로부터 털어낸 케리어가 드라이롤러의 브러쉬내에 묻어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프린터의 건조부에서는 드라이롤러 하방에 구비된 초음파 발생기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로 상기 브러쉬내의 케리어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들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무한 궤도상의 감광벨트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키는 정전잠상형성부와,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현상액을 부착시키는 현상부와, 감광벨트에 잔류하는 현상액을 건조시켜 토너화상을 형성시키는 건조부와, 토너화상을 기록지에 전사시키는 전사부를 구비하여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상기 감광벨트보다 빠른 회전속도를 가지고, 외주면에 브러쉬가 부착된 드라이롤러와, 상기 브러쉬에 진동에너지를 가하는 진동발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수단은 초음파를 발산해내는 초음파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2019970024552U 1997-08-30 1997-08-30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Expired - Lifetime KR200187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552U KR200187155Y1 (ko) 1997-08-30 1997-08-30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CNB981062229A CN1144105C (zh) 1997-08-30 1998-04-08 湿式电摄影术印刷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552U KR200187155Y1 (ko) 1997-08-30 1997-08-30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208U KR19990011208U (ko) 1999-03-25
KR200187155Y1 true KR200187155Y1 (ko) 2000-07-01

Family

ID=19509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552U Expired - Lifetime KR200187155Y1 (ko) 1997-08-30 1997-08-30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187155Y1 (ko)
CN (1) CN114410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666064B2 (ja) 2021-03-26 2025-04-2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208U (ko) 1999-03-25
CN1144105C (zh) 2004-03-31
CN1210284A (zh) 199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4442B2 (ja) 静電写真印刷機
KR200187155Y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JPH10247036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S6142669A (ja) 電子写真帯電装置
KR100322555B1 (ko) 습식인쇄기의현상장치
KR200218914Y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
KR100261101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00243237B1 (ko) 전사사진방식프린터용현상기
KR100304617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대전장치
KR10023831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KR100261113B1 (ko) 화상형성장치
JP3760107B2 (ja) 湿式電子写真装置および現像装置
JP3880171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109822A (ja) 画像形成装置
JPH08258269A (ja) 画像形成装置
JP2777899B2 (ja) 記録装置
KR100297752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장치의 건조 유니트 크리닝장치
JPH1021396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94925A (ja) 画像形成装置
JPH0658554B2 (ja) 画像記録装置
KR20040096649A (ko) 발진 전압을 이용하는 대전 장치를 갖춘 세척 장치가 없는화상 형성 장치
KR200147793Y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9990009114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현상장치
KR19990020929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S6383786A (ja) 非晶質シリコン感光体を使用した電子写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8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10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4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4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3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