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6991Y1 - 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 용지진입각도유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 용지진입각도유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991Y1
KR200186991Y1 KR2019980009624U KR19980009624U KR200186991Y1 KR 200186991 Y1 KR200186991 Y1 KR 200186991Y1 KR 2019980009624 U KR2019980009624 U KR 2019980009624U KR 19980009624 U KR19980009624 U KR 19980009624U KR 200186991 Y1 KR200186991 Y1 KR 200186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angle
tray
loaded
friction p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274U (ko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9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991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2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2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99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18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sheet in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일반용지를 사용하는 급지장치를 갖는 기기에서 마찰패드분리방식의 급지장치를 채용한 경우에 급지를 위한 용지의 진입시 용지 진입각도와 마찰패드와의 각도를 적재된 용지의 매수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해줄수 있도록 개선한 자동급지장치의 용지진입각도유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용지가 적재되고 상기 용지를 급지하기 위해 피드롤러에 밀착되도록 회동되는 트레이를 가진 카셋트와, 상기 카셋트 선측에 용지 분리를 위한 마찰패드를 갖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와 상기 마찰패드로 진입되는 용지진입각도가 용지매수에 관계없이 항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의 선단부를 상기 트레이본체부와 소정의 하향꺽임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용지진입각도유도부를 갖도록 한 것이며, 용지 분리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 용지진입각도유지구조
본 고안은 일반용지를 사용하는 급지장치를 갖는 기기에서 마찰패드분리방식의 급지장치를 채용한 경우에 급지를 위한 용지의 진입시 용지 진입각도와 마찰패드와의 각도를 적재된 용지의 매수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하게 해줄수 있도록 개선한 자동급지장치의 용지진입각도유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프린터나 복사기 또는 팩스밀리 등의 기기에 채용되는 급지장치중에 마찰패드분리방식의 급지장치를 가지는 것은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용지가 적재되는 카셋트(1)를 구비하고, 상기 카셋트(1)에는 힌지(2)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트레이(3) 위에 용지(4)가 적재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3)는 픽업레버(5)가 상향으로 올라가는 동작에 의해 위쪽으로 들리는 동작이 되도록 되어 있고, 마찰패드(6)는 상기 픽업레버(5)가 올라갈 때 피드롤러(7)에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급지시에 픽업레버(5)가 들리므로서 트레이(3)는 힌지(2)를 중심으로 그 선단부(3a)가 위쪽으로 들리게 됨에 따라 맨 윗장의 용지(4)는 피드롤러(7)에 밀착되고, 그로인해 용지(4)는 마찰패드(6)와 피드롤러(7) 사이로 진입되면서 분리되는 상태로 급지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급지장치는 카셋트(1)에 예컨데 500매 정도의 많은 용지가 적재된 상태일 때와, 1-2매 정도로 적은량이 적재된 상태로 급지될때에는 그 적재된 매수에 따라 용지(4)가 분리되어 진입되는 각도가 항시 다른 상태를 갖는다.
즉, 용지를 분리시키는 마찰패드(6)와 카셋트(1)의 트레이(3) 위에 적재된 용지(4)의 각도가 적재된 용지의 량에 따라 틀리는 것이다.
도 1에 보인 것은 용지가 많이 적재된 상태에서 급지되는 것을 보여 주며, 도 2는 용지가 적게(1매) 적재된 상태에서의 급지상태를 보여 주는 것으로서, 마찰패드(6)와 용지(4) 면과의 진입각도(θ1)(θ2)의 차이가 커서 많은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즉, 수많은 용지의 종류 및 고온고습, 저온저습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 모두 용지 분리를 잘하려면 그만큼 마찰패드와의 용지진입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한것이데, 종래의 용지진입각도는 카셋트에 적재된 용지의 량에 따라 용지진입각도의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적재된 용지가 적을때는 피드로울러와 용지가 접촉되는 면적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이상적인 용지 분리와 급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급지장치의 카셋트에 적재된 용지 매수에 관계없이 일정한 용지진입각도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항상 원만한 용지분리 및 급지가 도모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셋트에 구비하는 트레이의 선단부를 트레이본체부와 소정의 꺽임각도를 가지도록 용지진입각도유도부를 형성시켰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용지가 적재되고 상기 용지를 급지하기 위해 피드롤러에 밀착되도록 회동되는 트레이를 가진 카셋트와, 상기 카셋트 선측에 용지 분리를 위한 마찰패드를 갖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와 상기 마찰패드로 진입되는 용지진입각도가 용지매수에 관계없이 항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의 선단부를 상기 트레이본체부와 소정의 하향꺽임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용지진입각도유도부를 갖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보인 자동급지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나타낸 일측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실시된 자동급지장치를 보인 일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일측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 : 용지 5 : 픽업레버
6 : 마찰패드 7 : 피드롤러
10 : 카셋트 12 : 힌지
13 : 트레이 13a : 트레이본체부
13b : 용지진입각도유도부
본 고안에 따른 급지장치를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급지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10은 본 고안이 실시되는 카셋트이고, 13은 용지(4)가 적재되고 힌지(12)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트레이를 나타낸다.
상기 트레이(13)는 마찰패드(6)로 진입되는 용지진입각도(θ3)가 용지(4) 매수에 관계없이 항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트레이(13)의 선단부를 상기 트레이본체부(13a)와 소정의 하향꺽임각도를 가지도록 용지진입각도유도부(13b)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카셋트(10)의 트레이(13)에 도 3과 같이 용지(4)가 많이 적재되면 아래쪽에 적재되는 용지는 상기 용지진입각도유도부(13b)와 같이 꺽이는 상태로 적재되지만 위로 올라 갈수록 점차 수평상태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용지가 많이 적재된 상태에서 픽업레버(5)의 선단부가 회동되어 트레이(13) 선단부가 상향으로 올라가서 피드롤러(7)에 의해 급지되는 상태가 되는 한편 급지되는 용지가 마찰패드(6)로 진입되는 각도(θ3)를 갖게 된다.
한편, 도 4와 같이 용지(4)가 적은 경우에는 트레이 바닥에 적재된 용지(4)의 선단부는 용지진입각도유지부(13b)와 같이 꺽이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용지(4)가 피드롤러(7)에 밀접된 상태에서는 용지가 많이 적재된 상태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의 용지진입각도(θ3)는 용지가 많을때의 용지 진입각도(θ3)와 거의 동일한 상태의 용지진입각도를 가지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해서 용지는 트레이(13)로부터 용지 분리를 위한 마찰패드(6)로 진입되는 용지진입각도가 용지 적재 매수의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각도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용지의 적재된 매수에 관계없이 마찰패드(6)의 용지진입각도가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용지를 분리하는데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해서 마찰패드로 용지가 진입각도를 용지 적재 매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되므로 마찰패드 기능인 용지 분리의 신뢰성을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그로인해 본 고안의 급지장치를 갖는 기기의 제품 신뢰성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용지가 적재되고 상기 용지를 급지하기 위해 피드롤러에 밀착되도록 회동되는 트레이를 가진 카셋트와, 상기 카셋트 선측에 용지 분리를 위한 마찰패드를 갖는 급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와 상기 마찰패드로 진입되는 용지진입각도가 용지매수에 관계없이 항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의 선단부를 상기 트레이본체부와 소정의 하향꺽임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용지진입각도유도부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지장치의 용지진입각도유지구조.
KR2019980009624U 1998-06-05 1998-06-05 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 용지진입각도유지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200186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24U KR200186991Y1 (ko) 1998-06-05 1998-06-05 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 용지진입각도유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624U KR200186991Y1 (ko) 1998-06-05 1998-06-05 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 용지진입각도유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74U KR20000000274U (ko) 2000-01-15
KR200186991Y1 true KR200186991Y1 (ko) 2000-07-01

Family

ID=1953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624U Expired - Fee Related KR200186991Y1 (ko) 1998-06-05 1998-06-05 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 용지진입각도유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9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274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2531B1 (ko) 잉크젯 프린터의 용지 슬립 다운 방지 장치
JP2560315B2 (ja) 自動給紙装置
US4376530A (en) Apparatus for dividing stacked sheets and for feeding out the same
US6550761B1 (en) Integrated paper presser and stopper for automatic paper feeder
US5102115A (en) Image reading device
US20070138736A1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having a sheet-lifting mechanism
US20070121025A1 (en) Sheet feeder
KR200186991Y1 (ko) 자동급지장치에 있어서 용지진입각도유지구조
KR19980045917U (ko) 용지 공급 장치
US20090079127A1 (en) Media pick system and method
US6938893B2 (en) Paper cassett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30085509A1 (en) Pressure-adjustable mechanism for paper feeding roller of automatic paper feeder
US20020060390A1 (en) Paper feeding apparatus
KR200167654Y1 (ko) 사무 기기의 자동 급지 장치
US6135436A (en) Envelope pressing device in printer
KR850001059B1 (ko) 복사기등의 급지장치
KR19990031609U (ko) 사무자동화기기의 자동 급지 장치
JP2004115168A (ja) 給紙装置
JPH1053340A (ja) 給紙カセット
KR20040072894A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JPH01192629A (ja) 大容量給紙装置
JPS61221023A (ja) 自動給紙装置
KR200228383Y1 (ko) 사무기기의 자동 급지장치
KR940007806Y1 (ko) 다매적재 트레이의 분리호
JPH06255805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6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0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3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4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4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3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