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786Y1 - Structure of controlling the accessory parts' height for chair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controlling the accessory parts' height for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6786Y1 KR200186786Y1 KR2020000003282U KR20000003282U KR200186786Y1 KR 200186786 Y1 KR200186786 Y1 KR 200186786Y1 KR 2020000003282 U KR2020000003282 U KR 2020000003282U KR 20000003282 U KR20000003282 U KR 20000003282U KR 200186786 Y1 KR200186786 Y1 KR 20018678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ight adjustment
- chair
- fastening
- frame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 A47C7/383—Detachable or loose head- or neck-supports, e.g. horse-shoe shap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 A47C7/386—Detachable covers for headrest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헤드 레스트 또는 암 레스트 등 의자용 결착 부재의 높낮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높낮이 조절 구조는 상기 결착 부재의 조립 및 높낮이 조절부인 체결 프레임과 이를 고정하는 결합구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a fastening member for a chair, such as a head rest or an arm rest, the height adjus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astening frame which is an assembly and the height adjustment part of the binding member and a coupler fixing the same.
본 고안의 상기 체결 프레임은 직접 머리나 팔을 지지해 주는 헤드 레스트 또는 암 레스트 본체의 하단에 부착되는 서로 평행하고 근접한 두 개의 로드로 구성된다.The fastening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two rods in parallel and close to each other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d rest or arm rest body directly supporting the head or arm.
그리고 결합구는, 중공형으로서 단면에 체결 프레임의 삽입구가 있고 전면 및 후면에는 고정놉의 인입구와 고정놉의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조립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 몸체 및 고정놉으로 구성되며, 고정놉은 손잡이와 원뿔형 고정부 및 나사부 순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upler, which is hollow, has an insertion hole of a fastening frame in the cross section, and is composed of a coupler body and a fixing knob in which an inlet of a fixing knob and an assembly hole for screwing together with a screw part of a fixing knob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respectively. The knob is formed in the order of the handle, the conical fixing and the threading.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의자용 결착 부재의 높낮이 조절 구조는 고정놉의 나사부를 결합구 몸체 전면의 인입구를 통하여 결합구 후면의 조립구와 나사 결합시키면서 조여주면, 고정놉의 원뿔형 고정부가 결합구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체결 프레임의 두 로드 사이로 밀고 들어 가게 되고, 고정놉의 고정부는 나사부에서 손잡이 방향으로 갈 수록 원주면의 직경이 커지는 원뿔형이므로 고정부가 두 로드 사이로 들어 갈 수록 두 로드를 결합구 몸체의 좌우 내벽에 밀착시키게 됨으로써 결착 부재를 고정시키게 되는 구조이다.Th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fastening member for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ightened while screwing the screw of the fixing knob and the assembly of the rear of the coupler through the inlet of the front of the coupler body, the conical fixed portion of the fixing knob It moves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pushes in between the two rods of the fastening frame, and the fixing knob of the fixing knob is conical to increase the diameter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s it goes from the screw portion to the handle direction. The fastening member is fixed b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and right inner walls of the sphere body.
본 고안 의자용 결착 부재의 높낮이 조절 구조는 체결 프레임의 두 로드 표면에 높낮이 조절용 홈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는 바, 체결 프레임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생산성 역시 제고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헤드 레스트나 암 레스트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므로서 의자를 사용하는 사람의 피로감을 덜어 주는 효과도 기대된다.Th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fastening member for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form the height adjustment grooves on the two rod surfaces of the fastening frame, which can lower the cost of producing the fastening frame, and also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productivity, and the headrest. Fin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arm rest is also expected to reduce the fatigue of the person using the chair.
Description
본 고안은 헤드 레스트(head rest)나 암 레스트(arm rest)와 같은 의자용 결착 부재의 높낮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의자의 등받이 또는 앉는 부위인 좌판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 부착되는 결합구(結合具)에 삽입·장착되는 결착 부재의 하부 체결 프레임을 간격이 좁고 평행한 투(two) 로드(rod)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결합구에 삽입하고, 결착 부재의 높낮이 조절 후 결착 부재의 고정은, 상기 결합구 몸체 전면의 인입구(引入口)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하부 체결 프레임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하부 체결 프레임의 평행한 두 로드 사이를 통과한 고정놉(knob)의 나사부가 상기 고정놉 인입구에 대향한 결합구 몸체 후면의 암나사 가공된 조립구에 나사결합으로 조여지면서 고정놉 손잡이와 나사부 사이의 꼭지 부분이 없는 원뿔형 고정부의 테이퍼 면이 체결 프레임을 구성하는 평행한 두 로드 사이를 확장시키려고 하는 힘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 힘에 의하여 체결 프레임의 두 로드를 고정놉에 의해 분할되는 결합구 몸체 내의 좌우 두 공간에서 좌우 측면 벽과 고정부 테이퍼면에 밀착·고정되도록 한, 의자용 결착 부재의 높낮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a fastening member for a chair, such as a head rest or an arm rest, and more specifically, a coupling integrally formed with or separately attached to a seat plate, which is a backrest or a seating part of a chair. The lower fastening frame of the fastening member inserted and mounted in the sphere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two rods with narrow and parallel spacing, and inserted into the coupler, and afte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astening member, The fix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ower fastening frame perpendicularly from the outside through an inlet of the front of the coupling member body, and the threaded portion of the fixing knob which passes between two parallel rods of the lower fastening frame is fixed to the fixing knob inlet. Conical fixation with no spigot between fixing knob handle and screw thread, screwed into female threaded assembly on the back of the fitting body against the The fur face generates a force that attempts to extend between the two parallel rods that make up the fastening frame, which forces the two rods of the fastening frame into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in the left and right spaces within the coupler body that are divided by the fixing knob. And a height adjusting structure of the binding member for chairs, whic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nd fixed to the fixed part tapered surface.
일반적으로 의자에 부착되는 헤드 레스트와 암 레스트 등의 결착 부재는 크게 고정식과 조립식의 두 가지가 있으며, 헤드 레스트는 헤드 레스트 자체가 전혀 움직이지 않는 완전 고정식과 헤드 레스트가 전후 두 방향으로 움직여 다소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높이 조절도 가능한 형태의 두 가지로 다시 나누어 지며, 암 레스트의 경우에는 거의 고정식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there are two types of fastening members, such as head rests and arm rests, which are attached to the chair. The head rests are completely fixed and the head rests move in both directions. It is subdivided into two types, which can be adjusted in angle and height. In the case of arm rests, almost fixed type is used.
고정식 암 레스트나 헤드 레스트의 경우, 사람의 앉은 키와 팔의 위치에 따라 암 레스트와 헤드 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없으므로, 키가 다른 여러 사람이 사용하거나 성장기의 청소년이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따르고 합리적이지 못하다.For fixed arm rests or head rests, the height of the arm rests and head restraints cannot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erson's sitting height and arm, which is inconvenient and reasonable for use by many different heights or for young people in growth. Not
그리고, 조립식 헤드 레스트의 경우는 의자 등받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거나 등받이 후면에 위치하도록 별도로 부착된 결합구 몸체 내로 삽입된 후 고정놉에 의해 조립되는 헤드 레스트 체결 프레임에 따라 원(one) 로드식 프레임과 투(two) 로드식 프레임으로 구분 할 수 있다.And, in the case of the prefabricated headrest is formed integrally on the back of the chair or inserted into the coupling body attached separately to be located in the back of the backrest, one-rod frame according to the headrest fastening frame assembled by the fixing knob It can be divided into two-loaded frame.
도 1에 투 로드식 프레임 헤드 레스트의 분해 사시도를, 도 2에 원 로드식 프레임 헤드 레스트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하였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wo-rod frame head restraint, and FIG.
도시한 바와 같이, 투 로드식 프레임은 자동차용 시트(seat)에 많이 사용되는 형태로서, 외주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높낮이 조절용 홈(14)이 형성되어 있는 헤드 레스트의 체결 프레임(11)이 시트 등받이(15)의 상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12)를 통하여 시트 등받이 내로 조립되고, 삽입구(12) 외주면으로부터 내면으로 관통되어 장착된 스프링식 걸쇠(13)에 체결 프레임(11)의 높낮이 조절용 홈(14)이 걸리므로서 헤드 레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As shown, the two-rod frame is a type commonly used in automobile seats, and the fastening frame 11 of the headrest in which the height adjusting grooves 14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astening frame 11 of the fastening frame 11 is assembled to the spring back clasp 13 which is assembled into the seat back through the insertion hole 12 form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seat back 15 and penetrated into the inner surfac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12. As the height adjusting groove 14 is caught, the height of the headrest can be adjusted.
상기 투 로드식 프레임의 높낮이 조절용 홈(14)은 체결 프레임의 두 개의 로드(11A)중 하나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그럴 경우에는 헤드 레스트의 고정이 불완전하여 고정되지 않은 로드측의 헤드 레스트 부분이 상하로 유동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The height-adjusting groove 14 of the two-rod frame may be formed only in one of the two rods 11A of the fastening frame. In this case, the head rest portion of the rod side of the rod side, which is not fixed because the head rest is incompletely fixed, may be 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flow into.
투 로드식 프레임의 단점은 체결 프레임(11)의 로드(11A) 표면에 일정한 간격의 높낮이 조절용 홈(14)을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헤드 레스트 제조 가공비가 상승하고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조절되는 헤드 레스트의 높이가 연속적이지 못하고 단속적인 계단식일 수 밖에 없어 미세한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점이다.The disadvantage of the two-rod frame is that the height adjustment grooves 14 must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od 11A of the fastening frame 11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head rest is increased and productivity is reduced, as well as the adjustable head rest. The height of the is not continuous and can not only be an intermittent cascade, it is impossible to finely adjust the height.
그리고, 원 로드식 프레임 역시 로드(21)의 표면에 홈(22)을 형성시켜 주고, 높낮이 조절용 고정놉(23)의 손잡이(23A)를 회전시켜 손잡이 중심에 부착된 볼트 형태의 걸쇠(23B)가 결합구(20) 몸체(24) 외면에서 내면으로 관통되고 관통구의 내주면이 암나사 가공되어 있는 인입구(24A)와 나사결합하면서 결합구 몸체(24)를 관통하여 로드의 홈(22)에 걸리도록 하는 구조이다.In addition, the one-rod frame also forms a groove 22 on the surface of the rod 21, and rotates the handle 23A of the height adjusting fixing knob 23, the bolt-shaped clasp 23B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handle To penetrate into the groove 22 of the rod through the coupler body 24 while screwing into the inlet 24A wher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penetrat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20 body 24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It is a structure.
상기 원 로드식 프레임 역시 투 로드식 프레임과 동일하게 로드 표면에 홈을 가공해 주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한 단점이 있고, 홈(22)과 걸쇠(23B)를 일치시키는 것이 손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The one-rod frame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requiring a separate process for processing the groove on the rod surface in the same way as the two-rod fram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match the groove 22 and the clasp 23B.
그리고, 로드 표면에 홈을 형성시키지 않고 고정놉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로드 표면을 눌러주는 걸쇠의 압축력만으로 로드를 조여 헤드 레스트를 고정할 수도 있으나, 원 로드식 프레임의 가장 큰 단점은 로드가 하나이기 때문에 로드의 단면적을 투 로드식 프레임보다 크게 하여 로드의 강성을 증대시켜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ead rest may be fixed by tightening the rod only by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latch that presses the rod surface by the rotation of the fixing knob knob without forming a groove in the rod surface. Therefor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rod should be larger than the two-rod frame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rod.
그렇지 못하고 원 로드식 프레임 로드의 단면적을 투 로드식 프레임 로드의 단면적과 비슷하게 하면, 로드의 강성 부족으로 인하여 헤드 레스트에 외부 힘이 가해지면 헤드 레스트 체결 프레임의 움직임이 크게되고, 심한 경우 프레임의 변형을 초래 할 수가 있다.Otherwise,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ne-rod frame rod is similar to that of the two-rod frame rod, if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head rest due to the lack of rigidity of the rod, the movement of the head restraint frame becomes large, and in severe cases, the deformation of the frame Can cause.
고정식이 아닌 조립식 헤드 레스트의 높낮이 조절 방법은 상기외에도 여러 방법이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고 생산성도 저하시키는 바, 특히 일반용 의자에 적용하는 것에는 무리가 따르는 실정이다.The height adjustment method of the non-fixed prefabricated headrest has a number of methods in addition to the above, bu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lowers the productivity,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general chair.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의자용 결착 부재의 높낮이 조절 구조에서 제기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결착 부재의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지 않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미세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면서도 쉬운 의자용 결착 부재의 높낮이 조절 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improve the general problems raised in th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fastening member, and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fine without rais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fastening memb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ight adjusting structure of a fastening member for a chair that is adjustable and easy.
도 1은 종래 투 로드식 프레임 헤드 레스트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wo-rod frame headrest.
도 2는 종래 원 로드식 프레임 헤드 레스트의 결합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ventional one-rod frame head restraint.
도 3은 종래 원 로드식 프레임 헤드 레스트의 고정부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portion of the conventional one-rod frame head rest.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헤드 레스트의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re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헤드 레스트의 고정부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part of the head re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암 레스트의 분해 사시도.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rm res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11,40B. 체결 프레임 13. 스프링식 걸쇠11,40B. Tightening Frame 13. Spring Catch
20,41. 결합구 23,42. 고정놉20,41. Coupling 23,42. Fixed knob
40. 헤드 레스트 60. 암 레스트40. Head Rest 60. Arm Rest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결착 부재의 하단에 부착된 투 로드식 체결 프레임과 이를 고정하는 결합구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two-rod fastening fram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fastening member and a coupler for fixing the fastening frame.
상기 체결 프레임은 서로 평행하면서 가까이 근접한 한 쌍의 로드로 구성되며, 체결 프레임과 결합되는 결합구는 두 로드 사이로 삽입되어 각 로드의 외주면에 두 로드의 간격을 확장시키려는 힘을 작용시켜 결합구 몸체의 내측면에 두 로드를 밀착시킴으로써 헤드 레스트와 암 레스트 등의 결착 부재를 고정시켜 주는 원뿔형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놉과 결합구 몸체로 구성된다.The fastening frame is composed of a pair of rods in parallel and close to each other,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fastening frame is inserted between the two rods by applying a force to exte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rod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rod, It is composed of a fixing knob and a coupler body integrally formed with a conical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inding member such as the head rest and the arm rest by bringing the two rod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technical constitu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sulting effects thereof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preferred embodiments.
도 4에 본 고안에 의한 의자용 헤드 레스트와 결합구의 조립전 사시도를, 도 5에 조립후 결합부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hair headrest and the coupl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assembly, and FIG.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레스트(40)는 본체(40A)와 체결 프레임(40B)으로 구성되며, 본체의 하부에 부착된 체결 프레임(40B)은 서로 평행하고 근접한 한 쌍의 로드(40C)로 구성된다.As shown, the head rest 40 is composed of a main body 40A and a fastening frame 40B, and the fastening frame 40B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a pair of rods 40C parallel and close to each other. do.
결합구(41)는 결합구 몸체(43)와 고정놉(42)으로 구성되며, 결합구 몸체(43)는 각 파이프 형태의 중공형 몸체로서 결합구 몸체의 단면(43E)부에는 체결 프레임의 두 로드(40C)가 들어가는 삽입구(43D)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43A)에는 고정놉의 고정부(42A)와 나사부(42B)가 관통할 수 있는 인입구(43C)가, 후면(43B)에는 고정놉의 나사부(42B)와 나사결합을 위한 내주면이 암나사 가공된 조립구(43F)가 관통하며 형성되어 있다.The coupler 41 is composed of a coupler body 43 and the fixing knob 42, the coupler body 43 is a hollow body of each pipe form, the cross section 43E of the coupler body of the fastening frame An insertion hole 43D into which the two rods 40C enter is formed, and an inlet 43C through which the fixing portion 42A of the fixing knob and the threaded portion 42B penetrates is provided in the front surface 43A, and in the rear surface 43B. A screw thread 42B of the fixing knob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for screwing are formed through the assembly tool 43F having a female thread.
상기의 구조로 구성된 헤드 레스트(40)의 조립 순서 및 높낮이 조절 후 헤드 레스트의 고정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assembly order of the head rest 40 having the above structure and the fixing method of the head rest after height adjustment as follows.
헤드 레스트(40)의 조립은 헤드 레스트 체결 프레임의 두 로드(40C)를 중공형 결합구 몸체 단면(43E)의 삽입구(43D)를 통하여 결합구 몸체 내부로 인입시킴으로써 시작된다.The assembly of the head rest 40 begins by introducing the two rods 40C of the head rest fastening frame into the fitting body through the insertion opening 43D of the hollow fitting body section 43E.
이때, 상기의 결합구 몸체(43)는 의자 등받이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등받이 후면에 위치하도록 별도로 부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er body 4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hair back frame or separately attached to be located at the back of the back.
상기와 같이 하여 헤드 레스트의 체결 프레임(40B)을 결합구 몸체(43) 내로 삽입하고 헤드 레스트(40)의 높낮이를 조절한 다음, 헤드 레스트 높낮이 조절용 고정놉(42)을 결합구 몸체 전면(43A)에 형성되어 있는 인입구(43C)를 통하여 삽입시킨 후, 고정놉의 나사부(42B)를, 결합구 후면(43B) 벽을 관통하고 그 내주면에는 암나사 가공된 조립구(43F)에 나사 결합시켜 헤드 레스트의 높이를 고정한다.Insert the fastening frame 40B of the headrest into the coupler body 43 as described above,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40, and then adjust the headrest height adjusting knob 42 to the front of the coupler body 43A. After insertion through the inlet (43C) formed in the), the screw portion 42B of the fixing knob penetrates through the wall of the coupling member rear surface 43B, and screwed into the assembly opening (43F) with female thread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Fix the height of the rest.
이때, 헤드 레스트 체결 프레임이 결합구 몸체 내에서 고정되는 원리를 도4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t this time, looking at the principle that the headrest fastening frame is fixed in the coupler body based on Figure 4 as follows.
우선, 결합구 몸체(43)는 인입구(43C)로 삽입되는 고정놉(42)의 나사부(42B)와 고정부(42A)에 의해 몸체 전후면(43A)(43B)에 수직한 방향으로 중심이 관통되면서 좌측 공간(43G)과 우측 공간(43H)으로 양분되고, 체결 프레임의 각 로드(40C)는 결합구 몸체 내부의 양분된 좌우 공간(43G)(43H)에 하나씩, 즉 좌측 내벽(43I)과 고정놉(42), 우측 내벽(43J)과 고정놉(42) 사이에 하나씩 위치하게 된다.First, the coupler body 43 is center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front and back surfaces 43A and 43B by the screw portion 42B and the fixing portion 42A of the fixing knob 42 inserted into the inlet 43C. While penetrating, it is divided into the left space 43G and the right space 43H, and each rod 40C of the fastening frame is one in the divided left and right spaces 43G and 43H inside the coupling body, that is, the left inner wall 43I. And one between the fixed knob 42, the right inner wall 43J, and the fixed knob 42.
상기와 같이 헤드 레스트의 높이와 체결 프레임의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고정놉의 나사부(42B)를 결합구 몸체 후면(43B)의 조립구(43F)와 나사 결합시키면서 조여주면, 고정놉의 원뿔형 고정부(42A) 역시 결합구 몸체 전면(43A)에서 후면(43B)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체결 프레임의 두 로드(40C) 사이로 밀고 들어 가게 된다.If the height of the headrest and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frame are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ighten the screw portion 42B of the fixing knob while screwing it with the assembly opening 43F of the rear side of the coupling member body 43B. 42A is also pushed between the two rods (40C) of the fastening frame while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coupler body front (43A) to the rear (43B).
고정놉의 고정부(42A)는 나사부(42B)에서 손잡이(42C) 방향으로 갈 수록 원주면의 직경이 커지는 원뿔형이므로 고정부(42A)가 두 로드(40C) 사이로 들어 갈 수록 두 로드를 결합구 몸체(43)의 좌우 내벽(43I)(43J)과 고정부(42A)의 경사진 원뿔형 외주면에 밀착시키게 됨으로써 헤드레스트(40)를 고정시키게 된다.Since the fixing portion 42A of the fixing knob is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ecomes larger from the screw portion 42B toward the handle 42C, the two rods are connected as the fixing portion 42A enters between the two rods 40C. The left and right inner walls 43I and 43J of the body 43 and the inclined con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42A are fixed to fix the headrest 40.
상기 헤드 레스트(40)에서 본체(40A)를 암 레스트 본체(61)로 대체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암 레스트(60)를 도6에 도시하였다. 이 암 레스트(60)는 상기 헤드 레스트(40)와 본체의 형상이 다를 뿐, 동일한 결합 및 조절 구조로 구성된다.6 shows a height adjustable arm rest 60 in which the main body 40A is replaced with the arm rest body 61 in the head rest 40. The arm rest 60 is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head rest 40 and the main body, and is composed of the same coupling and adjustment structure.
본 고안의 의자용 결착 부재의 높낮이 조절 구조는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투 로드식 체결 프레임의 두 로드 표면에 어떠한 높낮이 조절용 홈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는 바, 체결 프레임 생산 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체결 프레임 생산성 역시 제고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The height adjustment structure of the fastening member for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form any height adjustment grooves on the two rod surfaces of the two-rod fastening frame, as described above, which can lower the production cost of the fastening frame, and the fastening frame Productivity also has advantages.
그리고,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만 가능한, 종래 헤드 레스트 체결 프레임의 두 로드 표면에 높낮이 조절용 홈이 형성된 경우와 달리 본 고안의 높이 조절 구조는 결착 부재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므로서 의자를 사용하는 사람의 특히 성장기 학생들의 좋지 않은 체형 변형 방지에 도움이되고, 사용시 피로감을 덜어 주는 효과도 기대된다.In addition, unlike the case where the height adjustment groov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wo rods of the conventional headrest fastening frame, which cannot be height-adjusted or only at regular intervals, the height-adjus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nely adjusts the height of the binding member, thereby increasing the chair. It is helpful to prevent bad body deformation of people who are using, especially during the growing season, it is also expected to reduce fatigue during us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3282U KR200186786Y1 (en) | 2000-02-08 | 2000-02-08 | Structure of controlling the accessory parts' height for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03282U KR200186786Y1 (en) | 2000-02-08 | 2000-02-08 | Structure of controlling the accessory parts' height for chai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86786Y1 true KR200186786Y1 (en) | 2000-06-15 |
Family
ID=1964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03282U Expired - Lifetime KR200186786Y1 (en) | 2000-02-08 | 2000-02-08 | Structure of controlling the accessory parts' height for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6786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3182B1 (en) * | 2007-05-09 | 2008-10-13 | 이훈 | Chair with integrated waist and headrest |
KR20160039261A (en) * | 2013-11-22 | 2016-04-08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Electronic circuit breaker |
-
2000
- 2000-02-08 KR KR2020000003282U patent/KR200186786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3182B1 (en) * | 2007-05-09 | 2008-10-13 | 이훈 | Chair with integrated waist and headrest |
KR20160039261A (en) * | 2013-11-22 | 2016-04-08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Electronic circuit break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992054A (en) | Bicycle saddle support | |
US5902012A (en) | Chair with movable back | |
US8403421B2 (en) | Single frame sling chair | |
US5331865A (en) | Adjustable handlebar stem | |
GB2281694A (en) | Mounting apparatus for securing independent sections of a sectional sofa assembly | |
US4577906A (en) | Armchair with knocked down front legs | |
KR200186786Y1 (en) | Structure of controlling the accessory parts' height for chair | |
US3497262A (en) | Stackable,disassemblable chair | |
US8132860B2 (en) | Armrest for a chair | |
US4586748A (en) | Adjustable chair iron | |
US4827543A (en) | Rest structure in the form of rod-shaped bodies removably connected to cross-members | |
US5358309A (en) | Lock device for decomposable furniture elments, in particular for wooden-frame chairs, and furnishing item incorporating such a device | |
KR102254238B1 (en) | Height regulition apparatus of chair | |
US20090045667A1 (en) | Single frame sling chair | |
KR100357430B1 (en) | Leg member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 |
US7458641B2 (en) | Single frame sling chair | |
KR200286972Y1 (en) | Height control apparatus for the back of a chair | |
KR200299207Y1 (en) | headrest elevation device for char | |
JPH0672376A (en) | Adjustable handle bar stem | |
KR200145630Y1 (en) | Vertically adjusting device of chair back | |
JP2001197957A (en) | Armrest-attcahing device for chair | |
JPH1088761A (en) | Hand rail holder | |
JP3303252B2 (en) | Chair backrest mounting device | |
US7472623B2 (en) | Polypropylene recliner handle with locking means | |
JP4855685B2 (en) | Chair backrest mount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208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0041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209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41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UT0701 |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 ||
G701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 ||
U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date: 2002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Patent event date: 20020318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4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4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4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414 Year of fee payment: 10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0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