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3379Y1 - 배수공의 위치를 상하로 한 미세기 창 또는 문 - Google Patents

배수공의 위치를 상하로 한 미세기 창 또는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379Y1
KR200183379Y1 KR2019990024506U KR19990024506U KR200183379Y1 KR 200183379 Y1 KR200183379 Y1 KR 200183379Y1 KR 2019990024506 U KR2019990024506 U KR 2019990024506U KR 19990024506 U KR19990024506 U KR 19990024506U KR 200183379 Y1 KR200183379 Y1 KR 200183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drain hole
lower window
water
wind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to KR2019990024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3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37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미세기 창(또는 문)에 있어서, 하부 창틀
(또는 문틀)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집수홈을 형성하고, 배수공의 개공 위치를 상하로 하여 위치 차이를 이용한 낙차(落差)방식에 의해 배수(排水)가 되게 함으로써, 수밀성(水密性)이 향상되어진 미세기 창(또는 문)에 관한 것이다.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하부 창틀의 내부 레일과 외곽 레일 사이의 바람막이판 아래에 개공된 배수공 또는 하부 창틀의 내부 레일과 외곽 레일 사이의 외기와 직접 면하는 하부 창틀에 개공된 배수공으로 유입된 뒤, 집수홈을 통해 하부 창틀의 측면 배수공으로 최종 배수됨으로써, 종래에 하부 창틀의 외곽 레일에 수평방향으로 개공되었던 배수공에 비해 배수 능력이 대폭 향상되었다.
즉, 배수공의 위치 차이에 의한 낙차방식으로 인해 고인 물의 양보다 배수되는 물의 양이 많게 되어 물이 내부로 넘치지 않아 수밀성능이 향상되었다.

Description

배수공의 위치를 상하로 한 미세기 창 또는 문{Sliding Window or Door with High and Low Positioned Drain Holes}
본 고안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미세기 창(또는 문)에 있어서, 하부 창틀
(또는 문틀)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집수홈을 형성하고, 배수공(排水孔)의 개공 위치를 상하로 하여 위치 차이를 이용한 낙차(落差)방식에 의해 배수(排水)가 되게 함으로써, 수밀성(水密性)이 향상되어진 미세기 창(또는 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문에 대한 설명은 창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미세기 창의 배수공은 하부 창틀의 외곽 레일에 수평 방향으로 개공(開孔)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종래의 미세기 창의 배수공을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미세기 창의 정면도로서, 미세기 창이 크게 창짝(1), 상부 창틀(2), 측부 창틀(3) 및 하부 창틀(4)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창짝(1), 내부 레일(9) 및 외곽 레일(10)이 있는 하부 창틀(4), 하부 창틀(4)에 접촉하는 바람막이판(5) 및 하부 창틀(4)의 외곽 레일(10)에 수평방향으로 개공되어 있는 배수공(6)이 있는 미세기 창의 하부를 보여준다.
도 3은 바람막이판(5)의 사시도로서, 바람막이판(5) 밑부분의 끝부분(13)이 잘려 나가 있고, 여러개의 날개가 수직 방향으로 있는 것을 볼수 있다.
이러한 바람막이판(5)은 창을 닫았을 때 창짝(1)과 창짝(1)이 겹치는 중앙여밈대의 상부 및 하부가 만나는 상부 창틀(2) 및 하부 창틀(4)에 접촉하는 것으로 써, 재질이 연질의 염화비닐수지이기 때문에 가요성(可橈性)이 있어 창을 닫게 되 면, 바람막이판(5)의 날개 부분이 휘면서 상부 창틀(2)과 창짝(1), 하부 창틀(4)과 창짝(1) 사이를 밀폐하여, 창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바람을 막아주는 기밀재 (氣密材)의 역할을 한다.
아울러, 외부로부터 하부 창틀(4)에 떨어지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과 실내외의 온도차이 때문에 발생하는 결로(結露)현상으로 인해 창의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수(結露水)가 바람막이판(5) 밑부분의 끝부분(13)을 통해 외부로 배수가 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종래의 미세기 창의 배수공(6)은 하부 창틀(4)의 외곽 레일(10)에 수평방향으로 개공되어 있어서 해안지역이나 고층건물과 같이 풍압(風壓)이 높은 지역에서는 배수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람막이판(5)이 있어, 외부로부터 하부 창틀(4)에 떨어지는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긴 하지만, 완벽하게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불가능했고, 또한 바람막이판(5)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이 다시 바람막이판(5) 밑부분의 끝부분(13)을 통해 낮은 속도로 배수가 되긴 하였으나, 집중폭우시에는 내부로 유입된 물이 외부에 고인 물의 수압에 의하여 배수가 되지 못하고 종종 하부 창틀(4)의 내부 레일(9)을 넘어 물이 내부로 넘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하부 창틀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창틀 내부에 별도의 리브(Rib)에 의해 집수홈을 형성시키고, 배수공의 개공 위치를 상하로 하여 위치차이를 이용한 낙차방식에 의해 배수가 되게 함으로써, 수밀성이 향상되어진 미세기 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미세기 창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바람막이판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세기 창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짝 2 : 상부 창틀
3 : 측부 창틀 4 : 하부 창틀
4' : 하부 창틀 5 : 바람막이판
6 : 배수공 7 : 배수공
7' : 배수공 8 : 배수공
9 : 내부 레일 10 : 외곽 레일
11 : 리브 12 : 집수홈
13 : 바람막이판 밑부분의 끝부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세기 창의 정면도로서, 미세기 창이 크게 창짝(1), 상부 창틀(2), 측부 창틀(3) 및 하부 창틀(4')로 이루어져 있음을 보여준다.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로서, 창짝(1), 내부 레일(9) 및 외곽 레일(10)이 있는 하부 창틀(4'), 하부 창틀(4')의 내부에 별도의 리브(11)에 의해 형성된 집수홈(12), 창짝(1)과 창짝(1)이 겹치는 부위로 하부 창틀(4')의 내부 레일(9)과 외곽 레일(10) 사이에 접촉하는 바람막이판(5), 바람막이판(5) 아래에 개공된 배수공(7) 및 하부 창틀(4')의 측면에 개공된 배수공(8)으로 이루어진 미세기 창의 하부를 보여준다.
즉, 하부 창틀(4')에 쏟아지는 물이 바람막이판(5)을 통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바람막이판(5) 아래에 배수공(7)을 개공하였고, 이 배수공(7)으로 유입된 물이 하부 창틀(4') 내부의 집수홈(12)에 유입되게 한뒤, 하부 창틀(4') 측면의 배수공(8)으로 최종 배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로서, 창짝(1), 내부 레일(9) 및 외곽 레일(10)이 있는 하부 창틀(4'), 하부 창틀(4')의 내부에 별도의 리브(11)에 의해 형성된 집수홈(12), 하부 창틀(4')의 내부 레일(9)과 외곽 레일(10) 사이의 하부 창틀(4')에 개공된 배수공(7') 및 하부 창틀(4') 측면에 개공된 배수공(8)으로 이루어진 미세기 창의 하부를 보여준다.
즉, 바람막이판(5) 아래 뿐만 아니라, 물이 많이 고이고 외기에 직접 면하는 하부 창틀(4')의 내부 레일(9)과 외곽 레일(10) 사이의 하부 창틀(4')에도 배수공 (7')을 개공하였고, 이 배수공(7')에 유입된 물이 집수홈(12)에 유입되게 한뒤, 하부 창틀(4') 측면의 배수공(8)으로 최종 배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미세기 창은 배수공의 위치를 상하로 함으로써 낙차(落差) 방식에 의해 배수가 되도록 하고, 고인 물의 양보다 배수되는 물의 양이 클 경우에도 절대 물이 창의 내부에 넘치지 않아 배수(排水)능력을 향상시킨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 하부 창틀(4')의 내부 레일(9)과 외곽 레일(10) 사이의 바람막이판(5) 아래에 개공된 배수공(7) 또는 하부 창틀(4')의 내부 레일(9)과 외곽 레일(10) 사이의 외기와 직접 면하는 하부 창틀(4')에 개공된 배수공(7')으로 유입된 뒤, 집수홈(12)을 통해 하부 창틀(4')의 측면 배수공(8)으로 최종 배수됨으로써, 종래에 하부 창틀(4')의 외곽 레일(10)에 수평방향으로 개공되었던 배수공(6)에 비해 배수 능력이 대폭 향상되었다.
즉, 배수공의 위치 차이에 의한 낙차방식으로 인해 고인 물의 양보다 배수되는 물의 양이 많게 되어 물이 내부로 넘치지 않아 수밀성능이 향상되었다.

Claims (1)

  1. 창짝(1), 상부 창틀(2), 측부 창틀(3), 내부 레일(9) 및 외곽 레일(10)이 있는 하부 창틀(4'), 하부 창틀(4')의 내부에 별도의 리브(11)에 의해 형성된 집수홈 (12), 하부 창틀(4')의 내부 레일(9)과 외곽 레일(10) 사이의 창짝(1)과 창짝(1)이 겹치는 부위의 하부 창틀(4')에 접촉하는 바람막이판(5), 바람막이판(5) 아래에 개공된 배수공(7), 하부 창틀(4')의 내부 레일(9)과 외곽 레일(10) 사이의 하부 창틀 (4')에 개공된 배수공(7') 및 하부 창틀(4')의 측면에 개공된 배수공(8)으로 이루어진 미세기 창.
KR2019990024506U 1999-11-10 1999-11-10 배수공의 위치를 상하로 한 미세기 창 또는 문 Ceased KR200183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506U KR200183379Y1 (ko) 1999-11-10 1999-11-10 배수공의 위치를 상하로 한 미세기 창 또는 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506U KR200183379Y1 (ko) 1999-11-10 1999-11-10 배수공의 위치를 상하로 한 미세기 창 또는 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379Y1 true KR200183379Y1 (ko) 2000-05-15

Family

ID=1959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506U Ceased KR200183379Y1 (ko) 1999-11-10 1999-11-10 배수공의 위치를 상하로 한 미세기 창 또는 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3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61B1 (ko) 2006-07-19 2007-10-23 비멕 주식회사 단열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61B1 (ko) 2006-07-19 2007-10-23 비멕 주식회사 단열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087567A (ja) 窓枠用排水弁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窓枠の排水構造
KR200183379Y1 (ko) 배수공의 위치를 상하로 한 미세기 창 또는 문
CN209099942U (zh) 一种平开窗的隐形排水结构
KR200350062Y1 (ko) 창틀의 배수장치
JPH019915Y2 (ko)
CN216277588U (zh) 推拉窗轨道密封与排水结构
KR20190062810A (ko)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창호가 설치된 문틀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방지를 위한 가스켓 조립구조
JPH0116876Y2 (ko)
JPH0116877Y2 (ko)
CN207092831U (zh) 一种双腔排水窗框结构
KR102035219B1 (ko) 배수가 용이한 입면 분할 창호
JPS597998Y2 (ja) 引違い窓の排水装置
JPH0443590Y2 (ko)
CN213573770U (zh) 一种新型内开下悬窗排水结构
JP3928453B2 (ja) サッシ窓の嵌殺し障子の排水装置
CN216714264U (zh) 一种带有下沉式排水沟槽的内平开门
CN220434590U (zh) 一种平开窗排水结构
CN211623127U (zh) 一种多层密封性塑钢门窗
TWI771188B (zh) 建築物窗框之排水控制裝置
CN221220203U (zh) 一种平开窗边框结构
CN220014915U (zh) 一种具有防水排水功能的铝合金门窗
CN217176424U (zh) 一种门窗用防风排水孔盖
JPH09209664A (ja) 引違いサッシの召合せ部水密構造
JPH0326866Y2 (ko)
JPH05214880A (ja) 引戸の下枠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11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11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2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0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C2102 Extinguishment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25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