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3101Y1 - 플러그용 접속단자구조 - Google Patents

플러그용 접속단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101Y1
KR200183101Y1 KR2019990024157U KR19990024157U KR200183101Y1 KR 200183101 Y1 KR200183101 Y1 KR 200183101Y1 KR 2019990024157 U KR2019990024157 U KR 2019990024157U KR 19990024157 U KR19990024157 U KR 19990024157U KR 200183101 Y1 KR200183101 Y1 KR 200183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round
rear end
terminal body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복
Original Assignee
박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복 filed Critical 박희복
Priority to KR2019990024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1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30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방에는 단자헤드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콘넥터에 결합되는 접지부가 형성된 플러그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를 구성하는 단자헤드와 후단에 접지부가 형성된 단자몸체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단자헤드에 단자몸체를 결합하여 구성함과 상기 단자몸체의 후단에 형성된 접지부는 직사각형의 접지편으로 구성하여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콘넥터와 결합시 접지면이 좋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단자몸체는 후단에 접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금속판을 프레스로 블랭킹(blanking) 가공하여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자헤드와 단자몸체를 각각 별도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용이하여 가격 경쟁력이 좋고, 조립공정도 쉬워 인건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단자몸체 후방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접지편과 동일하게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콘넥터에도 직사각형의 접지편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접지편을 결합하기 때문에 접지면이 넓어 접지율도 높아 전기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플러그용 접속단자구조{The connect terminai structure of the plug}
본 고안은 플러그용 접속단자구조에 관한 것으로, 단자헤드와 후단에 접지부가 형성된 단자몸체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조립공정도 대단히 편리할 뿐만 아니라 단자몸체 후단에 형성된 접지부를 직사각형으로 형성하여 접지면을 넓게하여 접지율을 높히므로 전기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1)가 단자헤드(2)와 단자몸체(3)가 분리되어 있지 않고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는 가공하기가 어려웠고, 단자몸체(3) 후단에 별도의 접지부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콘넥터에 결합시 원형의 접지편결합구에 결합되기 때문에 접지면이 좋지 않아 전기공급이 불안정하였으며, 장기간 사용시 누전의 위험이 따랐으며, 누전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몸체(3) 후단에 접지부(4)을 형성한 것이 있었으나 이는 원통형의 접지봉 양측면을 절개하여 직사각형의 접지편(5)을 만들것으로 이를 가공하기가 대단히 어렵고 힘들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건비가 추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방에는 단자헤드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콘넥터에 결합되는 접지부가 형성된 플러그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를 구성하는 단자헤드와 후단에 접지부가 형성된 단자몸체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단자헤드에 단자몸체를 결합하여 구성함과 상기 단자몸체의 후단에 형성된 접지부는 직사각형의 접지편으로 구성하여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콘넥터와 결합시 접지면이 좋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단자몸체는 후단에 접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금속판을 프레스로 블랭킹(blanking)가공하여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자헤드와 단자몸체를 각각 별도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용이하여 가격 경쟁력이 좋고, 조립공정도 쉬워 인건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단자몸체 후방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접지편과 동일하게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콘넥터에도 직사각형의 접지편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접지편을 결합하기 때문에 접지면이 넓어 접지율도 높아 전기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고안의 접속단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접속단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속단자 20 : 단자헤드
30 : 단자몸체 31 : 접지부
40 : 접지편 50 : 프랜스포머
60 : 콘넥터 70 : 접지편결합공
80 : 플러그케이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는 단자헤드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콘넥터에 결합되는 접지부가 형성된 플러그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10)를 구성하는 단자헤드(20)와 후단에 접지부(31)가 형성된 단자몸체(30)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단자헤드(20)에 단자몸체(30)를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단자몸체(30)의 후단에 형성된 접지부(31)는 직사각형의 접지편(40)으로 구성하여 트랜스포머(50)에 구비된 콘넥터(60)와 결합시 접지면이 좋도록 구성할 수 도있다.
또한, 상기 단자몸체(30)는 후단에 접지부(3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금속판을 프레스로 블랭킹(blanking) 가공하여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도있다.
본 고안의 제조 및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헤드(20)에 형성된 결합홈(21) 내부로 후단에 접지부(3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프레스로 블랭킹(blanking) 가공한 단자몸체(30)의 선단을 삽입하여 견고하게 고정 결합한다.
이때 접지부(31)를 직사각형의 접지편(40)으로 구성하여 트랜스포머(50)에 구비된 콘넥터(60)에 결합시 접지면이 넓어 접지율이 좋도록 하였다.
그런 다음 플러그용 접속단자(10)를 플러그케이스(80) 상측에 인서트 삽입하여 결합하고, 단자몸체(30) 후방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접지편(40)을 트랜스포머(50)에 구비된 콘넥터(60)의 접지편결합공(70)에 결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부품을 각각 별도로 구성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조립공정도 대단이 편리하고 쉬워 인건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단자몸체(30) 후방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접지편(40)과 동일하게 트랜스포머(50)에 구비된 콘넥터(60)에도 직사각형의 접지편결합공(70)을 형성하고 상기 접지편(40)을 결합하기 때문에 접지면이 넓어 전기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등 실생활에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전방에는 단자헤드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콘넥터에 결합되는 접지부가 형성된 플러그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를 구성하는 단자헤드와 후단에 접지부가 형성된 단자몸체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단자헤드에 단자몸체를 결합하여 구성함과 상기 단자몸체의 후단에 형성된 접지부는 직사각형의 접지편으로 구성하여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콘넥터와 결합시 접지면이 좋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단자몸체는 후단에 접지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금속판을 프레스로 블랭킹(blanking) 가공하여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자헤드와 단자몸체를 각각 별도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용이하여 가격 경쟁력이 좋고, 조립공정도 쉬워 인건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단자몸체 후방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접지편과 동일하게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콘넥터에도 직사각형의 접지편결합공을 형성하고 상기 접지편을 결합하기 때문에 접지면이 넓어 접지율도 높아 전기를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전방에는 단자헤드가 형성되고 후단에는 트랜스포머에 구비된 콘넥터에 결합되는 접지부가 형성된 플러그용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10)를 구성하는 단자헤드(20)와 후단에 접지부(31)가 형성된 단자몸체(30)를 각각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단자헤드(20)에 단자몸체(30)를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접속단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몸체(30)의 후단에 형성된 접지부(31)는 직사각형의 접지편(40)으로 구성하여 트랜스포머(50)에 구비된 콘넥터(60)와 결합시 접지면이 좋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접속단자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몸체(30)는 후단에 접지부(3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금속판을 프레스로 블랭킹(blanking) 가공하여서 이루어진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접속단자구조.
KR2019990024157U 1999-11-05 1999-11-05 플러그용 접속단자구조 KR200183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157U KR200183101Y1 (ko) 1999-11-05 1999-11-05 플러그용 접속단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4157U KR200183101Y1 (ko) 1999-11-05 1999-11-05 플러그용 접속단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101Y1 true KR200183101Y1 (ko) 2000-05-15

Family

ID=1959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4157U KR200183101Y1 (ko) 1999-11-05 1999-11-05 플러그용 접속단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1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931A (ko) * 2000-01-21 2001-08-11 김재봉 고전압 자기콘덴서용 전극봉의 제조방법
KR100900523B1 (ko) 2008-11-27 2009-06-02 이완규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110v 내지 220v용 플러그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러그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5931A (ko) * 2000-01-21 2001-08-11 김재봉 고전압 자기콘덴서용 전극봉의 제조방법
KR100900523B1 (ko) 2008-11-27 2009-06-02 이완규 각종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110v 내지 220v용 플러그핀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플러그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19368A1 (en) Audio jack connector
JPH0250983U (ko)
JPH0616429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S61201284U (ko)
US634796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shielding structure
KR970703629A (ko) 가이드를 갖춘 전기 커넥터
JPH02100276A (ja) ハウジングブロック中の同軸コネクタ
CN104092059A (zh) 插座连接器、插头连接器及其组合结构
US20080076303A1 (en) Electrical connector
CN219247035U (zh) 双口连接器
US5094627A (en)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connector
US6168462B1 (en) Connector structure
KR200183101Y1 (ko) 플러그용 접속단자구조
CN107645079B (zh) 一种防松脱灯具连接器
JP3089189B2 (ja) 同軸コネクタ
CN111786200A (zh) 一种多极基板电连接器
CN201699247U (zh) 三芯矩形电连接器及其插头、插座
CN210957076U (zh) 一种信号高效传输的连接器及电连接搭配组合装置
CN207743428U (zh) 金属簧片结构、端子结构及电连接器
JPS5851391B2 (ja) コネクタ
KR200225111Y1 (ko) 플러그용 접속단자구조
CN210897820U (zh) 电连接器组件
CN212648550U (zh) 插拔式接线端子的扣合结构
CN222282434U (zh) 一种欧规两位欧式接地插的接地铜片
CN221783481U (zh) 电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110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11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04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1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2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