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2978Y1 - 퀵 커플러 - Google Patents

퀵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978Y1
KR200182978Y1 KR2019990028784U KR19990028784U KR200182978Y1 KR 200182978 Y1 KR200182978 Y1 KR 200182978Y1 KR 2019990028784 U KR2019990028784 U KR 2019990028784U KR 19990028784 U KR19990028784 U KR 19990028784U KR 200182978 Y1 KR200182978 Y1 KR 200182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upler
present
spring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목
정인수
김정환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8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9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97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현장에서 각종 유체가 흐르는 라인을 보다 신속하고 반력없이 체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커플러의 외피 후단부 외주연에 그 직경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테이퍼홀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홀에는 그 하측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는 정지구가 삽입되며, 상기 정지구는 스프링과 이를 탄압하는 조절나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테이퍼홀과 대응되는 직하방 위치인 내피의 외주연에는 서로 90°를 이루며 상기 정지구가 고정되는 4개의 정지구고정홈이 탄턱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체결을 위해 후퇴시킨 외피를 일정시간동안 잡고 있어야 할 완력의 필요가 없고, 탄성에 의해 자동 체결되므로 매우 수월한 체결성을 확보하게 된다.

Description

퀵 커플러{QUICK COUPLER}
본 고안은 퀵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현장에서 각종 유체가 흐르는 라인을 보다 신속하고 반력없이 체결할 수 있도록 개선된 퀵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퀵 커플러는 각종 유체도관이 구비된 산업현장에서 각 유체도관을 상호 연통시키면서 단시간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산업기계 일반에서 동력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기계요소를 말한다.
도 1은 통상의 커플러에 대한 적절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스프링(7)과, 커플링되는 강구(4)로 이루어져 전진되어 있는 커플러 외피(2)를 상기 스프링(7)의 압축력을 극복하고 후퇴시킨 후 커플러의 전면을 연결하고자 하는 플러그(미도시)에 센터링한 다음 후퇴되어 있던 외피(2)를 상기 스프링(7)의 힘에 의해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 외피(2)가 전진되면서 강구(4)를 가압하여 커플러와 플러그가 상호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적 단순하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신속한 체결상태를 유도할 수 있어 산업일반에서 매우 용이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들이 연결되는 라인상에는 통상 상당한 압력의 유체 잔압이 존재하고, 씰링을 위해 플러그와 커플러 내피(1) 사이에는 오링(5)(6)이 개재되므로 비교적 조작이 용이한 결합임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압력과 마찰력을 극복할 만한 가압력이 필요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플러그와 커플러의 센터링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외피(2)를 후진시킨 상태에서 이를 일정시간 동안 전지되지 못하도록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도 따랐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커플러가 반력에 의해 저항되므로서 강한 체결력을 부여햐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스프링의 반력을 일정시간 동안 정시시킴과 동시에 이 반력을 이용하여 체결부위에서 발생하는 잔압 및 마찰력에 의한 반력을 극복하고 신속한 체결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퀵 커플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퀵 커플러의 단면도,
도 2의 (가),(나)는 본 고안에 따른 퀵 커플러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단면도 및 커플러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퀵 커플러의 요부 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내피, 2,2' : 외피,
4 : 강구, 7,20 : 스프링,
10 : 정지구, 30 : 조절나사,
40 : 테이퍼홀, 50 : 정지구고정홈.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커플러의 외피 후단부 외주연에 그 직경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테이퍼홀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홀에는 그 하측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는 정지구가 삽입되며, 상기 정지구는 스프링과 이를 탄압하는 조절나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테이퍼홀과 대응되는 직하방 위치인 내피의 외주연에는 서로 90°를 이루며 상기 정지구가 고정되는 4개의 정지구고정홈이 탄턱지게 형성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의 (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퀵 커플러의 일부 형상을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 및 그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플러의 외피(2') 후단측, 즉 플러그와 결합되는 대향단측 외주연에는 적어도 2개소, 바람직하게는 그 직경방향인 서로 180°를 이루며 2개의 테이퍼홀(40)이 형성된다.
상기 테이퍼홀(40)은 그 상단으로부터 일정깊이만큼 나사산이 가공된다.
또한, 상기 테이퍼홀(40)은 그 상단보다 하단의 직경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단 직경보다 약간 큰 정지구(10)가 삽입된다.
정지구(10)의 상측에는 일정탄성을 가진 스프링(20)이 개재되고, 상기 스프링(20)은 조절나사(30)에 의해 강제고정된다.
상기 조절나사(30)는 상기 테이퍼홀(40)의 상단인접부 내주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나사(30)로 상기 스프링(20)의 탄성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정지구(10)의 가압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내피(1')의 후단측, 즉 상기 테이퍼홀(40)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정지구(10)가 위치될 수 있도록 도 3의 도시와 같이 평면가공된 정지구고정홈(50)이 형성된다.
상기 정지구고정홈(50)은 그 인접 전방위치인 외피(2')에 반력을 제공하는 스프링(7)이 개재되는 부위의 인접후측과 서로 단턱지게 형성된다.
상기 정지구고정홈(50)은 그 내피(1')의 주연을 따라 서로 90°를 이루며 적어도 3개, 바람직하게는 4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정지구(10)는 스프링(20)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정지구고정홈(50) 상에 탄성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플러그와 체결을 위하여 커플러의 외피(2')를 기존과 같이 후퇴시킨다.
이때, 상기 외피(2')와 내피(1')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7)은 압축되면서 반력을 함유하게 된다.
동시에, 후퇴시킨 외피(2')를 상기 내피(1')의 주연을 따라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스프링(20)에 의해 탄압되고 있던 정지구(10)가 내피(1')에 형성된 다수의 정지구고정홈(50)에 삽입된다.
정지구(10)가 고정되면 작업자가 후퇴시킨 압력을 제거하여도 외피(2')는 전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내피(1')를 체결부위와 정확히 센터링시킨 후에 체결에 필요한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외피(2')를 상술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역회전시키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7)의 복귀력에 의해 상기 외피(2') 전진되면서 자동적으로 체결부위에 결합된다.
즉, 외피(2')가 전진되면서 강구(4)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강구(4)는 체결부위인 플러그에 가압되어 체결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아주 간단한 동작에 의해 반력없이 단시간에 체결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퀵 커플러는 체결을 위해 후퇴시킨 외피를 일정시간동안 잡고 있어야 할 완력의 필요가 없고, 탄성에 의해 자동 체결되므로 매우 수월한 체결성을 확보하게 된다.

Claims (1)

  1. 커플러의 외피(2') 후단부 외주연에 그 직경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게 형성되며 상부에는 일정길이 나사산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테이퍼홀(40)을 형성하고,
    상기 테이퍼홀(40)에는 그 하측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갖는 정지구(10)가 삽입되며,
    상기 정지구(10)는 스프링(20)과 이를 탄압하는 조절나사(3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테이퍼홀(40)과 대응되는 직하방 위치인 내피(1')의 외주연에는 서로 90°를 이루며 상기 정지구(10)가 고정되는 4개의 정지구고정홈(50)이 탄턱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퀵 커플러.
KR2019990028784U 1999-12-20 1999-12-20 퀵 커플러 Expired - Fee Related KR200182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784U KR200182978Y1 (ko) 1999-12-20 1999-12-20 퀵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784U KR200182978Y1 (ko) 1999-12-20 1999-12-20 퀵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978Y1 true KR200182978Y1 (ko) 2000-05-15

Family

ID=1960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784U Expired - Fee Related KR200182978Y1 (ko) 1999-12-20 1999-12-20 퀵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97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9904709L (sv) Verktygsspets och verktygskroppsenhet
US6488285B1 (en) Hydraulic chuck with deformable gripping sleeve
CA2158664C (en) Device for connecting two tool sections
JPS6055241B2 (ja) 中ぐり工具
DE3571409D1 (en) Clutch alignment tool
CN105757367B (zh) 一种卡套接头装置
US4850096A (en) Method of joining pipes
CA2419198A1 (en) Pipe joint and coupling
US4979845A (en) Device for connection of two machine parts, in particular two tool portions of machine tools
US4725064A (en) Chuck apparatus for workpieces or tools having a clamping sleeve of variable size
KR101440822B1 (ko) 풀스터드 볼트 체결용 척 및 그의 제조 방법
CA2511943A1 (en) Coupling sleeve for connection of a threaded rock bolt to an impact rock drilling machine
KR200182978Y1 (ko) 퀵 커플러
CN206912732U (zh) 一种异型零件快装夹具
KR101557652B1 (ko) 가공물 그립 정밀도를 향상시킨 선반 작업용 척
CN110787918A (zh) 一种多维度高效复合调节喷嘴
NO137163B (no) R¦rkobling.
JPH10288289A (ja) 押輪用調芯具
CN210531751U (zh) 一种管接头
KR200275587Y1 (ko) 중압 천공기용 t형 분기관
KR20210050606A (ko) 풀림방지 기능을 갖춘 배관 연결용 클램프
KR200333861Y1 (ko) 파이프의 단부 밀폐용 마개
KR200484723Y1 (ko) 공작 기계용 배출 장치
CN214698734U (zh) 一种螺栓防松结构
CN104179768B (zh) 防止螺栓断裂散落的方法及承受双重载荷力的凹口螺栓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122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122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7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2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