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2197Y1 -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197Y1
KR200182197Y1 KR2019970044352U KR19970044352U KR200182197Y1 KR 200182197 Y1 KR200182197 Y1 KR 200182197Y1 KR 2019970044352 U KR2019970044352 U KR 2019970044352U KR 19970044352 U KR19970044352 U KR 19970044352U KR 200182197 Y1 KR200182197 Y1 KR 200182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condenser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conditioner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4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607U (ko
Inventor
강성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44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197Y1/ko
Publication of KR199900316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6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1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0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14Heat exchang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16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냉,난방시에 1실 단독 운전 및 2실 동시 운전을 가능하도록 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를 전제로 하여, 실외기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동일한 개수의 제 1,2 압축기와 제 1,2 응축기를 각각 배분하여 배치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냉매 분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냉, 난방 운전시에 1실 단독 운전시와 2실 동시 운전시의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
본 고안은 2개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 및 응축기를 베이스의 양측으로 분배하여 냉매 분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냉, 난방 운전시에 1실 단독 운전시와 2실 동시 운전시의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2개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압축기 및 응축기의 배치 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써, 도면중 1은 베이스, 2는 전면 캐비넷, 3은 측면 캐비넷, 4는 밸브 고정구, 5는 제 1 압축기, 6은 제 2 압축기, 7은 모터 브래키트, 8은 모터, 9는 팬, 10은 전장 상자, 11은 응축기, 12는 후면 캐비넷, 13은 상면 캐비넷을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2개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의 배치구조를 살펴보면, 베이스(1)의 상면 일측에 제 1 압축기(5) 및 제 2 압축기(6)가 서로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단일 형태를 갖는 응축기(11)는 베이스(1)의 상면 후방 타측, 즉 제 1 압축기(5) 및 제 2 압축기(6)의 반대측에 베이스(1)의 일측 및 후방측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멀티 에어콘 실외기는 하나의 응축기(11)를 사용하여 냉매를 2실로 분배하면서 통상적인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2개의 압축기를 사용하는 멀티 에어콘 실외기에 의하면, 베이스(1)의 상면 일측에 제 1 압축기(5) 및 제 2 압축기(6)가 서로 근접하도록 배치되고, 단일 형태를 갖는 응축기(11)는 베이스(1)의 상면 후방 타측에 베이스(1)의 일측 및 후방측을 가로질러 배치된 구조로써, 하나의 응축기(11)를 사용하여 냉매를 2실로 분배하여야 하므로 냉매의 분배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으며, 또한 냉,난방 운전시에 1실 운전시와, 2실 동시 운전시의 효율 및 신뢰성에 차이가 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압축기 및 응축기를 베이스의 양측으로 분배하여 냉매 분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냉, 난방 운전시에 1실 단독 운전시와 2실 동시 운전시의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베이스 25,26 ; 제 1,2 압축기
31,32 ; 제 1,2 응축기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난방시에 1실 단독 운전 및 2실 동시 운전을 가능하도록 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에 있어서, 실외기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동일한 개수의 제 1,2 압축기와 제 1,2 응축기를 각각 배분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중 21은 베이스, 22는 전면 캐비넷, 23은 제 1 측면 캐비넷, 24는 제 2 측면 캐비넷, 25는 제 1 압축기, 26은 제 2 압축기, 27은 모터 브래키트, 28은 모터, 29는 팬, 30은 전장 상자, 31은 제 1 응축기, 32는 제 2 응축기, 33은 후면 캐비넷, 34는 상면 캐비넷을 각각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는, 압축기와 응축기의 개수를 동일하게 하고, 베이스(21)의 상면 양측에 압축기 및 응축기를 각각 배분하여 배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르면, 2개의 압축기(25)(26)를 사용함에 따라 기존과는 달리 응축기를 제 1 응축기(31)와 제 2 응축기(32)로 분리 형성하여, 베이스(21)의 상면 양측에 각각 배분하여 배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에 있어서는, 베이스(21)의 상면 양측에 제 1,2 압축기(25)(26) 및 제 1,2 응축기(31)(32)를 각각 배분하여 2실용 멀티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게 되는 바, 압축기(25)(26)와 응축기(31)(32)를 동일한 개수로 구성하여 냉매 분배를 어려움없이 원활하게 하고, 또한 냉,난방 운전시에 1실 단독 운전시와 2실 동시 운전시의 효율 및 신뢰성 차이를 없앨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는, 냉,난방시에 1실 단독 운전 및 2실 동시 운전을 가능하도록 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를 전제로 하여, 실외기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동일한 개수의 제 1,2 압축기와 제 1,2 응축기를 각각 배분하여 배치함으로써 냉매 분배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또한 냉, 난방 운전시에 1실 단독 운전시와 2실 동시 운전시의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냉, 난방시에 1실 단독 운전 및 2실 동시 운전을 가능하도록 한 멀티 에어콘 실외기에 있어서,
    실외기 베이스의 상면 양측에 동일한 개수의 제 1,2 압축기와 제 1,2 응축기를 각각 배분하여 배치하되, 상기 제1 압축기 및 제1 응축기와, 제2 압축기와 제2 응축기를 실외기 베이스의 전후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하며, 상기 제 1,2 응축기의 내측에 제 1,2 압축기를 배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
KR2019970044352U 1997-12-31 1997-12-31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 KR200182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352U KR200182197Y1 (ko) 1997-12-31 1997-12-31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4352U KR200182197Y1 (ko) 1997-12-31 1997-12-31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607U KR19990031607U (ko) 1999-07-26
KR200182197Y1 true KR200182197Y1 (ko) 2000-06-01

Family

ID=1952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4352U KR200182197Y1 (ko) 1997-12-31 1997-12-31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1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607U (ko)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4508B1 (ko) 공기조화기
KR200182197Y1 (ko) 멀티 에어콘 실외기의 압축기 및 응축기 배치구조
KR10044110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선고정구조
KR100267918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EP0911587A1 (en) Air conditioner
KR100291777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KR200198161Y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외기결합구조
KR100203915B1 (ko) 공기조화기
JPH05296643A (ja) 冷却ユニット
KR200198162Y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실외기설치구조
AU1410900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148473Y1 (ko) 공기조절기의 송풍구조
KR200168493Y1 (ko) 냉장고의 압축기 고정구조
KR0124314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154607Y1 (ko) 에어컨용 실내기의 물받이 고정 구조
KR0164644B1 (ko) 에어컨용 디스차지 그릴의 부품 고정구조
KR200244664Y1 (ko) 에어컨의 토출판
KR100272545B1 (ko) 공기조화기의콘트롤박스구조
KR0175527B1 (ko) 보조송풍팬이 설치된 공기조화기
KR200232129Y1 (ko) 에어컨 실외기용 베이스 구조
KR100239331B1 (ko) 창문형 에어콘의 팬모터 고정장치
KR0128922Y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지지대
KR0115219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밸브 설치구조
KR200197751Y1 (ko) 냉,난방기 구조
KR0128732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콘트롤박스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23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8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3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0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