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1776Y1 - 가축용 제각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용 제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776Y1
KR200181776Y1 KR2019980008310U KR19980008310U KR200181776Y1 KR 200181776 Y1 KR200181776 Y1 KR 200181776Y1 KR 2019980008310 U KR2019980008310 U KR 2019980008310U KR 19980008310 U KR19980008310 U KR 19980008310U KR 200181776 Y1 KR200181776 Y1 KR 200181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stock
opening
protective cover
closing
engr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450U (ko
Inventor
박성재
김판봉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19980008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776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4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4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7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7/00Dehorners; Horn tr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축의 뿔이나 발굽등을 제거하므로 안전사고방지와 각종 질병방지를 하게 되는 가축용 제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구동수단의 회전구동축상에 결합되어 회전구동하므로 제각작동하는 절단휠과 이 전단휠을 감싸는 형태로 외부에 위치되게 고정설치되는 보호커버 및 이 보호커버의 일측원주상에 일정 크기로 절결개방된 개방구로 제각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작동하는 자동개폐수단으로 이루어져 가축의 뿔이나 발굽, 이빨등을 빠른 시간내에 간단하면서도 그 절단부위가 일정하도록 효과적으로 제각하게 되므로 작업자에게는 사용상의 편리성, 안전성이 우수하고 가축에게는 제각에 따른 잇점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며, 또한 제각작업시 가축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가축의 흥분으로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가축용 제각장치
본 고안은 가축의 뿔이나 발굽등을 제거하므로 안전사고방지와 각종 질병방지를 하게 되는 가축의 제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가축의 뿔이나 발굽등을 작업자가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구성하여 작업자의 편리성 및 안전성과 가축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면서 제각에 따른 잇점이 효과적으로 제공되는 가축용 제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 말등과 같은 대가축은 물론 돼지, 양, 사슴등과 같은 중가축의 경우 체중이나 몸집이 사람보다 크므로 관리상 관리자에게 상해를 끼치는 안전상에 대한 문제를 갖게 된다.
특히 상기 대가축, 중가축은 물론 소가축의 경우 그 뿔이나 발굽뿐만 아니라 이빨등이 자라 흉기가 되어 관리자에게 뿐만아니라 가축 상호간에도 서로 상해를 끼치게 되고, 이때 상기 뿔과 같은 경우 부딪힘에 의해 탈각이 될 우려가 높으며 이 탈각부위에서는 심하게 출혈이 발생되는등의 문제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한 가축의 발굽과 같은 경우 그 비정상적인 성장으로 가축의 보행이상과 이로인한 몸체의 기형성장을 유발하게 되거나 그 과다 성장으로 부제병등의 질병을 유발하게되는 등 이 밖에도 각종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가축의 뿔이나 발굽, 이빨등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안전사고 및 질병발생의 문제점등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나무절단용 톱이나 전정가위, 표면이 거친 철사줄등을 이용하여 가축의 뿔, 발굽, 이빨등을 절단하여 제거하는 제각작업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톱, 전정가위, 철사줄등은 이를 이용하여 가축의 제각을 실시하는 경우 수작업에 의해 작업자에는 과다한 힘이 요구되어 그 제각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됨은 물론 그 제각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게 된다.
이와같이 가축의 제각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가축에게는 많은 스트레스를 주게 되어 이로인해 가축이 흥분하는 경우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히게 되는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수작업에 의해 제각작업을 수행함으로 인해 뿔이나 발굽, 이빨등을 일정하게 제각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이로인해 제각에 의한 효과를 이루지 못하고 오히려 뿔이나 발굽등이 기형으로 형성되거나 염증등의 부작용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를 갖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가축의 뿔이나 발굽, 이빨등을 빠른 시간내에 간단하면서도 그 절단부위가 일정하도록 효과적으로 제각하게 되므로 작업자에게는 사용상의 편리성, 안전성이 우수하게되고 가축에게는 제각에 따른 잇점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각작업시 가축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가축의 흥분으로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수단의 회전구동축상에 결합되어 회전구동하므로 제각작동하는 절단휠과 이 전단휠을 감싸는 형태로 외부에 위치되게 고정설치되는 보호커버 및 이 보호커버의 일측원주상에 일정 크기로 절결개방된 개방구로 제각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작동하는 자동개폐수단에 의해 달성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저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저면구성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5. 회전구동축 10. 절단휠 20. 보호커버
25. 고정부 26. 돌출단 29. 결합공
30. 자동개폐수단 31,32. 개폐구 31a,32a. 유도가이더
34. 고정브라켓 35. 가이드봉 38. 탄발스프링
이하, 상기한 목적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 1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축의 뿔이나 발굽, 이빨등을 제각하는 장치에 있어서,
구동수단의 회전구동축(5)상에 결합되어 회전구동하므로 제각작동하는 절단휠(10)과 이 전단휠을 감싸는 형태로 외부에 위치되게 고정설치되는 보호커버(20) 및 이 보호커버의 일측원주상에 일정 크기로 절결개방된 개방구(22)로 제각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작동하는 자동개폐수단(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호커버(20)의 상부에는 일측에 개방홈(28)을 형성하도록 탄발적으로 대향되게 돌출형성된 돌출단(26)(26)과 그 중앙에 결합공(29)을 갖는 고정부(25)를 형성하여서 상기 결합공(29)이 구동수단의 플랜지(5a)상에 삽입된 상태로 돌출단(26)(26)상호간을 고정부재(42)에 의해 탄발적으로 가압하여 체결하는 것에 의해 고정설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개폐수단(30)은 보호커버(20)의 개방구(22)중앙에서 외력에 따라 보호커버의 원주상을 따라 탄발적으로 개폐작동하면서 개방작동하는 개폐구(31)(32)가 대향형성되고, 이 개폐구(31)(32)가 상호 접하는 외측에는 중앙에 유도홈(33)을 형성하도록 유도가이더(31a)(32a)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개폐구(31)(32)는 보호커버(20)의 내측에서 작동하도록 설치하게 됨은 물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호커버(20)의 외측에서 작동하도록 설치할수도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구(31)(32)의 저면에는 고정브라켓(34)이 돌출형성되고, 보호커버(20)의 저부에는 상기 고정브라켓과 동일원주상에 지지브라켓(24)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34)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봉(35)이 탄발스프링(38)을 삽입설치한 상태로 지지브라켓(24)을 통해 가이드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본 고안의 절단휠(10)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A)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와 사양으로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사용할수 있게 됨은 물론 이다.
미설명부호로서 37은 지지브라켓(24)을 안내하도록 개폐구(31(32))상에 형성된 가이드홈, 24a는 가이드봉(35)이 지지브라켓(24)에서 이탈방지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구동수단(A)에 본 고안의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구동수단(A)의 고정프랜지(5a)상에 보호커버(20)의 결합공(29)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일측에 탄발적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단(26)(26)을 고정부재(42)로 탄발적으로 가압하며 고정하여 플랜지(5a)상에 결합공(29)이 밀착되는 상태로 고정설치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수단(A)의 회전구동축(5)상에 와셔(44), 절단휠(10)을 삽입설치한 상태로 체결부재(46)로 나합하여 고정설치하므로 조립되어 일반농가에서 비 전문가에 의해서도 손쉽게 조립, 분해 및 수리하면서 사용할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로 제각을 행하고자 하면 제각을 요하는 가축의 제각하고자 한는 부위, 예를 들면 뿔이나 발굽, 이빨등을 본 고안의 자동개폐수단(30)의 일측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구동수단(A)을 작동시켜 그 회전구동축(5)을 회전구동시키면 이에 고정설치된 절단휠(10)이 회전구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는 절단휠(10)을 보호커버(20)가 감싸는 상태로 설치되어 안전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대향형성된 개폐구(31)(32)의 유도가이더(31a)(32a)에 의해 형성된 중앙의 유도홈(33)으로 상기 가축의 제각부위를 밀어주게 되면 유도가이더(31a)(32a)에 외력이 발생되면서 개폐구(31)(32)를 원주상의 대향방향으로 회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구(31)(32)는 그 하부의 고정브라켓(34)상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봉(35)이 동일원주상의 위치로 보호커버(20)의 하부에 고정설치된 지지브라켓(24)에 지지되는 상태로 가이드되면서 탄발스프링(38)을 압축하게 되므로 개방구가 탄발적으로 회전 개방작동되게 된다.
이와같이 개폐구(31)(32)가 상호 대향되게 탄발적으로 가축의 제각부위에 해당하는 폭으로 개방되면서 제각부위를 전진시키게 되어 회전구동하는 절단휠(10)에 의한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단휠(10)에 의해 절단된 제각부위는 보호커버(20)에 의해 외측으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작업자에게 안전성을 보장하게 되고, 상기 가축의 경우 제각시간이 단시간에 일정하게 절단하도록 되어 그 스트레스를 최소로 받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같이 가축의 제각부위가 절단휠(10)에 의해 절단되게 되면 상기 탄발적으로 회전되어 있던 개폐구(31)(32)에는 외력이 제하여져 탄발스프링(38)의 탄발력에 의해 원위치되면서 개방구(22)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상태로 계속적으로 가축의 제각부위를 제각하는 작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의 가축용 제각장치는 가축의 뿔이나 발굽, 이빨등을 회전구동하는 절단휠에 의해 빠른 시간내에 간단하면서도 그 절단부위가 일정하도록 효과적으로 제각하게 되고 특히 보호커버와 자동개폐수단을 제공하게 되므로 작업자에게는 사용상의 편리성, 안전성이 우수하고 가축에게는 제각에 따른 잇점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며, 또한 제각작업시 가축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가축의 흥분으로 작업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구득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가축의 뿔이나 발굽, 이빨등을 제각하는 장치에 있어서,
    구동수단의 회전구동축(5)상에 결합되어 회전구동하므로 제각작동하는 절단휠(10)과 이 전단휠을 감싸는 형태로 외부에 위치되게 고정설치되는 보호커버(20) 및 이 보호커버의 일측원주상에 일정 크기로 절결개방된 개방구(22)로 제각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작동하는 자동개폐수단(3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제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20)의 상부에는 일측에 개방홈(28)을 형성하도록 탄발적으로 대향되게 돌출형성된 돌출단(26)(26)과 그 중앙에 결합공(29)을 갖는 고정부(25)를 형성하여서 상기 결합공(29)이 구동수단의 플랜지(5a)상에 삽입된 상태로 돌출단(26)(26)상호간을 고정부재(42)에 의해 탄발적으로 가압하여 체결하는 것에 의해 고정설치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제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수단(30)은 보호커버(20)의 개방구(22)중앙에서 외력에 따라 보호커버의 원주상을 따라 탄발적으로 개폐작동하면서 개방작동하는 개폐구(31)(32)가 대향형성되고, 이 개폐구(31)(32)가 상호 접하는 외측에는 중앙에 유도홈(33)을 형성하도록 유도가이더(31a)(32a)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제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31)(32)의 저면에는 고정브라켓(34)이 돌출형성되고, 보호커버(20)의 저부에는 상기 고정브라켓과 동일원주상에 지지브라켓(24)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34)에 고정설치된 가이드봉(35)이 탄발스프링(38)을 삽입설치한 상태로 지지브라켓(24)을 통해 가이드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제각장치.
KR2019980008310U 1998-05-19 1998-05-19 가축용 제각장치 KR200181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310U KR200181776Y1 (ko) 1998-05-19 1998-05-19 가축용 제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310U KR200181776Y1 (ko) 1998-05-19 1998-05-19 가축용 제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450U KR19990041450U (ko) 1999-12-15
KR200181776Y1 true KR200181776Y1 (ko) 2000-06-01

Family

ID=1953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310U KR200181776Y1 (ko) 1998-05-19 1998-05-19 가축용 제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7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7789U1 (ru) * 2024-01-11 2024-08-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расноя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Электропила для срезки пантов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27789U1 (ru) * 2024-01-11 2024-08-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расноя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Электропила для срезки панто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450U (ko) 1999-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7770C (fi) Anordning foer stamkvistning och roejning
DE602004002331T2 (de) Vegetationsästungsvorrichtung
DE2619344C2 (de) Mähvorrichtung
FI117500B (fi) Oksasakset
US4273169A (en) Cable saw for tree harvesting apparatus
AU2847395A (en) Hedge trimmer with combination shearing and sawing blade assembly
BR9708873B1 (pt) mistura fungicida, e, processo para controlar fungos nocivos.
US3364962A (en) Apparatus for removing branches from a tree trunk
DE50109739D1 (de) Mähwerk, Abweisereinrichtung und Fahrzeug bzw. Gerät
KR200181776Y1 (ko) 가축용 제각장치
JPH01211421A (ja) 刈り取り機及びこの刈り取り機のブレード保護器
US5454754A (en) Toe web gland cutting tool
FI881402L (fi) Cirkelsaoghuvud.
US4958670A (en) Tree felling apparatus
US5103881A (en) Log cutting apparatus
CA1172138A (en) Chain saw with wedge-shaped, chain-protecting chain support
US4106194A (en) Cutting means
DE69105493T2 (de) Ästungsvorrichtung.
US4763705A (en) Tree felling apparatus
FR2740939B1 (fr) Lame de coupe rotative a couteaux articules de securite destinee aux faucheuses, tondeuses a gazon, debroussailleuses
FI114279B (fi) Laite kaadetun puun puunoksien karsimiseksi
KR930007451Y1 (ko) 전지가위
FR2627943B1 (fr) Lame de coupe pour faucheuse a rotors, evitant un gauchissement a la rencontre d'un obstacle
DE4122735C2 (de) Vorrichtung zum Ernten und Aufarbeiten von Bäumen
EP0867118B1 (en) Spinal column s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51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1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5

Payment date: 200003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