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0823Y1 - 드립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드립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823Y1
KR200180823Y1 KR2019970039516U KR19970039516U KR200180823Y1 KR 200180823 Y1 KR200180823 Y1 KR 200180823Y1 KR 2019970039516 U KR2019970039516 U KR 2019970039516U KR 19970039516 U KR19970039516 U KR 19970039516U KR 200180823 Y1 KR200180823 Y1 KR 200180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ridge
rust
blocking
dr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6952U (ko
Inventor
성택룡
박용명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39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823Y1/ko
Publication of KR199900269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69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82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후성 강재를 무도장 상태로 사용하는 교량에서 빗물 등에 의한 녹물이 강제주형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미리 차단하여 교각 및 교대 등의 녹물오염과 교좌장치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복부판에 설치되는 드립플레이트(Drip Plate)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빗물 등에 의한 녹물이 교량(1)의 강재주형(20)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미리 차단하여 교각, 교대 및 교좌장치 등의 녹물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드립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교각(10)이 만나는 지점부의 직상부인 강재주형(20)의 좌우양측 복부판(21) 외부면에 장착되고, 양단에 하부로 수직하게 꺽어진 절곡부(101a)를 갖추며, 상기 절곡부(101a)가 접해지는 하부플랜지(23)보다 더 외부로 돌출되고, 위로 볼록한 형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진 제 1차단판(101);과, 상기 절곡부(101a)로 부터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하부플랜지(23)의 상,하부면을 가로지르도록 감싸면서 장착되고, 양단이 상기 복부판(21)에 근접되는 한쌍의 제 2차단판(102a),(102b);을 포함하는 드립플레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립플레이트
본 고안은 내후성 강재를 무도장 상태로 사용하는 교량에서 빗물 등에 의한 녹물이 강제주형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미리 차단하여 교각 및 교대 등의 녹물오염과 교좌장치의 오염을 방지하도록 복부판에 설치되는 드립플레이트(Drip Plat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1)은 도 1과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수직설치되는 교각(10)과, 철근콘크리트상판(22)이 상부에 설치되고, 좌우양측면에 복부판(21)이 장착되어 상기 교각(10)상에 슈(30)를 매개로 수평하게 설치되는 아이(I)형 또는 상자형으로 이루어진 강재주형(20)을 갖추는 한편, 상기 강재주형(20)의 양측면을 구성하는 복부판(21)의 하단부에는 하부플랜지(23)를 갖추어 구성된다.
그리고, 종래의 드립플레이트(25)는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강재주형(20)의 하부플랜지(23)와 복부판(21)의 하단부를 차단하도록 상기 하부플랜지(23)에 설치됨으로서, 상기 복부판(21) 및 하부플랜지(23)의 외부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 및 녹물이 상기 교각(10)이나 슈(30)와 같은 교좌장치측으로 낙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식 및 오염을 예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드립플레이트(25)는 설치구조상 상기 교각(10)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일정거리 떨어진 하부플랜지(5)에 별도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교각(10)과 강재주형(20)이 서로 만나는 지점부인 상기 교각(10)상에 위치한 상기 강재주형의 복부판(21)외부면에서 부터 하부플랜지(23)측으로 흘러내리는 녹물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드립플레이트(25)에 의해서 차단되지 않고 하부로 흘러내리는 빗물,녹물이 상기 교각(10)상 지점부에 고이게 되면, 상기 교각(10)나 교대를 심하게 오염시키거나 상기 교각(10)상부면에 설치되는 상기 슈(30)를 부식시키는 안전상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플랜지(23)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드립플레이트(25)의 양단과 복부판(21)의 양측 외부면은 교량(1)의 구조적인 면을 고려하여 서로 부착되지 않음에 따라, 그 틈새로 모세관현상 등에 의해 빗물,녹물이 차단되지 못하고, 그대로 통과되어 또다른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교각과 만나는 지점부인 강재주형의 복부판 외부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녹물이 교각으로 흐르지 않도록 그 양측으로 유도하고 차단함과 동시에, 강재주형의 하부면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녹물을 차단함으로서 빗물, 녹물에 의하여 하부구조물이 오염,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드립플레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드립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립플레이트를 도시한 전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립플레이트를 도시한 측면도,
도 4(a)는 도 3에서 B-B' 선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4(b)는 도 3에서 C-C' 선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드립플레이트를 설치한 교량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교량 10 ..... 교각
20 ..... 강재주형 21 ..... 복부판
22 ..... 철근콘크리트상판 23 ..... 하부플랜지
25 .... 드립플레이트 30 ..... 슈
100 .... 드립플레이트 101 .... 제 1차단판
101a ... 절곡부 102a,102b .... 제 2차단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빗물 등에 의한 녹물이 교량의 강재주형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미리 차단하여 교각, 교대 및 교좌장치 등의 녹물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드립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교각이 만나는 지점부의 직상부인 강재주형의 좌우양측 복부판 외부면에 장착되고, 양단에 하부로 수직하게 꺽어진 절곡부를 갖추며, 상기 절곡부가 접해지는 하부플랜지보다 더 외부로 돌출되고, 위로 볼록한 형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진 제 1차단판;과, 상기 절곡부로 부터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하부플랜지의 상,하부면을 가로지르도록 감싸면서 장착되고, 양단이 상기 복부판에 근접되는 한쌍의 제 2차단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플레이트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드립플레이트를 도시한 전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드립플레이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드립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제 1,2차단판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드립플레이트를 설치한 교량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드립플레이트(100)는 도 2내지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후성강재를 무도장상태로 사용하는 교량(1)에서 빗물 등에 의한 녹물이 강재주형(20)의 좌우양측면을 구성하는 복부판(21)을 타고 교각과 같은 하부구조물로 흘러내리는 것을 2중으로 미리 차단하면서 지면으로 낙수되도록 유도함으로서, 교량(1)을 구성하는 중요설치물인 교각, 교대 및 교좌장치등과 같은 하부구조물이 흘러내린 녹물에 의하여 오염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드립플레이트(100)는 제 1차단판(101)과 한쌍의 제 2차단판(102a),(102b)으로 구성되는바, 이러한 제 1차단판(101)은 상기 강재주형(20)과 교각(10)이 서로 만나는 각 지점부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강재주형(20)의 좌우 복부판(21)에 대하여 직각으로 각각 용접고정설치되고, 좌우양측은 상기 복부판(21)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 녹물이 직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면서 양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오염원인 빗물,녹물을 지면을 낙수시킬수 있도록 상부면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양측이 하부로 경사진 위로 볼록한 판부재형상으로 상기 복부판(21)의 외부면에 용접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차단판(101)은 상기 복부판(21)의 하단에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하부플랜지(23)보다 더 돌출되도록 설치되어야 하고, 그 양단에는 직각으로 꺽어진 절곡부(101a)를 갖추고, 상기 절곡부(101a)는 하부플랜지(23)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차단판(101)의 절곡부(101a)와 하부플랜지(23)가 만나는 지점으로 부터 일정거리에 위치에 장착되는 설치되는 제 2차단판(102a),(102b)은 상기 복부판(21)의 하단에 수평하게 설치된 하부플랜지의 상,하부면을 가로지르도록 그 외부면에 직각으로 감싸면서 장착되고, 양단은 상기 복부판(21)에 근접하도록 설치됨으로서, 상기 제 1차단판(101)에 의해서 미처 차단하지 못한 빗물,녹물과, 상기 강재주형(20)의 하부플랜지(23)하면을 타고 상기 교각(10)의 지점부로 흐르는 빗물,녹물을 차단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강재주형(20)의 좌우측 외부면을 구성하는 복부판(21)에 제 1차단판(101)을 설치하고, 그 하부측 하부플랜지(23)에 한쌍의 제 2차단판(102a),(102b)을 각각 설치하면, 위로 볼록한 판부재형상으로 양단에 수직한 절곡부(101a)를 갖는 상기 제 1차단판(101)이 교량(1)의 중요 하부구조물인 교각(10)의 직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복부판(21)의 외부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복부판(12)의 외부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나 녹물을 상기 교각(10)과 같은 하부구조물이나 교좌장치에 까지 이르지 않도록 상기 교각(10)의 좌우측으로 유도하여 빗물이나 녹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차단판(101)의 굴곡진 상부면을 타고 양단 절곡부(101a)까지 유도된 녹물은 상기 절곡부(101a)와 하부플랜지(23)가 만나는 지점에서 곧바로 하부로 떨어지게 되고, 여기서 바닥면으로 미처 낙수되지 않은 빗물,녹물은 상기 절곡부(101a)로 부터 근접한 위치에서 하부플랜지(23)의 상,하부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한쌍의 제 2차단판(102a),(102b)에 의해서 차단되고, 하부구조물까지 이르지 않도록 낙수됨으로서, 상기 강재주형(20)을 하부측에서 지지하는 중요한 하부구조물인 상기 교각(10), 교대 및 슈(30)와 같은 교좌장치가 흘러내리는 빗물, 녹물에 의하여 오염되거나, 오염된 녹물에 의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교각(10)과 만나는 강재주형(20)의 복부판(21)에 양단에 위로 볼록한 판부재의 양단에 절곡부(101a)를 형성한 제 1차단판(101)을 갖추고, 하부플랜지(23)의 상,하부면을 가로지르도록 한쌍의 제 2차단판(102a),(102b)를 갖춤으로서, 상기 복부판(21)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녹물을 하부구조물에 이르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좌우양측으로 유도함과 동시에 하부플랜지(23)와 만나는 절곡부(101a)에서 지면으로 떨어뜨리고, 강재주형(20)의 하부플랜지(23) 하부면을 타고 흐르는 빗물,녹물도 지면으로 낙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빗물이나 녹물에 의해서 교량(1)의 중요 하부구조물인 교각(10), 교대 및 교좌장치가 오염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교량구조물의 내구성,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고, 교각(10)이 녹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상 측면에서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빗물 등에 의한 녹물이 교량(1)의 강재주형(20)을 타고 흘러내리는 것을 미리 차단하여 교각, 교대 및 교좌장치 등의 녹물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드립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교각(10)이 만나는 지점부의 직상부인 강재주형(20)의 좌우양측 복부판(21) 외부면에 용접설치되고, 양단에 하부로 수직하게 꺽어진 절곡부(101a)를 갖추며, 상기 절곡부(101a)가 접해지는 하부플랜지(23)보다 더 외부로 돌출되고, 위로 볼록한 형상의 판부재로 이루어진 제 1차단판(101);과, 상기 절곡부(101a)로 부터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하부플랜지(23)의 상,하부면을 가로지르도록 감싸면서 장착되고, 양단이 상기 복부판(21)에 근접되는 한쌍의 제 2차단판(102a),(102b);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플레이트.
KR2019970039516U 1997-12-22 1997-12-22 드립 플레이트 Expired - Fee Related KR200180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516U KR200180823Y1 (ko) 1997-12-22 1997-12-22 드립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516U KR200180823Y1 (ko) 1997-12-22 1997-12-22 드립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952U KR19990026952U (ko) 1999-07-15
KR200180823Y1 true KR200180823Y1 (ko) 2000-05-15

Family

ID=1951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516U Expired - Fee Related KR200180823Y1 (ko) 1997-12-22 1997-12-22 드립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8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877A (ko) * 2001-12-21 2003-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교량의 녹물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6952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8370B1 (en) Labyrinth weir and pool fishway
CA2001930C (en) Roadway water drainage installation
KR101026253B1 (ko) 플로팅월
KR200180823Y1 (ko) 드립 플레이트
JP2019148156A (ja) 排水溝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79735B1 (ko) 배수구 덮개
KR200422723Y1 (ko) 수퍼 그레이팅.
KR20130092841A (ko) 교면 배수구조를 갖는 배수로
KR101341349B1 (ko) 스틸 그레이팅
KR101740960B1 (ko) 부력을 이용한 수방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210368620U (zh) 一种桥梁伸缩机构及桥梁
KR10078206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로 이루어진 보도부를 이용한교량의 배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060072720A (ko) 교량의 배수 시스템
KR200322645Y1 (ko) 압연 강재 그레이팅
KR102498890B1 (ko) 투과형 징검다리
CN215441384U (zh) 一种具有排水功能的铝合金天桥
CN222375191U (zh) 一种渡槽人行道板结构
KR200313636Y1 (ko) 교량 하부 점검용 난간
KR101790535B1 (ko) 빗물 유도기 및 빗물 유도기가 장착되는 그레이팅
KR20200085442A (ko) 교량보호장치
KR100566604B1 (ko) 소하천의 수로 보호용 시설물의 구조
KR200253295Y1 (ko) 분할판이 형성된 낙차 맨홀
CN215289695U (zh) 一体化桥面抗裂连续装置
JP2011231531A (ja) トンネル面導水工法のグレーチング側溝による流末処理設備
CN209907184U (zh) 一种用于耐候钢组合梁桥的梁端防、排水构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22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9122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2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9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