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0737Y1 -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 Google Patents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737Y1
KR200180737Y1 KR2019990026418U KR19990026418U KR200180737Y1 KR 200180737 Y1 KR200180737 Y1 KR 200180737Y1 KR 2019990026418 U KR2019990026418 U KR 2019990026418U KR 19990026418 U KR19990026418 U KR 19990026418U KR 200180737 Y1 KR200180737 Y1 KR 200180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at
incision
sunshade
cen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수
신인오
Original Assignee
김재수
신인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수, 신인오 filed Critical 김재수
Priority to KR2019990026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7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73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8Hats; Caps; Hoods made from a flat shee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8Coverings for protecting hats, caps or hoods against dust, rain, or sunshine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5Hats; Caps; Hoods made of separable par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에 관한 것으로, 대략 타원형의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앙부분까지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시킨 절개부(20)와, 상기 부채꼴 형상의 절개부(20) 좌우에 형성시킨 체결수단(30)과,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심 좌우에 구멍(41)을 형성하여 밴드(42)를 결합시킨 밴딩부(4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앙에 결합시킨 부착수단(50)으로 구성하므로 운동경기 관람이나 야외에서 햇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회용 조립 모자를 햇빛가리개로도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자의 착용 후에 쉽게 벗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Equipped with cap a sun visor}
본 고안은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에 관한 것으로, 간단하게 조립하여 모자로 사용하거나 햇빛가리개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자는 단순히 패션으로 사용되거나 동절기에 방한용으로 사용되며 또는 운동경기 관람이나 야외에서 간편하게 햇빛을 차단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게된다.
특히, 운동경기 관람이나 야외에서 햇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간편하게 사용하는 모자의 경우에는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조립하여 햇빛을 차단하는 모자로 사용하고 사용 후 폐기함으로써 쓰레기를 대량으로 양산할 뿐만 아니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모자는 주로 일회용으로 사용되고 있고 있으며 모자의 착용시 바람 등에 의하여 쉽게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운동경기 관람이나 야외에서 햇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회용 조립 모자를 햇빛가리개로도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모자 겸용 햇빛가리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자의 착용 후에 쉽게 벗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를 나타낸 평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를 나타낸 저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10; 플레이트
20; 절개부 21; 가이드절개부
30; 체결수단 31; 체결편
32; 체결공 40; 밴딩부
41; 구멍 42; 밴드
50; 부착수단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는 대략 타원형의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부분까지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시킨 절개부와, 상기 부채꼴 형상의 절개부 좌우에 형성시킨 체결수단과,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 좌우에 구멍을 형성하여 밴드를 결합시킨 밴딩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중앙에 결합시킨 부착수단으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의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1)는 대략 타원형의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앙부분까지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시킨 절개부(20)와, 상기 부채꼴 형상의 절개부(20) 좌우에 형성시킨 체결수단(30)과,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심 좌우에 구멍(41)을 형성하여 밴드(42)를 결합시킨 밴딩부(4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앙에 결합시킨 부착수단(50)으로 구성한다.
상기 플레이트(10)는 약간의 탄성을 유지하는 종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20)는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하되 중심부분에 원호 상으로 가이드절개부(20)를 형성하여 플레이트(10)의 절개부(20) 양단이 원활하게 중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절개부(20)의 위치는 전, 후, 좌, 우 어느 위치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체결수단(30)은 매직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 도 있으나 간단하게 절개부(20)의 일측단에 체결편(31)을 형성하고 절개부(20)의 타측 중첩 위치에 체결편(31)에 대응되는 체결공(32)을 형성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체결편(31)은 절개부(20)의 단부에 대하여 약간 전방으로 기울게 하고 체결공(32)은 평행 되게 형성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딩부(40)는 플레이트(10)의 중심 좌우에 좌우구멍(41)에 밴드(42)를 결합시키되 밴드(42)기 폐곡상태가 되도록 상호 연결하여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수단(50)은 통상의 유리 면에 부착하는 접시 형상의 실리콘 캡이나 연질 합성수지 캡을 부착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동경기 관람이나 야외에서 각종 행사를 진행 할 때 햇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모자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플레이트(10)의 절개부(20)를 중첩시킨다.
이때, 절개부(20)의 플레이트(10) 중앙 측에 가이드절개부(21)가 형성되어 중첩이 용이하다.
여기서 플레이트(10)의 절개부(20) 부분에 형성된 체결공(32)에 체결편(31)을 삽입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따라서, 플레이트(10)가 삿갓형상을 형성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구멍(41)에 결합된 밴드(42)를 턱에 끼워 착용하도록 한다.
또, 내부에 부착수단(50)이 내부에서 미끄러짐을 억제하게되므로 착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체결편(31)이 절개부(20)의 단부에 대하여 약간 전방으로 기울게 하고 체결공(32)은 평행 되게 형성하므로 체결편(31)이 체결공(32)에 삽입 후 걸리게 되므로 체결 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킨다.
한편, 모자의 사용이 완료되면 다시 체결수단(30)을 분리하고 플레이트(10)가 평면화 되면 부착수단(50)을 이용하여 차량의 유리 등에 부착하여 햇빛가리개로 사용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1)는 대략 타원형의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앙부분까지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시킨 절개부(20)와, 상기 부채꼴 형상의 절개부(20) 좌우에 형성시킨 체결수단(30)과,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심 좌우에 구멍(41)을 형성하여 밴드(42)를 결합시킨 밴딩부(4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앙에 결합시킨 부착수단(50)으로 구성하므로 운동경기 관람이나 야외에서 햇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회용 조립 모자를 햇빛가리개로도 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자의 착용 후에 쉽게 벗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착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대략 타원형의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앙부분까지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시킨 절개부(20)와,
    상기 부채꼴 형상의 절개부(20) 좌우에 형성시킨 체결수단(30)과,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심 좌우에 구멍(41)을 형성하여 밴드(42)를 결합시킨 밴딩부(40)와,
    상기 플레이트(10)의 중앙에 결합시킨 부착수단(5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20)는 부채꼴 형상으로 절개하되 중심부분에 원호 상으로 가이드절개부(20)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30)은 절개부(20)의 일측단에 체결편(31)을 형성하고 절개부(20)의 타측 중첩 위치에 체결편(31)에 대응되는 체결공(32)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여기서 체결편(31)은 절개부(20)의 단부에 대하여 약간 전방으로 기울게 하고 체결공(32)은 평행 되게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KR2019990026418U 1999-11-29 1999-11-29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Expired - Fee Related KR200180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418U KR200180737Y1 (ko) 1999-11-29 1999-11-29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418U KR200180737Y1 (ko) 1999-11-29 1999-11-29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737Y1 true KR200180737Y1 (ko) 2000-05-15

Family

ID=1959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418U Expired - Fee Related KR200180737Y1 (ko) 1999-11-29 1999-11-29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7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45572A1 (en) Cap for allowing decoration with assembly block or toy
EP1095577A3 (de) Visier für einen Helm, insbesondere einen Motorradhelm
USD567450S1 (en) Helmet
US20020004946A1 (en) Visor attachment assembly for helmet
USD406404S (en) Smoothed forehead-pentagonal nose and chin racing helmet with ventilation openings and window
CA2375981A1 (en) Cap with stretchable band
US6889391B1 (en) Safety visor
WO2005081928A3 (en) Laser wristband sheet with embedded closure mechanism
KR200180737Y1 (ko) 햇빛가리개 겸용 모자
USD406403S (en) Smoothed forehead-rounded nose and chin racing helmet with ventilation openings and window
USD482843S1 (en) Scarf and headwear with pocket for retaining hair
USD413495S (en) Tree protector
KR200242720Y1 (ko) 1회용 조립모자
JP3012598U (ja) 打楽器を一体に有する手袋
GB2344286A (en) Umbrella tip and rib arrangement
JP3157657U (ja) 帽子
USD481072S1 (en) Fishing knot learning center
KR200185173Y1 (ko) 선바이저 기능을 구비한 모자
KR960005343Y1 (ko) 모자의 트림 고정구조
JP3053118U (ja) スカーフ留め
KR200335686Y1 (ko) 보조 차양을 갖는 모자
JPH1150326A (ja)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用日差しよけ
KR960002611Y1 (ko) 차양모용 밴드체결구
JPH0354114Y2 (ko)
JPH10238528A (ja) 開閉式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112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11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12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