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0068Y1 - 커텐봉 지지구 - Google Patents

커텐봉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068Y1
KR200180068Y1 KR2019990025058U KR19990025058U KR200180068Y1 KR 200180068 Y1 KR200180068 Y1 KR 200180068Y1 KR 2019990025058 U KR2019990025058 U KR 2019990025058U KR 19990025058 U KR19990025058 U KR 19990025058U KR 200180068 Y1 KR200180068 Y1 KR 2001800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rod
fixed
curtain
lifting body
lif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5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창기
Original Assignee
허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창기 filed Critical 허창기
Priority to KR2019990025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0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0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06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2Adjustable mountings
    • A47H1/122Adjustable mountings for curtain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02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for mounting curtain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1/00Curtain suspension devices
    • A47H1/10Means for mounting curtain rods or rails
    • A47H1/14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 A47H1/142Brackets for supporting rods or rails for supporting rods

Landscapes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텐봉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텐봉 지지구에 커텐봉을 설치하기 위해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정구의 결합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커텐봉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커텐봉 지지구에 커텐봉 이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브라인더, 버티컬, 레일커텐, 목봉커텐등과 같은 차양막을 고정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커텐봉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체 (4)와 고정체(4)와 결합되는 승강체(6)와 승강체(6)에 고정되어 커텐봉(8)을 지지하는 고정구(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커텐봉(8)을 지지하는 통상의 고정구(10)를 승강체(6)의 전면에 고정설치하되, 승강체(6)의 내측요입홈(40)에 뚫린 장공(42)과 삽입공(44)을 통해 피스(46)로 고정구(10)를 결합하고, 상기 승강체(6)는 고정판 (12)과 일체로 된 고정체(4)의 하부삽입홈(16)내로 끼워 고정체(4)의 양측부에 형성된 눌름부(22)의 걸림턱(24)이 삽입된 승강체(6)의 양측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걸림부(30)에 탄력고정되게 함으로서 고정체(4)내에서의 승강체(6) 작동에 커텐봉(8)의 높낮이를 누구나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체(6)의 아래단부에는 결합돌기(32)가 형성된 결합부(34)에 연결부재(38)를 끼워 고정하고, 상기 연결부재(38)의 저면에 형성된 통공(52)과 결합공(50)을 통하여 브라인드, 버티컬, 목봉커텐, 레일커텐등의 차양막을 결합하여다양하게 변화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커텐봉 지지구{Supporting device for curtain}
본 고안은 커텐봉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텐봉 지지구에 커텐봉을 설치하기 위해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정구의 결합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커텐봉의 높낮이 조절을 사용자가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도록하고, 커텐봉 지지구에 커텐봉 이외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브라인더,버티컬, 레일커텐, 목봉커텐등과 같은 차양막을 고정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커텐봉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커텐봉 지지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텐봉 (100)을 지지하는 고정구(102)와, 상기 고정구(102)와 결합하는 고정체(104)로 구성되어 있다.
즉, 고정구(102)의 일측에는 커텐봉(100)을 지지하는 안치부(106)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승강부(108)가 일체로 형성함에 있어서 승강부(108)의 내측에는 삽입홈(110)이 형성되고, 외측의 양측벽에는 눌름부(11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홈 (110)내에 삽입되는 고정체(104)의 걸림부(114)에 눌름부(112)가 탄지되어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걸림부(114)는 고정체(104)의 양측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 고정구(102)가 고정체(104)의 외측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고, 상기 고정체(104)의 상부에는 고정판(116)이 전후로 돌출 형성되어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커텐봉 지지구는 커텐봉을 지지하는 고정구가 승강부와 일체로 형성되여 다소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봉의 굵기에 따라 고정구를 교체하여 사용시 커텐봉 지지구의 구조상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정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설치되는 봉의 굵기에 고정구를 새로 사출 성형해야하므로 그에 따른 제작경비가 소요되고 단가상승으로 사용자가 사용하기에는 다소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 또한 커텐박스내에 설치할 경우 지지구의 고정판이 커텐박스의 천정으로부터 폭방향으로 고정됨에 따라 후미에 설치되는 이중레일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고, 고정체에 결합된 고정구가 승강시 고정체의 아래 단부 프레임이 노출되게 되므로 외관상 미려하지 못한 것이었다.
그리고 상기 커텐봉 지지구는 봉으로 된 커텐이외는 다른 차양막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으므로 미적효과를 다양하게 변화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이 있는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 단점을 해결하여 커텐봉을 지지하는 고정구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고 다양한 차양막등을 결합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커텐봉 지지구룰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커텐봉을 지지하는 통상의 고정구를 승강체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의 전면에 고정 설치하되 승강체의 내측 요입홈에 뚫린 장공과 삽입공을 통해 피스로 고정구를 용이하게 결합 고정하고, 상기 승강체는 고정판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체의 하부 내측의 삽입홈내로 삽입되게하여 고정체의 양측부에 돌출 형성된 눌름부가 삽입된 승강체의 양측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걸림부에 치합 고정되게 함으로서 고정체내에서 승강체(6)의 높낮이조절이 용이하도록한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승강체의 아래 단부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결합부의 외측으로 끼워진 연결부재의 하부에 커텐봉의 차양막을 결합하여 다른 미적효과를 가지도록 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타실시예로서 승강체에 연결부재를 분리한 사시도
도 4 : 본 고안의 단면상태도
도 5 :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6 : 본 고안의 타실시예로서 승강체의 전후부에 고정구를 결합한 측면도
도 7 : 본 고안의 타실시예로서 연결부재에 목봉브라켓을 결합한 단면상태도
도 8 : 본 고안의 타실시예로서 연결부재에 레일을 결합한 단면상태도
도 9 : 종래 고안의 사시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커텐봉 지지구 (4)--고정체
(6)--승강체 (8)--커텐봉
(10)--고정구 (12)--고정판
(14)--고정구멍 (16)--삽입홈
(18)--안내돌출부 (20)--절개부
(22)--눌름부 (24)--걸림턱
(26)--경사면 (28)--수평면
(30)--걸림부 (32)--결합돌기
(34)--결합부 (36)--피스홈
(38)--연결부재 (40)--요입홈
(42)--장공 (44)--삽입공
(46)--피스 (48)--개방부
(50)--결합홈 (52)--통공
(54)--결합공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커텐봉 지지구(2)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체(4)와 고정체(4)에 겹합되는 승강체(6)와 승강체(6)에 고정되어 커텐봉(8)을 지지하는 고정구(10)로 구성된다.
즉 고정체(4)의 상부에는 고정판(12)이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고정체(4)의 좌우로 돌출되게 하고, 그 양측에는 고정구멍(14)을 뚫어 천정이나 벽면에 고정하게 되고, 고정판(12)과 일체로된 고정체(4)는 고정판(12)의 하부 중앙으로부터 하향수직 형성하여 승강체(6)가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16)을 형성하고, 삽입홈(16)내의 전후벽에는 안내돌출부(18)를 돌출구성하여 삽입된 승강체(6)가 상하로 이동할 때 안내레일의 역할을 하게된다.
또한 고정체(4)의 하부 양측에는 절개부(20)가 형성된 눌름부(22)를 상부 대각선방향으로 돌출구성하고, 눌름부(22)의 아래 단부에는 걸림턱(24)을 형성하여 고정체(4)에 결합하는 승강체(6)을 탄지 고정하게된다.
상기 고정체(4)에 결합하는 승강체(6)는 H자형의 프레임으로 구성하되, 승강체(6)의 양측부에는 톱날형태의 경사면(26)과 수평면(28)으로 이루어진 걸림부(30)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므로 승강체(6)의 상하이동시 높낮이조절이 용이하고, 걸림부(30)의 아래 단부에는 걸림부(30)보다 다소 외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32)가 형성된 결합부(34)를 형성하되 결합부(34)의 저면 중앙에는 피스홈(36)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34)에 연결부재(38)의 결합으로 다른 차양막을 설치 사용토록하고, 걸림부(30)와 결합부(34)의 내측에는 요입홈(40)을 형성하되 요입홈(40)에는 다소 길게 관통된 장공(42)과 그 아래에는 삽입공(44)을 형성하여 승강체(6)의 전면에 커텐봉(8)을 지지하는 통상의 고정구(10)를 피스(46)로 고정토록 함으로서 커텐봉(8)의 굵기에 따른 고정구(1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타실시예의 분해사시도로서 고정체(4)에 결합되는 승강체 (6)의 겹합부(34)에는 연결부재(38)를 결합하되, 연결부재(38)의 상부에 개방부 (48)를 형성하고, 개방부(48)의 좌우측에 결합홈(50)을 형성하여 상기 승강체(6)의 결합부(34)에 끼워 고정하고, 연결부재(38)의 하부 저면에는 통공(52)을 형성하고, 통공(52)의 양측에는 결합공(54)을 형성함으로서 브라인드, 레인케텐등과 같은 차양막을 결합하여 사용토록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56)는 커텐박스, (58)는 이중레일, (60)는 커텐, (62)는 너트, (64)는 고정부, (66)는 피스공, (68)는 브라켓, (70)(76)는 고정편, (72)(78)는 피스, (74)는 레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천정이나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할수도 있으나, 주로 커텐박스(56)내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커텐박스(56) 저면에 고정체(4)의 상부에 구성된 고정판(12)을 이중레일 (58)과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커텐박스(56)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시킨 다음 피스 등으로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체(4)에 구성된 삽입홈(16)상에 고정구(10)가 체결고정된 승강체(6)를 끼워 설치한 다음, 고정구(10)상에 커텐(60)이 결합된 커텐봉(8)을 안치하여 사용하게된다.
이때 설치된 커텐(60)의 길이 즉 높낮이를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고정체(4)의 삽입홈(16)에 결합된 승강체(6)를 올리고 내리는 작동에 의해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게된다.
즉 커텐(60)의 설치위치를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체(4)의 삽입홈(16)에끼워진 승강체(6)를 밀어 올리면 승강체(6)측부에 구성된 걸림부(30)가 고정체(4)의 삽입홈(16) 양측 입구부에 탄력 구성된 걸림턱(24)을 외측방향으로 확개시키면서 상승하게 되고, 이때 걸림턱(24)의 확장을 걸림부(30)의 경사면(26)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작동으로 승강체(6)가 필요한 높이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외력을 가하여 밀어 올리던 승강체(6)로부터 외력를 제거하면 승강체(6)의 상승이 정지하게 되고 동시에 승강체(6)의 걸림부(30)가 고정체(4)의 걸림턱(24)에 걸려 고정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커텐(60)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체(4) 하단 양측부에 구성된 눌름부(22)를 누르면 절개부(20)에의해 걸림턱(24)이 외측 방향으로 확장되면서 승강체(6)의 걸림부(30)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동시에 승강체(6)를 아래로 당겨 내리면 아무런 저항없이 고정체(4)로부터 승강체(6)가 하강하게 되고, 필요한만큼 하강 되었다고 판단되면 승강체(6)를 아래로 당겨 내리는 동작을 멈추고 눌름부(22)를 누르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면 외측으로 확장되었던 걸림턱(24)은 내측으로 원복하면서 승강체(6)의 걸림부(30)와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고정체(4)의 삽입홈(16)상에 다시 승강체(6)가 견고히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필요에 따라 고정체(4)로부터 승강체(6)를 신속용이하게 승강시킬수 있어 커텐봉(8)에 설치된 커텐(60)의 높낮이를 누구나 쉽게 조정할 수 있게된다.
또한 사용중 커텐봉(8)의 굵기가 굵어 승강체(6)에 결합된 고정구(10)와 잘맞지 않을 경우에는 이에 맞는 기존 사용되고 있는 고정구(10)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즉 승강체(6)에 결합된 고정구(10)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들을 고정하고 있는 피스(46)와 너트(62)를 풀어낸 다음 커텐봉(8)의 굵기와 일치하는 고정구 (10)를 위치시킨 다음 피스(46)와 너트(62)를 죄어 이들이 결합하게 하면된다.
이때 고정구(10)의 고정부(64)상의 상하에 형성된 피스공(66)의 위치가 달라지게 되더라도 승강체(6)의 요입홈(40)에 장공(42)이 길게 구성되어 있어, 고정구 (10)의 피스공(66) 위치와는 관계없이 체결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커텐봉 지지구(2)를 사용함에 있어서, 커텐봉(8)을 사용하지 않고 버티컬, 브라인더, 목봉커텐, 레일커텐등의 차양막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승강체(6)로 고정구(10)를 분리한 다음, 승강체(6) 하단에 구성된 결합부(34)의 결합돌기(32)가 연결부재(38)에 구성된 결합홈(50)에 끼워지게 하면 연결부재(38)가 승강체(6)하단에 결합이 완료된 다음 연결부재(38)의 저면에 형성된 통공(52)과 결합공 (54)을 통하여 버티컬, 브라인더, 목봉커텐, 레일커텐등의 차양막을 설치사용할수 있게된다.
즉 상기에 따른 실시예로서 도 7와 도 8에서와 같이 목봉커텐을 설치할 경우에는 목봉의 브라켓(68)을 지지하는 고정편(70)을 승강체(6)에 결합된 연결부재 (38)의 통공(52)을 통하여 승강체(6)의 결합부(34) 저면에 형성된 피스홈(36)에 피스(72)로 체결고정하므로서 설치가 완료되고, 또한 레인커텐을 설치할 경우에도 레일(74)을 지지하는 고정편(76)을 승강체(6)에 결합된 연결부재(38)의 결합공(54)을통하여 피스(78)로 체결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차양막의 높낮이 조정도 위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고정체(4)의 삽입홈 (16)에 끼워진 승강체(6)를 이용하여 신속 용이하게 조정할 수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커텐의 높낮이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고, 커텐봉의 굵기에 따라 지지하는 고정구의 교체가 용이하고, 또한 커텐봉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브라인더, 버티컬, 레일커텐 등과 같은 차양막을 커텐봉 지지구에 결합하여 다양하게 변화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천정면이나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체와, 고정체에 결합하여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승강체와, 승강체에 고정되어 커텐봉을 지지하는 고정구로 구성된 커텐봉 지지구에 있어서, 고정체(4)의 하부삽입홈(16) 양측으로 걸림턱(24)을 갖는 눌름부(22)를 형성하고, 승강체(6)의 양측으로 복수개의 경사면(26)과 수평면(28)을 갖는 걸림부(30)을 형성하여 고정체(4)의 걸림턱(24)에 걸림되게 하여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고, 승강체(6)의 장공(42)과 삽입공(44)으로 고정구(10)를 체결시켜 커텐봉(8)의 굵기에 따라 고정구(10)를 교체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텐봉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승강체(6)의 하부에 결합부(34)을 형성하고, 결합부(34)에 차양막을 체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38)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텐봉 지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체(4) 상부에 일체로 된 고정판(12)의 길이방향과 커텐봉(8)의 길이방향이 서로 평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텐봉 지지구.
KR2019990025058U 1999-11-16 1999-11-16 커텐봉 지지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1800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058U KR200180068Y1 (ko) 1999-11-16 1999-11-16 커텐봉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5058U KR200180068Y1 (ko) 1999-11-16 1999-11-16 커텐봉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068Y1 true KR200180068Y1 (ko) 2000-04-15

Family

ID=1959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5058U Expired - Fee Related KR200180068Y1 (ko) 1999-11-16 1999-11-16 커텐봉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068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1308A (ko) * 2004-12-07 2004-12-31 안은로 커튼레일
KR101235354B1 (ko) * 2010-10-15 2013-02-20 주식회사 유일 길이조절이 가능한 커튼행거
KR101834126B1 (ko) 2017-08-25 2018-02-28 표혜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방 걸이
WO2018066888A1 (ko) * 2016-10-06 2018-04-12 최종오 차양막 현가장치
DE102023116289A1 (de) * 2023-06-21 2024-12-24 Michael Veith Stabilisationsvorrichtung für eine Haltevorrichtung für einen Duschvorhang, Haltevorrichtung, und Verwendung der Stabilisationsvorrichtung zum Stabilisieren einer Haltevorrichtung für einen Duschvorha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11308A (ko) * 2004-12-07 2004-12-31 안은로 커튼레일
KR101235354B1 (ko) * 2010-10-15 2013-02-20 주식회사 유일 길이조절이 가능한 커튼행거
WO2018066888A1 (ko) * 2016-10-06 2018-04-12 최종오 차양막 현가장치
KR101834126B1 (ko) 2017-08-25 2018-02-28 표혜란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가방 걸이
DE102023116289A1 (de) * 2023-06-21 2024-12-24 Michael Veith Stabilisationsvorrichtung für eine Haltevorrichtung für einen Duschvorhang, Haltevorrichtung, und Verwendung der Stabilisationsvorrichtung zum Stabilisieren einer Haltevorrichtung für einen Duschvorha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1176B1 (en) Supporting means for a screening device
KR200437337Y1 (ko) 벽면부착식 조립선반
KR101789740B1 (ko) 창문이탈 방지 장치
TW201524433A (zh) 窗簾托架
CN207355784U (zh) 包括抽屉侧壁和保持件的组件系统及相应的抽屉
KR200180068Y1 (ko) 커텐봉 지지구
CN1431882A (zh) 浴室隔断和用于该隔断的型材
JP4722154B2 (ja) オフセット引戸用ガイド
US6659154B2 (en) Valance with adjustable mounting features
KR200476923Y1 (ko) 창틀용 차양
WO2022021563A1 (zh) 一种可调的门框组件和安装方法及淋浴门安装结构
KR200231715Y1 (ko) 건물의 천장판 시공장치
KR200387950Y1 (ko) 케노피 지붕구조물에 설치되는 차양판 지지용 마감골재
KR20220070630A (ko) 칸막이 장착장치
JP3074677U (ja) カーテンレール支持具
KR20030062654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커텐걸이구
CN222228325U (zh) 一种简洁拉杆
KR200321255Y1 (ko) 조립 선반
KR200326615Y1 (ko) 창문용 프레임
KR20180003387U (ko) 블라인드 고정용 브라켓
KR200498861Y1 (ko) 창문 이탈 방지장치
KR102795999B1 (ko) 높이 가변이 용이한 블라인드 및 커튼 설치용 고정장치
KR200325635Y1 (ko) 복층유리 장착 블라인드
CN210564283U (zh) 一种用于连接窗帘拉线的安装件
KR20110107949A (ko) 폭 조절이 가능한 커튼레일용 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11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11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00501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13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1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