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79566Y1 - 가스구이장치 - Google Patents

가스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566Y1
KR200179566Y1 KR2019990027490U KR19990027490U KR200179566Y1 KR 200179566 Y1 KR200179566 Y1 KR 200179566Y1 KR 2019990027490 U KR2019990027490 U KR 2019990027490U KR 19990027490 U KR19990027490 U KR 19990027490U KR 200179566 Y1 KR200179566 Y1 KR 200179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burner
roasting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4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평기
Original Assignee
정평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평기 filed Critical 정평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5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가스구이장치는 전,후면 패널 및 양측면에 의해 형성된 연소 영역과 좌,우측에 각각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이 형성된 하우징과, 연소실의 중심에 설치되고 양측면에 화구들이 형성된 버너과, 버너의 상,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에어관과, 하우징의 전면 패널에 결합되는 그리고 하우징의 전면 패널과 함께 그리고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과 연통되는 흡입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흡입 덕트와,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과, 윗면에 구이 대상물들을 놓는 그리고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된 받침턱에 위에 놓여지는 구이판 및 흡입 덕트와 제 1 및 제 2 에어관을 연결하여 공기가 연소 영역,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 흡기 영역, 제 1 및 제 2 에어관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스구이장치{A GAS ROASTER}
본 고안은 가스를 사용하는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음식점 등에서 테이블에 설치하고, 가스를 사용하여 육류, 어패류 등을 조리하기 위한 가스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장치는 테이블 중앙에 위치하여 음식의 조리와 동시에 먹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스구이장치를 통하여 육류를 조리할 경우 육류는 버너의 화력에 의해 직접 또는 복사열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되면서 익게 된다.
종래 가스구이장치는 가스 연소실로 구성되는 연소실의 상부에 그릴이 배치되어 연소실로부터 상승하는 열이 그릴에 놓인 육류를 가열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때, 육류 가열시 발생되는 냄새와 연기는 구이장치 상부의 실내공간으로 배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이 장치의 상부에 배기덕트를 설치하여 외부로 연기와 냄새를 배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육류가열시 발생되는 냄새와 연기를 포함하는 연소공기가 내부로 순환되면서 정화되어 연소실내에 재공급되도록 실내에 육류를 굽는 냄새나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부 순환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가스구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가스구이장치(500)는 하우징(510), 버너(530), 그리고 구이판(55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가스구이장치(500)는 상기 하우징(510)의 외부에 설치된 상기 팬(미도시됨)을 사용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조를 갖고 있다. 그리고 버너(530)는 상기 하우징(510)의 양측에 형성된 영역(a)상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종래 가스구이장치(500)는 물통(560)의 착탈방향이 전면방향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하우징(510)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팬 또는 가스공급관, 가스콕 등의 장치가 설치되는 되기 때문에, 하우징(510)의 전면에서 물통을 착탈하기가 불편했다.
그리고, 종래 가스구이장치(500)는 버너(530)가 상기 하우징(510)의 순환 영역(a;공기가 흐르는 영역) 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순환 영역을 흐르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상기 버너(530)의 불이 꺼지거나, 화력이 약해지게 되고, 그 결과 구이판(550)의 온도가 불균일해져 구이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체크하기 위하여 상기 버너(530)에 서모커플이(thermocouple; 미도시됨)를 설치하고는 있지만, 서모커플이의 가격이 비싸고 설치의 어려움으로 제품의 단가가 올라가게 되는 문제로 양쪽 모두 설치하지 못하고 한쪽 버너에만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완벽하게 버너의 점화 상태를 체크하기 위해서는 버너 하나에 최소한 2개 이상의 서모커플이를 설치해야 하지만 그럴 경우 제품의 단가가 상승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서모커플이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이나 다른 쪽 버너에서 불이 꺼진 경우에는 그것을 감지하기 어려워, 불이 꺼진 버너의 화구에서 생가스가 분출되면서 심한 경우에는 가스폭발의 위험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순차적으로 순환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버너의 불이 꺼지거나 화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가스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가스구이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구이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구이장치의 외관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구이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구이장치의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스구이장치 12 : 하우징
14 : 전면 패널 16 : 후면 패널
20 : 흡입홀 22 : 관통홀
24 : 삽입홀 30 : 버너
32 : 화구 40 : 제 1 에어관
42,46 : 분기공 44 : 제 2 에어관
50 : 흡기 덕트 52 : 관통홀
60 : 상판 70 : 구이판
80 : 물받이통 받침대 82 : 물받이통
90 : 팬모터 92 : 배기 덕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가스를 사용하는 구이장치는 전,후면 패널 및 양측면에 의해 형성된 연소 영역과 좌,우측에 각각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연소실의 중심에 설치되고 양측면에 화구들이 형성된 버너과; 상기 버너의 상,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에어관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패널에 결합되는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 패널과 함께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과 연통되는 흡입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흡입 덕트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과; 윗면에 구이 대상물들을 놓는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된 받침턱에 위에 놓여지는 구이판 및; 상기 흡입 덕트와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을 연결하여 공기가 상기 연소 영역,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 흡기 영역, 제 1 및 제 2 에어관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수단은 상기 흡기 덕트의 전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흡기 덕트의 전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홀을 통해 상기 흡기 영역의 공기를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으로 보내기 위한 팬 모터와; 상기 흡입 덕트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팬 모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을 연결하며 상기 흡기 영역의 공기를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으로 보내지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에어관으로 흐르는 공기양은 상기 제 2 에어관으로 흐르는 공기의 양보다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 에어관은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분기공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에어관은 양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분기공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물받이통을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물받이통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가스구이장치에 의하면, 이상적으로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에어관을 통하여 버너에 화력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를 적당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구이판상에 도달하도록 하여 구이에 필요한 열량을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버너의 화력에 의한 직접가열 및 제 1 에어관의 복사열에 의한 간접 가열 방식에 의해 구이를 하기 때문에 구이 대상물이 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구이중 발생되는 미량의 연기나 냄새를 강제 흡입하여 제 2 에어관을 통해 분출시켜 재연소시키므로, 냄새가 밖으로 새어나가는 문제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 상기 도면들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병기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구이장치(10)는 하우징(12), 버너(30), 제1 및 제 2 에어(40,44)관, 흡입 덕트(50), 상판(60), 구이판(70),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은 음식점 등의 테이블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하우징(12)은 전,후면 패널(14,16) 및 양측면(18)에 형성된 연소 영역(A)과 좌,우측에 각각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B)을 갖는다. 상기 연소 영역(A)을 형성하는 양측면(18)의 상단에는 일정 간격으로 흡입홀들(20)이 형성된다. 상기 연소 영역(A)의 상단에 있는 공기는 상기 공기 순환 수단에 의해서 상기 흡입홀들(20)을 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흡입 영역(B)으로 흡입된다.
상기 버너(30)는 상기 하우징(12)의 연소 영역(A) 중심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버너(30)는 양측면에 화구(32)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에어관(40)은 상기 버너(30)의 상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에어관(40)의 상면에는 다수의 분기공들(4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에어관(40)은 방열판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에어관(40)은 상기 버너(30)의 불(fire)에 의해서 뜨겁게 달구어지고, 상기 구이판(70)은 상기 버너(30)의 불 및 달구어진 상기 제 1 에어관(40)의 복사열에 의해 직접/간접적으로 가열된다. 상기 제 2 에어관(44)은 상기 버너(30)의 저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에어관(44)은 상기 버너(30)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에어관(44)은 양측면 또는 저면에 분기공들(46)이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공기는 상기 제 2 에어관(44)의 양측면 또는 저면으로부터 분출되기 때문에 상기 버너(30)의 화구(32)에 직접 플로우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가스구이장치(10)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버너(30) 화구들(32)의 불이 꺼지거나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40,44)은 후면 패널(16)에 형성된 받침턱(16a)에 의해 지지되며, 일단은 상기 전면 패널(14)에 형성된 삽입공(2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며, 공기는 그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40,44)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에어관(40)으로 공급되는 공기양은 상기 제 2 에어관(44)으로 공급되는 공기양보다 상대적으로 적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40,44)의 일단에는 마개(48a,48b)가 씌워진다. 예컨대, 상기 마개들(48a,48b)에는 각각 지름이 다른 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40,44)으로 유입되는 공기양을 상대적으로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제 1 에어관 (40)과 제 2 에어관(44)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비율은 3:7 에서 4:6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입 덕트(50)는 상기 하우징(12) 전면 패널(14)에 설치된다. 상기 흡입 덕트(50)는 상기 하우징(12)의 전면 패널(14)과 함께 흡입 영역(C)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 패널(14)의 하단부분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B)과 연통되는 관통홀(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B)과 상기 흡입 영역(C)은 상기 관통홀(22)에 의해서 연통된다.
상기 상판(60)은 상기 하우징(12)의 상면에 놓여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이판(70)은 상기 하우징(12)의 양측면에 놓여진다. 상기 구이판(70)은 윗면에 구이 대상물들이 놓인다. 예컨대, 상기 하우징(12)의 양측면(18)에는단턱(18a)을 형성시켜서 상기 구이판(70)이 상기 하우징(12)의 양측면에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상기 가스구이장치(10)에는 공기 순환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 순환 수단은 팬 콘트롤러(94)와 팬모터(90), 배기 덕트(92) 그리고 스위치(96)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 순환 수단은 상기 흡입 덕트(50)의 외면에 설치된다. 상기 공기 순환 수단은 상기 연소 영역(A),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B), 흡입 영역(C), 제 1 및 제 2 에어관(40,44)들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상기 배기 덕트(92)는 상기 흡입 덕트(50)와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40,44)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96)는 외부에서 상기 팬 콘트롤러(94)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팬 콘트롤러(94)는 상기 팬모터(9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공기의 유속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2)의 저면에는 물받이 받침대(80)가 설치된다. 상기 물받이 받침대(80)는 물받이통(82)을 상기 하우징(12)의 일측면으로부터 착탈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통상적으로 하우징(12)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팬모터 또는 가스공급관, 가스콕 등의 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하우징(12)의 전면 또는 후면 보다는 측면에서 물받이통(82)을 착탈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이장치(10)는 공기 순환 수단에 의한 공기의 강제 순환에 의해 상기 구이판(70) 상부에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를 강제로 흡입하고, 그 공기는 다시 연소 영역에 있는 상기 버너(30) 상,하면에 위치된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40,44)을 통해 강제로 투입되어 연소 영역(A)에서 다시 재연소되므로서 연기와 냄새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구조적인 특징은 버너의 상,하면에 제 1 및 제 2 에어관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에어관의 상면에는 분기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에어관의 양측면 및 저면에는 분기공들이 형성되는데 있다.
이러한 가스구이장치(10) 환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 상기 버너(30)의 불이 꺼지거나 화력이 약해지는 등의 문제 발생율이 종래에 사용되어진 가스구이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가스구이장치는 상기 공기 순환 수단에 의해서 구이시 사용되는 공기가 상기 가스구이장치의 내부를 순환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공기 순환 수단의 팬모터(90)를 작동시키면, 상기 구이판(70) 상부 영역(D)의 공기는 상기 흡입홀(20) 통하여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B)으로 흡입된다. 이 공기들은 상기 팬모터(90)에 의해서 상기 관통홀(22)을 통하여 상기 흡입 영역(C)으로 흐른다. 이 공기들은 상기 팬모터(90)에 의해서 상기 배기 덕트(92)로 흐른다. 상기 배기 덕트(50)에서 공기의 흐름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즉, 일부는 상기 제 1 에어관(40)에 씌워진 마개(48a)의 홀을 통하여 상기 제 1 에어관(40)으로 흐르고, 나머지는 상기 제 2 에어관(44)에 씌워진 마개(48b)의 홀을 통하여 상기 제 2 에어관(44)으로 흐른다. 예컨대, 상기 마개들(48a,48b)에는 각각 지름이 다른 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40,44)으로 유입되는 공기양을 상대적으로 달리한다. 일예로 상기 제 1 에어관(40)과 제 2 에어관(44)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비율은 3:7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에어관(40)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면에 형성된 분기공들(42)을 통해 상방향으로 분출된다. 이때, 상기 버너(30)의 화력에 의해 달구어진 제 1 에어관(40)의 열기도 공기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구이판(7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제 2 에어관(44)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 2 에어관(44)의 저면 및 양측면에 형성된 분기공들(46)을 통해 분출되며 상기 버너(30)에 의해 2차 연소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40,44)에서 연소 영역(A)으로 분출된 공기는 상기 구이판(70)을 거쳐 상기 흡입홀(20)들을 통하여 다시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B)으로 흡입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제 1 및 제 2 에어관을 통하여 연소 영역으로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버너의 불이 꺼지거나 화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적으로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에어관을 통하여 버너의 화력에 의해 뜨거워진 공기를 적당하게 그리고 지속적으로 구이판상에 도달하도록 하여 구이에 필요한 열량을 적절히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버너의 화력에 의한 직접가열 및 제 1 에어관의 복사열에 의한 간접 가열 방식에 의해 구이를 하기 때문에 구이 대상물이 타는 것을 최소화할 수 효과가 있다. 또한, 구이중 발생되는 미량의 연기나 냄새를 강제 흡입하여 제 2 에어관을 통해 분출시켜 재연소시키므로, 냄새가 밖으로 새어나가는 문제점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가스를 사용하는 구이장치에 있어서,
    전,후면 패널 및 양측면에 의해 형성된 연소 영역과 좌,우측에 각각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연소실의 중심에 설치되고 양측면에 화구들이 형성된 버너과;
    상기 버너의 상,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및 제 2 에어관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 패널에 결합되는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 패널과 함께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과 연통되는 흡입 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흡입 덕트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는 상판과;
    윗면에 구이 대상물들을 놓는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된 받침턱에 위에 놓여지는 구이판 및;
    상기 흡입 덕트와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을 연결하여 공기가 상기 연소 영역, 제 1 및 제 2 순환 영역, 흡기 영역, 제 1 및 제 2 에어관으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영역들을 순차적으로 순환하는 공기가 상기 버너의 화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므로서, 순환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버너의 불이 꺼지거나 또는 화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가스 구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흡기 덕트의 전면에 형성된 홀과;
    상기 흡기 덕트의 전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홀을 통해 상기 흡기 영역의 공기를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으로 보내기 위한 팬 모터와;
    상기 흡입 덕트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팬 모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을 연결하며 상기 흡기 영역의 공기를 상기 제 1 및 제 2 에어관으로 보내지는 배기 덕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에어관으로 흐르는 공기양은 상기 제 2 에어관으로 흐르는 공기의 양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구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에어관은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분기공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에어관은 양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분기공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구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물받이통을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으로부터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물받이통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구이장치.
KR2019990027490U 1999-01-26 1999-12-08 가스구이장치 KR20017956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1006U KR19990017580U (ko) 1999-01-26 1999-01-26 가스구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006U Division KR19990017580U (ko) 1999-01-26 1999-01-26 가스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566Y1 true KR200179566Y1 (ko) 2000-04-15

Family

ID=195714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006U KR19990017580U (ko) 1999-01-26 1999-01-26 가스구이장치
KR2019990027490U KR200179566Y1 (ko) 1999-01-26 1999-12-08 가스구이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1006U KR19990017580U (ko) 1999-01-26 1999-01-26 가스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999001758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452A (ko) * 2001-11-20 2003-05-27 박종찬 테이블용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580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6963B1 (ko) 적외선 가스 브로일러를 구비한 전기 조리 오븐
US4510854A (en) Compact barbecue oven
US6776151B2 (en) Positive air flow apparatus for infrared gas broiler
US7438024B2 (en) Wood-burning boiler
US6098613A (en) Venting system for gas oven
CA1302816C (en) Gas combustion
JP2007533395A (ja) 上部に開閉式ドアが取り付けられたロースター
KR101036899B1 (ko) 구이기
KR200179566Y1 (ko) 가스구이장치
KR100796321B1 (ko) 구이 장치
CN1240910A (zh) 具有红外气体烧烤器的电烹调炉
KR200266754Y1 (ko) 가스 구이장치
JP2001324153A (ja) トッププレート温度上昇防止構造
KR20020001194A (ko) 가스겸용 회전식 꼬치구이기
KR200179549Y1 (ko) 2중 불판이 구비된 로스타
JP2003070656A (ja) ビルトインこんろ
ES2963271T3 (es) Freidora de aire a gas
KR200213347Y1 (ko) 숯을 사용하는 구이장치
KR200239787Y1 (ko) 바베큐조리장치
JPH04347113A (ja) ガス調理器
KR200217706Y1 (ko)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
KR20020056251A (ko) 가스복사 조리기의 냉각팬 제어방법
KR100340836B1 (ko) 가스오븐레인지구이실의공기공급구조
KR200146185Y1 (ko) 가스오븐렌지
KR19980046024U (ko) 철판구이기용 대류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120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1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30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