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79465Y1 - 폐기물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폐기물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465Y1
KR200179465Y1 KR2019990024203U KR19990024203U KR200179465Y1 KR 200179465 Y1 KR200179465 Y1 KR 200179465Y1 KR 2019990024203 U KR2019990024203 U KR 2019990024203U KR 19990024203 U KR19990024203 U KR 19990024203U KR 200179465 Y1 KR200179465 Y1 KR 2001794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waste
tube
synthetic
spi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42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복현
Original Assignee
양명래
조복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명래, 조복현 filed Critical 양명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4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4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출 성형방식에 따라 다양한 단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연속 생산되는 합성수지물을 나선형으로 권회하여 임의의 직경을 갖는 고강도의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각종 폐합성 수지 건축자재나 전자제품 등을 수거한 후 물성이 다른 다종류의 합성수지라도 이를 일정한 조건하에서 상호 혼합 용융하여 우수한 연신력과 강도를 유지하는 폐합성 수지물을 소재로 조성한 후 소정 형상의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으로 우수한 내압성과 보강성을 유지하면서도 폐기물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통해 환경친화적 기능을 갖는 폐기물 소재를 이용한 합성수지관인데, 이를 위하여 PVC, HI, ABS, PS, PE, PP, 폴리 아마이드 등 물성이 다른 폐합성수지를 수거하고, 이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합 압출할 때에 총 중량대비 약 0.5%의 APP(Atactic Poly Propylene)를 혼합한 후 이를 압출방식으로 연속 생산되는 합성수지물을 나선형으로 권회하여 적정 길이와 직경의 관체를 제공하되, 상기 소재로 된 별도의 용융액을 권회된 각 합성수지물의 외주면상에 충분한 두께로 덧씌워줌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기물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합성수지관{HIGH SOLIDITY PIPE}
본 고안은 소재와 기능이 개선된 고강도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출 성형방식에 따라 다양한 단면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연속 생산되는 합성수지물을 나선형으로 권회하여 임의의 직경을 갖는 고강도의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각종 폐합성수지 건축자재나 전자제품 등을 수거한 후 물성이 다른 다종류의 합성수지라도 이를 일정한 조건하에서 상호 혼합 용융함으로 우수한 연신력과 강도를 유지하는 폐합성수지물을 소재로 조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소정 형상의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으로 우수한 내압성과 보강성을 유지하면서도 폐기물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통해 환경친화적 기능을 갖는 폐기물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용도에 사용되는 합성수지관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으로 나선형상의 보강판을 매설함으로 충분한 내합성을 유지코자 제조되는데, 고압의 하중을 받는 곳에는 보다 큰 내압성을 위하여 그 단면이 원형이거나 혹은 사각의 일체형 단면을 갖는 다양한 보강판이 제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면 구조를 갖는 보강판은 합성수지관의 외주연을 따라 나선형의 돌출구조를 유지하여 그 제조가 매우 곤란하였고, 따라서 대량생산에 현저한 장해를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 나선형상의 보강판 이외의 부분은 상대적으로 내압성이 낮아 내압력이나 혹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그 부분이 파손되거나 혹은 찢겨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어 장기적인 사용이 불안할 수밖에 없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상기 보강판의 두께만큼 전체적인 단면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관을 일체로 압출 성형하여야 할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해당되는 합성수지관의 직경별로 별도의 금형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며, 현실적으로 일정한 크기 이상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 관체를 일체로 압출 성형하기에는 제조여건이 결코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상기 관체를 제조함에 있어 소요되는 비용이 높았고, 따라서 이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절실하였다.
한편, 각종 합성수지로된 건축자재나 전자제품 혹은 가정용·사무용제품의 폐기물은 매년 그 처리용량을 넘어서 양산되고 있으며, 그 처리비용에 과다한 시설과 비용이 소요되고, 이를 방치할 경우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은 물론이고 자연분해까지 너무도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이를 효율적으로 재활용할 방안 역시 절실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폐합성수지를 수거하여 이를 적절한 용도로 활용할 방안이 강구되고는 있으나, 수거후 분리하는 과정에서 경탄, 안료 등의 중량감있는 물질이 유입되거나 혹은 약품처리되어 있는 경우 재활용이 곤란하고, 또 분리수거후 분쇄과정을 거쳐 물처리 선별하는 과정에서 같은 종류끼리 분류되지 않아 일반 폐기물과 같이 폐기되는 경우가 많았다.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PVC, HI, ABS, PS, PE, PP, 폴리 아마이드 등 그 물성의 종류를 달리하는 폐합성수지를 수거하여 일정한 조건하에서 상호 융합시킨 후 이러한 소재를 이용하여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으로서 자원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통해 고강도 유지와 우수한 연신력은 물론 크랙발생 없이 장기간의 안정적인 사용을 보장하는 환경친화적 제품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PVC, HI, ABS, PS, PE, PP, 폴리 아마이드 등 물성이 다른 폐합성수지를 수거하고, 이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합 압출할 때에 총 중량대비 약 0.5%의 APP(Atactic Poly Propylene)를 혼합한 후 이를 압출방식으로 연속생산되는 합성수지물을 나선형으로 권회하여 적정 길이와 직경의 관체를 제공하되, 상기 소재로 된 별도의 용융액을 권회된 각 합성수지물의 외주면상에 충분한 두께로 덧씌워줌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합성수지관을 구성하는 일 부분만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관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합성수지관에 있어 그 외주면으로 별도의 수지 용융액이 덧씌워짐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합성수지물 2 : 제 1수지 용융액
3 : 제 2수지 용융액 4 : 사다리꼴 단면
5 : 원형봉의 단면 6 : 요철형 단면
7 : 삼각형상 단면 8 : 보강돌기
10 : 합성수지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관의 단면도인바, 본 고안이 제공되기 위해서는 소정의 두께 폭과 넓이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호 인접된 복 수의 합성수지물(1)(1a)을 압출방식을 이용하여 연속되게 길이 방향으로 생산하는 데, 이때 상기 생산되는 각각의 합성수지물(1)(1a)을 마주하는 한 쌍으로 하여 필요로 하는 직경만큼 이를 나선형으로 권회하여 임의의 직경과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합성수지관(10)이 마련된다.
이때, 합성수지물(1)(1a)의 소재는 폐합성수지 건축자재 및 가전제품 등에서 얻어지는데, PVC(Poly Vinyl Chloride), HI(Hiimpact Poly Styrene), ABS(Acrylonitile Butadiene Stylene), PS(Poly Styrene), PE(Poly Ethylene), PP(Poly Propylene), 폴리 아마이드(나일론) 등 물성이 다른 폐합성수지를 수거한 후 이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합 압출할 때에 총 중량대비 약 0.5%의 APP(Atactic Poly Propylene)를 혼합하여 이를 연속 압출 생산함으로서 제공되며, 그 완성된 길이의 정도에 따라 여러 권선수로 권회되는데, 상호 인접되는 각 합성수지물(1)(1a)의 간격 사이에는 상기 혼합 합성수지물로 된 별도의 용융액을 제 1차와 제 2차로 구분하여 도포시키게 된다.
상기 제 1차로 도포되는 수지 용융액(2)으로는 상단에 비하여 하면으로 도포되는 면적을 다소 넓게 형성하여 내압성을 높이었고, 또한 합성수지관(10)의 내/외주면으로는 상기 수지 용융물의 돌출됨을 최소화하여 간섭요인을 제거함으로 접합면의 확대에 따른 내압의 충분한 대응성을 갖도록 하여 외부적인 요인에 의한 파손이나 터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합성수지물(1)(1a)의 권회를 위해서는 이미 일정한 직경으로 형성된 채 회동되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성형 로울러(직경의 임의 조절이 용이한)를 따라 그 상부로 복수의 합성수지물(1)(1a)을 각각 공급하여 줌으로서 나선형으로 연속 권회하는데, 권회됨과 동시에 각 합성수지물(1)(1a)이 상호 밀착될 수 있도록별도의 가압로울러가 마련되어 권회된 합성수(1)(1a)을 측면에서 적정의 압력으로 밀어주게 된다.
따라서, 합성수지관(10)의 대체적인 형상이 형성되는 것인데, 이와 동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차 수지 용융액(2)이 자동으로 도포되어 냉각 건조됨으로 견 고하면서도 충분한 내압성의 관체를 완성하게 되며, 첨부된 도 8에서와 같이 완성 된 합성수지관(10)의 외주면으로 제 2차 수지 용융액(3)을 더 도포하여 덧씌움 처 리함으로 내구성의 보강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은 각각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물의 압출시 성형될 수 있는 각기 다른 단면의 실시예도인바, 본 실시예는 각각 내압의 극대화 를 위해 합성수지물(1)(1a)간의 접촉면 확대와 연결의 긴밀함을 도모코저 하는 것 인데, 도 3은 압출시 사다리꼴 단면(4)의 형상으로 생산된 각 합성수지물(1)(1a)의 단면 방향을 바꾸어 안정감 있게 상호 밀착시켜준 후 권회하여 줌으로서 수직방향의 압력을 적절히 분산시키면서도 충분한 보강성을 갖도록 하였고, 도 4는 원형봉의 단면(5)으로 합성수지물(1)(1a)을 압출하여 자유로이 권회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돌출부(6a)와 요입부(6b)를 갖는 요철형 단면(6)으로 합성수지물(1)(1a)을 형성하되, 상기 돌출부(6a)와 요입부(6b)을 상호 끼움식의 구성을 갖도록 방향을 바꾸어 준 후 별도의 가압로울러를 통해 상호 긴밀하게 압착시키도록 배려하는 것이고, 도 6은 삼각형상 단면(7)으로 압출 생산되어 교호로 삼각과 역삼각의 형태로 공급시킨 후 밀착 권회될 수 있도록 함을 도시하였으며, 도 7은 관체의 외주면으로 보강돌기(8)를 일정 간격으로 권회시킨 것인데, 앞서와 같이제 1, 제 2차 수지 용융액(2)(3)이 주입되거나 도포되어 긴밀함이 유지되도록 함은 물론인 것이어서 소정의 완성된 합성수지관(10)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매우 다양한 단면의 형상을 갖는 합성수지물을 연속적으로 생산하여 이를 나선형상으로 권회하여 임의의 직경과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관을 제조함에 있어 물성이 다른 각종 폐건축자재나 전자제품 및 합성수지 제품을 혼합 수거하여 이를 일정한 조건에서 융합함으로 우수한 연신력과 강도를 유지하는 폐합성수지물을 조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소정 기능의 합성수지관을 제조하여 우수한 내구성과 장기적이고도 안정적인 사용을 보장하고, 폐기물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통해 각종 상/하수도용이나 기타 용도로 적절히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실시예를 예거하였으나, 굳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국한되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Claims (1)

  1. PVC, HI, ABS, PS, PE, PP, 폴리 아마이드 등 물성이 다른 폐합성수지를 수거하고, 이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배합 압출할 때에 총 중량대비 약 0.5%의 APP(Atactic Poly Propylene)를 혼합한 후 이를 압출방식으로 연속생산되는 합성수지물을 나선형으로 권회하여 적정 길이와 직경의 관체를 제공하되, 상기 소재로 된 별도의 용융액을 권회된 각 합성수지물의 외주면상에 충분한 두께로 덧씌워줌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합성수지관.
KR2019990024203U 1999-11-06 1999-11-06 폐기물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합성수지관 KR20017946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9053A KR20010045682A (ko) 1999-11-06 1999-11-06 폐기물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합성수지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053A Division KR20010045682A (ko) 1999-11-06 1999-11-06 폐기물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465Y1 true KR200179465Y1 (ko) 2000-04-15

Family

ID=196189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053A KR20010045682A (ko) 1999-11-06 1999-11-06 폐기물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합성수지관
KR2019990024203U KR200179465Y1 (ko) 1999-11-06 1999-11-06 폐기물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합성수지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053A KR20010045682A (ko) 1999-11-06 1999-11-06 폐기물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456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577B1 (ko) * 2000-12-22 2003-02-07 이일희 폐건축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067B1 (ko) * 2005-12-22 2007-06-04 주식회사 한국하이맥스 3층 구조체의 일체형 프로파일을 갖는 고강도 합성수지관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17707A1 (fr) * 1978-02-21 1979-09-14 Coflexip Tubes flexibles flottants
JPS5546824U (ko) * 1978-09-22 1980-03-27
JPS6138288A (ja) * 1984-07-31 1986-02-24 金尾 史朗 可撓性ホ−ス
DE3830627A1 (de) * 1988-03-16 1989-09-28 Wiik & Hoegl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wickelten thermoplastischen rohres
JPH0293185A (ja) * 1988-09-30 1990-04-03 Sekisui Chem Co Ltd 樹脂複合管
GB9603827D0 (en) * 1996-02-23 1996-04-24 Guest John 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mposite tub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577B1 (ko) * 2000-12-22 2003-02-07 이일희 폐건축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682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08994A (zh) 塑料管材专用料和连续纤维布增强双壁缠绕管的制备方法
CN102384318A (zh) 增强型聚乙烯缠绕结构壁管材及生产装置及生产方法
KR200179465Y1 (ko) 폐기물 소재를 이용한 고강도 합성수지관
CN202302370U (zh) 增强型聚乙烯缠绕结构壁管材及生产装置
CN211901894U (zh) Mppe改性聚丙烯聚乙烯复合增强双壁加筋波纹管
IT1284066B1 (it) Procedimento e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tubi in resine termoplastiche di riciclo
KR101117243B1 (ko)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
CN105402510B (zh) Hdpe平封口全钢带波纹排放管的生产工艺
KR100807549B1 (ko) 코러게이트 관에 나선형태의 프로파일을 감아 보강하는합성수지관
CN109027446B (zh) 热塑性连续纤维预浸编织绳热熔缠绕波纹管及其制造设备
CN210240810U (zh) 高耐磨复合增强聚乙烯结构壁缠绕管
KR101604397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원료절감형 충진벽 하수관의 제조장치
KR101619141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원료절감형 충진벽 하수관의 제조방법
KR100632782B1 (ko) 겹층 성형공간을 갖는 합성수지 다공관 다이스금형
KR100807555B1 (ko) 코러게이트 관에 나선형태의 프로파일을 감아 보강하는합성수지관 성형장치
KR100869208B1 (ko) 나선형 부재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장치
KR200253693Y1 (ko) 폐자재를 이용한 합성수지 나선관
CN220930418U (zh) 聚乙烯夹网格纤维一体缠绕实壁管
KR100554538B1 (ko) 구조 보강 나선관 제조장치
CN210716346U (zh) 一种带有支撑筋的多孔加筋缠绕波纹管
KR101132239B1 (ko) 결합력 향상용 폴리에틸렌 하수관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20100133183A (ko) 합성수지관의 성형장치 및 그것에 의해 성형된 합성수지관
KR20000063355A (ko) 대용량 복합저장탱크의 제조방법
CN101881357A (zh) 一种塑钢复合缠绕排水管材
CN215550796U (zh) 一种防水卷材生产用的挤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UA0107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06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UN2301 Change of applicant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UN2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912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11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