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79293Y1 -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 - Google Patents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293Y1
KR200179293Y1 KR2019990020966U KR19990020966U KR200179293Y1 KR 200179293 Y1 KR200179293 Y1 KR 200179293Y1 KR 2019990020966 U KR2019990020966 U KR 2019990020966U KR 19990020966 U KR19990020966 U KR 19990020966U KR 200179293 Y1 KR200179293 Y1 KR 2001792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reinforcing
double
cross
sectional struc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탑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탑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탑스코
Priority to KR2019990020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92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29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위를 왕래하는 차량 및 사람의 안전을 위한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에 관한 것으로, 강재 재질(SS 400)을 적용하고 이중보강 단면구조의 부재를 적용한 울타리를 구성하여 강도를 향상시켜 차량 등에 의한 측면 충격에 강하고 튼튼한 방호 울타리를 제공하고, 나아가 추락 사고를 줄일 수 있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수직으로 교량(10) 상부에 매립되거나 고정되는 다수개의 지주(2)와, 상기 지주(2)에 직각방향으로 수평하게 결합되어 다수개의 연결부재(11)로 체결되는 다수개의 수평바(1)로 구성되어, 상기 지주(2)와 수평바(1)가 측면 충격에 강하도록 형성되는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protection fence using double-reinforced section structure on bridge}
본 고안은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 위를 왕래하는 차량 및 사람의 안전을 위한 교량용 방호 울타리에 있어서, 강재 재질(SS 400)을 적용하고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부재를 사용한 울타리를 구성하여 강도를 향상시킨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교량용 방호 울타리에 사용되는 관재에 있어서는, 먼저 그 재질이 주철관, 강관, 동관, 알루미늄관, 프라스틱관 등으로 제조되었으며, 그 형상에 있어서는 거의 원형 내지 각형의 원통형태로 성형되고 일부 내부에 구조를 복합시킨 것이 있으나 이러한 구조의 관재는 측면강도가 미약하여 차량의 미소한 충격에도 휘어지거나 파손되어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원통형상이 아닌 원기둥형상으로 성형한다면 그 중량과 시설원가가 문제가 되어 이를 적용시킬 수가 없다.
결국 원통의 두께를 약 6t 정도로 성형하고 있는데, 이 두께 정도로서도 측면 충돌에 대한 내구력은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국가 경제발전에 발 맞추어 수많은 교량, 고속도로와 산업도로가 신설되고 있으며 이러한 INFRA시설은 공익성 문제가 심각함으로 저렴한 원가와 최대의 안전성이 확립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주철관, 강관, 단순 알루미늄관, 스텐레스관, 플라스틱관 등의 종래의 재질과 형태와 강도로서는 각종 사고에 대한 방어수단으로서나 미려한 외관을 갖는 시각적 기능면에서 미흡한 실정이다.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 및 단면구조에 대하여 상기한 문제점에 별다른 대책이 없이 단순한 원통형 단일 관재를 시공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강재 재질(SS 400)을 적용하고 방호 울타리 부재의 단면구조를 이중으로 보강되도록 구성하여 강도를 향상시켜 차량 등에 의한 측면 충격에 강하고 충격흡수가 좋은 방호 울타리를 제작하여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이중보강 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을 적용한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전체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을 적용한 교량용 방호 울타리 부재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실시예 1의 BB선 단면도와 C부분 상세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실시예 2의 BB선 단면도와 C부분 상세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실시예 3의 BB선 단면도와 C부분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바(HORIZONTAL BAR) (2) : 지주(PILLAR)
(3) : 원통형 보강부재 (4) : 봉강형 보강부재
(5) : 빈공간 (6) : 리브(RIB)
(7) : 충격완화제 (10) : 교량
(11) : 연결부재 (12) : 볼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에 있어서, 지주 및 레일의 재질은 모두 강재(SS 400)를 적용하고, 이중 단면구조의 형태로 제작하여, 관내부에 다양한 충격완화제를 삽입하는 이중보강 단면구조로 구성하며, 강도를 향상시키고 충격흡수력을 증강시켜 측면 충격에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을 적용한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전체 개략도로서, 수직방향으로 교량에 삽입되어 있는 좌측의 매립형과 교량상부에 고정되는 우측의 앵커형 등 다수개의 지주(2)에 직각방향으로 수평하게 다수개의 연결부재(11)를 사용하여 체결된 원통형상의 두 개의 수평바(1)로 구성되어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2 는 본 고안을 적용한 교량용 방호 울타리 부재의 AA선 단면도로서, 교량용 방호 울타리 부재의 단면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의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실시예 1의 BB선 단면도와 C부분 상세도로서, BB선 단면도에서 지주(2)와 원통형 보강부재(3)가 보강연결부재인 한 쌍의 리브(6)로 일체화되어 있는 형상을 보이고 있으며, C부분 단면도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평바(1)와 원통형 보강부재(3)가 보강연결부재인 한 쌍의 리브(6)로 일체화되어 있는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 4 는 본 고안의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실시예 2의 BB선 단면도와 C부분 상세도로서, BB선 단면도에서 지주(2)와 원통형 보강부재(3)의 사이에 보강연결부재인 탄성고무, 에폭시, 실리콘 등의 충격완화제(7)를 삽입한 형상을 보이고 있으며, C부분 상세도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평바(1)와 원통형 보강부재(3)의 사이에 보강연결부재인 탄성고무, 에폭시, 실리콘 등의 충격완화제(7)를 삽입한 단면구조의 형상을 보이고 있다.
도 5 는 본 고안의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실시예 3의 BB선 단면도와 C부분 상세도로서, BB선 단면도에서 지주(2)의 내부 중심에 봉강형 보강부재(4)를 넣고 그 사이를 보강연결부재로 충격완화제(7)를 삽입한 형상을 보이고 있으며, C부분 상세도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수평바(1)의 내부 중심에 봉강형 보강부재(4)를 넣고 그 사이를 보강연결부재로 충격완화제(7)를 충전한 단면구조의 형상을 보이고 있다.
본 고안은 수직으로 교량(10) 상부에 매립되거나 고정되는 다수개의 지주(2)와, 상기 지주(2)에 직각방향으로 수평하게 결합되어 다수개의 연결부재(11)로 체결되는 다수개의 수평바(1)로 구성되어, 교량 위를 왕래하는 차량 및 사람의 안전을 위한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에 있어서,
실시예 1 은 상기 지주(2)가 내부의 원통형 보강부재(3)와 보강연결부재인 다수개의 리브(6)로 일체화된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이루어 구성되고,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수평바(1)가 원통형 보강부재(3)와 보강연결부재인 다수개의 리브(6)로 일체화된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이루어 구성되었으며, 실시예 2는 상기 지주(2) 내부에 원통형 보강부재(3)를 넣고 그 사이를 보강연결부재로 충격완화제(7)를 충전한 이중보강 단면구조로 구성되고,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수평바(1)가 원통형 보강부재(3)를 넣고 그 사이를 보강연결부재로 충격완화제(7)를 충전한 이중보강 단면구조로 구성되었으며, 실시예 3 은 상기 지주(2)가 내부에 봉강형 보강부재(4)를 넣고 그 사이를 보강연결부재로 충격완화제(7)를 충전한 이중보강 단면구조로 구성되고,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수평바(1)가 내부에 봉강형 보강부재(4)를 넣고 그 사이를 보강연결부재로 충격완화제(7)를 충전한 이중보강 단면구조로 구성되어, 측면 충격에 강하고 충격흡수력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바(1)와 지주(2)가 단일 형상의 관재 구조가 아니라 내부에 보강연결부재인 리브(6)를 사용하여 일체화된 이중관재 구조로 형성되어, 측면 충격시 수평바(1)와 리브(6)가 1차 충격을 흡수하고 2차로 원통형 보강부재(3)가 충격을 흡수하여 측면 충격에 강하고 충격흡수력이 우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주(2)도 동일한 방법으로 충격을 흡수한다.
[실시예 2]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바(1)의 내부에 원통형 보강부재(3)를 넣되 그 사이에 보강연결부재로 탄성고무, 에폭시, 실리콘 등의 충격완화제(7)를 충전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측면 충격시 충격을 1차로 수평바(1)와 충격완화제(7)가 흡수하고 2차로 원통형 보강부재(3)가 흡수하여 측면 충격에 강하고 충격흡수력이 우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주(2)도 동일한 방법으로 충격을 흡수한다.
[실시예 3]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바(1)의 내부에 봉강형 보강부재(4)를 넣고 그 사이에 보강연결부재로 탄성고무, 에폭시, 실리콘 등의 충격완화제(7)를 충전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측면 충격시 충격을 1차로 수평바(1)와 충격완화제(7)가 흡수하고 2차로 봉강형 보강부재(4)가 수평바(1)의 휨을 방지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측면 충격에 강하고 충격흡수력이 우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주(2)도 동일한 방법으로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실시예들의 방호용 울타리의 재질은 강재(SS 400)를 적용하였고, 부식방지를 위해 모든 자재에 5㎛이상의 용융 아연도금을 하였다.
(고안의 변형예, 응용예)
상기에 관한 본 고안은 그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단순한 구조적 변형이나 설계변경 등은 모두 본 고안에 포함되며, 상기 수평바(1)의 단수는 1단, 3단으로 제작되는 것, 이중단면구조가 원형이 아니라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 리브의 개수를 늘리는 것, 다른 충격완화제를 사용하는 것 등 모두 본 고안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교량 위를 왕래하는 차량 및 사람의 안전을 위한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에 있어서, 강재 재질(SS 400)을 적용하고,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수평바와 지주로 구성하여 강도를 향상시켜, 차량 등에 의한 측면 충격에 강하고 충격흡수력이 우수한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를 제공하여 추락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수직으로 교량(10) 상부에 매립되거나 고정되는 다수개의 지주(2)와, 상기 지주(2)에 직각방향으로 수평하게 결합되어 다수개의 연결부재(11)로 체결되는 다수개의 수평바(1)로 구성되어, 교량 위를 왕래하는 차량 및 사람의 안전을 위한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주(2)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부재가 상기 지주(2)와 보강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충격에 강한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이루며, 상기 수평바(1)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보강부재가 상기 수평바(1)와 보강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충격에 강한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원통형 보강부재(3)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연결부재는 다수개의 리브(6)로 되어 충격에 강한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원통형 보강부재(3)로 되어 있으며, 보강연결부재는 충격완화제(7)를 충전하여 충격에 강한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봉강형 보강부재(4)로 되어 있으며, 보강연결부재는 충격완화제(7)를 충전하여 충격에 강한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
KR2019990020966U 1999-09-30 1999-09-30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 Expired - Fee Related KR200179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966U KR200179293Y1 (ko) 1999-09-30 1999-09-30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966U KR200179293Y1 (ko) 1999-09-30 1999-09-30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293Y1 true KR200179293Y1 (ko) 2000-04-15

Family

ID=1959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966U Expired - Fee Related KR200179293Y1 (ko) 1999-09-30 1999-09-30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929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749B1 (ko) * 2014-05-23 2014-12-05 제국산업(주) 어긋나게 형성되는 리브의 변형을 통한 단계별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시설물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CN114481818A (zh) * 2022-03-25 2022-05-13 巢湖市银环航标有限公司 一种桥梁防撞柔性拦截的阻尼装置
CN115977033A (zh) * 2023-01-06 2023-04-18 重庆大学 一种桥墩防撞装置
KR20230112318A (ko) * 2022-01-20 2023-07-27 박현철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책
KR102563057B1 (ko) * 2023-04-21 2023-08-04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자살 방지용 안전펜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749B1 (ko) * 2014-05-23 2014-12-05 제국산업(주) 어긋나게 형성되는 리브의 변형을 통한 단계별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시설물 보호용 충격흡수장치
KR20230112318A (ko) * 2022-01-20 2023-07-27 박현철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책
KR102719563B1 (ko) * 2022-01-20 2024-10-17 박현철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차량 방호책
CN114481818A (zh) * 2022-03-25 2022-05-13 巢湖市银环航标有限公司 一种桥梁防撞柔性拦截的阻尼装置
CN115977033A (zh) * 2023-01-06 2023-04-18 重庆大学 一种桥墩防撞装置
CN115977033B (zh) * 2023-01-06 2024-04-30 重庆大学 一种桥墩防撞装置
KR102563057B1 (ko) * 2023-04-21 2023-08-04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자살 방지용 안전펜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363B1 (ko) 좌굴방지부를 구비한 철골가새
KR101009538B1 (ko) 충격흡수 안전휀스
CN104775356A (zh) 一种吸能的桥墩防撞衣及其建造方法
KR200179293Y1 (ko) 이중보강 단면구조를 갖는 교량용 방호 울타리의 부재
KR200418381Y1 (ko) 조립식 안전펜스
JPH0657820A (ja) 耐震鉄骨構造物
KR10087203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0876654B1 (ko) 내충격 디자인 펜스
KR100602010B1 (ko) 도로용 가드레일
KR20130071781A (ko) 방호울타리용 가로보 및 이를 포함하는 방호울타리
KR101178366B1 (ko) 강도 보강형 난간 지주
JPH09273114A (ja) 合成橋脚
KR102007296B1 (ko) 풍하중 저감 및 차량추락방지용 2차 방호난간 기능을 겸비한 방풍벽
CN205617657U (zh) 一种混凝土柱梁
KR100893323B1 (ko) 차량 방호용 목재 난간
CN109183717A (zh) 桥梁墩柱缓冲防护装置
KR102077319B1 (ko) 가드레일 지주용 완충보강지주, 상기 완충보강지주를 갖는 가드레일 지주 및 상기 가드레일 지주를 포함하는 가드레일
CN211285426U (zh) 一种城市道路护栏
KR200263289Y1 (ko) 교량용 방호 울타리
KR101948987B1 (ko) 가드레일 지주 구조체
KR200423780Y1 (ko) 장식보호커버가 씌워지는 교량용 난간
CN210737329U (zh) 一种装配式钢筋混凝土桥梁
KR950002516Y1 (ko) 공기튜브가 내장된 구조용 비임
KR200383560Y1 (ko) 안전 완충장치를 구비한 가드레일
KR200301338Y1 (ko) 고강도 및 고충격 흡수용 난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93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20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10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4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