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76358Y1 - 인쇄물의 자동천공장치 - Google Patents

인쇄물의 자동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358Y1
KR200176358Y1 KR2019980000447U KR19980000447U KR200176358Y1 KR 200176358 Y1 KR200176358 Y1 KR 200176358Y1 KR 2019980000447 U KR2019980000447 U KR 2019980000447U KR 19980000447 U KR19980000447 U KR 19980000447U KR 200176358 Y1 KR200176358 Y1 KR 200176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fixed
vertical
actuator
horizon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187U (ko
Inventor
성규석
Original Assignee
성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규석 filed Critical 성규석
Priority to KR2019980000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35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1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1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35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16Perforating by tool or tools of the dril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2210/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 B26F2210/02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of specific products of stacked shee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고안은 종래에 많은 양의 종이를 절단 인쇄하는 인쇄소나 기타 공공기관에서 서류를 묶어 두기 위해 구멍을 천공할 때에 수동으로 레버를 조작하여 드릴이 밑으로 내려오면서 구멍을 뚫게 되었으므로 시간이 오래 걸리고 많은 양의 종이를 단시간에 뚫을 수 없었던 폐단을 감안하여 수평방향쎈서와 쎈서감지부의 접촉에 따라 정.역 구동하는 좌측모터풀리에 고정된 수평나사봉체를 수평작동체부싱에 나사 맞춤하여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수직방향쎈서와 쎈서감지부의 접촉에 의해 정.역 구동되는 후측모터의 풀리에 고정된 수직나사봉체는 수직작동체를 상.하로 시차를 두고 작동시킬때에 일체화로 고정된 모터드릴을 동시에 연동시켜 단시간에 많은 양의 종이를 전자동으로 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쇄물의 자동천공장치
본고안은 인쇄물의 자동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이를 뚫을 때에 인력의 소모가 없이 단시간에 많은양을 전자동으로 천공하게 한 것이다.
종래에 많은 양의 종이를 절단 인쇄하는 인쇄소나 기타 공공기관에서 서류를 묶어 두기위해 구멍을 천공할 때는 수동으로 레버를 조작하여 드릴이 밑으로 내려오면서 구멍을 뚫게 형성하였으므로 정확도가 없고 시간이 많이 걸려 많은 양의 종이를 단시간에 뚫을 수 없는 단점이 있어 비경제적이었으며 작업시에도 테이블위의 종이를 원하는 간격만큼 인력으로 이송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고안은 상기와같은 폐단을 해소하기위해 적층된 다수의 종이에 구멍을 천공할 때에 수평방향쎈서와 쎈서감지부의 접촉에 따라 정.역 구동하는 좌측모터풀리에 고정된 수평나사봉체를 수평작동체 내부의 부싱에 나사맞춤하고 안내봉은 베어링에 끼워 수평작동체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수직방향쎈서와 쎈서감지부의 접촉에 의해 정.역 구동되는 후측모터의 풀리에 고정된 수직나사봉체는 수직작동체의 부싱과 안내봉을 베어링에 끼워 회전하고 있는 모터드릴을 동시에 일정한 시차를 두고 상.하 작동시켜 단시간에 많은 양의 종이를 정확하게 전자동으로 천공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고안의 일부절취 사시도,
도2는 본고안의 타측요부 발췌사시도,
도3은 본고안의 수평작동체의 작용상태도로써,
a는 수평작동체와 드릴모터가 좌측에서 천공이 시작되는 상태,
b는 수평작동체와 드릴모터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천공이 된 상태,
도4는 본고안의 쎈서 접촉부분을 발췌한 평면도,
도5는 본고안의 수직작동체와 드릴모터가 상.하 작용하는 상태의 측면도로써,
a는 상측으로 올라가 정지된 상태,
b는 하측으로 내려와 구멍이 뚫린 상태,
도6은 본고안의 수평작동체 부분의 요부발췌 종단면도,
도7은 본고안의 수직작동체 부분의 발췌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판 2,2':측면판 3,3':안내돌부 4:배면판 5,5',5",5"'
..23,23':쎈서감지부 6:지지간 7,15,25:모터 8,16:풀리
9:수평나사봉체 10:수평작동체 11,19:부싱 12,12':안내홈
13,13',20,20':안내봉 14:상판 16:풀리 17:수직나사봉체
18:수직작동체 21:하판 22,22'24,24',24":쎈서 26:드릴
기판(1) 양측의 측면판(2)(2')사이를 안내돌부(3)(3')가 돌설된 배면판(4)을 고정하고 전면은 다수의 쎈서감지부(5)(5')(5")(5"')..를 등간격으로 지지간(6)에 끼워 고정하며 측면모터(7) 풀리(8)에 고정된 수평나사봉체(9)는 수평작동체(10)내 중앙부싱(11)에 나사결합하고 위와 아래는 안내홈(12)(12')이 요설된 안내봉(13)(13')을 각각 끼워 측면판(2)(2')에 고정시키고 수평작동체(10) 상판(14)은 후측모터(15) 풀리(16)에 고정된 수직나사봉체(17)를 수직작동체(18)의 부싱(19)에 나사식 끼우기하고 양측은 안내봉(20)(20')을 각각 끼워 하판(21)에 수직으로 고정시키며 상.하판(14)(21)의 일측은 쎈서(22)(22')를 부착하여 수직작동체(18)의 쎈서감지부(23)(23')가 접촉되게하며 전면의 쎈서(24)(24')(24")는 쎈서감지부(5)(5')(5")(5"')..에 접촉되게 하되 수직작동체(18)의 전면으로는
모터(25)에 연결된 드릴(26)을 고정하여 수직작동체(18)와 일체로 상.하 작동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 27 "은 베어링, " 28 "은 밸트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본고안은 기판(1)에 천공할 종이를 놓고 양측면판(2)(2')전면에 고정된 지지간(6)의 쎈서감지부(5)(5')(5")(5"')..를 적정 간격으로 조정 고정하고 쎈서(24)와 쎈서감지부(5)가 접지되게 한 상태에서 모터(25) 드릴(26)에 탄착된 종이 고정부를 조절하여 종이를 안착시킨 후 콘트롤박스(도시하지 않았음)에 전원을 인가하고 스위치를 ON 시키면 수직작동체(18)와 일체로 고정된 모터(25) 드릴(26)이 회전하고 좌측면의 모터(7)가 화살표(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풀리(8)에 고정된 수평나사봉체(9)가 감속회전하면 치합된 수평작동체(10) 내부의 부싱(11)에 의해 천천히 수평작동체(10)를 밀때에 배면판(4)의 안내돌부(3)(3')는 안내봉(13)(13')의 안내홈(12)(12')에 밀접히 끼워진체 수평작동체(10) 내부 상.하측에 베어링으로 유착되어 있으므로 수직작동체(18)와 모터(25) 드릴(16)을 요동이 없이 정확히 이동시켜 하판(21) 전면의 중앙쎈서(24')가 쎈서감지부(5')에 접촉감지됨과 동시에 좌측면의 모터(7)는 정지되고 후측의 모터(15)가 회전감속되어 풀리(16)를 화살표(나) 방향으로 감속회전하면 수직나사봉체(17)가 연동할때에 수직작동체(18)의 부싱(19)에 의해 천천히 수직작동체(18)를 하향할때에 양측의 안내봉(20)(20')은 수직작동체(18)내부의 베어링에 각각 유착되어 일체화로 고정된 채 회전하고 있는 모터(25)와 드릴(26)을 같이 밑으로 밀어 수직작동체(18)의 하측 쎈서감지부(23')가 하측쎈서(22')에 접촉되는 동안 기판(1)위에 쌓여 있는 종이를 천공하고 일단 접촉이 되면 후측의 모터(15)가 역회전하여 풀리(16)에 고정된 수직나사봉체(17)도 역회전 수직작동체(18)를 원위치인 위로 올리는 동안 안내봉(20)(20')은 요동이 없이 해주고 모터(25)와 드릴(26)은 천공된 종이에서 빠져 나와 위로 올라가 수직작동체(18) 상측의 쎈서감지부(23)가 상판(14)일측에 고정된 상측쎈서(22)에 접촉되면 후측의 모터(15)는 정지됨과 동시에 좌측면의 모터(7)가 다시 회전하여 전술한바와 같이 수평나사봉체(9)가 수평작동체(10)를 천천히 밀어 설정된 다음 쎈서감지부(5")에 하판(21) 전면의 중앙쎈서(24')가 접촉되면 좌측면의 모터(7)는 정지되고 후측의 모터(7)는 다시 화살표 (나)방향으로 구동하여 풀리(16)에 고정된 수직안내봉(18)이 감속회전하면 수직작동체(18)내부의 부싱(19)에 의해 수직작동체(18)가 하강하여 쎈서감지부(23')가 하측쎈서(22')에 감지될 동안 모터(25)의 드릴(26)은 종이를 천공하고 일단 하측쎈서(22')에 감지되면 후측의 모터(15)는 역회전하여 수직작동체(18)를 원위치로 올려 쎈서감지부(23)가 상판(14) 일측쎈서(22)에 접촉감지되면 후측의 모터(15)는 정지되고 다시 좌측면의 모터(7)가 회전하는 작용을 반복하면서 설정된
대로 전부 천공을 하고 마지막 쎈서감지부(5"')에 쎈서(24")가 접촉되면 좌측면의 모터(7)는 반대 방향으로 계속 회전함과 동시에 수평나사봉체(9)도 역회전하여 수평작동체(10)를 원위치로 환원시켜 고정된 쎈서감지부(5)에 쎈서(24)가 접촉되면 좌측면의 모터(7)는 정지되므로 천공된 종이를 꺼내고 다음 단계의 천공작업을 반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고안은 수평작동체(10)는 쎈서(24)(24')(24")와 쎈서감지부(5)(5')(5")(5"')..의 접촉에 의해 천공 간격과 좌.우로의 이동을 조정해 주고 수직작동체(18)의 쎈서감지부(23)(23')는 쎈서(22)(22')에 접촉되므로써 모터(25)와 드릴(26)을 시차를 두고 상.하로 정확히 작동시켜 많은 양의 종이를 인력의 소모가 없이 단시간에 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판(1) 양측의 측면판(2)(2')사이를 안내돌부(3)(3')가 돌설된 배면판(4)을 고정하고 전면은 다수의 쎈서감지부(5)(5')(5")(5"')..를 등간격으로 지지간(6)에 끼워 고정하며 측면모터(7) 풀리(8)에 고정된 수평나사봉체(9)는 수평작동체(10)내 중앙부싱(11)에 나사결합하고 위와 아래는 안내홈(12)(12')이 요설된 안내봉(13)(13')을 각각 끼워 측면판(2)(2')에 고정시키고 수평작동체(10) 상판(14)은 후측 모터(15) 풀리(16)에 고정된 수직나사봉체(17)를 수직작동체(18)의 부싱(19)에 나사식 끼우기하고 양측은 안내봉(20)(20')을 각각 끼워 하판(21)에 수직으로 고정시키며 상.하판(14)(21)의 일측은 쎈서(22)(22')를 부착하여 수직작동체(18)의 쎈서감지부(23)(23')가 접촉되게하며 전면의 쎈서(24)(24')(24")는 쎈서감지부(5)(5')(5")(5"')..에 접촉되게 하되 수직작동체(18)의 전면으로는 모터(25)에 연결된 드릴(26)을 고정하여 수직작동체(18)와 일체로 상.하 작동되게 하여서 된
    인쇄물의 자동천공장치.
KR2019980000447U 1998-01-13 1998-01-13 인쇄물의 자동천공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176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447U KR200176358Y1 (ko) 1998-01-13 1998-01-13 인쇄물의 자동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447U KR200176358Y1 (ko) 1998-01-13 1998-01-13 인쇄물의 자동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187U KR19990034187U (ko) 1999-08-25
KR200176358Y1 true KR200176358Y1 (ko) 2000-05-01

Family

ID=1953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447U Expired - Fee Related KR200176358Y1 (ko) 1998-01-13 1998-01-13 인쇄물의 자동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3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982B1 (ko) 2004-12-29 2006-11-10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나사승강식 압인부가 구비된 인증기
KR200489238Y1 (ko) * 2018-01-26 2019-05-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의 자리파기용 그루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024B1 (ko) * 2021-12-20 2023-05-15 이명준 파이프 타공 장치
CN115582889B (zh) * 2022-10-10 2024-01-19 苏州由派克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方便定位加工的吸塑盘开孔加工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982B1 (ko) 2004-12-29 2006-11-10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나사승강식 압인부가 구비된 인증기
KR200489238Y1 (ko) * 2018-01-26 2019-05-2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의 자리파기용 그루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187U (ko)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02152T2 (de) Papierendedetektionsgerät
KR101481091B1 (ko) 전동식 자동 천공기
KR200176358Y1 (ko) 인쇄물의 자동천공장치
KR102661674B1 (ko) 타이밍 벨트 타공용 펀칭 지그
DE3868322D1 (de) Vorrichtung zum niederbringen von im wesentlichen vertikalen bohrungen.
CN211564614U (zh) 一种建筑板材加工用打孔装置
EP0689497B1 (en) Punching devices
EP1036637A1 (en) Invalidating device for perforating plane objects
KR200237081Y1 (ko) 천공간격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전동식 천공기
KR100187508B1 (ko) 서류 천공장치
US3152505A (en) Registration punch
KR102204266B1 (ko) 복합천공기
CN109396652B (zh) 一种能够打多种规格齿轮的打标机
KR970020351A (ko) 천공장치
KR890005252Y1 (ko) 순차 이송형금형의 제품처짐 및 상승 방지장치
KR890001706A (ko) 박판상태 물체의 천공장치 및 천공장치용 펀칭 유닛트
KR101024057B1 (ko) 제본기의 천공장치
KR200174257Y1 (ko) 무인 인증 연동기의 간인장치
CN218190163U (zh) 一种证件损毁设备
CN216099270U (zh) 一种印刷用钻孔碎屑采集装置
KR20120051940A (ko) 제본용 종이 천공장치
KR200225523Y1 (ko) 새시문짝타공형금형
KR870002389Y1 (ko) 천공기
KR200191105Y1 (ko) 펀칭위치가 보이는 지철용 펀칭기
KR900011399Y1 (ko) 사무용 펀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1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1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1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