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73804Y1 - MUSICAL PAVING PAD CONTAINING INFANTS HISTORY - Google Patents

MUSICAL PAVING PAD CONTAINING INFANTS HIST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804Y1
KR200173804Y1 KR2019970045772U KR19970045772U KR200173804Y1 KR 200173804 Y1 KR200173804 Y1 KR 200173804Y1 KR 2019970045772 U KR2019970045772 U KR 2019970045772U KR 19970045772 U KR19970045772 U KR 19970045772U KR 200173804 Y1 KR200173804 Y1 KR 2001738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casing
music
foot
n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577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32968U (en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김동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규 filed Critical 김동규
Priority to KR20199700457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804Y1/en
Publication of KR19990032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296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8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804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specially adapted for babies or small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5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sound or music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의 걸음마 보조음악 및 유아의 내력이 입력된 깔판을 유아의 운동화속에 넣고, 유아가 이 운동화를 신고 걸음을 걷게될 때 접촉 스위치(11)를 도통시켜서 미리 순서대로 내장되고 입력되어 있는 음악소리가 스피커(8)를 통해 발성되도록 고안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put into the sneakers of the infant's foot music and the child's history input into the sneakers, and when the infant walks wearing the sneakers, the contact switch 11 is turned on and is built in advance The sound of music is designed to be uttered through the speaker 8.

귀로는 음악을 듣게되어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찾게 하였고, 유아의 발의 온도를 감지하여 유아가 걸음을 걸을때마다 음악소리가 발성되도록 되어 있어서 신체적 균형을 잡으면서 두려움 없이 걸음마를 배울 수 있으며, 운동화와 케이싱(13)이 분리됨으로 세척이 용이하게 되고 손쉬운 분리로 대중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는 케이싱(13) 뺄 수 있도록 고안된 제품으로서 유아 때의 무의식의 세계에서 정서의 안정과 만족을 얻게 하여서 성인이 되어서도 전인적인 바른 인간관의 형성에 도움을 주어 만족한 사회생활을 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부모의 바쁜 일손을 덜어 주는 편리함이 있다.The ear listens to the music and finds a sense of stability emotionally. By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infant's foot, the sound of the music is uttered each time the infant walks, so he can learn to walk without fear while physically balancing, sneakers and casing (13) is easy to clean and easy to remove in a place where the masses gather in a lot of places, the casing (13) is designed to pull out the product in the unconscious world at the time of infants to get emotion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as a whole adult There is a convenience that helps to form a proper view of human beings so that they can have a satisfactory social life and relieve their parents' busy hands.

생활의 윤택으로 인해 집과 멀리 떨어진 유원지등의 야유회에서 유아 및 아동의 잃어버림으로 인해 서로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하여 케이싱(13)에 내장된 칩을 해독하게 되면 유아의 주소, 성명, 부모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이 내장되어 있는 유아의 걸음마 보조 음악 및 유아의 내력이 입력된 깔판에 관한 것이다.When the chips embedded in the casing (13) are decoded to relieve each other's pain due to the loss of infants and children in an outing party such as an amusement park far away from home due to the benefits of life, the infant's address, name, and parent's name It relates to an infant's gait assist music and an infant's history in which a child's registration number, a phone number, etc. are embedded.

Description

유아의 걸음마 보조음악 및 유아의 내력이 입력된 깔판(MUSICAL PAVING PAD CONTAINING INFANTS HISTORY)MUSICAL PAVING PAD CONTAINING INFANTS HISTORY

본 고안은 유아들이 걸음을 걸을때만 음악소리가 발생되면 온/오프 스위치의 작동에 의하여 유앙의 이름, 나이, 주소 부모의 이름, 전화번호 등이 발성되는 유아의 걸음마 보조음악 및 유아의 내력(來歷)이 입력된 깔판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들이 걸음마를 배우게 될 때, 타인의 손에 의하여 배우게 되면 여러가지의 심리적인 불안감이 형성되는 것을 걸을때마다 음악 소리를 듣게하여 무의식의 세계에서 정서의 안정을 심어 줄 수 있으며, 또한 사람의 왕내가 빈번한 장소에 외출하게 될 때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유아의 이름, 주소, 부모의 성명, 전화번호등이 발성되어서 유아들이 미아(迷兒)가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깔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분야의 유사한 종래제품을 크게 두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그 하나는(I), 유아들이 신발을 신고 걸을때마다 공기의 진공으로 인한 단음(單音)의 소리가 나도록 고안된 제품이 있는데, 이는 단순한 기능이외는 없어 실용적이지 못함이 있었다. 그리고 또 하나는(II), 역시 멜로의 소리가 나오도록 고인된 제품이지만, 온/오프 스위치를 터치센스로 대신하여 그 부분이 접속될 때 마다 음악소리와, 의음(의음)이 발성되도록 고안된 제품으로서 이 타입은 상기(I)의 타입과 유사하며 진보된 기술이라 할 수 있겠으나, 이는 사람의 왕래가 많은 장소에서 유아가 미아(迷兒)가 되었을 경우 유아의 내력(來歷)을 발성되게 하는 장치가 없고, 또 실제로 유아가 신발을 신고 걷지 않아도 터치센스에 압력만 가(加)하면 소리가 발성됨으로 실용성이 적고, 불편함등이 있는 제품이다.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usic sounds only when the children walk, the infant's gait assist music and infant's history (來歷) that the name, age, address parent's name, phone number, etc. are spoken by the operation of the on / off switch ) Is a type of pallet that is input, and when children learn to walk, when they learn by the hands of others, various psychological anxieties are formed. In addition, when the man's royal family goes out to frequent places, the on / off switch will activate the infant's name, address, parent's name and telephone number, preventing infants from becoming lost. It is about the pallet which plays a role. Similar conventional products in this field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wo types. One is that (I), there is a product that is designed to sound a single tone due to the vacuum of the air every time a child walks in shoes, which is not practical because it is not a simple function. And another one (II), which is also a product that is deceased to produce the sound of melo, but instead of the on / off switch with a touch sense, the product is designed to sound a music sound and a false sound whenever the part is connected. This type is similar to the above-mentioned type (I) and can be said to be an advanced technology. However, this type makes the infant's history sound when the child is lost in a crowded place. There is no device, and even if the infant does not walk in shoes, the pressure is only added to the touch sense.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들이 실제로 신발을 신고 걸을때만 음악소리가 들을 수 있는 유아의 걸음마 보조음악 및 유아의 내력(來歷)이 입력된 깔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출할 때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켜 유아의 이름, 주소, 부모의 성명, 전화번호 등을 발성하게 하여 유아가 보호자와 헤어지게 되었을 때, 쉽게 보호자가 찾을 수 있는 유아의 걸음마 보조음악 및 유아의 내력(來歷)이 입력된 깔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아들이 걸음마를 배우게 될 때 실제로 걸을때마다 유아들의 정서에 유익한 음악소리가 발성되도록 유아의 발 온도가 변화할때마다 열감지 센스가 감지하게 하여 온/오프 스위치 역할로 대치하게 하였으며, 유아와 외출할때에는 유아의 내력(來歷)이 입력된 메모리를 작동시킬 수 있는 온/오프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는 유아의 걸음마 보조음악 및 유아의 내력(來歷)이 입력된 깔판을 고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걸을때마다 음악소리가 나며, 유아의 내력(來歷)이 발성되는 깔판은 소정의 모양으로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윗부분에 부착되어 유아가 상기 케이싱을 신발속에 넣고서 걷게 될 때, 발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발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중앙 처리부로 전송하여 온/오프 스위치 역할을 하는 열감지 센스와, 군중(群衆)이 많은 장소에 외출할 때 유아의 이름, 주소, 부모의 성명, 전화번호등이 메모리된 부분을 작동시켜 발성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온/오프 스위치와, 케이싱 위에 놓이게 되는 발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와, 소정의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케이싱의 각 장치로 공급하는 전원회로와, 상기 전원회로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전원회로의 각 장치를 초기화 시키는 자동 리세트 회로와, 상기 케이싱 위에 유아가 발을 놓아서 걷게 될 때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접촉 스위치와, 상기 스위칭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데이터 메모리로 부터 음성정보를 읽어 들여 중앙 처리부로 전송하는 인터렙트 발성기와, 상기 중앙 처리부로 부터 출력된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 출력하는 신호음 발성기로 구성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llet in which the infant's step assistance music and the infant's history (입력) are input, which can be heard only when the children actually wear shoe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rate the on / off switch when going out to utter the infant's name, address, parent's name, phone number, etc. It is to provide a pallet in which the assistive music and the infant's history are input.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thermal sense to be sensed whenever the infant's foot temperature is changed so that a beneficial musical sound is produced for the infant's emotion whenever the child actually walks. It is replaced by the off-switch role, and when the child goes out, the infant's gait assist music and the infant's history are equipped with an on / off switch that can operate the memory of the infant's history. I would like to devise a pallet. Therefore, each time you walk, the sound of music, and the pallet of the infant's internal strength (來歷) is spoken and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when the infant walks while putting the casing in the shoe, Thermal sensing sense that can detect and transmit the temperature of the foo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act as an on / off switch, and the infant's name, address, parent's name and phone number when going out in crowded places An on / off switch for actuating and igniting a portion having a back memory, a data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the temperature of the foot placed on the casing, and receiv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supply each device of the casing. A power supply circuit, an automatic reset circuit for initializing each device of the power supply circuit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power supply circuit, and an infant on the casing A contact switch that generates a switching signal when the foot is released, an interlep talker that receives the switching signal, reads the voice information from the data memory, and transmits the voice information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voice output from the central processing unit. It consists of a beeper voice that receives information and converts it into an audible sound through a speaker.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중 한예를 나타낸 참고사시도.1 is a reference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회로의 블록다이아 그램.2 is a block diagram of a circu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중앙처리부 2 : 유아 및 아동의 발의 온도1: central processing unit 2: temperature of feet of infants and children

3 : 인터랩트 발성기 4 : 프로그램 메모리3: interlap talker 4: program memory

5 : 데이터 메모리 6 : 신호음 발성기5: data memory 6: beeper

7 : 저주파 증폭기 8 : 스피커7: low frequency amplifier 8: speaker

9 : 표시회로 10 : 전원회로9: display circuit 10: power supply circuit

11 : 접촉스위치 12 : 자동 리셋트회로11: contact switch 12: automatic reset circuit

13 : 케이싱 14 : 온오프 스위치13: casing 14: on-off switch

15 : 열감지 센스 16 : 수은전자캐이스15: heat detection sense 16: mercury electronic cas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아의 걸음마 보조음악 및 유아의 내력이 입력된 깔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본 고안은 오/오프 스위치 대신에 케이싱(13)의 윗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열감지 센스(15)가 발의 온도를 감지하여 접촉스위치(11)를 도통시키게 되면 "띵똥"이라는 시작음이 스피커(8)를 통해 나온다. 상기 시작음이 끝남과 동시에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타 메모리(5)에 수록(녹음)되어 있는 행진곡이 스피커(8)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때 상기 데이타 메모리(5)에 수록(녹음)되어 있는 행진곡은 케이싱과 놓이게 되는 발의 온도에 의하여, 예를 들어 발의 온도가 38도일 경우 베토벤의 행진곡이, 38.5도일 경우 슈베르트의 자장가등으로 미리 순서대로 입력되어 있는 행진곡등이 케이싱에 놓이게 되는 발의 온도를 열감지 센스(5)가 감지하여 발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중앙처리부(1)로 보내게 되면, 중앙처리부(1)는 메모리 테이터(5)에 저장되어 있는 행진곡들 중에서 케이싱(13)위에 놓이게 되는 발의 온도에 맞는 행진곡을 스피커(8)를 통하여 발성되게 함으로 유아들은 유아이시기의 무의식 세계에서 정서의 안정과 만족감을 얻게된다. 이는 성인이 된 후에도 전인적인 바른 인간관의 형성에 도움을 주며 또한 만족한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잠재적인 힘을 제공한다고 할 것이다. 한편으로는 유아들이 번잡한 장소에서 부모를 잃어 버리게 될때, 부모가 유아를 찾는 과정의 수고를 덜어주기도 하는 유아의 걸음마 보조음악 및 유아의 내력(來歷)이 입력된 깔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기능을 갖는 본 고안의 걸을때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는 깔판의 동작 과정을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allet for entering the toddler's step music and infant's his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art sound called "띵 shit" when the heat sensing sense (15)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sing (13) instead of the on / off switch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foot to conduct the contact switch (11) This comes out through the speaker (8). At the same time as the start sound ends, the marching music recorded (recorded) in the data memory 5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8 in accordance with a previously input program. At this time, the marching music recorded (recorded) in the data memory 5 is in advance ordered by the temperature of the foot to be placed with the casing, for example, Beethoven's marching music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eet is 38 degrees, and by Schubert's lullab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eet is 38.5 degrees. When the heat sensing sense 5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foot where the input marching music or the like is placed on the casing and sends information on the temperature of the foo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sends the memory data 5 to the memory data 5. Among the stored marching songs, the marching tune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foot, which is placed on the casing 13, is uttered through the speaker 8, so that the infants can feel emotional stability and satisfaction in the unconscious world of the infant age. This will help to form a holistic human view even after becoming an adult and also provide the potential to lead a satisfactory social life. On the other hand, when infants lose their parents in a crowded place, it is composed of an infant's walking music and infant's history, which helps reduce the process of finding the infant. 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allet with the sound of music only when the walk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우선, 제2도의 중앙처리부(1)는 메모리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의 입/출력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모든 기능을 관리하고 프로그램 메모리(4)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을 시작한다. 상기 중앙처리부(1)의 초기화가 종료되면 중앙처리부(1)는 열감지 센스(15)를 대기상태에 있도록 하며 데이터 메모리(5)의 선두에 위치한 인덱스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행진곡에 관한 정보를 읽어들여 내부의 레지스트에 저장한다. 이 과정을 수행한 다음 입력대기의 상태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음이 발성되는데, 이때 케이싱(13)에 발을 올려 놓으면 열감지 센스(15)가 발의 온도를 감지한다. 그러면 제2도의 인터렙트 발성기(3)에서 발의 온도 변화를,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싱(13)위에 행위자(유아)가 발을 올려 놓고 걷는지를 열감지 센스(15)가 감지하여 중앙처리부(1)에 전달한다. 다음에 상기 중앙처리부(1)는 케이싱(13)위에 있는 발의 온도(2)로 부터의 데이터가 유효한지를 검색한다. 상기 인터렙트 발생기(3)는 발의 온도(2)가 변화하였을 때, 즉 행위자(유아)가 케이싱(13)위에 발을 올려 놓고 걷는 경우 인터렙트 요구 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인터렙트 요구신호는 중앙처리부(1)의 제어단자(INT)에 입력되는데 이 신호가 있을 경우 중앙처리부(1)는 행위자(유아)가 걷는 것으로 인한 출력으로 받아 들여진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3)위에서 행위자(유아)가 걷는 것을 중지하여 접촉스위치(11)가 스위칭 오프되어 전원회로(10)와 본 회로가 차단되어도 제2도의 데이터 메모리(5)는 데이터 백업용 전원을 갖는 스태틱 램이나 전기적 소거기능이 있는 쓰기 롬(EEF ROM)등의 불 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됨으로써 저장된 데이터는 항상 보존된다. 이 후에 열감지 센스(15)에 의하여 감지되어 중앙처리부(1)에 입력된 최초의 발 온도에 관한 데이터는 초기에 데이터 메모리(5)의 인덱스 영역에서 감지하여 중앙처리부(1)의 레지스터에 저장해 놓은 저장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저장된 번호들의 첫째자리의 데이터 들과 비교한다. 이어서 상기 비교 결과가 일치하면, 상기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던 장소의 다음 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종료신호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종료신호이던 그 번호와 일치 되었음을 알리는 음성발성을 적당한 회수 동안 발성하면서 데이터 메모리(5)에 저장되어 있는 행진곡을 스피커(8)를 통해 발성토록한다.First,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of FIG. 2 can control the memory, manages all functions as having the input / output function of the data, and starts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4. When the initialization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is complete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puts the heat sensing sense 15 in a standby state and reads information about the marching music stored in the index area located at the head of the data memory 5. It is stored in the internal resist. After performing this process, a beep is sounded to indicate that the input is in the standby state. At this time, when the foot is placed on the casing 13, the heat sensing sense 15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foot. Then, the thermosensing sense 15 detects a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foot in the interlep talker 3 of FIG. 2, preferably whether an actor (child) walks with the foot on the casing 13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To pass o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then searches for validity of the data from the temperature 2 of the foot on the casing 13. The intercept generator 3 outputs an intercept request signal when the temperature 2 of the foot changes, that is, when the actor (infant) walks with the foot on the casing 13. Subsequently, the intercept request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terminal INT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and when there is this signal,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is accepted as an output due to the walk of the actor (infant). Here, even when the actor (infant) stops walking on the casing 13 and the contact switch 11 is switched off to cut off the power supply circuit 10 and the main circuit, the data memory 5 of FIG. 2 has a power supply for data backup. Stored data is always preserved by the use of nonvolatile memory, such as static RAM or write erase (EEF ROM) with electrical erase. Afterwards, the first foot temperature data detected by the heat sensing sense 15 and inpu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is initially detected in an index area of the data memory 5 and stored in a register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The data on the stored number is used and compared with the first digits of the stored numbers. Subsequently, when the comparison result is matched, the data is checked for whether or not the data stored in the next place of the place where the data is stored is an end signal, and voiced for an appropriate number of times during the appropriate number of times. The marching tunes stored in the memory 5 are uttered through the speaker 8.

이때 만일 번호의 끝을 알리는 종료신호가 나타나지 않으면 그 장소 즉, 종료신호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한 장소의 스택 영역에 저장하고 다음번호의 첫째자리 숫자와 비교를 하여 일치하지 않으면 무시하고 다음의 과정으로 넘어가고, 일치하면 다음 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종료신호인지 확인하는 식으로 저당되어 있는 번호들의 최초자리의 숫자들과 비교를 한다. 여기서, 프로그램 메모리(4)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서 그 작동을 조금씩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중앙처리부(1)가 일정한 주기를 갖고 행위자(유아), (2)의 발온도의 상태를 검사하여 출력을 읽어 들이도록 프로그램하면 인터렙트 발생기(3)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1)에서 각각의 경우에 해당하는 몸을 발성하도록 프로그램 하면 신호음 발성기(6)를 생략할 수 있다. 보호자가 온, 오프 스위치(14)를 온에 위치하게 되면 중앙처리부(1)는 데이터 메모리(5)에 입력되어 있는 유아의 내력(來歷)을 스피커(8)를 통해 발성케한다.If the end signal does not appear at the end of the number, it is stored in the stack area of the place, that is, whether the end signal has been stored and compared with the first digit of the next number. The process proceeds, and if there is a match, the data stored in the next place is compared with the first digits of the stored numbers by checking whether the data is an end signal. Here, the operation may be sligh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program stored in the program memory 4, and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has a constant cycle to check the state of the foot temperature of the actors (infants) and (2) Programming the output to read may bypass the intercept generator 3. In addition, i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is programmed to speak the body corresponding to each case, the tone generator 6 may be omitted. When the guardian is placed in the on and off switch 14,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 causes the infant's internal power input to the data memory 5 to be spoken through the speaker 8.

이상으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아들이 걷는 동안에만 유아들의 무의식 세계에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행진곡을 기타의 부수적인 작동없이 단지 걷기만 하는 동작만으로 음악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배려되어 있어서 유아시기의 정서 안정으로 인해 전인적인 바른 인간관의 형성에 도움을 주는 이점이 있다. 또 한 기존의 신발에 깔판을 넣어서 행위자(유아)가 걷기만 하면 유익한 행진곡을 들을 수 있음으로 제품의 호환성을 가지는 이점도 있다. 그리고 실용성을 추가하고자, 대중(大衆)이 모여 있는 장소에서 부모와 유아가 헤어지게 되었을 경우 유아의 내력(來歷)이 입력되어 있는 부분만 발성케하는 온/오프 스위치가 부착되어 있어서 온/오프 스위치를 온에 위치하면 본 제품의 장점인 유아의 이름, 주소, 부모의 성명, 전화번호등이 발성되어서 유아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listen to music by only walking movements of the marching songs that can affect the unconscious world of the infants only while they are walking. Emotional stability has the advantage of helping to form a holistic human outlook.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having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by being able to listen to a beneficial marching song when the actor (infant) walks by putting a pallet on an existing shoe. In order to add practicality, the on / off switch is attached to enable only the part where the infant's history is input when the parent and the infant are separated in a crowded place. If the location is on, the baby's name, address, parent's name, telephone number, etc., which is an advantage of this product, are uttered, making it easy to find the baby.

Claims (1)

유아들이 신발을 신고 걸음마를 배우게 될 때 유아의 정서 안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 걸을 때만 음악소리가 발성되면서, 혼잡한 장소에서 부모와 헤어지게 된 경우, 유아의 내력(來歷)이 입력된 이름등이 발성되는 깔판에 있어서, 소정의 모양으로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윗부분에 부착되어 유아가 상기 케이싱을 신발속에 넣고서 걷게 될 때, 발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면서 발의 온도에 관한 정보를 중앙 처리부로 전송하면서 온/오프 스위치 역할을 하는 열감지 센스와, 군중(群衆)이 많은 장소에 외출할 때 유아의 이름, 주소, 부모의 성명, 전화번호등이 메모리된 부분을 작동시켜 음성으로 유아의 내력(來歷)을 발성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온/오프 스위치와, 케이싱 위에 놓이게 되는 발의 온도에 관한 음성정보(멜로디)를 저장하면서 유아의 내력(來歷)을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와, 소정의 전압을 공급받아 상기 케이싱의 각 장치로 공급하는 전원회로와, 상기 전원회로의 스위칭에 따라 상기 전원회로의 각 장치를 초기화시키는 자동리세트회로와, 상기 케이싱에 위에 유아가 발을 놓아서 걷게 될 때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접촉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메모리로 부터 음성정보를 읽어 들여 중앙 처리부로 전송하는 인터렙트 발성기와, 상기 중앙처리부로부터 출력된 음성정보를 입력받아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 출력하는 신호음 발성기를 포함하는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의 걸음마 보조음악 및 유아의 내력이 입력된 깔판.When children learn to walk in shoes, music sounds only when they walk to help stabilize their emotions, and when they are separated from their parents in crowded places, the name of the child's history is entered. In the pallet being spoken, a casing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and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asing, when the infant walks while putting the casing in the shoe,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temperature of the foot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while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t. In addition, the sensor senses the thermal sense that acts as an on / off switch, and the child's name, address, parent's name, phone number, etc. are memorized when going out to a crowded place. Iv) the on / off switch, which plays a role in vocalizing, and voice information (melody) about the temperature of the foot placed on the casing. A data memory for storing a proof force, a power supply circuit supplied with a predetermined voltage to each device of the casing, an automatic reset circuit for initializing each device of the power supply circuit according to switching of the power supply circuit; A contact switch for generating a switching signal when the infant walks with the foot on the casing, an interlep talker that receives the switch signal, reads voice information from the data memory, and transmits the voice information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The toddler's gait assist music and infant's history inpu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ound generator for receiving the voic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processing unit to convert the audible sound through the speaker.
KR2019970045772U 1997-12-31 1997-12-31 MUSICAL PAVING PAD CONTAINING INFANTS HISTORY Expired - Fee Related KR20017380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772U KR200173804Y1 (en) 1997-12-31 1997-12-31 MUSICAL PAVING PAD CONTAINING INFANTS HIST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5772U KR200173804Y1 (en) 1997-12-31 1997-12-31 MUSICAL PAVING PAD CONTAINING INFANTS HISTO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968U KR19990032968U (en) 1999-07-26
KR200173804Y1 true KR200173804Y1 (en) 2000-06-01

Family

ID=1952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5772U Expired - Fee Related KR200173804Y1 (en) 1997-12-31 1997-12-31 MUSICAL PAVING PAD CONTAINING INFANTS HIST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80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6890A1 (en) * 2003-04-01 2004-10-14 Soo-Ho Beak Socks and footwears for preventing sole from slipp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6890A1 (en) * 2003-04-01 2004-10-14 Soo-Ho Beak Socks and footwears for preventing sole from slip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2968U (en) 1999-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818B1 (en) Sound source sounding device embedded in shoes, and shoes containing the same
US5501627A (en) Children's toy with peek-a-boo activation
US2020005838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companion robot
US6669527B2 (en) Doll or toy character adapted to recognize or generate whispers
US6497603B1 (en) Musical hula hoop
KR200173804Y1 (en) MUSICAL PAVING PAD CONTAINING INFANTS HISTORY
TW200929108A (en) Limb interactively learn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60286895A1 (en) Talking doll
JP3566646B2 (en) Music communication device
JP3066762U (en) Conversation toys
JPS6137305Y2 (en)
KR19990019208U (en) Diapers to Show Water Absorption
KR200153948Y1 (en) Bottle of milk that sounds only when feeding
US6497605B1 (en) Operator controlled multilingual doll
KR200240664Y1 (en) Shoes for informing whether a child put on it in orderly fashion or not
KR200199076Y1 (en) Language study doll
JP2001259244A (en) Voice response toys
KR200278195Y1 (en) Attachment within shoes having sound production means and identity confirmation means
KR200181467Y1 (en) Traditional music learning device for children
KR20030060375A (en) A toy or doll which responds sensitively
JP3058693U (en) Toothbrush toothbrush
GB2319883A (en) A voice-activated musical dummy
JP3225956U (en) Welfare plush
KR20030074962A (en) Attachment within shoes having sound production means and identity confirmation means
KR100762890B1 (en) Kissable do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23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8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2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12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2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011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