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73220Y1 -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220Y1
KR200173220Y1 KR2019950037576U KR19950037576U KR200173220Y1 KR 200173220 Y1 KR200173220 Y1 KR 200173220Y1 KR 2019950037576 U KR2019950037576 U KR 2019950037576U KR 19950037576 U KR19950037576 U KR 19950037576U KR 200173220 Y1 KR200173220 Y1 KR 200173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ll
connecting rod
seating
storage device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7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462U (ko
Inventor
박병옥
이종민
김동욱
Original Assignee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균, 에스케이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용균
Priority to KR2019950037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220Y1/ko
Publication of KR9700234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4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베이스 필름 롤을 안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평행 안착대와, 그 안착대를 지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수직부재를 구비하는 베이스 필름 롤 보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는 기준면(지면)에 대하여 일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안착대의 입구에는 운반대차로부터 필름 롤을 인수하기 위한 필름 롤 인수장치가 설치되며, 안착대의 출구에는 안착대로부터 필름 롤을 운반대차로 인도하기 위한 필름 롤 인도장치가 설치되고, 안착대의 소정 부위에는 안착대의 정해진 위치에 필름 롤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에는 상기 안착대에 안치된 필름 롤을 정지 및 이송시키기 위한 필름 롤 정지/이송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자동화된 장치에 의해 필름 롤을 인입 및 인출시키는 한편, 보관장치의 안착대 상에서 필름 롤을 이동시킴에 있어 필름 롤의 자중을 이용하여 이동시키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부상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
제1도는 종래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 : 안착대 12a~12d,22 : 수직부재
23 : 필름 롤 인수장치 23a,24a : 받침부재
23b,24b : 상승/하강 구동장치 25 : 필름 롤 정지/이송장치
25a : 레버 25b : 제1커넥팅로드
25c : 제2커넥팅로드 25d : 제3커넥팅 로드
25f : 동력제공장치 26,27 : 스토퍼
50,50′ : 필름 롤 50a,50a′ : 롤 보빈
60,60′ : 운반대차
S1,S2,S3,S4,S5 : 제1,제2,제3,제4,제5스테이션
본 고안은 비디오 테이프 제조용의 베이스 필름 롤 등을 일정시간 동안 보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차로 운반된 베이스 필름 롤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보관 및 이송시킬 수 있는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나 오디오 테이프 등이 완제품화되어 생산되어져 나오기까지에는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와 같은 과정중에 폴리에스터(polyester) 필름 등에 소정의 도료를 코팅한 베이스 필름 롤을 일정 시간 동안 보관한 후, 후속공정을 위해 그 필름 롤을 이송시키는 과정이 있다. 따라서, 베이스 필름 롤은 임의의 장치에 보관되었다가 후속공정을 위해 이송된다.
제1도에는 그와 같은 종래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10)는 베이스 필름 롤(50)의 원통형 보빈(50a)의 양단부를 지지함으로써 다수의 베이스 필름 롤(50)을 안치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평행한 수평 안착대(11)와, 그 안착대(11)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다수의 수직부재(12a)(12b)(12c)(12d)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안착대(11)의 일측 단부에는 안치된 베이스 필름 롤(50)의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고정턱(11s)이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는 안착대(11)에 보관된 필름 롤(50)을 다시 꺼내고자 할 때, 안착대(11)의 후단부에 필름 롤(50)을 꺼낼 수 있는 별도의 출구가 없어 먼저 보관된(즉, 안착대의 안쪽에 보관된) 필름 롤(50)을 먼저 꺼내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필름 롤(50)을 보관할 시 도시된 것과 같이 작업자가 운반대차(60)에 필름 롤(50)을 싣고와, 손으로 필름 롤(50)을 밀어서 안착대(11)에 안치시키게 되므로, 손이나 허리 등에 부상을 입을 위험이 높다. 뿐만 아니라, 운반대차(60)와 안착대(11)의 높이가 일치하지 않아 필름 롤(50)의 안치 및 출하작업 시 작업자는 많은 힘이 들고, 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안치된 필름 롤을 선출하시킬 수 있고, 운반대차로 운반된 필름 롤을 용이하게 안치 및 출하시킬 수 있으며, 안치된 필름 롤의 자중에 의한 이송 매커니즘을 구현함으로써 작업자의 수작업에 따르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는, 베이스 필름 롤을 안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평행 안착대와, 그 안착대를 지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수직부재를 구비하는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는 기준면(지면)에 대하여 일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안착대의 입구에는 운반대차로부터 필름 롤을 인수하기 위한 필름 롤 인수장치가 설치되며, 안착대의 출구에는 안착대로부터 필름 롤을 운반대차로 인도하기 위한 필름 롤 인도장치가 설치되고, 안착대의 소정 부위에는 안착대의 정해진 위치에 필름 롤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에는 상기 안착대에 안치된 필름 롤을 정지 및 이송시키기 위한 필름 롤 정지/이송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고안의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는 기계화 및 자동화된 장치에 의해 필름 롤을 인입 및 인출시키는 한편, 보관장치의 안착대 상에서 필름 롤을 이동시킴에 있어 필름 롤의 자중을 이용하여 이동시키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부상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제2도는 평면도이고, 제3도는 정면도이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20)는 베이스 필름 롤(50′)을 안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한 쌍의 평행 안착대(21)와, 그 안착대(21)를 지지 및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수직부재(2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대(21)는 기준면(지면)에 대하여 일측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안착대(21)의 입구측보다 출구측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설치된다. 이는 안착대(21)에 안치된 필름 롤(50′)이 그 자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출구측(내측)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름 롤(50′)의 안치 및 인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기준면에 대한 안착대(21)의 경사각도는 1°~3°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관장치(20)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운반대차(60′)의 진입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26,2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대(21)의 입구에는 운반대차(60′)로부터 필름 롤(50′)을 인수하기 위한 필름 롤 인수장치(23)가 설치되고, 안착대(21)의 출구에는 안착대(21)로부터 필름 롤(50′)을 운반대차(60′)로 인도하기 위한 필름 롤 인도장치(24)가 설치된다. 여기서, 이 필름 롤 인수장치(23) 및 인도장치(24)는 동일한 장치요소로 구성된다. 즉, 필름 롤의 보빈(50a′)의 양단을 받쳐주는 받침부재(23a)(24a)와, 그 받침부재(23a)(24a)와 결합되어 받침부재(23a)(24a)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상승/하강 구동장치(23b)(24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23a)(24a)의 상면에는 필름 롤의 보빈(50a)의 원통면이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각도의 V형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승/하강 구동장치(23b)(24b)로는 공압실린더가 사용된다. 물론, 이 공압실린더는 경우에 따라서는 유압실린더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22)에는 상기 안착대(21)에 안치된 필름 롤을 정지 및 이송시키기 위한 필름 롤 정지/이송장치(25)가 설치된다. 이 필름 롤 정지/이송장치(25)는 상기 수직부재(22)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대(21)에 안치된 필름 롤의 이동을 정지 및 정지해제시켜 필름 롤이 다시 굴러갈 수 있도록 하는 레버(25a)를 구비한다. 그리고, 그 레버(25a)와 결합되며 레버(25a)와 함께 소정 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커넥팅 로드(25b)와, 상기 제1커넥팅 로드(25b)와 연결되며 제1커넥팅 로드(25b)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제2커넥팅 로드(25c)와, 상기 제2커넥팅 로드(25c)와 연결되며 제2커넥팅 로드(25c)의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소정 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커넥팅 로드(25d)와, 제3커넥팅 로드(25d)와 연결되며 제3커넥팅 로드(25d)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장치(25f)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 동력제공장치(25f)로는 공압실린더가 사용된다. 그리고, 이 공압실린더도 상기 상승/하강구동장치(23b)(24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경우에 따라서는 유압실린더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안착대(21)의 소정 부위(예컨대, 수직부재와 만나는 부위)에는 안착대의 정해진 위치에 필름 롤(50′)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감지장치 및 상기 공압실린더는 별도로 마련된 시스템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콘트롤 유니트(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의 작동에 대해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서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작업자가 운반대차(60′)에 의해 운반된 필름 롤(50′)을 보관장치(20)의 “A”부분으로 진입시키면, 필름 롤 인수장치(23)의 상승/하강 구동장치(23b)의 공압실린더가 상승구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공압실린더의 로드 단부와 결합된 받침부재(23a)가 상승하여 필름 롤의 보빈(50a′)의 양단부를 들어올리며, 그에 따라 필름 롤(50′) 전체가 소정높이로 상승된다. 이때, 작업자는 운반대차(60′)를 “A”부분으로부터 빼내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한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필름 롤을 용이하게 보관장치에 옮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운반대차(60′)가 빠지면, 상승/하강 구동장치(23b)의 공압실린더는 하강구동을 하여 필름 롤(50′)을 안착대(21)에 내려놓는다. 그러면, 필름 롤(50′)은 그 자체의 하중에 의해 안착대(21)의 경사면을 타고 내측(본 도면에서는 우측)의 제1스테이션(S1)까지 굴러가서 필름 롤 정지/이송장치(25)의 레버(25a)의 걸림턱에 걸려 멈추게 된다. 이때, 각 스테이션마다 설치되어 있는 감지장치에서는 필름 롤(50′)의 존재여부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되는 소정의 신호를 콘트롤 유니트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콘트롤 유니트에서는 각각 그에 상응하는 제어명령을 내린다. 예를 들어, 제3스테이션(S3)에 필름 롤(50′)이 있고, 제4스테이션(S4)에 필름 롤(50′)이 없을 경우 제4스테이션(S4)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장치는 그 사실을 콘트롤 유니트에 알리게 된다. 그러면, 콘트롤 유니트에서는 제3스테이션(S3)의 레버(25a)의 록킹상태를 해제(본 도면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을 내린다. 그에 따라 제3스테이션(S3)의 레버(25a)의 구동과 관련되는 공압실린더가 작동되고, 제3, 제2, 제1커넥팅 로드(25d)(25c)(25b)의 순차적 연동으로 최종적으로 제3스테이션(S3)의 레버(25a)는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된다. 따라서, 제3스테이션(S3)에 있던 필름 롤(50′)은 자체의 하중에 의해 안착대(21)의 경사면을 타고 굴러서 제4스테이션(S4)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작동 원리로 필름 롤은 안착대(21)의 입구쪽으로부터 출구쪽으로 자동으로 이송 안치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별도의 수작업없이 안착대에 안치된 필름 롤(50′)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배출부분인 “B”부분에서 필름 롤(50′) 한 개가 배출되면, 제5스테이션(S5)에서 제1스테이션(S1)까지의 각 레버(25a)가 순차적으로 해제되어 필름 롤(50′)은 한 스테이션 만큼씩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필름 롤(50′)의 배출 시에는 전술한 필름 롤(50′)의 진입 시와 마찬가지로 일단 필름 롤(50′) 인도장치(24)의 상승/하강 구동장치(24b)의 공압실린더가 상승구동을 하게 된다. 그러면, 공압실린더의 로드 단부와 결합된 받침부재(24a)가 상승하여 필름 롤의 보빈(50a′)의 양단부를 들어올리며, 그에 따라 필름 롤(50′) 전체가 소정 높이로 상승된다. 이때, 작업자는 운반대차(60′)를 “B”부분으로 밀어 넣게 된다. 그러면, 상승/하강 구동장치(24b)의 공압실린더는 하강구동을 하여 필름 롤(50′)을 운반대차(60′) 위에 내려 놓는다. 그에 따라 작업자는 “B”부분으로부터 운반대차(60′)를 빼내어 끌고가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는 기계화 및 자동화된 장치에 의해 필름 롤을 인입 및 인출시키는 한편, 보관장치의 안착대 상에서 필름 롤을 이동시킴에 있어 필름 롤의 자중을 이용하여 이동시키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한 부상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름 롤의 진입측과 배출측이 각각 마련되어 있어 선입고된 필름 롤을 선출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수직부재(22)와; 보빈(50a′)을 구비한 필름 롤(50′)을 안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직부재의 상단부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되며, 그 평면이 상기 수평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평행 안착대(21)와; 상기 안착대(21)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운반대차로부터 필름 롤(50′)을 인수하기 위한 필름 롤 인수장치(23)와; 상기 안착대(21)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안착대(21)로부터의 필름 롤(50′)을 운반대차로 인도하기 위한 필름 롤 인도장치(24)와; 상기 안착대(21)의 정해진 위치에 필름 롤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와; 상기 복수의 수직부재(22)에 설치되어 상기 안착대(21)에 안치된 필름 롤(50′)을 정지 및 이송시키기 위한 필름 롤 정지/이송 장치(2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21)는 상기 수평방향에 대해 1°~3°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롤 인수장치(23) 및 인도장치(24)는 상기 필름 롤(50′)의 보빈(50a′)의 양단을 받쳐주는 받침부재(24a)와, 상기 받침부재(24a)와 결합되어 받침부재(24a)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상승/하강 구동장치(24b)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하강 구동장치(24b)로 공압실린더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롤 정지/이송장치(25)는 상기 수직부재(22)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대(21)에 안치된 필름 롤(50′)의 이동을 정지 및 정지해제시키는 레버(25a)와, 상기 레버(25a)와 결합되며 레버(25a)와 함께 소정 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커넥팅 로드(25b)와, 상기 제1커넥팅 로드(25b)와 연결되며 제1커넥팅 로드(25b)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왕복 직선운동을 하는 제2커넥팅 로드(25c)와, 상기 제2커넥팅 로드(25c)와 연결되며 제2커넥팅 로드(25c)의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소정 각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커넥팅 로드(25d)와, 제3커넥팅 로드(25d)와 연결되며 제3커넥팅 로드(25d)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장치(25f)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장치(25f)로 공압실린더가 사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
KR2019950037576U 1995-11-30 1995-11-30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 KR200173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576U KR200173220Y1 (ko) 1995-11-30 1995-11-30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576U KR200173220Y1 (ko) 1995-11-30 1995-11-30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462U KR970023462U (ko) 1997-06-18
KR200173220Y1 true KR200173220Y1 (ko) 2000-04-01

Family

ID=1943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7576U KR200173220Y1 (ko) 1995-11-30 1995-11-30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2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462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9924B2 (ja) アイテムをピッキ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259966B1 (ko) 물품 수납 설비
US3661280A (en) Automatic storage and semi-automated order picking system
US20180222676A1 (en) A multi-storey goods storage arrangement
US3883013A (en) Apparatus of applying skids of grating structure and removing the same
JP2019530626A (ja) 多層物品保管設備、かかる設備を作動させる方法、および、その設備内で作動させるためのピッカー移送カート
US7661920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manipulating a cassette used in storage by means of a transfer device
TW387851B (en) Tote transport system
KR200173220Y1 (ko) 베이스 필름 롤 보관장치
CN117342170A (zh) 一种立体仓库用环形轨道穿梭车
JPH07215665A (ja) パレタイザーおよび空パレット供給装置
JP4967525B2 (ja) ガラス板またはパレット積載用搬送台車及び該搬送台車の移送装置
JP3843728B2 (ja) 自動倉庫設備に於ける入庫方法
JP3556573B2 (ja) ロールシャフト着脱装置
JPH0130736B2 (ko)
JPH08301414A (ja) パレットへの巻取ロール縦積み方法及び巻取ロール縦積みパレタイザ
JPH04217501A (ja) ミルロール貯蔵装置
JP3483016B2 (ja) 物品保管装置
US20240262639A1 (en) Device for replacing a pallet carrying a load with a replacement pallet
JPH07115725B2 (ja) 物品搬送システム
JP3086808U (ja) スリッター等における原反ロール装着装置
WO2025003127A1 (en) A safety system
JPS638118A (ja) 板ガラスのハンドリング装置
JP3589611B2 (ja) 荷処理装置
JPH0761601A (ja) タイヤ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1130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82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130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7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1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12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3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