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72961Y1 - 폭소탈시계 - Google Patents

폭소탈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961Y1
KR200172961Y1 KR2019990017689U KR19990017689U KR200172961Y1 KR 200172961 Y1 KR200172961 Y1 KR 200172961Y1 KR 2019990017689 U KR2019990017689 U KR 2019990017689U KR 19990017689 U KR19990017689 U KR 19990017689U KR 200172961 Y1 KR200172961 Y1 KR 200172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main body
electronic circuit
motor
cuckoo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7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원배
Original Assignee
홍원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원배 filed Critical 홍원배
Priority to KR2019990017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9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96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76Decoration of the case and of parts thereof, e.g. as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30Illumination of dials or han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2Component assemblies
    • G04G17/04Mount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G04G17/045Mounting of the display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Electromechanical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계와 효과음을 결합해서 상품의 가치를 높인 뻐꾸기 시계와 같은 것에 있어서, 뻐꾸기 소릴 들려주면서 뻐꾸기 모형을 들락거리도록 장치함으로써 흥미를 유발시켜 사용자를 자연으로의 회기정서를 불러 일으킨 것과 같은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시각적으로 외형을 한국 문화재인 탈(1)을 형상화 하고 본체(1)의 내부에 효과음을 저장한 음성칩을 전자회로에 내설하고 스피커(4)를 발성체로 하며, 효과음을 다양한 폭소음으로 하며, 본체(1)의 일측에 시계(5)를 결합하고 시계에서 신호를 보내면 전자회로(2)에서 취침여부를 쎈서로 판별한 후 취침이 아니면 전자회로부(2)에 저장되있던 폭소음을 스피커(4)를 통해 외부로 발성하고, 이와 연동해서 하단부의 스프링(9)에 연결된 모터(8)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8)의 편심축이 회전하여 진동을 일으켜 본체(1)의 상단부가 흔들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소탈시계.

Description

폭소 탈 시계{A mask clock of burst out laughing}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공지의 알람시계와 주파수 변환회로로 효과음을 내는 음파생성방식과 효과음을 ROM에 저장하여 전원 인가시에 재생되는 음성방생기술에다가 모터 제어기능이 결합된 것으로써, 종래에는 뻐꾸기 시계처럼 시계의 무부먼트에서 알람신호를 보내오면 음파발생회로에서 뻐꾸기 소리에 맞는 주파수를 발생시켜 스피커에서 소리를 발성하고 동시에 모터에 전원이 인가되어 뻐꾸기가 들락날락 하도록 된 뻐꾸기 시계가 있다, 또는 시계에서 신호를 받아 자전거를 타는 모형에 전력이 인가되면 바퀴를 돌리는 모타가 회전하게 된 것등도 있다.
전통 문화상품인 탈을 단순한 장식품에 머무르던 것을 현대 생활 속에서도 실용적인 제품으로 쓰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새로운 기능을 부여하고 사용자 층도 폭넓게 하기 위해서 오락적 요소를 가미해서 일상에서 효과적이고 친근감 있게 사용되도록 일용품을 만드는데 있어서, 탈의 뒷면부에 전자장치를 내장하고 효과음을 내는 음성발생기를 고안하는 것과 타이머의 시보를 받아 음성발생기와 탈의 턱부분을 움직이도록 효과적으로 연동시키고 중간에 수동 자동 절환스위치를 설치하고 시계와 탈을 안전하게 장착시키고 수동조작시 오락적 요소를 가미하기 위하여 코를 누르면 작동되도록 하는 과제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의 흔들림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의 벽시계정면도
도 5는 일체형 벽시계의 측면 단면도
도 6은 본고안의 실시예의 액정시계 장착도
1 - 탈 본체 1' - 탈 2 - 전자회로부
3 - 베터리 4 - 스피커 5 - 시계문자판
6 - 무브먼트 7 - 수동스위치 8 - 모터
9 - 스프링과 모터연결부 10 - 하단부 받침
11 - 스프링 12 - 벽시계 13 - 베터리
15 - 링크 16 - 동력부 17 - 힌지
18 - 스프링 19 - 무브먼트 20 - 유리
21 - 신호연결선 22 - 아래턱 23 - 탈 뒷판
24 - 면상발광체 25 - 신호연결선
시간을 표시하는 시계와 시보를 소리로 알려주면서 뻐꾸기나 종을 움직이게 하는 벽시계에 관한 것에 있어서, 본체(1)를 한국전통 탈을 덮어 쓴 형상(그림 1)으로 하고 본체(1)의 밖 일측에 시계문자판(5)을 일체형으로 장착하고 시계문자판(5)에 면상 발광채인 EL 램프(24)를 코팅하고, 본체의 내측에는 전원부( 3)와 전자회로부(2)와 스피커(4)를 내장하고,시간을 알려주는 무브먼트(6)와 무브먼트에 연결된 감광쎈서와 전자회로 기판(2)의 ROM에 폭소(爆笑)효과음을 저장하고, 수동 작동을 위한 전원 인가용 접촉 스위치(7)를 본체의 일측에 병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소 탈 시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시계부의 무므먼트(7)에서 매시간 신호를 전자회로부의 감광 쎈서에 보내면 이 쎈서에서 빛이 감지되어 활동시간이면 ON되고 밤시간엔 OFF 되며, 여기서 신호가 전자회로(2)에 전원을 ON시켜 저장된 폭소음이 스피커(4)를 통해서는 폭소음이 발생하고, 또한 시계(5)의 문자판에 면상 발광채인 EL 램프(24)가 점등되도록 하고, 수동 작동을 위해 전원 인가 스위치(7)를 본체(1)의 일측이나 외부에 설치 할 수 있도록 병설 한것을 특징으로한 폭소탈시계.
본고안의 실시 예로 본 고안에다가 도 3의 상단부를 흔들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단부(10)와 상단부의 연결부위를 스프링(18)과 편심축을 갖는 모터(8)를 결합하고 본체(1)의 결합부위의 일측에 접촉 스위치(7)를 매설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소 탈 시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시계부의 무므먼트(6)에서 매시간 신호를 전자회로내(2)의 감광 쎈서에 보내면 이 쎈서에서 빛이 감지되어 활동시간이면 ON되고 밤시간엔 OFF 되며, 여기서 신호가 전자회로에 저장된 폭소음 발생장치()에 전달되면 스피커를 통해서는 폭소음이 발생하고, 이와 연동해서 모타(8)에 전원이 인가되고, 스프링(11)의 일측에 연결된 편심축(9)이 회전하면서 진동을 일으켜 본체의 상층부가 흔들리게 되며, 또한 시계의 문자판(5)에 면상 발광채인 EL 램프(24)가 점등 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한 폭소 탈시계.
다른 실시예로, 본고안의 아날로그 시계(5)를 디치탈 액정 판넬(27)을 갖는 시계를 장착하고 본체(1)의 뒷부분에 조작 버튼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폭소 탈 시계
본 고안으로 한국의 전통 문화 상품이 현대화 된 생활용품으로 사용됨으로서 사용자에게 우리의 전통문화를 생활속에서 접할 수있게되어 한국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제품이 되며, 스트레스를 받고 사는 현대인에게 생활현장에서 수시로 웃음을 들으므로써 전파성이 강한 웃음의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고, 생활에 활력과 즐거움을 주는 제품이 될 수 있다.
한국 전통문화재를 원형을 그대로 수출도 하나 실용성이 부족한 면이 있었으나 본 제품을 관광문화상품으로 내놓음으로써 실용적이면서도 한국적 특성을 지닌 상품으로써 내.외국인들은 생활속에서 즐거움을 느끼며 긍정적이고도 자연스럽게 한국 문화를 접하게 될 것이다

Claims (4)

  1. 본 고안은 본체(1)를 한국전통 탈 형상(그림 1)으로 하고 본체(1)의 밖 일측에 시계문자판(5)을 일체형으로 장착한 것과 시계문자판(5)에 면상 발광채인 EL 램프(24)를 코팅하고, 본체(1)의 내측에는 전원부와 전자회로부(2)와 스피커(4)를 내장하고,무브먼트(6)와 무브먼트에 연결된 전자회로(2)내의 감광쎈서와 전자회로부(2)의 ROM에 폭소(爆笑)효과음을 저장하고, 수동 작동을 위한 전원 인가용 접촉 스위치(7)를 본체의 일측에 병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소 탈 시계.
  2. 청구항 1에 있어서 , 본체를 상단부(1)와 하단부(10)로 나누어 그 연결 부위에 스프링(11)으로 하여, 여기에 모터 동력부(8)을 설치하고 스프링(11)의 일측에 모터(8)의 편심축(9)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소 탈시계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시계를 디지탈 액정 화면(27)을 갖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폭소 탈 시계
  4. 삭제
KR2019990017689U 1999-08-25 1999-08-25 폭소탈시계 Expired - Fee Related KR200172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689U KR200172961Y1 (ko) 1999-08-25 1999-08-25 폭소탈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7689U KR200172961Y1 (ko) 1999-08-25 1999-08-25 폭소탈시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961Y1 true KR200172961Y1 (ko) 2000-03-15

Family

ID=1958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689U Expired - Fee Related KR200172961Y1 (ko) 1999-08-25 1999-08-25 폭소탈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9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98842A8 (en) System for awaking a user
GB2345392C (en) Reversing alarm
KR200172961Y1 (ko) 폭소탈시계
CN101315542A (zh) 多功能数码时钟
JPH08334574A (ja) 音響的アラーム安全装置
US5883570A (en) Decorative door bell actuator
CN201311552Y (zh) 多功能数码时钟
CN200976099Y (zh) 一种可改变闹铃声的闹钟
CN214335475U (zh) 一种具有敲击提醒功能的装置
JP3054219U (ja) 時 計
US5867452A (en) Watch with invisible speaker
CN200956093Y (zh) 线控计时振动枕
CN108669720A (zh) 一种震动式的无声手环闹钟
CN201017194Y (zh) 聋人电子手表闹钟
CN2224145Y (zh) 多功能自行车铃
CN1284053C (zh) 带风铃的电子时钟
CN2567724Y (zh) 一种时钟风铃
CN2664035Y (zh) 音乐闹钟
KR200197320Y1 (ko) 소형 알람장치
CN201828786U (zh) 一种球式倒计时闹钟
US20170285581A1 (en) Remote alarm clock
KR20110002778U (ko) 진동알람 손목시계
CN2762193Y (zh) 钟、闹表、语音、声光尿湿报警器
JPH1078490A (ja) 目覚まし機能付き室内照明装置
CN202003162U (zh) 一种振动式手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8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082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2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