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71403Y1 - 자동차의 보조범퍼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보조범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1403Y1
KR200171403Y1 KR2019990019024U KR19990019024U KR200171403Y1 KR 200171403 Y1 KR200171403 Y1 KR 200171403Y1 KR 2019990019024 U KR2019990019024 U KR 2019990019024U KR 19990019024 U KR19990019024 U KR 19990019024U KR 200171403 Y1 KR200171403 Y1 KR 200171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auxiliary
main
air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9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술갑
Original Assignee
박술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술갑 filed Critical 박술갑
Priority to KR20199900190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1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1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1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2Fluid shock absorbers, e.g. with coaxial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38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 B60R19/40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before a collision, or extending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i.e. to increase the energy absorption capacity of the bu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4Bumper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2019/262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with means to adjust or regulate the amount of energy to be absor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고안의 명칭) 자동차의 보조 범퍼장치
(목적) 자동차를 소정의 속도에서 급브레이크를 밟을 때마다 주범퍼 앞쪽으로 돌출하여, 에어실린더의 압축공기의 배기작용으로 충격을 흡수 완충하는 보조범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구성) 기존의 자동차(1)의 주 범퍼(2)의 앞쪽에 보조범퍼(3)를 복수개의 에어 실린더(4)로 장착하여 에어 실린더(4)의 도관(6)을 전자밸브(v1)(v2)를 통하여 압축공기 탱크와 진공탱크에 연관하고 도관(6)의 일단부측에는 충격신호로 개방되는 전자배기밸브(v3)를 관접하여 예컨데 소정의 주행속도(예컨데 50㎞/h)이상으로 주행중 급브레이크를 밟을 때만 보조범퍼(3)가 에어실린더(4)에 공급되는 압축공기압력으로 주범퍼(2)의 앞쪽으로 돌출하고 브레이크를 떼면 주범퍼측으로 복귀되며, 보조범퍼가 돌출한 상태에서 부디치면 전자배기밸브가 개방되면서 보조범퍼(3)의 충돌에너지는 에어실린더(4)의 압축공기가 배기밸브로 배기되는 작용으로 전환되어 충격을 흡수 완충시키고 이어서 주범퍼가 남어지 완충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보조범퍼장치{SUB-BUMPER OF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보조범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마다 차체의 전후 양단부에 범퍼가 장착되어 있고 범퍼에 의하여 차체가 어떤 물체와 부디치면 범퍼가 충돌시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자동차의 범퍼는 종류가 다양하며, 승용차의 경우에는 주로 범퍼를 구성하고 있는 고강도 합성수지의 재질적인 탄성에 의하여 충돌시의 충격을 완충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 범퍼만으로는 범퍼가 감당할 수 있는 완충능력이 한계가 있고 또 범퍼의 완충기능은 높을 수록, 자동차의 안전성이 증대되기 때문에 범퍼의 기능을 개선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없다.
또한 자동차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범퍼의 구성은 다양하나 자동차 메이커에서 사양으로 정하여진 범퍼를 자동차에 장착하기 때문에 자동차에 장착된 범퍼에 의하여 자동차의 충격을 완충할 수 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래 자동차에 장착된 주범퍼는 그대로 두고 여기에 보조범퍼를 복수개의 에어실린더에 의하여 전후로 움직일 수 있게 설치하여 에어실린더의 공기도관은 전자밸브를 통하여 압축공기탱크와 진공탱크측으로 연관하고 도관의 일단부측에 충격신호에 작동되는 배기전자밸브를 장착하였다.
평소, 자동차 주행시에는 보조범퍼가 주범퍼에 중접(重接)되어 있어 외견상 보조범퍼가 별로 눈에 띄이지 않는다. 그러나 소정의 속도(예컨데 50㎞/h)이상으로 주행중 급브레이크를 밟으면, 압축공기의 전자밸브가 열리면서 압축탱크로부터 고압공기가 공급되어 에어 실린더의 팽창으로 보조범퍼가 주펌퍼의 앞쪽으로 돌출하여 충돌에 예비한다. 또 밟었던 브레이크 패달을 떼면, 진공탱크의 전자밸브가 개방되면서 에어 실린더가 감압되어 돌출된 보조범퍼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또 서행 중에는 브레이크 패달을 빈번하게 밟어도 보조범퍼는 움직이지 않는다. 소정 이상의 속도로 주행중 앞에 장해물이 나타나 급브레이크를 밟을 때만 보조 범퍼가 순간적으로 돌출되고 장해물과 부디치면, 충격신호에 의한 배기전자밸브의 개방으로 충돌에 따른 보조범퍼의 밀리는 충격에너지는 에어실린더의 고압공기의 배기작용으로 전환되어 보조범퍼는 서서히 후퇴되면서 충격을 흡수 완충하고 보조범퍼가 주범퍼에 중접된 후에는 주범퍼가 충격을 흡수 완충한다, 따라서 주범퍼와 보조펌퍼에 의하여 자동차의 충격에 대한 완충작용이 보다 증대되어 그만큼 자동차의 안전성을 높힐 수 있다.
또 보조범퍼는 인위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므로 운전자에게 전혀 별도의 부담이 없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보다 편리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보조범퍼가 주 범퍼에 근접 복귀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동 보조펌퍼가 주범퍼 앞으로 돌출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보조범퍼의 구성을 보인 평단면 예시도
도 4는 동 보조범퍼가 돌출된 상태를 보인 평단면 예시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자동차, 2 : 주범퍼, 3 : 보조범퍼, 4 : 에어실린더,
5 : 피스톤, 5a : 신축성 에어백, 6 : 공기 도관, 6' 공급관,
6' : 환류관, 6'' : 배기관, v1, v2, v3: 전자밸브이다.
자동차(1)의 전후 양단부에 주 범퍼(2)를 장착 한 것에 있어서, 주범퍼(2)의 앞쪽에 보조펌퍼(3)를 복수개의 에어실린더(4)와 피스톤(5)에 의하여 전후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하고, 에어실린더(4)에 관접된 공기 도관(6)에는, 압축탱크(도시되지 않음)의 전자밸브(v1)가 장착된 공급관(6')과, 진공탱크(도시되지 않음)의 전자밸브(v2)가 환류관(6') 및 충돌신호로 작동되는 전자배기밸브(v3)가 장착된 배기관(6'')을 각각 관접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에어실린더의 장착 수단으로서 실린더(4)는 주범퍼의 내면에 보강철판(2')을 이용하여 장착하고 동 실린더(4)에 삽입된 피스톤(5)은 보조범퍼(3)의 내면에 보강철판(3')을 이용하여 장착해도 된다. 또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의 공간부에 탄성질의 주름관으로 된 신축성 에어백(5a)을 내장할 수도 있다.
에어백(5a)을 내장한 때에는 에어백(5a)의 일단부에 공기도관(6)을 관접하여 압축공기를 주입 팽창하거나 흡기 수축할 수 있게 하고 에어백(5a)의 수축시에는 보조범퍼(3)가 주범퍼측으로 복귀할 수 있게 에어백(5a)의 타단부를 보조펌버 (3)에 연결한다.
도1, 도2는 자동차의 앞쪽에 설치된 보조범퍼를 표시하고 있으나 도3 및 도4에 표시된 보조범퍼의 구성은 자동차의 전후 양단부에 장착된 주 펌퍼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편의상 한쪽의 보조범퍼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은 단자(a)(b)(c)를 통하여 유입되는 신호에 따라 각 전자 밸브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기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도1 및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4)와 피스톤(5)은 수축상태이며 보조펌버(3)는 주범퍼(2)에 중접되어 있다.
자동차의 주행속도 신호와 브레이크 신호는 각각 단자(a)(b)를 통하여 전자제어기(7)로 유입된다. 그러나 소정의 속도 이하의 주행에서는 반복적으로 브레이크를 밟어도 전자제어기(7)는 작동신호가 송출되지 않으므로 각 전자밸브(v1)(v2)는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조범퍼(3)는 주범퍼(2)에 중접된 채 운행된다.
그러나 소정의 속도(예컨데 50km/h) 이상로 주행중에 급브레이크를 밟을 때는 전자제어기(7)로 부터 압축공기 탱크의 전자밸브(v1)에 동작신호가 송출되어 동전자밸브(v1)가 개방되면서 압축탱크(도시되지 않음)에서 압축공기가 공급관(6') 및 도관(6)을 통하여 각 실린더(4)에 공급팽창되어서, 도2 및 도3의 가상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보조범퍼(3)는 주범퍼(2)의 앞쪽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후에는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압축공기탱크의 전자밸브(v1)는 닫히어 그 이상의 공기압력은 부가되지 않는다.
밟은 브레이크를 떼면 정해놓은 지연시간(예컨데 약5초)후에 전자 제어기(7)로부터 이번에는 진공탠크의 전자밸브(v2)에 동작신호가 송출되어 동 전자밸브가 개방되면서 실린더내(4)의 공기를 환류관(6')을 통하여 흡입 감압시킨다. 따라서 도1 및 도3의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보조범퍼(3)는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주범퍼(2)에 중접된다.
또 도2 및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주행중 전방에 장해물이 나타나, 급브레이크를 밟으면,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범퍼(3)는 주범퍼(2)의 앞쪽으로 돌출되며 이상태에서 물체에 보조범퍼(3)가 부디치면, 부디치는 충격신호가 단자(c)로 유입되어 전자제어기(7)로 부터 전자 배기밸브(v3)측으로 동작신호가 송출되어 배기밸브(v3)가 개방된다.
따라서 보조범퍼(3)에 가해진 충격에너지는 보조범퍼(3)가 후퇴되는 동작에따라 실린더(5), 또는 에어백(5a)에 충전된 압축공기를 배기밸브(v3)를 통하여 배기관(6'')의 외부로 배출되는 작용으로 전환되어 보조범퍼(3)는 서서히 후퇴하면서 충격을 흡수한다. 보조범퍼(3)가 주범퍼(2)에 중접된 후에는 감지센서(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전자배기밸브(v3)는 닫히고 중접된 후부터는 남어지 충격은 주범퍼(2)가 담당하여 완충작용을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주범퍼에 보조범퍼를 복수개의 에어실린더에 의하여 신축동작되게 장착하여 소정 이상의 주행속도에서 급브레이크를 밟을 때만 압축공기탱크의 전자밸브의 개방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보조범퍼가 주범퍼 앞으로 돌출되고 브레이크 패달을 떼면 보조범퍼가 진공탱크의 전자밸브의 개방으로 복귀되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서행시에는 반복적으로 브레이크로 밟어도 보조범퍼는 동작하지 않어 그만큼 보조범퍼의 동작기구에 물리적인 무리가 적고 외견상 기존 범퍼와 차이가 없이 보인다.
또 보조펌퍼가 돌출한 상태에서 혹 물체와 충돌하면 보조범퍼의 충격 에너지가 실린더의 압축공기의 배기작용으로 전환되므로 보조범퍼와 주범퍼 사이의 간격이 크기 않어도 배기조건의 조절에 따라 배기저항을 크게 할 수 있어 1차적인 완충작용을 높힐 수 있다.
또 보조범퍼에 의하여 1차적인 완충작용을 담당한 후에 남어지 충격에너지를 주범퍼가 담당하게 되므로 그만큼 자동차의 범퍼의 완충능력이 증대되어 자동차의 안전성이 높게 된다.
또 인위적으로 보조범퍼를 작동하는 것이 아니므로 운전자에게 별도의 부담을 주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보조범퍼는 구조가 간단하고 주범퍼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자동차의 사양을 그대로 두고도 자동차 메이커에서 처음부터 보조범퍼를 주범퍼에장착할 수 도 있고 출고된 차량에 옵션에 따라 보조범퍼를 장착할 수 도 있다.
또 종래 주범퍼에만 자동차의 완충을 의존하던 것에 비하여 범퍼의 완충능력 보조범퍼에 의하여 증대되므로 충격으로 부터 차량과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1)의 차체의 전후 양단부에 주범퍼(2)를 장착한 것에 있어서, 보조범퍼(3)를 주범퍼(2)에, 복수개의 에어실린더(4)와 피스톤(5)에 의하여 보조범퍼(3)가 전후로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하고, 각 에어 실린더(4)에 연관된 공기도관(6)에는, 압축공기탱크의 전자밸브(v1)가 장착된 공급관(6')과, 진공탱크의 전자밸브(v2)가 장착된 환류관(6') 및 전자배기밸브(v3)가 관접된 배기관(6'')을 각각 관접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보조범퍼장치.
KR2019990019024U 1999-09-07 1999-09-07 자동차의 보조범퍼장치 KR200171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024U KR200171403Y1 (ko) 1999-09-07 1999-09-07 자동차의 보조범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9024U KR200171403Y1 (ko) 1999-09-07 1999-09-07 자동차의 보조범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1403Y1 true KR200171403Y1 (ko) 2000-03-15

Family

ID=1958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9024U KR200171403Y1 (ko) 1999-09-07 1999-09-07 자동차의 보조범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14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702B1 (ko) * 2001-03-24 2003-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범퍼
KR101167270B1 (ko) * 2010-07-08 2012-07-23 김성준 자동차용 범퍼 완충장치
KR101393078B1 (ko) 2013-11-07 2014-05-09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차량에 설치되어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실린더 형태의 에어백 범퍼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702B1 (ko) * 2001-03-24 2003-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범퍼
KR101167270B1 (ko) * 2010-07-08 2012-07-23 김성준 자동차용 범퍼 완충장치
KR101393078B1 (ko) 2013-11-07 2014-05-09 주식회사 스마트에어 챔버 차량에 설치되어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실린더 형태의 에어백 범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6818B1 (en) Bumper for a motor vehicle
US20030020289A1 (en) Impact protector for motor vehicles
KR200171403Y1 (ko) 자동차의 보조범퍼장치
CN117881581A (zh) 汽车碰撞冲击衰减装置
CN2424972Y (zh) 汽车碰撞缓冲保护器
CN1204599A (zh) 汽车前、后置式安全气囊缓冲装置
KR100391273B1 (ko) 자동차 범퍼의 완충장치
CN2398148Y (zh) 汽车缓冲保护器
GB2422581A (en) Collision resistance bumper
CN2392698Y (zh) 汽车正面碰撞缓冲保护器
KR100365147B1 (ko) 자동차 범퍼의 완충장치
KR910006988Y1 (ko) 자동차의 충돌충격 완충장치
KR200227845Y1 (ko)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CN2677235Y (zh) 气垫安全保险杠
KR200206395Y1 (ko) 돌출 흡인식 유압범퍼
KR0174172B1 (ko) 자동차용 자동 브레이크 장치
KR0118989Y1 (ko) 자동차의 사이드 패널 충격 흡수장치
KR930003767Y1 (ko) 자동차의 안전장치
KR100406702B1 (ko) 자동차의 범퍼
JP2554405Y2 (ja) 車両停止位置規制装置
KR200271245Y1 (ko) 자동차 충격 완충장치
KR920002732B1 (ko) 보조 제동장치가 부착된 차량용 범퍼 완충장치
KR100261432B1 (ko) 브레이크 부우스터
KR100230637B1 (ko) 자동차용 완충범퍼
KR0181845B1 (ko) 에어백의 탑승자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0907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090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8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